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5420A1 -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5420A1
WO2017065420A1 PCT/KR2016/010491 KR2016010491W WO2017065420A1 WO 2017065420 A1 WO2017065420 A1 WO 2017065420A1 KR 2016010491 W KR2016010491 W KR 2016010491W WO 2017065420 A1 WO2017065420 A1 WO 20170654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urination
defecation
feces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4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훈상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코
Publication of WO20170654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54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성기부 및 둔부를 세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변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착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실시간 출력하는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수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용 모듈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와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변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사용자별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는 물론 다양한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배뇨/배변 상태와 건강 상태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본 발명은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설물 처리를 위해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소변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와상 환자의 경우 보호자나 간병인이 늘 함께 상주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환자의 성기부와 둔부에 착용하여 대소변을 외부로 처리하여 주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기존과 달리 인체의 성기부와 둔부의 굴곡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성기부와 둔부에 착용하기 때문에 배설물이 누설되지 않고 배설물을 쉽고 빠르게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은 배설물유동관을 통해 배설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며 세정수를 이용하여 인체의 착용 부위를 깨끗하게 세정하도록 구성되어 매우 유용하다.
보호자나 간병인은 이러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와상 환자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와상 환자 곁에 상주하지 않아도 되며 와상 환자나 보호자, 간병인 모두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오랫동안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뒤척임에 의해 벗겨지기도 하며 특히 수면 중에 착용 상태가 불량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착용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설물이 침대로 누설되거나 또는 세정수까지도 모두 누수되어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뒤척임에 의해 착용 상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처리를 해줄 필요가 있다.
한편,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방전 상태인 경우에는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제대로 배설물을 배출해내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보호자나 간병인에게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대신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할 때는 장시간 배설물을 처리하지 못하고 방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직까지는 이러한 장치의 관리상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한편,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에 의해 배설물을 처리하는 경우 해당 환자는 상시 해당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환자의 대소변 이력을 모두 알 수 있는 환경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환자의 병이라든가 건상 상태 및 식단 등에 따라서 환자의 정상적인 배뇨/배변 상태가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환자의 배뇨/배변 정보에 따라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배설물 처리 장치는 환자의 대소변 이력이라든가 환자가 갖고 있는 환자만의 대소변 습관, 대소변 메커니즘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00769의 경우에는 배설물 처리기 내 대소변의 상태를 원격 전송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대소변 상태를 확인하여 손수 처리하기 위한 구성에 불과하다.
이에, 앞서 언급한 다양한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성기부 및 둔부를 세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변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착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실시간 출력하는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수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용 모듈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와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출력하는 체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체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른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출력하는 요성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요성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요성분 신호, 체위 신호와 배설물의 양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배뇨/배변 정보를 보호자 단말, 간병인 단말 또는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 상기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 상기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에 포함된 체위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위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체위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체위 정보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체위 정보를 저장하는 체위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체위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체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는 착용상태/수면상태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은,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요성분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수신된 요성분 신호를 사용자별로 더 저장하며,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저장된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횟수, 배뇨/배변 시간 및 배뇨/배변량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식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통해 대소변 통계 및 배뇨량/배변량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상기 측정된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는 착용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체위 신호를 추가적으로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요성분 신호를 추가적으로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적으로 생성된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횟수, 배뇨/배변 시간 및 배뇨/배변량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식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파악하고 사용자별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는 물론 다양한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배뇨/배변 상태와 건강 상태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설물이 누설되거나 세정수가 누수된 상태에서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이러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상태 등의 장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을 인체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모듈을 인체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착용 모듈(110), 수용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로 구성되는데, 도 1 및 도 2는 그 중 인체에 착용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키고 사용자의 성기부와 둔부를 세정하는 착용 모듈(110)과 그 착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된 배설물 처리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인체에 상시 착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처리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와 인체의 다리 사이에 장착되도록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처리 공간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유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유로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이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라 함)(100) 및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함)(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착용 모듈(110), 수용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 모듈(110)은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용 모듈(120)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용 모듈(110)은 배설물을 배출한 후에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기부와 둔부를 세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 모듈(110)은 대변 감지 센서 및 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376에 개시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요성분 센서 및 체위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 모듈(110)의 대변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대변 배설을 실시간 감지하고 소변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소변 배설을 실시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변 감지 센서는 실시간으로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모듈(130)로 실시간 송신하고 소변 감지 센서는 실시간으로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모듈(13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착용 모듈(110)의 요성분 센서는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제어 모듈(1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성분 감지 센서는 착용 모듈(110)의 성기부가 착용되는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리트머스지와 같은 성분 분석이 가능한 구성을 통해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위 센서는 착용 모듈(110)의 자세를 실시간 감지하여 체위 센서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 모듈(13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위 센서는 착용 모듈(110)의 자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똑바로 누워있는지, 앉아 있는지, 옆으로 누워있는지 아니면 얼마나 자주 자세가 바뀌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사용자가 제대로 착용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위 센서는 자이로(gyro)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 모듈(120)은 착용 모듈(110)에 의해 배설된 배설물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수용 모듈(120)은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설물 양 측정 센서는 수용 모듈(120)의 배설물의 양을 실시간 측정하여 이를 제어 모듈(13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설물 양 측정 센서는 수용 모듈(120)에 수용된 배설물의 수위를 측정하거나 또는 수용 모듈(120)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배설물 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설물의 수위는 레이저 및 초음파 방식 등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무게는 로드셀(load cell)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모듈(120)에는 착용 모듈(110)로부터 배설물과 함께 세정수도 함께 배출되어 수용되는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무게에 수용 모듈(120) 자체의 무게와 세정수의 무게를 차감하면 배설물의 양이 산출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착용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요성분 및 체위 신호를 입력받아 실시간 저장하고, 수용 모듈(120)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아 실시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30)은 RS232, USB 또는 블루투스 등의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이러한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를 구비하는 보드(board)를 구비하며, 이러한 신호들을 실시간 저장하여 간병인 단말(20)이나 보호자 단말(30)로 실시간 전달함은 물론 와이파이 AP(10)를 통해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간병인 단말(20)이나 보호자 단말(30)은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3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가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130)은 3G/4G 네트워크와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보호자 단말(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것은 물론 저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실시간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그 실시간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 역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 간병인 단말(20) 및 보호자 단말(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가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130)은 3G/4G 네트워크와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보호자 단말(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30)은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통해 사용자의 배뇨 시간, 배뇨 횟수, 배뇨 습관, 배뇨 성분 분석 등의 배뇨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환자의 건강 상태를 다면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간병인 단말(20)이나 보호자 단말(30)로부터 사용자의 식단이라든가 실시간 음식 섭취 정보, 기타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이용한 분석에 필요한 기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사용자의 식단이나 실시간 음식 섭취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배변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210),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220),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 체위 정보 수신 모듈(240), 체위 정보 저장 모듈(250), 착용상태/수면상태 분석 모듈(260) 및 분석 정보 송신 모듈(2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210)은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로부터 사용자의 배뇨/배변 정보는 물론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요성분 신호, 체위 신호와 배설물의 양을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210)은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로부터 와이파이 AP(10)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으며, 간병인 단말(20) 또는 보호자 단말(3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210)은 위 감지 신호 및 배뇨/배변 정보와 함께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라든가 ID(identification) 정보를 함께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감지 신호와 배뇨/배변 정보가 현재 어느 사용자의 감지 신호와 배뇨/배변 정보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220)에는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210)에서 실시간 수신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요성분 신호, 체위 신호와 배설물의 양은 물론 배뇨/배변 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될 수 있다.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220)에서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시리얼 넘버 또는 ID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구별되어 위 감지 신호와 배뇨/배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은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요성분 신호, 체위 신호,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뇨/배변 상태는 배뇨/배변 시간, 배뇨/배변량, 배뇨/배변 횟수, 배뇨/배변 습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은 이러한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별로 배뇨/배변 메커니즘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얼마나 자주 배뇨/배변을 하는지 언제 배뇨/배변을 하며 얼마나 하는지 등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사용자별 배뇨/배변 메커니즘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어떠한지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배뇨/배변은 사용자의 식사량이나 식사 습관, 식사 시간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은 이러한 사용자의 식단과 기타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식단은 간병인 단말(20) 또는 보호자 단말(30)을 통해 별도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은 사용자의 배뇨 상태 및 배변 상태를 통해 대소변 통계 및 배뇨량/배변량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계는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데에도 유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배뇨/배변 통계를 통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사용 빈도, 예상 내구 연한, 교체 시기 등을 가늠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통계치는 보호자 단말(30)과 병원/요양사업자 단말(40), 그리고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를 대여하거나 판매하는 렌탈/유통사업자 단말(50)로 제공될 수 있다.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은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로부터 별도의 뇨성분/변성분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이를 통해 소변의 혼탁도, 요단백, 요당, 요잠혈, 요아질산, 요산도, 요우로빌로노겐, 유빌리루빈, 오케톤체, 요백혈구, 요비중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은 대변의 경도, 잠혈, 점액 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체위 정보 수신 모듈(240)은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체위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체위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위 정보 저장 모듈(250)에는 체위 정보 수신 모듈(240)에서 실시간 수신된 체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체위 센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이로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자세 변화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위 정보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면중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착용상태/수면상태 분석 모듈(260)은 이러한 자세 변화를 통해 그 착용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인지하거나 예측할 수 있으며, 수면 중에는 환자의 뒤척임 등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통해 수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지의 보호자는 이러한 착용 상태를 통해 간병인이 제대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를 사용자에게 착용시키고 관리하는지 그리고 수면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를 알 수 있다.
분석 정보 송신 모듈(270)은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230)의 배뇨/배변 정보와 착용상태/수면상태 분석 모듈(260)에서 분석된 착용 상태 또는 수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병원/요양사업자 단말(40) 또는 렌탈/유통사업자 단말(5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석 정보 송신 모듈(270)은 소변 감지 신호, 대변 감지 신호, 착용 교체에 대한 신호 등은 물론 위 배뇨/배변 정보,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 수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3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생성한다(S101).
이때,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는 착용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가 앞서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앞서 측정된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송신한다(S102).
이때,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고 해당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이 사용자의 배뇨/배변 횟수, 배뇨/배변 시간 및 배뇨/배변량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이 사용자의 식단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음으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이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한다(S103).
이때,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앞서 생성된 체위 신호를 추가적으로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앞서 생성된 요성분 신호를 추가적으로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이 앞서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한다(S104).
이때,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100)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고 해당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이 사용자의 배뇨/배변 횟수, 배뇨/배변 시간 및 배뇨/배변량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200)이 사용자의 식단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성기부 및 둔부를 세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변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착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실시간 출력하는 배설물 양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수용 모듈;
    상기 착용 모듈부터 출력되는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용 모듈로부터 배설물의 양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대변 감지 신호 및 소변 감지 신호와 상기 입력받은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출력하는 체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체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상태에 따른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배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모듈은, 상기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출력하는 요성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요성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 상태를 분석하여 배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요성분 신호, 체위 신호와 배설물의 양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배뇨/배변 정보를 보호자 단말, 간병인 단말 또는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5.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
    상기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
    상기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에 포함된 체위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위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체위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체위 정보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체위 정보를 저장하는 체위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체위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체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는 착용상태/수면상태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배변 정보 수신 모듈은,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요성분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배뇨/배변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수신된 요성분 신호를 사용자별로 더 저장하며,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저장된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횟수, 배뇨/배변 시간 및 배뇨/배변량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식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배변 분석 및 통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통해 대소변 통계 및 배뇨량/배변량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11.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상기 생성된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상기 측정된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는 착용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위 신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체위 신호를 추가적으로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체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의 착용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대변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소변의 요성분을 감지하여 요성분 신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과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분석에 따른 배뇨/배변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요성분 신호를 추가적으로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적으로 생성된 요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횟수, 배뇨/배변 시간 및 배뇨/배변량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대변 감지 신호, 소변 감지 신호 및 배설물의 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식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뇨/배변 메커니즘(mechanism)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PCT/KR2016/010491 2015-10-13 2016-09-21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WO20170654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64 2015-10-13
KR1020150142664A KR101606896B1 (ko) 2015-10-13 2015-10-13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5420A1 true WO2017065420A1 (ko) 2017-04-20

Family

ID=5700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491 WO2017065420A1 (ko) 2015-10-13 2016-09-21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6896B1 (ko)
WO (1) WO20170654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2103A (zh) * 2019-12-18 2021-06-18 酷洁有限公司 能够综合分析卧床患者的动作及状态的排泄护理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418B1 (ko) * 2017-09-27 2019-08-22 다인기술 주식회사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잔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136218B1 (ko) * 2018-07-19 2020-07-21 (주) 유에이썬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102262593B1 (ko) * 2019-04-09 2021-06-09 주식회사 큐라코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환자 상태 정보를 기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66233A1 (ko) * 2019-10-04 2021-04-08 주식회사 모닛 스마트 기저귀를 포함한 배변량 측정 시스템
WO2021174474A1 (zh) * 2020-03-05 2021-09-10 厦门波耐模型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马桶式尿便检测机器人及其物联网系统
WO2022114846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처리장치의 인풋-아웃풋 기반 대소변량 산출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545A (ja) * 2002-10-18 2004-05-13 Tsutomu Mariko 非接触型のタグやラベルを利用したおむつの介護支援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119637B1 (ko) * 2011-06-02 2012-03-16 디트론 주식회사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20150051376A (ko) * 2013-11-04 2015-05-13 이훈상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7527B1 (ko) * 2013-12-19 2015-09-25 소프트웨어사이언스 주식회사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69A (ko) 2007-04-02 2009-01-08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배설물 처리기 내 대소변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리모트콘트롤러의 대소변의 상태 정보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545A (ja) * 2002-10-18 2004-05-13 Tsutomu Mariko 非接触型のタグやラベルを利用したおむつの介護支援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119637B1 (ko) * 2011-06-02 2012-03-16 디트론 주식회사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20150051376A (ko) * 2013-11-04 2015-05-13 이훈상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7527B1 (ko) * 2013-12-19 2015-09-25 소프트웨어사이언스 주식회사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2103A (zh) * 2019-12-18 2021-06-18 酷洁有限公司 能够综合分析卧床患者的动作及状态的排泄护理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896B1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5420A1 (ko)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DK2019659T3 (en) moisture Monitoring
JP6134058B2 (ja) 吸収性製品の状態に関するデータを収集および記憶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配列
KR101312559B1 (ko)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JP2019071895A (ja) ペットの個体識別システム
KR101962308B1 (ko)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과 스마트폰을 사용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확인 시스템
WO2014054823A1 (ko)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US20040220538A1 (en) Hygienic diaper, sensor pad, and or sensing belt with alert, readout, transmission, paging, software & patient information database recording means for treating & caring for wetness, feces, & disease
US20220346720A1 (en) Apparatuses and systems for tracking bowel movement and urin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JP3718136B2 (ja) 体液・排泄物の処理を併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と接続可能なサーバ
WO2017069423A1 (ko)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TW202114616A (zh) 排便記錄系統、排便記錄方法及排便記錄程式
JP3362472B2 (ja) トイレ装置
JP2007077583A (ja) 尿pH値の検査ができる便器
JP2002073805A (ja) 排泄診断方法及び排泄診断装置
JP5249792B2 (ja) 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KR101656510B1 (ko)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KR20210131728A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변판 및 그의 관리 방법
WO2022114846A1 (ko) 배설물 처리장치의 인풋-아웃풋 기반 대소변량 산출방법
KR20160021599A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량 측정 방법
KR102658607B1 (ko) 대소변 처리 및 관리 시스템
CN220309293U (zh) 穿戴式智能失禁检测装置
WO2023042786A1 (ja) 排出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排出データ管理方法
KR102661456B1 (ko) 스마트 배변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KR102082364B1 (ko) 분변량의 선택확인이 가능한 배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변 데이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56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9.09.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56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