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01B1 -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01B1
KR101606901B1 KR1020150147198A KR20150147198A KR101606901B1 KR 101606901 B1 KR101606901 B1 KR 101606901B1 KR 1020150147198 A KR1020150147198 A KR 1020150147198A KR 20150147198 A KR20150147198 A KR 20150147198A KR 101606901 B1 KR101606901 B1 KR 10160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rine
terminal
urin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상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to KR102015014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01B1/ko
Priority to PCT/KR2016/010898 priority patent/WO20170694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성기부 및 둔부를 세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변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착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실시간 출력하는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수용 모듈; 단말과 근거리 통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의 ID(Identification)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착용 모듈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용 모듈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와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구성한다.

Description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EXCREMENT TREATING APPARATUS FIT FOR HUMAN BODY FOR SUPPLYING DISCRIMINATED INFORMATION BY DISTAN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소변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와상 환자의 경우 보호자나 간병인이 늘 함께 상주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환자의 성기부와 둔부에 착용하여 대소변을 외부로 처리하여 주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기존과 달리 인체의 성기부와 둔부의 굴곡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성기부와 둔부에 착용하기 때문에 배설물이 누설되지 않고 배설물을 쉽고 빠르게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은 배설물유동관을 통해 배설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며 세정수를 이용하여 인체의 착용 부위를 깨끗하게 세정하도록 구성되어 매우 유용하다.
보호자나 간병인은 이러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와상 환자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와상 환자 곁에 상주하지 않아도 되며 와상 환자나 보호자, 간병인 모두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오랫동안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뒤척임에 의해 벗겨지기도 하며 특히 수면 중에 착용 상태가 불량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착용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설물이 침대로 누설되거나 또는 세정수까지도 모두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뒤척임에 의해 착용 상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처리를 해줄 필요가 있다.
이처럼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보호자나 간병인에게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대신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할 때는 장시간 배설물을 처리하지 못하고 방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직까지는 이러한 장치의 관리상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앞서 언급한 다양한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10-2015-0051376 10-2009-0000769
본 발명의 목적은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성기부 및 둔부를 세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변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착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 모듈; 단말과 무선 연결하고, 무선 연결된 단말의 ID(Identification)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착용 모듈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용 모듈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와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출력하는 요성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요성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출력하는 체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체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른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모듈은, 상기 수용 모듈에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실시간 출력하는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설물 양 측정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뇨/배변 정보는,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및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따.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병원/요양사업자 ID인 경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병원/요양사업자 ID 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인 경우, 상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단말과 연결하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의 ID(Identification)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의 실시간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체위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른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의 양을 더 측정하고, 측정된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뇨/배변 정보는,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및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병원/요양사업자 ID인 경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병원/요양사업자 ID 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인 경우,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파악하고, 사용자별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는 물론 다양한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배뇨/배변 상태와 건강 상태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간병인, 보호자, 병원/요양사업자,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들에게 그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여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병인 등의 역할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병인, 보호자, 병원 관계자 등이 사용자와의 거리가 매우 근접해있는지 아니면 근처에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서 그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간병, 보호, 분석 및 치료 등을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의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을 인체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의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을 인체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착용 모듈(110), 수용 모듈(120) 및 제어 모듈(140)로 구성되는데, 도 1 및 도 2는 그 중 인체에 착용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키고 사용자의 성기부와 둔부를 세정하는 착용 모듈(110)과 그 착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된 배설물 처리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인체에 상시 착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처리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와 인체의 다리 사이에 장착되도록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어 모듈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처리 공간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유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유로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 모듈(1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이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라 함)(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착용 모듈(110), 수용 모듈(120), 근거리 통신 모듈(130) 및 제어 모듈(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 모듈(110)은 사용자의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용 모듈(120)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용 모듈(110)은 배설물을 배출한 후에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기부와 둔부를 세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 모듈(110)은 대변 감지 센서 및 소변 감지 센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요성분 센서 및 체위 센서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 모듈(110)의 대변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대변 배설을 실시간 감지하고 소변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소변 배설을 실시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변 감지 센서는 실시간으로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모듈(140)로 실시간 송신하고 소변 감지 센서는 실시간으로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착용 모듈(110)의 요성분 센서는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제어 모듈(14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성분 감지 센서는 착용 모듈(110)의 성기부가 착용되는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리트머스지와 같은 성분 분석이 가능한 구성을 통해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위 센서는 착용 모듈(110)의 자세를 실시간 감지하여 체위 센서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 모듈(14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위 센서(110)는 착용 모듈(110)의 자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똑바로 누워있는지, 앉아 있는지, 옆으로 누워있는지 아니면 얼마나 자주 자세가 바뀌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사용자가 제대로 착용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위 센서(110)는 자이로(gyro)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 모듈(120)은 착용 모듈(110)에 의해 배설된 배설물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수용 모듈(120)은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배설물 양 측정 센서는 수용 모듈(120)의 배설물의 양을 실시간 측정하여 이를 제어 모듈(14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설물 양 측정 센서는 수용 모듈(120)에 수용된 배설물의 수위를 측정하거나 또는 수용 모듈(120)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배설물 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설물의 수위는 레이저 및 초음파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무게는 로드 셀(load cell)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모듈(120)에는 착용 모듈(110)로부터 배설물과 함께 세정수도 함께 배출되어 수용되는데, 로드 셀에 의해 측정된 무게에 수용 모듈(120) 자체의 무게와 세정수의 무게를 제하면 배설물의 양이 산출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간병인 단말(10), 보호자 단말(20), 병원/요양사업자 단말(30) 또는 렌탈(rental)/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연결이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의 ID(Identification)을 확인하고 그 단말과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로서는 대표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될 수 있고, 그 외에도 비콘(beacon)에 의해 거리 측정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한다. 이 외에도,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통시 모듈이라든가 지그비(zigbee) 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과 같이 직간접적으로 거리 측정이 가능하거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간병인 단말(10), 보호자 단말(20), 병원/요양사업자 단말(30) 또는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단말의 ID를 확인하여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와 연관이 있는 간병인이나, 보호자, 의사, 간호사 등의 병원 관계자, 요양사업자를 구별 가능하게 하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렌탈 사업자나 유통 사업자/제조사를 인식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단말과의 실시간 거리 측정을 통해 간병인이나 보호자, 간호사 등이 가까이 있는지 멀리 있는지도 인식 가능하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착용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요성분 및 체위 신호를 입력받아 실시간 저장하고, 수용 모듈(120)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아 실시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40)은 RS232 또는 USB 등의 방식에 의해 이러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를 구비하는 보드(board)를 구비하며, 이러한 신호들을 실시간 저장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40)은 그 실시간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간병인 단말(10), 보호자 단말(20), 병원/요양사업자 단말(30) 또는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로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40)은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통해 사용자의 배뇨 시간, 배뇨 횟수, 배뇨 습관, 배뇨 성분 분석 등의 배뇨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환자의 건강 상태를 다면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간병인 단말(10)이나 보호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의 식단이라든가 실시간 음식 섭취 정보, 기타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이용한 분석에 필요한 기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사용자의 식단이나 실시간 음식 섭취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배변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요성분/변성분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이를 통해 소변의 혼탁도, 요단백, 요당, 요잠혈, 요아질산, 요산도, 요우로빌로노겐, 유빌리루빈, 오케톤체, 요백혈구, 요비중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대변의 경도, 잠혈, 점액 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40)은 체위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체위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이를 통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자세 변화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위 정보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면중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이러한 자세 변화를 통해 그 착용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인지하거나 예측할 수 있으며, 수면 중에는 환자의 뒤척임 등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통해 수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지의 보호자는 이러한 착용 상태를 통해 간병인이 제대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100)를 사용자에게 착용시키고 관리하는지 그리고 수면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뇨/배변 정보는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으며, 요약하자면,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40)은 이러한 배뇨/배변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송신하는 것이 아니다. 제어 모듈(140)은 먼저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환자와 관련된 간병인, 보호자, 병원/요양사업자 또는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의 ID인지를 확인하여 그 ID의 단말로만 배뇨/배변 정보를 자동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 ID에 따라 차별화된 배뇨/배변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40)은 ID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의 송신만이 아니라 해당 ID의 단말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로부터 근접해 있는지 아니면 멀리 있는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배뇨/배변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제어 모듈(14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인 경우, 제어 모듈(140)은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병인이나 보호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배변 통계량이라든가 배뇨/배변 메커니즘과 같은 분석/통계 정보는 꼭 필요한 정보가 아니므로 검색을 통해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간병인 단말(10)과 보호자 단말(20)이 근거리 통신 모듈(130)에 의해 소정 거리 이하에 있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제어 모듈(140)은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및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정 거리란 예를 들어, 5 m 이하 정도의 동일한 병실 내 또는 실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곁에서 사용자를 간병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와상 환자의 대변/소변 배설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설물 양 정보는 수용 모듈(120)이 꽉 찬 경우 비워줘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실시간으로 알 필요가 있는 정보이다. 그리고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는 잘못 착용된 경우 배설물이 누설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다시 착용시켜주기 위해 꼭 필요한 정보이다.
한편, 간병인 단말(10)과 보호자 단말(20)이 근거리 통신 모듈(130)에 의해 소정 거리 이상의 거리에 있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예를 들면, 5 m 이상 대략 50 m 내에 있는 경우, 제어 모듈(140)은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잠시 자리를 뜨고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도 이러한 정보들은 반드시 실시간으로 알아야 하는 정보이며, 배뇨/배변 횟수라든가 배뇨/배변 시간 비교적 근거리의 근처에 장시간 벗어나 있게 되는 경우 계속 감지하고 있어야 하는 정보이다.
다른 한편,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제어 모듈(14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병원/요양사업자 ID인 경우, 즉, 의사나 간호사, 병원 관계자, 요양원 직원, 요양원 관계자 등의 ID인 경우 제어 모듈(140)은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사, 간호사, 병원 관계자, 요양원 관계자 등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병원/요양사업자 단말(30)이 근거리 통신 모듈(130)에 의해 소정 거리 이하에 있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예를 들면, 5 m 내에 있는 경우, 제어 모듈(140)은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의사가 여러 병실에 회진을 돌거나 간호사가 치료를 위해 특정 환자에게 다가가는 경우 그 환자에 대한 정보를 즉시 의사나 간호사의 단말로 송신하여 진료나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의사나 간호사, 요양원 관계자는 사용자와 소정의 거리 내에 근접할 때에만 이러한 정보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5 m 이상 50 m까지의 모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조회하는 것이 사실상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필요에 따라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이러한 배뇨/배변 정보뿐만 아니라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 자체의 기기 관련 정보도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40)은 착용 모듈(110)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관련 정보는 간병인이나 보호자 보다는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가 기기를 새 기기로 바꾸거나 필터를 교환하거나 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들이다. 또한, 세정 횟수 정보나 동작 상태 정보 역시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가 A/S를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은 새로운 제품 개발에 반영되는 토대가 되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에, 제어 모듈(140)은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확인된 단말 ID가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인 경우,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해당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은 수많은 병실의 수많은 환자들의 정보를 일시에 다 받는 것보다는 기기 체크를 위해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의 근처 5 m 이내에 있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 모듈(140)의 설정값을 일시적으로 변경하여, 해당 요양원의 같은 층 또는 병원의 같은 층의 모든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로부터 일시에 기기 관련 정보를 송신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가 많은 정보를 일시에 수집하려고 하는 때에 유용하며, 이렇게 수집하여 고장이 있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기기 관련 정보는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이 일일이 병실을 돌아다니면서 수신하기에는 불편하므로, 환자 곁에 있는 간병인 단말(10)이나 보호자 단말(20)이 이러한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간병인 단말(10)이나 보호자 단말(20)은 기기 관련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단말(40)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한다(S101).
이때,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가 사용자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체위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른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모듈(120)의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수용 모듈(120)에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고,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그 측정된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뇨/배변 정보는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단말과 연결하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의 ID(Identification)를 확인하고, 그 단말과의 실시간 거리를 측정한다(S102).
다음으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한다(S103).
이때,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인 경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모듈(130)에 의해 확인된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및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130)에 의해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인 경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 모듈(130)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병원/요양사업자 ID인 경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 모듈(130)에 의해 확인된 병원/요양사업자 ID 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가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한다(S104).
여기서,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인 경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110: 착용 모듈
120: 수용 모듈
130: 근거리 통신 모듈
140: 제어 모듈

Claims (24)

  1.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성기부 및 둔부를 세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변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착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 모듈;
    단말과 무선 연결하고, 무선 연결된 단말의 ID(Identification)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착용 모듈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용 모듈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와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출력하는 요성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요성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출력하는 체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체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른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모듈은, 상기 수용 모듈에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실시간 출력하는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설물 양 측정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배변 정보는,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및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병원/요양사업자 ID인 경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병원/요양사업자 ID 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인 경우, 상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13.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단말과 연결하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의 ID(Identification)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의 실시간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체위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른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의 양을 더 측정하고, 측정된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배변 정보는,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및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간병인 ID 또는 보호자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대변 감지 정보, 소변 감지 정보, 배설물 양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체위 정보, 착용 모듈 착용 상태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병원/요양사업자 ID인 경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 또는 상기 측정된 실시간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뇨/배변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상기 병원/요양사업자 ID 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요성분 정보, 배뇨/배변 횟수 정보, 배뇨/배변 시간 정보, 배뇨/배변량 분석 정보,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 대소변 통계, 배뇨량/배변량 통계 및 수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인 경우,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렌탈/유통사업자/제조사 ID의 단말에 대해 실시간 측정된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착용 모듈의 세정 횟수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또는 필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방법.
KR1020150147198A 2015-10-22 2015-10-22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0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98A KR101606901B1 (ko) 2015-10-22 2015-10-22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PCT/KR2016/010898 WO2017069423A1 (ko) 2015-10-22 2016-09-29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98A KR101606901B1 (ko) 2015-10-22 2015-10-22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901B1 true KR101606901B1 (ko) 2016-03-28

Family

ID=5700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198A KR101606901B1 (ko) 2015-10-22 2015-10-22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6901B1 (ko)
WO (1) WO201706942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23A1 (ko) * 2015-10-22 2017-04-27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82364B1 (ko) * 2018-11-21 2020-02-27 이상미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40041556A (ko) * 2022-09-23 2024-04-01 (주)메디엔비테크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69A (ko) 2007-04-02 2009-01-08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배설물 처리기 내 대소변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리모트콘트롤러의 대소변의 상태 정보 표시 방법
KR101119637B1 (ko) * 2011-06-02 2012-03-16 디트론 주식회사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51376A (ko) 2013-11-04 2015-05-13 이훈상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545A (ja) * 2002-10-18 2004-05-13 Tsutomu Mariko 非接触型のタグやラベルを利用したおむつの介護支援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085817A (ja) * 2005-09-21 2007-04-05 Masahiro Watanabe 水分検知方法及びその応用システム
KR101547527B1 (ko) * 2013-12-19 2015-09-25 소프트웨어사이언스 주식회사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KR101606901B1 (ko)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69A (ko) 2007-04-02 2009-01-08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배설물 처리기 내 대소변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리모트콘트롤러의 대소변의 상태 정보 표시 방법
KR101119637B1 (ko) * 2011-06-02 2012-03-16 디트론 주식회사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51376A (ko) 2013-11-04 2015-05-13 이훈상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23A1 (ko) * 2015-10-22 2017-04-27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82364B1 (ko) * 2018-11-21 2020-02-27 이상미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40041556A (ko) * 2022-09-23 2024-04-01 (주)메디엔비테크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KR102658607B1 (ko) * 2022-09-23 2024-04-18 (주)메디엔비테크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423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896B1 (ko)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EP2019659B1 (en) Moisture monitoring system
US9913608B2 (en) Incontinence monitoring and assessment
US20040220538A1 (en) Hygienic diaper, sensor pad, and or sensing belt with alert, readout, transmission, paging, software & patient information database recording means for treating & caring for wetness, feces, & disease
CN108283542B (zh) 用于监测吸收剂产品的使用情况的方法和移动装置
US9107776B2 (en)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JP3718136B2 (ja) 体液・排泄物の処理を併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と接続可能なサーバ
JP2013534839A (ja) 排便・排尿検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60104564A (ko) 디지털 요소를 갖는 개인 위생 제품
KR101606901B1 (ko)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101547527B1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CN110946699A (zh) 一种尿便识别报警系统、尿便识别提醒器及护理用品
JP2002073805A (ja) 排泄診断方法及び排泄診断装置
JP5249792B2 (ja) 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CN112972103A (zh) 能够综合分析卧床患者的动作及状态的排泄护理机器人
AU2007201952C1 (en)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KR20100108079A (ko) 환자 관리를 위한 유-헬스 시스템
KR2015011158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1656510B1 (ko)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