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64B1 -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64B1
KR102082364B1 KR1020180144044A KR20180144044A KR102082364B1 KR 102082364 B1 KR102082364 B1 KR 102082364B1 KR 1020180144044 A KR1020180144044 A KR 1020180144044A KR 20180144044 A KR20180144044 A KR 20180144044A KR 102082364 B1 KR102082364 B1 KR 102082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upport plate
variable
barrel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미
변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미
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미, 변상훈 filed Critical 이상미
Priority to KR102018014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5/00Arrangements for check-weighing of materials dispensed into removabl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모듈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지지용 테두리를 갖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고, 상기 장착홀에 연결되어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을 지지하는 고정레일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은 고정레일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을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면서 수거통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지지판 및 제1,2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는 중량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상기 배변기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EXCREMENT PROP AND FECAL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모듈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지지용 테두리를 갖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홀에 연결되어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을 지지하는 고정레일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은 고정레일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을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면서 수거통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지지판 및 제1,2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는 중량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상기 배변기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소변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와상 환자의 경우 보호자나 간병인이 늘 함께 상주해야 한다.
또한, 간병인의 상주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토록 환자 등이 착용하여 사용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착용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설물이 침대로 누설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606896호에 배설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착용 모듈(110), 수용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모듈(130)은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를 구비하는 보드(board)를 구비하며, 이러한 신호들을 실시간 저장하여 간병인 단말(20)이나 보호자 단말(30)로 실시간 전달함은 물론 와이파이 AP(10)를 통해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210),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220),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 체위 정보 수신 모듈(240), 체위 정보 저장 모듈(250), 착용상태/수면상태 분석 모듈(260) 및 분석 정보 송신 모듈(2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석 정보 송신 모듈(270)은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의 배뇨/배변 정보와 착용상태/수면상태 분석 모듈(260)에서 분석된 착용 상태 또는 수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병원/요양사업자 단말(40) 또는 렌탈/유통사업자단말(5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설물처리장치는, 착용모듈(110)을 환자가 착용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환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고, 착용 및 분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누워있는 환자 등에게만 사용토록 되어 사용상의 한계를 노출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변 및 소변의 분리회수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토록 하며, 대변 및 소변의 색상에 의해 환자의 상태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상소견의 환자의 상태를 외부에 신속하게 알림은 물론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환자의 지속적인 관찰이 용이하도록 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신모듈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지지용 테두리를 갖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고, 상기 장착홀에 연결되어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을 지지하는 고정레일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은 고정레일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을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면서 수거통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지지판 및 제1,2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는 중량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는 상부에 쿠션을 갖는 받침판이 구비되면서 저면에 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하중계가 구비되어 무선모듈과 연결되고, 소변수거통에 수용성패드가 더 삽입되며, 카메라가 더 부착되어 대소변의 상태확인이 가능토록 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몸체에 장착될 때 그 전방에 캡이 개폐토록 설치되고, 상기 캡은 받침판에 연결되는 가동바와 작동바를 통하여 연결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입출력수단을 구비하면서 환자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제어부에 통신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배변기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에서 각각 측정되는 대변 및 소변의 상태를 분리시켜 제어부에 각각 저장하고, 인접하는 관리자용 단말에 송신하여 출력토록 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용 단말에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승인시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토록 하고, 이상소견시 비상신호를 출력토록 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용이하게 적용하고, 대변 및 소변의 분리회수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대변 및 소변의 색상에 의해 환자의 상태파악이 용이하고, 이상소견의 환자의 상태를 외부에 신속하게 알림은 물론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환자의 지속적인 관찰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배변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를 도시한 분해도 및 요부 결합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의 적용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를 도시한 분해도 및 요부 결합상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의 적용상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배변기(100)는, 제1통신모듈(183)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부에 지지용 테두리(121)를 갖는 몸체케이스(120)와 상기 몸체케이스(12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장착홀(123)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는 소변수거통(140) 및 대변수거통(16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23)에 연결되어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을 지지하는 고정레일(125)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변수거통(140) 및 대변수거통(160)은 고정레일(125)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155)과 상기 제1지지판을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면서 수거통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지지판(157) 및 제1,2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는 중량센서(159)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100)는 상부에 쿠션을 갖는 받침판(180)이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받침판(180)의 일측에 하중계(181)가 구비되어 제1통신모듈(183)과 연결되고, 소변수거통에 수용성패드(185)가 더 삽입되며, 상기 대변수거통 또는 소변소거통을 촬영하여 대소변의 상태를 확인토록 배변기의 일측에 카메라(187)가 더 부착된다.
더하여, 상기 카메라(187)는 카메라몸체(미도시)에 장착될 때 그 전방에 캡(186)이 개폐토록 설치되고, 상기 캡은 받침판에 연결되는 가동바(182)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180)을 누르게 되면 가동바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그 일측에 연결되는 캡(186)을 회전시켜 카메라가 노출토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입출력수단(210)을 구비하면서 환자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제어부(230)에 제2통신모듈(110)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배변기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도 좋으며 별도로 분리설치되어도 좋다.
즉, 상기 제어부(230)은 태블릿타입으로 이루어져 분리설치될 경우 제2통신모듈(110)을 통하여 배변기의 제1통신모듈(183)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에서 각각 측정되는 대변 및 소변의 상태를 분리시켜 제어부에 각각 저장하고, 인접하는 관리자용 단말(300)에 송신하여 출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관리자용 단말(300)에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승인시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토록 하고, 이상소견시 비상신호를 출력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배변기(100)는, 제1통신모듈(183)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부에 지지용 테두리(121)를 갖는 몸체케이스(120)와 상기 몸체케이스(12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장착홀(123)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는 소변수거통(140) 및 대변수거통(16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환자 등이 대변 및 소변을 처리할 때 대변 및 소변의 중량을 개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변기(100)는 환자가 단독적으로 사용하여도 되며, 의자(410)나 휠체어(430)등에 형성되는 삽입공(450)에 장착시 다양한 장소에서 배변기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100)는, 장착홀(123)에 연결되어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을 지지하는 고정레일(125)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의 장착 및 수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변수거통(140) 및 대변수거통(160)은 고정레일(125)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155)과 상기 제1지지판을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면서 수거통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지지판(157) 및 제1,2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는 중량센서(159)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변수거통 등을 고정레일을 통하여 장착홀(123)에 장착한 후 소변 및 대변을 볼 경우 그 무게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100)는 상부에 쿠션을 갖는 받침판(180)이 구비되어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180)의 일측에 하중계(181)가 구비되어 무선모듈(183)과 연결되는 하중계(181)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때 사용자의 체중을 자동측정할 수 있게 되고, 측정된 체중은 무선모듈(183)을 통하여 제어부(23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수거통에 수용성패드(185)가 더 삽입되어 이동시 소변이 넘치거나 하는 문제를 해소토록 하고, 카메라(187)가 더 부착되어 대소변의 상태확인이 가능함으로써 대변 또는 소변을 볼 때 그 색상에 따른 환자의 상태 확인이 가능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카메라(187)는 카메라몸체에 장착될 때 그 전방에 캡(186)이 개폐토록 설치되어 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캡은 받침판에 연결되는 가동바(182)를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가 받침대에 앉을 때에만 카메라가 노출되어 오염을 방지하면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입출력수단(210)을 구비하면서 환자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제어부(230)에 제2통신모듈(110)이 연결되어 환자의 상태를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에서 각각 측정되는 대변 및 소변의 상태 및 색상이나 사용자의 체중을 요일 및 회수별로 제어부에 각각 저장하고, 인접하는 관리자용 단말(300)에 송신하여 출력토록 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정확하게 알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관리자용 단말(300)에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승인시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토록 하고, 이상소견시 비상신호를 출력토록 설치되어 환자의 정확한 진단 및 조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0...배변기 110...제2통신모듈
120...몸체케이스 140...수변수거통
160..대변수거통 180...받침판
183...제1통신모듈 185...수용성패드
186...캡 187...카메라

Claims (6)

  1. 제1통신모듈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지지용 테두리를 갖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고,
    상기 장착홀에 연결되어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을 지지하는 고정레일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변수거통 및 대변수거통은 고정레일에 지지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을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면서 수거통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지지판 및 제1,2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는 중량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상부에 쿠션을 갖는 받침판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하중계가 구비되어 제1무선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소변수거통의 내측에 수용성패드가 더 삽입되고,
    상기 대변수거통 및 소변소거통을 촬영하여 대소변의 상태확인이 가능토록 배변기에 카메라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몸체에 장착될 때 그 전방에 캡이 개폐토록 설치되고,
    상기 캡은 받침판에 연결되는 가동바를 통하여 개폐토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의자나 휠체어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장착되어 의자 및 휠체어와 동시에 사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5. 삭제
  6. 삭제
KR1020180144044A 2018-11-21 2018-11-21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08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44A KR102082364B1 (ko) 2018-11-21 2018-11-21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44A KR102082364B1 (ko) 2018-11-21 2018-11-21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364B1 true KR102082364B1 (ko) 2020-02-27

Family

ID=6964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044A KR102082364B1 (ko) 2018-11-21 2018-11-21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753Y1 (ko) * 2005-08-18 2005-10-26 김영근 휴대용 좌변기
JP2007054524A (ja) * 2005-08-26 2007-03-08 Shingo Minazu 大・小便自動分別式トイレ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101606901B1 (ko)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753Y1 (ko) * 2005-08-18 2005-10-26 김영근 휴대용 좌변기
JP2007054524A (ja) * 2005-08-26 2007-03-08 Shingo Minazu 大・小便自動分別式トイレ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101606901B1 (ko)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4058B2 (ja) 吸収性製品の状態に関するデータを収集および記憶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配列
JP5285600B2 (ja) 水分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7977529B2 (en)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JP6084303B2 (ja) 排便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06896B1 (ko)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102592841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02311025A (ja) 体液・排泄物の処理を併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と接続可能なサーバ
KR20130043794A (ko) 배설물 감지용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상태 감지 시스템
KR102082364B1 (ko)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WO2017069423A1 (ko)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329715A (ja) 排泄物自動回収処理装置及び排泄物集中処理システム
US11504280B2 (en) Incontinence care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2073805A (ja) 排泄診断方法及び排泄診断装置
KR20200071957A (ko) 대소변 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US10182789B2 (en) Toilet with stethoscope
JP7276961B2 (ja) 排泄物分析装置、分析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17212B1 (ko) 치매 환자 대소변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72191A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AU2007201952B2 (en)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JP5249792B2 (ja) 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US20230225714A1 (en) Excrement analysis apparatus, analysis system, server apparatus, analysi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80080153A (ko) 중증환자용 또는 와상환자용 스마트침대시스템
JP6979735B1 (ja) リハビリサポ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202400380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217118805U (zh) 一种便携式即时显示尿液量的便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