KR20140124309A -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309A
KR20140124309A KR20130041914A KR20130041914A KR20140124309A KR 20140124309 A KR20140124309 A KR 20140124309A KR 20130041914 A KR20130041914 A KR 20130041914A KR 20130041914 A KR20130041914 A KR 20130041914A KR 20140124309 A KR20140124309 A KR 2014012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patient
unit
moistu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상
윤태호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지우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우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우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309A/ko
Publication of KR2014012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자세를 동작센서로 측정하여, 일정시간동안 동일 자세를 유지하게 되면 보호자 또는 요양인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욕창방지용 자세교정장치는
환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세 검지부와;
상기 자세 검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측정된 자세를 저장하고, 일정시간 후에 환자의 자세를 다시 판단한 후에 환자의 자세가 바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할 경우에는 자세 교정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에 기술적이 특성이 있다.

Description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Posture correction device for prevention of bedsore}
본 발명은 누워서 거동을 못하는 환자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욕창을 방지하게 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환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일정시간 이상 동일한 자세로 있을 경우에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자세 변경 시기를 알려주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환자의 배변 배뇨를 감지하는 수분감지 기능을 일체로 한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욕창이란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누워 있거나 엎드려 있음으로 인해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가해져서 피부와 피하조직의 조직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압박 때문에 피부로 가는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겨 결국 조직이 괴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욕창은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누워 있어 혈행에 문제가 생길 경우, 불규칙하고 거친 표면 위로 피부를 끄는 마찰력이 있을 때 또는 대· 소변이나 땀에 의한 젖은 침구나 옷과 접촉하여 오는 화학적 자극이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
또한 주요 욕창 발생부위는 ㆍ 천골 , 미골 , 좌골결절, 대전자, 발꿈치 등과 같이 뼈가 돌출된 부분에 대부분 발생하지만 그 밖의 신체 어느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욕창의 65%가 골반 주변에 발생한다.
ㆍ뼈가 돌출된 부분은 체중이 집중되는 곳이어서 욕창이 발생하기 쉽고, 피하층과 근육층이 위축된 경우에도 연조직과 모세혈관의 압력이 증가되어 욕창발생 위험이 높다.특히 기저귀를 제때에 교체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발생빈도가 훨씬 높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의 체위 변경(최소 두시간 이내)과 청결 유지이다.더불어 아래와 같은 점도 동시에 신경쓰면서 진행해 주어야 한다.
1.활동 증가 : 매 두 시간보다 더 자주 체위를 바꾸어 주도록 한다. 환자에게 정기적으로 자신의 몸을 흔들거나 굴려서 체중이 한 곳에 몰리지 않도록 교육한다.
2. 압력 줄이기 : 물침대, 공기침대의 이용과 적절한 베개이용이 유용하다.
3.피부간호 강화 : 피부는 건조하고 부드럽게 유지하며 자주 로션으로 도포하고 강한 비누는 피한다.
4.영양상태 강화 : 충분한 단백질과 열량이 포함된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한다.
현재는 요양사들이 일정 시간마다 환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자세를 수기로 기록하면서 자세를 변화해 주어, 요양사들이 일일이 매시간 수기로 적어야 하는 부담감도 있으며 자세를 모니터링하는 시간을 잊는 경우도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마다 환자의 자세를 정자세로 누워있기, 좌로 누워있기, 우로 누워있기, 앉아있기(서있기)로 네가지 자세로 구분하여 각 자세를 일정 시간마다 검지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른 자세로 움직이게 다양한 방법의 알람을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욕창의 대부분이 체위 변경(최소 두시간 이내)과 청결 유지이고, 특히 골반주변에 주로 발생하는 이유중 하나가 습기로 인한 원인도 크게 기여하므로, 수분감지센싱 기능까지 추가하여 배변배뇨 활동까지 모니터링하는 기능이 포함된 자세교정 알람장치를 제공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꼭 필요한 기능, 즉 욕창방지를 위한 자세교정 알람 및 배변 배뇨 감지 기능을 통한 기저귀 교체 알람기능을 일체화한 욕창방지 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욕창방지 자세 교정 장치는 환자의 복부부위에 착용이 되면서 환자의 자세를 정자세로 누워있기, 좌로 누워있기, 우로 누워있기, 앉아있기(서있기)로 네가지 자세
로 구분하는 자세 검지부와, 자세 검지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환자의 자세를 확인하고 환자의 자세가 일정시간 이상 동일 자세인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상 동일 자세를 유지할 경우에 자세 변경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어지는 자세 변경 제어 신호에 따라 알람을 추력하는 피드백 부와, 자세 변경 제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욕창방지 자세교정 알람 시스템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욕창방지 자세교정 알람 시스템은 수분감지센서와 착탈되는 착탈부와, 수분이 감지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분감지부와, 수분이 감지되었으면 이를 어떻게 처리할 지를 결정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욕창방지자세교정 알람 시스템은
자동으로 환자들(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자세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일정시간 이상 동일 자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세를 바꾸어 주라고 알람을 자동으로 제공하여 줌으로써 요양사 또는 간호인들의 수고스러움을 덜어주고, 자동으로 저장되게 하여 향후에 감독관이나 증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가적인 업무 처리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환자들의 욕창을 예방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자세교정 알람기능에 추가로 환자의 배변 배뇨 자동 감지 기능까지 추가하게 된다면 요양인들의 수고스러움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환자들의 위생적인 생활 증대 및 배변 배뇨로 인한 욕창의 방지에 더 큰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욕창방지 자세교정 장치가 적용된 수분감지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욕창방지 자세교정 장치에 환자의 배변 배뇨를 감지할 수 있는 수분감지 기능을 더 추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동작센서의 위치 방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자세에 따른 동작센서의 파형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욕창방지 자세 교정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욕창방지 자세교정 장치가 적용된 수분감지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회로 블록도이다.
가속도센서 또는 틸트센서등의 3축방향의 동작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자세 검지부(203)와, 자세 검지부(20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자세를 측정하고, 저장하고, 일정시간 이후에 측정한 자세와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상 현재의 자세가 유지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동일 자세 유지가 지속되었을 경우에는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여주는 피드백부(206) 및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전송하여주는 통신부(205)로 구성되어져 있다.
일례로 보면, 자세검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현자세가 정자세로 누워있는 것이라고 인식하면 현 자세를 저장하고 일정시간후에(최대 2시간) 자세를 측정하여 이전에 저장되었던 자세와 동일한 지를 판간하고 동일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고, 이 피드백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여주는 피드백 부가 있고, 또한 상기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스마트 폰 또는 기타 장치에 전송해 주는 통신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에 시간별로 저장된 데이터는 장치내에 저장되어 후에 요양사(관리자)가 한꺼번에 데이터를 내려 받아서 출력할 수 도 있으며, 또는 저장된 데이터는 전송되어 스마트 폰 또는 PC에서 저장되어 요양사(관리자)가 데이터를 관리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자세가 일정시간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요양사(또는 관리자)가 자세를 변경하여 주지 않았을 경우에는 cjda에 지정되었던 주기보다 점점 단축시켜 요양사(관리자)가 빠른 시간내에 자세를 변경하게 알람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욕창방지 자세교정 장치에 환자의 배변 배뇨를 감지할 수 있는 수분감지 기능을 더 추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출원인이 동일 출원한 특허 제 2013-0041617의 수분감지 센서 및 시스템을 본 발명의 자세교정장치에 기능을 추가한 내용이다. 추가적인 상세한 내용은 특허 제 2013-0041617에 개시되어 있어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두 개의 기능을 결합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현하게 되면, 욕창의 방지에 가장 필수적인 자세교정 및 청결문제가 해결되므로 욕창방지 효과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때에 제어부는 센서의 착탈여부, 수분감지 여부 및 자세를 판단하고 각각의 이벤트에 맞추어 피드백 출력 신호 및 데이터 전송 신호를 통신부에 전달한다.
도 3 및 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작센서의 위치 방향의 일실시예 및 사람의 자세에 따fms 동작센서의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작센서의 X축은 사람의 길이 방향과 평행되게 위치되고, Y축은 사람의 좌우방향으로 그리고 Z축은 상기 x출 및 y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지게 된다.
즉, 제 4도에서 보면, 정자세로 누웠을 경우의 동작센서의 특징은 센서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X, Y는 중간 값을 유지하며, 센서의 상하 가속도을 감지하는 Z축에서는 중력가속도로 인해 값이 높게 나온다. 또한 좌로 또는 우로 누운 자세일 경우에는 동작센서의 Y축에 중력 가속도가 반영 되므로 위 그래프와 같이 좌로 누우면 값이 커지고, 우로 누우면 값이 작아진다. 또한 앉아있는 자세나 서있는 자세인 경우에는
, X축에 중력 가속도가 반영되게 되며, 값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손쉽게 제어부는 환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동작센서는 소형화되고 비교적 저렴한 가속도센서가 사용되어질 수도 있으나 틸트센서등 유사한 동작센서로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발생하기 쉬운 욕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자세를 특정하고 자세 교정 시간을 자동적으로 알람시켜주어서 환자의 욕창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어줌은 물론 요양사등 간병인이 수기로 시간별로 환자의 자세를 적고 자세를 교정해 주는 것을 자동적으로 주기별 자세 데이터를 저장하게 함은 물론 자동적으로 알람을 주어 요양인들의 시간을 절감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변 배뇨를 자동 감지하는 수분감지 기능까지 추가하게 되면, 환자의 배변 배뇨를 자동으로 알려주어 환자의 청결도를 높임으로써 욕창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임은 물론 보호자, 요양인등의 일손을 덜어주는 장점이 있다.
203 : 자세검지부 200: 제어부
201 : 수분감지부 205: 통신부

Claims (9)

  1. 환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세 검지부와;
    상기 자세 검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측정된 자세를 저장하고, 일정시간 후에 환자의 자세를 다시 판단한 후에 환자의 자세가 바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할 경우에는 자세 교정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세 검지부는 3축의 가속도계를 측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자세검지부 및 제어부는, 정자세로 누워있는 자세, 좌측으로 누운 자세, 우측으로 누운 자세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5. 4항에 있어서, 일정시간 후에 환자의 자세를 다시 판단한 후에 환자의 자세가 바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할 경우에는 자세 교정 경고 신호를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 경고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주기마다 측정되어지는 환자들의 모든 자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일정시간 후에 환자의 자세를 다시 판단한 후에 환자의 자세가 바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할 경우에는 일정시간의 주기를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감지센서와 연결되는 수분감지센서 착탈부와;
    착탈부로부터 입력되어지는 상태에 따라 센서의 착탈여부를 감지하고 수분 을 감지하는 수분감지부와;
    수분 감지부의 신호를 판단하여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KR20130041914A 2013-04-16 2013-04-16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KR20140124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914A KR20140124309A (ko) 2013-04-16 2013-04-16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914A KR20140124309A (ko) 2013-04-16 2013-04-16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309A true KR20140124309A (ko) 2014-10-24

Family

ID=5199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1914A KR20140124309A (ko) 2013-04-16 2013-04-16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3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40A1 (ko) * 2022-10-26 2024-05-02 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 매트리스 기반의 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40A1 (ko) * 2022-10-26 2024-05-02 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 매트리스 기반의 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6529A1 (en) Remote monitoring of absorbent article
US10127788B2 (en) Estimation and monitoring of patient torso angle
US100044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user orientation information on a user-worn sensor device
CA2926709C (en) Pressure ulcer detection methods, devices and techniques
JP2020032200A (ja) 自動向き変更管理のシステム
US20140257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An Individual
JP2014504893A (ja) 圧力センサ組立体及び褥瘡の発症を回避する関連の方法
KR102184237B1 (ko)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US20220322971A1 (en) Contactless Patient Motion Monitoring
JP2004130012A (ja) 生体信号強度測定方法、並びに就寝状態判定方法及び就寝状態監視装置
JP2019520964A (ja) おむつセンサ装置およびおむつ監視システム
JP5019908B2 (ja) 寝返り促進装置
KR101228300B1 (ko) 환자 간호용 매트
JPWO2019245055A1 (ja) 生体情報検出用マット、生体情報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7135862A (ja) 被検者の状態を監視する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CA3019931A1 (en) Pressure ulcer detection methods, devices and techniques
KR20140124309A (ko)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KR101547527B1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US11100779B1 (en) Comprehensive care device
JP7320241B2 (ja) 情報処理装置、褥瘡リスク評価方法及び褥瘡リスク評価プログラム
KR101112598B1 (ko)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124591A1 (ja) 生体情報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通信システム
EP4248845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KR101696770B1 (ko) 환우의 배변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