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556A -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556A
KR20240041556A KR1020220120702A KR20220120702A KR20240041556A KR 20240041556 A KR20240041556 A KR 20240041556A KR 1020220120702 A KR1020220120702 A KR 1020220120702A KR 20220120702 A KR20220120702 A KR 20220120702A KR 20240041556 A KR20240041556 A KR 2024004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management
uri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607B1 (ko
Inventor
김남두
Original Assignee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엔비테크 filed Critical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to KR102022012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607B1/ko
Publication of KR2024004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사용자의 배변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한 착용유닛과, 상기 착용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한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System for treating and managing urine and feces}
본 발명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소변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중증 환자, 심각한 신체장애나 노인성 질환자 등과 같이 자력으로 움직일 수 없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대부분 침대 등에 누운 상태로 생활하게 되고, 누운 상태에서 타인의 도움으로 투병과 일상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데, 특히 고령화 인구가 증가되면서 타인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간병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은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는 문제이다.
이에, 환자가 착용한 상태로, 환자의 용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용변부의 세정 및 건조 기능과, 대소변으로 인한 세균,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 기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의 체형에 맞춰 사용 가능한 대소변 처리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환자가 존재하는 경우, 환자들 각각의 상태에 맞춰 적절한 관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한 관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대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하고, 환자 건강상태를 실시간 체크가 가능하고, 다수의 환자들 각각 상태에 따른 맞춤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사용자의 배변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한 착용유닛과, 상기 착용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한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판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다수의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배변상태에 대응되는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로 대소변 안착 여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저장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소변 저장량에 기초한 상기 저장부의 무게 변화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관리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보호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사용하며 상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각각에 저장된 관리 내역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관리 내역 정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리조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 base)화하여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한 사용자의 용변부와 착용유닛을 세척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여러 종류의 센서들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배설활동 정보 및 배설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맞춤형 관리조치를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유닛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착용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장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자정유닛의 일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와 같이 스스로 용변을 처리할 수 없는 사람(이하, 사용자)(P)의 배변상태 및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대소변 처리 장치(10)와, 프로세서(20)와, 통신장치(C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리자 단말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유닛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착용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대소변 처리 장치(10)는 사용자(P)의 하체부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을 자동적으로 처리 및 세정하고, 사용자의 체온 등 사용자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대소변 처리 장치(10)는 착용유닛(100)과, 저장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유닛(100)은 사용자(P)가 착용하여, 대소변을 1차로 수용할 수 있다. 착용유닛(100)은 착용커버(D)와 결합되어, 사용자(P)의 신체 중 일부(이하, 착용부)에 착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P)의 착용부는, 대소변이 배변되는 용변부를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착용유닛(100)은 제1 하우징(110)과, 안착부(120)와, 세정부(130)와, 체온센서(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착용유닛(100)은 접촉부(T)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착용유닛(100)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부분으로, 사용자(P)의 용변부를 감싸도록, 착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내부에,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은 사용자(P)가 착용시, 용변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개구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112)는 수용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가 배변한 대소변은 개구부(112)를 통해 수용공간(111) 내부에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개구부(112)는 밀착부(112a)를 구비할 수 있다. 밀착부(112a)는 개구부(112)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112a)는 개구부(1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밀착부(112a)의 일단이 타단과 연결되는 도넛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밀착부(112a)는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을 착용할 때, 착용부와 개구부(112)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부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밀착부(112a)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P)의 착용부 하측과 밀착 접촉하여 개구부(112)를 밀폐시킴으로써, 후술할 세정부(130)에 의해 세정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세정액이 개구부(112)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사용자(P) 착용 시, 착용부 하측(즉, 둔부 또는 엉덩이)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제1 하우징(110)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P)의 착용부 하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안착부(120)는 측면방향(예컨대, ZX평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하우징(110)에서 외측(예컨대, X축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안착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121)은 안착부(12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안착부(12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21)의 위치는,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 착용시 착용부에서 돌출 부분(예컨대, 꼬리뼈 부분)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접촉부(T)는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을 착용할 때, 착용부 하측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접촉부(T)는 안착부(120)의 상면에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가 착용유닛(100)을 착용하는 경우, 접촉부(T)는 안착부(120)와 사용자(P)의 착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T)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쿠션(cushion)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접촉부(T)의 하면 전체 면적 중 대부분은, 안착부(120)의 상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T)의 하면 중 안착홈(121)의 상측에 배치된 부분은, 안착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T)와 안착부(120) 사이에는, 안착홈(121)과 접촉부(T)의 하면에 의해 구획된 이격공간(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는 착용유닛(100)을 착용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착용부의 통증 발생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함에 따른 사용자(P)의 체중에 의한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T)는 통기홈(groove for ventilation)(T10)을 구비할 수 있다. 통기홈(T10)은 접촉부(T)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20)의 상면 중 통기홈(T10)에 대응되는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통기홈(T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기홈(T10)은 접촉부(T)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분포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접촉부(T)가 동일한 육각기둥 형상의 복수 개의 통기홈(T10)을 갖는 벌집 형상인 실시예를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착부(120)는 미세한 크기의 공기분사홀(A)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기분사홀(A)은 복수 개의 통기홈(T10) 중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분사홀(A)은 안착부(120)의 내부 또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공기분사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분사장치에서 분사된 공기는, 공기분사홀(A) 및 통기홈(T10)을 차례로 지나 사용자(P)의 착용부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이처럼 분사된 공기에 의해, 사용자(P)의 착용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세정부(130)는 사용자(P)의 착용부를 세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정부(130)는 사용자(P)의 용변부 및 그 주변부, 또는 제1 하우징(110)의 개구부 및 수용공간을 세정할 수 있다. 이때, 세정부(130)는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정부(130)는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노즐은 개구부(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은 개구부(1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 중 일부는 개구부(112)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노즐 중 나머지 일부는 개구부(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구부(112) 상측에 배치된 노즐들을 상부노즐(131)이라고 지칭하고, 개구부(112) 하측에 배치된 노즐들을 하부노즐(132)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상부노즐(131)과 하부노즐(132)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노즐(131)들은 서로 상이한 각도로, 사용자(P)의 용변부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우 상부노즐(131)들이 서로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노즐(131)들은 용변부의 상측에서 용변부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정액 분사로 인한 배설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 과정에서 오염된 세정액 및 배설물은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노즐(132)들은, 서로 상이한 각도로, 수용공간(111)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노즐(132)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용공간(111)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함으로써, 수용공간(111)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분사 압력으로 분사된 세정액을 통해 수용공간(111) 내부에 배설물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개구부(112)의 상측 및 하측에 서로 다른 각도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P)의 용변부 세정과, 배설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 내부 세척을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노즐(131) 및 하부노즐(132)의 개수는 상이해질 수 있다.
체온센서(140)는 착용유닛(100)을 착용한 사용자(P)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체온센서(140)는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체온센서(140)는 수용공간(111) 내부에 배치되어, 착용유닛(100)을 착용 중인 사용자(P)의 용변부 및 그 주변부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체온센서(140)는 체온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체온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할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센서(150)는 착용유닛(100)을 착용한 사용자(P)의 배변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센서(150)는 수용공간(1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50)는, 사용자(P)가 배변한 대소변이 안착되는 수용공간(111)의 대소변 안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P)로부터 배출된 대소변이 수용공간(111) 내부로 이동 후 대소변 안착면에 안착되면, 제1 센서(150)는 대소변 안착에 따른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P)의 배변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센서(150)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센서(150)는 대소변이 안착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소변 안착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P)의 배변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센서(150)는 대소변 안착면 상면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 내로 안착된 대소변과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P)의 배변 활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1 센서(150)는 대소변 안착 여부 감지를 통한 사용자(P)의 배변활동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10)는 중간연결부(C)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C10)는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P)가 배변하여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배설물은 제1 연결부(C10)를 통해, 중간연결부(C)를 지나 저장유닛(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장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자정유닛의 일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저장유닛(200)은 착용유닛(100)에 수용된 대소변이 2차로 수용되는 부분으로, 중간연결부(C)를 통해 착용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착용유닛(100)에 수용된 사용자(P)의 대소변은, 중간연결부(C)를 통해 저장유닛(200)로 이동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제2 하우징(210)과, 저장부(220)와, 펌프부(M)와, 제2 센서(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200)은 살균부(240)와, 필터부(250)와, 추가 필터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저장유닛(200)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부분으로,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부(220), 제2 센서(230), 살균부(240) 및 펌프부(M) 등 저장유닛(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210)은 커버부(210a)와, 차륜부(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차륜부(210b)는 제2 하우징(210)의 하단 양측에 한 쌍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차륜부(210b)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부(210a)는 제2 하우징(2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210a)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커버부(210a)에는 디스플레이브(DP)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체온센서(140)에서 측정된 체온 측정값 및 제2 센서(230)에서 측정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10a)에는 대소변 처리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제어용 버튼(button)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제2 연결부(C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C20)는 중간연결부(C)의 일단이 결합되며, 이때 제2 연결부(C20)가 연결되는 중간연결부(C)의 단부는 제1 연결부(C10)가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제2 연결부(C20)는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저장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배설물은, 중간연결부(C)를 지나 제2 연결부(C20)를 통해 저장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배설물의 이동은 펌프부(M)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부(M)는 착용유닛(100)에 수용된 배설물 및 세정액을 흡입하여, 저장부(220)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펌프부(M)는 배관을 통해 저장부(220), 제2 연결부(C20), 중간연결부(C), 제1 연결부(C10) 및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펌프부(M)는 공기를 빨아들여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P)의 대소변 및 세정액 등이 저장부(220)로 빨려 들어올 수 있다.
저장부(220)는 사용자(P)가 배변한 배설물이 2차 수용되어 저장되는 용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저장부(220)는 제2 하우징(2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부(220)에 배설물이 미리 설정된 용량 이상 저장되는 경우, 저장부(220)를 분리하여, 배설물을 비운 후 다시 장착하거나, 새로운 저장부(220)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O)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O)는 저장부(220)의 상면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2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2 센서(2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저장유닛(200)의 높이방향(예컨대, Z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장부(220)는, 내부에 배설물이 저장되어 무게가 증가하는 경우, 증가하는 무게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아래(-Z축 방향)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저장부(220)는, 내부에 저장되었던 배설물을 배출시켜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감소된 무게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위(Z축 방향)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돌출부(221)와, 가이드돌기(222)와, 만곡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하면 가운데 또는 저장부(220)의 하면 가운데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하면에서, 하측(-Z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1)의 끝단은, 제2 센서(230)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220)가 내부에 배설물이 점차 축적됨에 따라 하강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221)는 저장부(220)의 총 무게[즉, 저장부(220) 자체의 무게와 저장된 배설물의 무게의 합]에 대응되는 힘으로 제2 센서(230)를 가압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저장부(220)의 상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G)는 저장부(220)의 이동방향(Z축 방향)과 평행하고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의 하단에는 하측(-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22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22)는 일 실시예로서, 저장부(220)의 하단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가이드돌기(220)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돌기(222)는 저장부(220)의 하단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저장부(220)의 하단 둘레 길이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부(G)는 가이드돌기(222)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가이드부(G)의 일면(이하, 가이드면)이, 가이드돌기(222)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220)가 상하방향(Z측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돌기(222)가 가이드부(G)의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저장부(220)가 승강 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일단에 배치되고, 저장부(220)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하단 일측에서, 상측(Z축 방향)을 향해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때, 만곡부(223)는 저장부(220)의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만곡부(223)를 구비함으로써, 저장부(220)는 하측에는, 상측으로 만곡된 빈 공간(이하, 만곡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저장부(22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저장부(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저장부(22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예를 들어,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센서(230)는 그 중심이, 저장유닛(200)의 상부 또는 XY평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돌출부(221)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센서(230)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편향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돌출부(221)가 제2 센서(230)를 가압 시, 제2 센서(230)로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221)를 통해 제2 센서(230)로 힘을 집중하여 전달함으로써,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를 센싱한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
살균부(240)는 저장부(220)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저장부(220)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부(240)는 UV 램프를 포함하고, UV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이용하여 저장부(220)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살균부(240)가 UV램프를 이용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살균부(240)는 저장부(22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균부(240)는 전술한 만곡부(223)에 의해 형성된 만곡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곡부(223)의 하측에 배치된 살균부(240)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이 저장부(220)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방사됨으로써, 저장부(220) 및 그 내부에 대한 살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살균부(240)가 저장부(22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된 만곡 공간 내에 배치됨으로써, 공간적 제한이 존재하는 제2 하우징(210) 내부의 배치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부(250)는 대소변 처리 장치(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50)는 사용자(P)의 착용부로 분사되기 전에, 대소변 처리 장치(1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냄새(악취) 및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필터부(250)는 저장부(2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사용자(P)의 착용부로 분사되기 전, 공기를 2차로 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필터부(250)를 지나면서1차로 정화된 공기를, 착용유닛(100)으로 이동하기 앞서 2차로 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플라즈마 살균기일 수 있다. 이때,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펌프부(M)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 필터부(미도시)는, 저장부(220)를 통과한 공기가 제2 연결부(C20)를 향해 이동할 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필터부(250) 및 추가 필터부(미도시)를 통과한 공기는 중간연결부(C)를 지나, 안착부(120)에 구비된 공기분사홀(A)을 통해 사용자(P)의 착용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터부(250) 및 추가 필터부(미도시)에 의해 2중 정화된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P)의 착용부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세균 등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통신장치(CD)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프로세서(20)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서(20)에서 생성된 신호를 대소변 처리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CD)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에서 측정된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20)에서 생성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에서 생성된 신호를 대소변 처리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장치(CD)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장치(CD)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N)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processor)(20)는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P)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와 별도로 구비된 '제어장치(미도시)'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세서(20)는 대소변 처리 장치(1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장치(미도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프로세서(20)는 판단부(21)와, 데이터부(22)와, 관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체온센서(140)에서 측정된 체온 측정값을 기초로 사용자(P)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체온센서(140)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측정된 체온 측정값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주기는 사용자(P)의 성별, 나이, 건강상태 등에 맞춰 변경될 수 있다.
판단부(21)는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사용자(P)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예를 들어,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P)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단부(21)는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 내에 포함된 경우, 해당 사용자(P)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판단부(21)는 체온 측정값이 정상 체온 범위 내에 포함되지만, 정상 체온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에 인접한 경우, 해당 사용자(P)의 건강상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사용자(P)의 건강상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제1 판단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할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제1 판단신호를 저장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제1 판단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제1 센서(150)로부터 제1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P)의 배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1)는 제1 센서(150)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부의 무게 변화, 수용공간(111)의 대소변 안착면의 온도 변화, 또는 제1 센서(150)와 대소변의 접촉 중 어느 하나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P)가 배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사용자(P)의 배변여부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제2 판단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제2 판단신호를 저장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제2 판단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배변활동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제2 센서(230)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값을 기초로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센서(230)는 배설물이 저장부(220)에 저장됨에 따라 발생하는 저장부(220)의 무게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1)는 제2 센서(230)로부터,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을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제2 신호에 포함된 무게 측정값을 이용하여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1)는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가 발생한 경우, 판단부(21)는 이전에 측정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과, 현재 측정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을 비교하여, 사용자(P)의 배변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저장부(220)의 무게 변화 발생 횟수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P)의 배변 횟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 회의 배변활동이 감지된 경우, 판단부(21)는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사용자(P)의 배변 횟수 및 평균 배변량을 산출할 수 있다.
판단부(2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판단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1)는 제3 판단신호를 저장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제3 판단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부(22)는, 체온센서(140)로부터 수신한 '체온 측정값', 제1 센서(150)로부터 수신한 '배변여부 감지 결과(즉, 배변 활동 감지 결과)' 및 제2 센서(230)로부터 수신한 저장부(220)의 '무게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 데이터부(22)가 프로세서(20)의 구성요소로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부(22)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온센서(140), 제1 센서(150) 및 제2 센서(230)에 의해 각각 센싱된 센싱 결과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데이터부(22)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부(22)는 사용자(P)의 체온 측정값, 배변여부 감지 결과 및 무게 측정값을 각각 시계열 순으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화(이하,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부(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부(21)에서 판단결과를 기초로 생성된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각각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부(22)에 저장된 정보들은 통신장치(CD)를 통해, 저장유닛(200),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P), 보호자(미도시) 및 관리자(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DP),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관리자 단말기(40)를 통해, 데이터부(22)에 저장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인 사용자(P)의 가족, 간병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사용자(P)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사, 간호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23)는 판단부(21)의 판단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P)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부(23)는 사용자(P)의 “건강상태 판단결과(또는 제1 판단신호에 포함된 건강상태 정보)”, 사용자(P)의 “배변여부 판단결과(또는 제2 판단신호에 포함된 배변활동 정보)” 및 사용자(P)의 “배변상태 판단결과(또는 제3 판단신호에 포함된 배변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부(23)는 사용자(P)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사용자(P)의 비정상적인 건강상태를 알리기 위한 제1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부(23)는 배변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배설물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저장부(220)에 저장된 배설물의 처리(배출)가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제2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부(23)는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의 배변 횟수, 배변량 등이 정상 수치를 벗어난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사용자(P)의 비정상적인 배변상태를 알리기 위한 제3 관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관리부(23)는 제1, 제2 및 제3 관리신호를 단말부[예컨대,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부는 프로세서(20)로부터 관리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신호에 상기 사용자(P)를 관리를 위한 지시신호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부는 사용자(P)나 보호자가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30)와, 사용자(P)를 모니터링하고, 건강관리 및 치료 등을 수행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제3 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제3 자는 전술한 관리자를 제외한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사용자(P)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제1 관리신호, 제2 관리신호 및 제3 관리신호를 전달받고, 수신한 관리신호에 대응되는 지시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1-1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1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보호자는 사용자(P)의 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30)는 제2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저장부(220)의 배설물 저장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2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2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보호자는 저장부(220)로부터 배설물 배출이 필요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30)는 제3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1-3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3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보호자는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0)는, 프로세서(2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배변상태 및 저장부(220) 내부의 배설물 저장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호자는 사용자(P)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P) 관리조치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자(P)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메모리부 및 제1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모리부에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보호자는 제1-1, 제1-2 및 제1-3 지시신호에 따라 사용자(P)에 대한 관리조치를 수행한 경우, 수행된 관리조치 내역(이하, 보호자 관리 내역)을 제1 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된 '보호자 관리 내역'은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보호자 관리 내역'은 시계열적으로 DB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보호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0)는 수신한 '보호자 관리 내역'을 데이터부(22)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를 제3 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제3 자는 전술한 사용자(P)와 보호자를 제외한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사용자(P)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P)의 건강관리 및 치료를 수행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와 통신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프로세서(20)로부터 제1 관리신호, 제2 관리신호 및 제3 관리신호를 전달받고, 수신한 관리신호에 대응되는 지시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40)는 제1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1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1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관리자는 사용자(P)의 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저장부(220)의 배설물 저장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2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2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관리자는 저장부(220)로부터 배설물 배출이 필요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자 단말기(40)는 제3 관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된 사용자(P)의 배변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3 지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3 지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관리자는 사용자(P)의 배변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자 단말기(40)는, 프로세서(2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P)의 건강상태, 배변상태 및 저장부(220) 내부의 배설물 저장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사용자(P)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P) 관리조치 또는 치료행위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자(P)를 모니터링하고,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메모리부 및 제2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메모리부에는, 프로세서(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는 제2-1, 제2-2 및 제2-3 지시신호에 따라 사용자(P)에 대한 관리조치를 수행한 경우, 수행된 관리조치 내역(이하, 관리자 관리 내역)을 제2 입력부를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4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된 '관리자 관리 내역'은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 관리 내역'은 예를 들어, 사용자(P)의 진료 기록 및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관리 내역'은 시계열적으로 DB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관리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통신장치(CD)를 통해, 프로세서(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0)는 수신한 '관리자 관리 내역'을 데이터부(22)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리자 단말기(40)는 사용자(P)에 관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는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보호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40)는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관리자 관리 내역'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는 각각 전달받은 정보를 제1 메모리부 및 제2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리자 단말기(40)는, 각 단말기에 저장되는 정보들(즉, 보호자 관리 내역 및 관리자 관리 내역)을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P)의 관리 내역에 관하여 누락되는 정보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와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된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통신장치(CD) 또는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는 서버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모니터링 및 관리 대상인 사용자(P)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대소변 처리 장치(1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사용자(P)들은 모두 대소변 처리 장치(10)를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대소변 처리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각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P)의 건강상태, 배변활동 및 배변상태를 센싱 및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판단된 다수의 사용자(P)들의 건강상태 정보, 배변활동 정보 및 배변상태 정보는, 사용자(P)별로 DB화되어 데어터부(22)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는 각 사용자(P)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신호들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 및 관리사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 및 관리자는 거동이 불편한 다수의 사용자(P)들을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관리사 단말기(40)를 이용하여, 한 번에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사용자(P)에게 필요한 관리조치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1)은,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한 사용자(P)의 용변부와 착용유닛(100)을 세척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P)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여러 종류의 센서들(140, 150, 230)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P)의 건강상태 정보, 배설활동 정보 및 배설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P)의 상태에 대한 맞춤형 관리조치를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P)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10: 대소변 처리 장치
100: 착용유닛
200: 저장유닛
20: 프로세서
21: 판단부
22: 데이터부
23: 관리부
30: 사용자 단말기
40: 관리자 단말기
CD: 통신장치

Claims (8)

  1. 사용자가 배변한 대소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사용자의 배변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한 착용유닛과, 상기 착용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한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판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대소변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다수의 사용자의 배변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배변상태에 대응되는 관리신호를 생성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로 대소변 안착 여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저장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소변 저장량에 기초한 상기 저장부의 무게 변화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관리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부;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보호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사용하며 상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행한 관리 내역이 저장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각각에 저장된 관리 내역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관리 내역 정보를 상호 보완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관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리조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배변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 base)화하여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KR1020220120702A 2022-09-23 2022-09-23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KR102658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02A KR102658607B1 (ko) 2022-09-23 2022-09-23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02A KR102658607B1 (ko) 2022-09-23 2022-09-23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556A true KR20240041556A (ko) 2024-04-01
KR102658607B1 KR102658607B1 (ko) 2024-04-18

Family

ID=9066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702A KR102658607B1 (ko) 2022-09-23 2022-09-23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6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912A (ja) * 2006-08-24 2008-03-06 Nakamura Minoru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160021599A (ko) *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량 측정 방법
KR101606901B1 (ko)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JP6194431B2 (ja) * 2014-04-04 2017-09-06 蘇州欧聖電気工業有限公司 中央集積介護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912A (ja) * 2006-08-24 2008-03-06 Nakamura Minoru 自動排便処理装置
JP6194431B2 (ja) * 2014-04-04 2017-09-06 蘇州欧聖電気工業有限公司 中央集積介護機器
KR20160021599A (ko) *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량 측정 방법
KR101606901B1 (ko)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607B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9938A1 (en) Integrated system for assessing wound exudates
US11241525B2 (en) Wound exudate monitor accessory
US11081221B2 (en) Method of predicting and mitigating adverse events
JP6635293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5285600B2 (ja) 水分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6614408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US20090287170A1 (en) Urine collection system
KR20210136056A (ko) 요실금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iot) 솔루션
WO2017065420A1 (ko)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JP2002311025A (ja) 体液・排泄物の処理を併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と接続可能なサーバ
JP6701507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17189444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4329123B2 (ja) 尿分析方法
KR102658607B1 (ko)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WO2016121247A1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17096890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WO2017069423A1 (ko)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220257163A1 (en) Anticipating patient needs associated with toileting
JP2017062221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KR102629018B1 (ko) 대소변 처리 장치
JP202207276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610940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2207276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207276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361642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