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310A -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310A
KR20090079310A KR1020080005186A KR20080005186A KR20090079310A KR 20090079310 A KR20090079310 A KR 20090079310A KR 1020080005186 A KR1020080005186 A KR 1020080005186A KR 20080005186 A KR20080005186 A KR 20080005186A KR 20090079310 A KR20090079310 A KR 20090079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tient
urine
reference range
oxygen s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598B1 (ko
Inventor
인만식
Original Assignee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5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감지된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총체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에 따라 복부에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혈압 검출센서부,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 심전도 전극부, 대소변 감지부를 구비하여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환자 모니터링부; 상기 환자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중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 즉, 기준범위 이탈 여부를 연산처리하여 판단하는 환자 단말부;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의 기준범위 이탈여부를 수신하여 기준범위 이탈일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간병인단말기;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또한, 상기 환자 단말부는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들 신호가 각 응급범위를 벗어났는지를 판단 하여 응급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응급상황임을 상기 간병인단말기, 상기 중앙서버로 알리며, 상기 중앙서버는 응급상황임을 의사단말부로 알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환자 모니터링부는 복부에 장착되며, 대변 신호 또는 소변 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 또는 면상발열체를 구동하는 복대부;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를 상기 환자 단말부로 무선 전송하는 환자 휴대단말;을 더 구비한다.
노인, 장애인, 혈압, 산소포화도,심전도, 대변, 소변, 모니터링

Description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of the old human and the handicapped}
본 발명은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감지된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총체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에 따라 복부에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발전과 생활환경의 증진에 의해 인간의 수명은 갈수록 늘어나고, 이에 따른 고령 인구는 점차 늘어나는 실정이다. 고령 인구에 증가에 따라 노년의 질병환자, 치매 환자들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손발이 자유롭지 못하거나 의사표현이 힘들며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는 환자, 노인, 장애인들이 병원에 입원해 있을 경우 매번 간병인 등이 환자의 상태를 일일이 살펴야 함으로써 간병인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었다. 또한 담당의사가 항상 병실에 있는 것이 아니어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대처를 곧바로 하는 것이 쉽지 않다. 환자의 보호자의 경우 병실에 있어야만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어 병실에 항상 머물러 있 어야 하므로 병실밖 등에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일반적으로 손발이 자유롭지 못하거나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는 환자, 노인, 장애인들은 대소변을 인지하지 못하여 배뇨처리를 스스로 처리할 수 없어 보호자의 도움으로 대소변을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수시로 환자, 노인, 장애인들의 대소변 유무를 살피고,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기저귀 젖음으로 인한 불쾌감, 짖무름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 노인, 장애인들은 대개 스스로 의사표현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대소변에 대한 의사표현을 할 수 없거나 수치심으로 표현하지 않아서, 보호자가 대소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 개발된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부분이 대소변을 감지하여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알려주는 정도의 것이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 즉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 또는 소변 여부를 의사 또는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병실 밖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다시 말해, 환자의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소변 여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간병인에게 알리고, 위급상황 시 이를 간병인뿐만 아니라 의사에게도 알려 의사가 확인하여 위급상황을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또한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 노인, 장애인들은 잘 움직이지 못해 대소장의 운동이 활발하지 못하여 변비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소변 등의 배출에 의해 일시적 체온변화로 한기를 느끼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환자, 노인, 장애인들의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이 감지되 면, 복부를 자극하여 장운동을 시켜 변을 보는데 도움을 주며, 소변이 감지되면 복부를 따뜻하게 하여 한기를 해소시키는 노인, 환자 및 장애인용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감지된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총체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에 따라 복부에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환자, 노인, 장애인 등의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소변 여부를 측정하여 이 정보를 간병인에게 무선으로 송신하여 환자의 상태를 간병인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며, 위급상황에는 의사에게도 알리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환자, 노인, 장애인 등의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가 설정한 기준범위에서 벗어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간병인에게 알리는 노인, 환자 및 장애인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병원환자 단말부, 재택단말, 의사단말부가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환자의 상태를 원거리에서 모니터링 가능한 노인, 환자 및 장애인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환자가 위급상황일 경우 의사단말부에 위급상황을 알려 조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노인, 환자 및 장애인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주파 자극기와 온열부를 구비한 복대부와 알루미늄판을 이용한 센서에 의해 대소변 유무를 센싱하는 대소변 감지부를 포함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노인 , 환자 및 장애인용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대변이 센싱된 경우 복대부에서 복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대변의 배출을 도와주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소변이 센싱된 경우 복대부의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하여 한기를 해소하여 주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혈압 검출센서부,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 심전도 전극부, 대소변 감지부를 구비하여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환자 모니터링부; 상기 환자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중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 즉, 기준범위 이탈 여부를 연산처리하여 판단하는 환자 단말부;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의 기준범위 이탈여부를 수신하여 기준범위 이탈일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간병인단말기;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단말부는,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들 신호가 각 응급범위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하여 응급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응급상황임을 상기 간병인단말기, 상기 중앙서버로 알리며, 상기 중앙서버는 응급상황임을 의사단말부로 알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환자 모니터링부는, 복부에 장착되며, 대변 신호 또는 소변 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 또는 면상발열체를 구동하는 복대부;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를 상기 환자 단말부로 무선 전송하는 환자 휴대단말;을 더 구비한다.
상기 대소변 감지부는 기저귀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대변감지센서부와 소변감지센서부를 구비한다.
상기 환자 휴대단말은, 대변 신호, 즉 대변이 검출되면 자극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복대부로 전송하며, 소변 신호, 즉 소변이 검출되면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복대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간병인단말기는 대변 신호, 소변 신호를 알람, 빛, 진동 중에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며, 기준범위 이탈일 경우에는 기준범위 이탈임을 알람, 빛, 진동 중에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며, 응급상황일 경우에는 응급상황임을 알람, 빛, 진동 중에 적어도 하나로 표시한다.
상기 복대부에 대소변 감지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와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제 1도전선과 제 2도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도전선은 접지전위로 하여,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2도전선 사이에는 일정한 전위차(또는 전압)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변감지센서부는,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 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3도전선;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3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이다.
상기 대변감지센서부는 환자의 대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대변이 배출될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대변 검출신호다.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는, 상기 소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 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4도전선;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4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다.
상기 제 2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이다.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는 환자의 소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소변이 배출될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소변 검출신호이다.
상기 제 2박막저항의 값은 제 1박막저항의 값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은 대소변 감지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대소변 감지부를 복대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커넥터부를 적어도 더 구비하며, 상기 자극전극은 저주파 전극 패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환자 모니터링부, 환자 단말부, 간병인단말기,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 단말부의 구동방법은, 환자 모니터링부로부터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대변 검지여부, 소변 검지여부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간병인 단말기,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혈압 신호가 혈압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혈압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 상기 혈압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에서 혈압신호가 혈압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기준범위 이탈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혈압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 상기 혈압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에서 혈압신호 또는 혈압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값을 가지고 혈압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혈압 응급상황 검사단계; 상기 혈압 응급상황 검사단계에서 혈압이 응급상황이라면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혈압 응급상황 알림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산소포화도 신호가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 상기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에서 산소포화도 신호가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기준범위 이탈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 상기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에서 산소포화도 신호 또는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값을 가지고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검사단계; 상기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검사단계에서 산소포화도가 응급상황이라면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알림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심전도 신호가 심전도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 상기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에서 심전도신호가 심전도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기준범위 이탈임 알 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 상기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에서 심전도 신호 또는 심전도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값을 가지고 심전도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심전도 응급상황 검사단계; 상기 심전도 응급상황 검사단계에서 심전도가 응급상황이라면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심전도 응급상황 알림단계;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감지된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총체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에 따라 복부에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여, 노인, 장애인, 환자가 저주파 자극에 의해 대변을 보다 원활이 배출하도록 도와주며, 소변 배출에 따른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본 발명의 노인, 환자 및 장애인용 모니터링시스템은 환자, 노인, 장애인 등의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소변 여부를 측정하여 이를 간병인 단말로 무선으로 송신하여 간병인에게 이를 알리고, 환자의 측정치가 설정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간병인에게 알리며 위급상황 범위에 있을 경우 간병인 단말과 의사단말부에도 인터넷망을 통해 위급상황을 알리고 의사는 이를 확인 후 지시를 간병인에게 송신하게 되어 조속히 지시를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병원환자 단말부, 재택단말, 의사단말부가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환자의 상태를 원거리에서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여, 특히 가정에서도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 또는 소변이 감지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복부를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 자극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주어, 환자가 보다 편안하고 원할한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도와 주며,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대소변 여부를 알려 빠른 대소변 뒷처리를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저주파 자극기와 온열부를 구비한 복대부와 알루미늄판을 이용한 센서에 의해 대소변 유무를 센싱하는 대소변 감지부로 구성되어, 대변이 센싱된 경우에는 복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대변의 배출을 도와주며, 소변이 센싱된 경우에는 복대부의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하여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는 알루미늄판을 이용한 센서에 의해 대소변 유무를 센싱하여 일정 거리내에 보호자에게 무선으로 이를 알려 대소변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게 하여 수시로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대소변 유무를 손쉽게 알 수 있어 다른 일을 하면서도 대소변 유무에 대해 알 수 있어 편리하다. 이에 대소변이 센싱된 경우 바로 기저귀를 갈아 줄 수 있어 불쾌감을 빨리 없앨 수 있고 짖무름 등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대부분 변비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대변이 센싱된 경우 복부에 저주파 자극에 의해 대변을 보다 원활이 배출하도록 도와주며 , 소변이 센싱된 경우 복부에 면상발열체에 의해 온열을 제공하여 소변 배출에 따른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 1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자 모니터링부(100), 환자 단말부(990),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 의사단말부(2000), 재택 단말부(3000)을 포함한다.
환자 모니터링부(100)는 대소변 감지부(500), 복대부(600), 환자 휴대단말(105)로 이루어지며,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소변 여부를 측정하여 이를 환자 단말부(990)로 송신한다.
대소변 감지부(500)는 대변감지센서부(520), 소변감지센서부(525)를 구비하여 대변 신호 또는 소변 신호를 검출하며, 이를 복대부(600), 환자 휴대단말(105)로 전송한다. 대소변 감지부(500)는 귀저기 위에 장착되어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의 사용자에게 채워지도록 이루어진다.
복대부(600)는 혈압검출센서부(210), 산소포화도 센서부(310), 심전도 전극부(410)를 구비하여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을 검출하여 환자 휴대단말(105)로 전송한다. 또한 복대부(600)는 자극전극(640), 면상발열체(650)를 구비하여 대소변 감지부(500)로부터 대변 신호 또는 소변 신호가 검출됨에 따라 자극전극(640) 또는 면상발열체(650)를 구동시킨다. 복대부(600)는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의 사용자 의 복부에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환자 휴대단말(105)은 대소변 감지부(500)로부터 수신된 대변 신호 또는 소변 신호, 복대부(600)로부터 수신된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등을 환자 단말부(990)로 무선 전송한다.
환자 단말부(990)는 환자 휴대단말(105)로부터 수신된 신호, 즉 대변 신호, 소변 신호,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등을 간병인단말기(900)와 중앙서버(1000)로 전송한다. 환자 단말부(990)는 환자 휴대단말(105)로부터 수신된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범위에서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고, 이때 기준범위를 벗어났다면, 즉 기준범위 이탈이면, 응급상황인지 등을 분석한다. 이때 환자 단말부(990)는 기준범위 이탈여부 및 응급상황여부를 간병인단말기(900), 중앙서버(1000)로 전송하며, 응급상황일 경우에 중앙서버(1000)는 이를 의사단말부(2000)로 알린다.
간병인단말기(900)는 환자를 간호하는 간병인 등이 환자의 상태를 첵크하기위해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간병인단말기(900)는 환자 단말부(990)로부터 혈압신호, 산소포화도신호, 심전도신호, 대변신호, 소변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상기 생체신호들이 기준범위 이탈일 경우, 응급상황일 경우에 알람, 빛, 진동 등을 통해 간병인에게 알린다.
중앙서버(1000)는 인터넷망을 통해 환자 단말부(990)로 부터 환자의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소변 여부를 수신받아 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환자 단말부(990)로 부터 수신받아 저장된 정보를 의사단말부(2000), 재택 단말부(3000) 가 요청하는 경우에 요청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한다. 만약, 환자 단말부(990)로부터 위급상황이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의사단말부(2000)으로 자동적으로 송신하여 이를 의사에게 알린다.
의사단말부(2000)는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싶을 경우 중앙서버(1000)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위급상황일 경우 중앙서버(1000)를 통해 위급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재택 단말부(3000)는 보호자가 병원이 아닌 원거리에 있는 곳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서버(1000)에 접속하여 중앙서버(1000)에 저장된 환자정보를 실시간 으로 수신받아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환자 모니터링부와 간병인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블록도이다.
환자 모니터링부(100)는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여 이를 환자 단말부(990)로 무선 전송한다. 환자 단말부(990)는 이 수신된 신호를 간병인단말기(900)에 무선으로 전송하며, 또한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서버(1000)로도 정보를 전송한다.
환자 모니터링부(100)는 환자휴대 키입력부(110), 혈압측정부(200), 산소포화도 측정부(300), 심전도 측정부(400), 대소변 감지부(500), 복대부(600),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 표시부(810), 환자휴대 송수신부(840)를 포함한다.
환자휴대 키입력부(110)는 복대부(600)의 자극의 강도, 자극시간, 온열의 강도, 온열 시간, 기준온도값 등을 설정한다.
혈압측정부(200)는 환자의 혈압신호를 검출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혈압검출센서부(210), 혈압신호 전처리부(220), 혈압 A/D변환기(230)를 포함한다.
혈압검출센서부(210)는 혈압검출센서로 부터 혈압신호를 검출한다. 혈압검출센서는 발광다이오드 및 수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혈압검출센서부는 복대부(600)의 일측에 장착되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 등의 반지형 센서부로 장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반지형 센서부는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무선으로 각 전처리부로 무선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혈압신호 전처리부(220)는 혈압검출센서부(210)으로 부터 수신된 혈압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혈압 A/D변환기(230)는 혈압신호 전처리부(220)로 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의 혈압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혈압신호로 변환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한다.
산소포화도 측정부(300)는 산소포화도신호를 검출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산소포화도 센서부(310), 산소포화도 신호전처리부(320), 산소포화도 A/D변환기(330)를 포함한다.
산소포화도 센서부(310)는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로부터 산소포화도신호를 검출한다.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는 발광다이오드 및 수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는 복대부(600)의 일측에 장착되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 등의 반지형으로 장착되어 질 수 있다.
산소포화도 신호전처리부(320)는 산소포화도 센서부(310)로 부터 수신된 산 소포화도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산소포화도 A/D변환기(330)는 산소포화도 신호전처리부(320)로 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의 산소포화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산소포화도 신호로 변환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한다.
심전도 측정부(400)는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곳으로, 심전도 전극부(410), 심전도 신호전처리부(420), 심전도 A/D변환기(430)를 포함한다.
심전도 전극부(410)는 심전도 전극으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다. 심전도 전극은 표면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2개의 측정전극과 하나의 기준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심전도 전극부(410)는 복대부(600)의 일측에 장착되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 등의 반지형으로 장착되어 질 수 있다.
심전도 신호전처리부(420)는 심전도 전극부(410)로 부터 수신된 심전도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심전도 A/D변환기(430)는 심전도 신호전처리부(420)로 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의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심전도 신호로 변환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한다.
대소변 감지부(500)는 대소변의 유무를 감출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대소변 감지 센서부(510), 대소변 신호전처리부(580), 대소변 A/D변환기(590)를 포함한다.
대소변 감지센서부(510)는 대소변 배출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대변감지센서부(520), 소변감지센서부(525)를 구비한다.
대변감지센서부(520)는 대변이 배출되면 대변의 수분이 전도체가 되어 미세한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대변 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소변감지센서부(525)는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의 수분이 전도체가 되어 미세한 전류가 감지함으로써 소변 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대소변 신호전처리부(580)는 대소변 감지센서부(510)로 부터 수신된 대변신호 소변신호를 각각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대변신호전처리부(582), 소변신호전처리부(585)를 포함한다.
대변신호전처리부(582)는 대변감지센서부(520)로 부터 수신된 대변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소변신호전처리부(585)는 소변감지센서부(525)로 부터 수신된 소변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대소변 A/D변환기(590)는 대소변 신호전처리부(580)로 부터 수신된 대변신호와 소변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한다.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는 혈압측정부(200), 산소포화도 측정부(300), 심전도 측정부(400), 대소변 감지부(500)로부터 수신된 혈압신호, 산소포화도신호, 심전도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를 환자휴대 송수신부(840)로 전송한다.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는 대변 신호, 소변 신호로부터 대소변 여부를 판단하고, 대변 임이 판단되면 자극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소변임이 판단되면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들 제어신호를 D/A변환부(610)을 통해 복대구동부(615)로 전송 한다. 또한 복대부(600)의 온도센싱부(660)에서 센싱된 면상발열체(650)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대소변 A/D변환기(590)을 거쳐 수신하여 면상발열체(650)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갔을 경우 복대부(600)의 면상발열체(650)의 구동을 멈추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대부(600)는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부터 제어신호와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극전극(640)과 면상발열체(650)를 구동한다. 즉 복대부(600)는 대변일때 자극전극에 의해 저주파 자극을 복부에 주고, 소변일때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한다. 복대부(600)는 D/A변환부(610), 복대구동부(615), 자극전극(640), 면상발열체(650), 온도센싱부(660)를 포함한다.
D/A변환부(610)는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부터 수신된 자극전극 제어신호와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디지탈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복대구동부(615)는 D/A변환부(610)로부터 자극전극 제어신호와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극전극(640)과 면상발열체(650)를 각각 구동시킨다. 복대구동부(615)는 자극전극 구동부(620), 면상발열체 구동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극전극 구동부(620)는 D/A변환부(610)로 부터 수신된 자극전극 제어신호로부터 자극전극(64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자극전극(640)을 구동시킨다.
면상발열체 구동부(630)는 D/A변환부(610)로 부터 수신된 발열체 제어신호로 부터 면상발열체(65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면상발열체(650)를 구동시킨다.
자극전극(640)은 저주파 자극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극전극 구동 부(620)로 부터 자극전극 구동 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에서 극미세한 전류에 의한 저주파 자극을 복부에 가한다. 자극전극(640)은 대변감지 신호를 감지하였을 때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면상발열체(650)는 면상발열체 구동부(630)로 부터 면상발열체 구동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온도에 맞게 온열을 제공한다. 면상발열체(650)는 소변감지 신호를 감지하였을 때 구동되어 소변 배출 시,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온도센싱부(660)는 면상발열체(650)의 일측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면상발열체(650)로 부터 온도를 검출하여 이를 대소변 감지부(500)의 대소변 A/D변환기(590)를 거쳐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송신하며,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는 이 값을 환자휴대 키입력부(110)에서 설정된 기준온도값과 비교하여 그보다 크면 면상발열체(65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면상발열체(650)의 온도가 너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810)는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부터 수신받은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신호, 소변신호 등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환자휴대 송수신부(840)는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부터 수신받은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신호, 소변신호 등을 간병인 단말기(900), 환자 단말부(990)로 무선으로 송신한다.
환자 단말부(990)는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 표시부(992), 환자단말 키입력부(993), 환자단말 저장부(994),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구비한다.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는 환자 모니터링부(100)로부터 환자단말 송수신 부(995)를 통해 수신한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등의 생체신호를 환자단말 저장부(994)에 저장하고 표시부(992)에 디스플레이하며, 이 생체신호들을 간병인 단말기(900) 및 중앙서버(1000)에 전송한다. 또한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는 상기 생체신호들을 기 설정된 각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이탈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간병인 단말기(900) 및 중앙서버(10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생체신호, 즉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났다면, 즉 기준범위 이탈이면, 응급상황인지 등을 분석하고, 응급상황일 경우에 이를 간병인 단말기(900) 및 중앙서버(1000)로 알리며, 중앙서버(1000)는 이를 의사단말부(2000)로 알린다. 또한 환자단말 키입력부(993)으로부터 수신된 각 설정값을 환자단말 저장부(994)에 저장한다.
다시말해,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는 환자 모니터링부(100)로 부터 산소포화도 신호를 수신받아 연산처리하여 산소포화도 기준 범위값과 비교하여 그 범위에서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고, 산소포화도 위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4),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전송한다.
이와 마찮가지로,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는 환자 모니터링부(100)로 부터 심전도 신호, 혈압 신호를 수신받아 심전도 기준 범위값, 혈압 기준범 위값과 비교하여 그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하고, 각 위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4),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전송한다.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는 환자 모니터링부(100)로 부터 대변 감지신호, 소변감지신호, 대변 여부, 소변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4),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전송한다.
표시부(992)는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환자단말 키입력부(993)는 산소포화도 기준 범위값, 심전도 기준 범위값, 혈압 기준범 위값, 산소포화도 위급상황 범위값, 혈압 위급상황 범위값, 심전도 위급상황 범위값 등을 환자에 맞게 입력한다.
환자단말 저장부(994)는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저장한다.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는 환자단말 연산처리부(991)로부터 수신한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등의 생체신호와 각 생체신호의 기준범위 이탈여부, 응급상황 등을 간병인 단말기(900) 및 중앙서버(1000)에 전송한다.
간병인단말기(900)는 간병인 키입력부(910), 수신부(920), 간병인 연산처리부(930), 간병인 표시부(940), 알람부(950), 진동부(960), 간병인 저장부(970)를 포함한다.
간병인 키입력부(910)는 기준범위 이탈시의 알림모드, 응급상황시 알림모드, 대변과 소변시의 알림모드, 저장모드 등을 설정하게 한다.
알림모드는 간병인 표시부(940), 알람부(950), 진동부(960)의 사용여부를 설 정한다. 또한, 간병인 표시부(940)를 설정될 경우는 화면 표시 형식을 설정하며, 알람부(950)를 설정될 경우는 음향의 종류를 설정하며, 진동부(960)를 설정될 경우는 진동 크기, 진동 종류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저장모드는 간병인 연산처리부(930)에 수신된 신호들 중 어떤 신호를 저장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수신부(420)는 환자 단말부(990)로 부터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신호, 소변 신호 등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간병인 연산처리부(930)로 송신한다.
간병인 연산처리부(930)는 수신부(920)로 부터 수신한 신호를 간병인 키입력부(910)에서 설정된 알림모드에 따라 간병인 표시부(940), 알람부(950), 진동부(960)로의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간병인 표시부(940)는 간병인 연산처리부(930)에서 수신받은 연산신호를 표시하여 주는데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소변을 구분하여 표시하여 준다.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 하거나 서로 다른 색의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켜지게 하거나,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의 수치와 대변, 소변을 글씨로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내거나 그림을 통해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소변횟수, 대변횟수 등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즉, 하루중 몇번째 감지된 것인지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변의 경우는 얼마만에 대변을 본것인지, 즉 전의 대변후 얼마나 지나서 변을 본 것인 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대의 구동상태에 대한 정보표시가 가능하다.
알람부(950)는 연산처리부(930)에서 수신받은 연산신호에 대해 혈압,산소포 화도, 심전도가 기준값에서 벗어났을 경우, 대소변이 감지되었을 경우 등에 따라 소리를 달리하여 알릴 수 있다. 이때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대변과 소변 각각의 음향 종류를 다르게 하여 소리만 듣고도 어떤 신호가 기준값에서 벗어났는지 여부와 대소변을 구별 가능하게 한다.
진동부(960)는 간병인 연산처리부(930)에서 수신받은 연산신호에 따라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값이 기준값 범위에 벗어났을 경우와 대소변 감지시 진동을 이르키는 수단으로, 진동으로 이를 간병인에게 알린다.
간병인 저장부(970)는 저장모드에 따라 간병인 연산처리부(930)로 부터 수신받은 연산 신호를 저장한다. 간병인 저장부(970)는 혈압값, 산소포화도값, 심전도값, 대소변 여부와 대소변 간격, 횟수 등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대소변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3의 대소변 감지부의 A-A'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대소변 감지부의 B-B'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대소변 감지부의 C-C'단면도이다.
도 3, 도 4, 도 5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복대부는 심전도 전극 등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대소변 감지에 따른 설명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소변 감지부(500)는 기저귀에 탈부착이 가능한 긴 띠모양을 이루며, 대소변 유무에 대한 센싱을 하는 수단으로, 제 1시트(530), 절연지지부재(535), 제 1도전선(540), 제 2도전선(550), 제 1박막저항(545), 제1 흡수패드(546), 제 2박막저항(547), 제2 흡수패드(548), 제 3도전선(555), 제4도전선(557), 제 1알루미늄판 (또는 금속판)(560), 제 2알루미늄판(또는 금속판)(565), 제 2시트(570), 커넥터부(575)를 포함한다.
제 1시트(530)는 대소변 감지부(500)의 가장 위쪽에 위치하여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부드러운 소재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시트(530)는 하단의 절연지지부재(535)보다는 큰 크기를 갖고 있으며 제 1시트(530)의 가장자리 내부쪽으로 벨크로를 포함하고 있어 가장 하단의 제 2시트(570)과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한다.
절연지지부재(535)는 제 1시트(530) 하단에 위치한 층으로 대소변 감지부(500)전체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단, 대변이 감지되는 대변감지센서부(520)와 소변이 감지되는 소변감지센서부(525)에는 절연지지부재(535)가 존재하지 않아 대소변 유무를 전기적 반응을 센싱하고 대소변 구별을 가능하게 한다.
대변감지센서부(520)와 소변감지센서부(525)는 절연지지부재(535)가 존재하지 않는 곳을 말하며 이중 대변감지센서부(520)는 제 1알루미늄판(560)과 제 2도전선(550), 제 3도전선(555)이 접촉하는 부분이고, 소변감지센서부(525)는 제 2알루미늄판(565)과 제 2도전선(550), 제 4도전선(557)이 접촉하는 부분이다. 즉, 알루미늄판(560)과 도전선이 접촉한다는 것은 이 부분에 절연지지부재(535)가 존재하지 않아 가능한 것이며, 이는 이 부분만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대변감지센서부(520)의 위치는 대소변 감지부(500)를 기저귀에 부착하였을 때 대변이 주로 분비되는 위치에 있고, 소변감지센서부(525)는 소변이 주로 분비되는 위치 에 있다.
제 1도전선(540)과 제 2도전선(550)의 사이에는 일정한 전위(또는 소정 전압)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그 중 제 1도전선(540)는 접지 전위를 가진다. 제 1도전선(540)과 제 2도전선(550)은 절연지지부재(535)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소변 감지부(500)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도전선(540)과 제 2도전선(550)의 길이는 적어도 대변감지센서부(520)와 소변감지센서부(525)를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대변감지센서부(520)와 소변감지센서부(525)의 제 1도전선(540)과 제 2도전선(550)의 사이에서 상기 전위(또는 소정 전압)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 1도전선(540)은 접지전위를 가지는 도전선으로, 제 2도전선(550)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 1박막저항(545)의 일단과 연결되며, 또한 제 2박막저항(547)의 일단과도 연결되어 있다. 제 1도전선(540)는 금속 도선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1도전선(540)의 부분이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박막저항(545)은 절연지지부재(535) 위에 위치하며, 일단은 제 1도전선(54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3도전선(555)에 연결되어 있다. 제 1박막저항(545)은 절연지지부재(535)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알루미늄판(560)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제 1알루미늄판(560)과는 이격되어 있어 절연되어 있다. 즉, 제 1박막저항(545)의 위치는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감지센서부(520) 근처에 위치하지만 대변감지센서부(520)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평상시(환자가 대변을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3도전선(555)과 제 2도전선(550)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3도전선(555)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545)에는 아무런 전압이 걸리지 않으며, 따라서 제 1박막저항(545)에는 아무런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가 대변 등을 배출함에 의해 제 3도전선(555)과 제 2도전선(550)이 쇼트되면, 제 3도전선(555)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545)에는 제 2도전선(550)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리며, 따라서 제 1박막저항(545)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전류를 검출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한다. 제 1박막저항(545)은 제 2박막저항(547)과는 다른 저항치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변은 소변보다 높은 저항을 나타내므로 제 1박막저항(545)은 제 2박막저항(547)보다 적은 저항치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2박막저항(547)은 절연지지부재(535) 위에 위치하고 일단은 제 1도전선(54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4도전선(557)과 연결되어 있다. 제 2박막저항(547)은 절연지지부재(535)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알루미늄판(565)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알루미늄판과 이격되어 절연되어 있다. 즉, 제 2박막저항(545)의 위치는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감지센서부(525) 근처에 위치하지만 소변감지센서부(525)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평상시(환자가 소변을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4도전선(557)과 제 2도전선(550)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4도전선(557)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547)에는 아무런 전압이 걸리지 않으며, 따라서 제 2박막저항(547)에는 아무런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가 소변 등을 배출함에 의해 제 4도전선(557)과 제 2도전선(550)이 쇼트되면, 제 4도전선(557)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547)에는 제 2도전선(550)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리며, 따라서 제 2박막저항(547)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전류를 검출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전송한다. 제 2박막저항(547)은 제 1박막저항(545)과는 다른 저항치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변은 대변보다 낮은 저항을 나타내므로 제 2박막저항(547)은 제 1박막저항(545)보다 높은 저항치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2도전선(550)은 제 1도전선(540)을 접지전위로 하여 그로부터 일정한 전위(또는 소정 전압)을 가지도록 제 1도전선(540)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2도전선(550)은 절연지지부재(535)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지나며, 이 부분에서 제 2도전선(550)의 일부분은 제 1알루미늄판(560)과 접촉하여 대변감지센서부(520)을 이루고, 제 2알루미늄판(565)과 접촉하여 소변감지센서부(525)를 이룬다. 제 2도전선(550)는 금속 도선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2도전선(550)의 부분이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3도전선(555)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선으로, 제1 흡수패드(546)위에 위치되며, 또한 제 1박막저항(545)에 접속된다. 대변 배출에 의해 제1 흡수패드(546)에 수분 등이 흘러들고 또한 대변의 무게에 의해 제 3도전선(555)이 눌리어지게 되어, 제 1알루미늄판(560)과 쇼트된다. 그러므로 제 2도전선(550)과 접속되어 있는 제 1알루미늄판(560)의 소정 전압이 제 3도전선(555)에도 걸리게 된다. 즉, 제 3도전선(555)은 제 1박막저항(545), 제 1도전선(540), 제 2도전선(550), 제 1알루미늄판(560) 등과 함께 대변감지센서부(520)를 이루고, 대변이 배출되어 대변의 수분이 제 1알루미늄판(560)과 제 3도전선(555) 사이의 전도체가 되어, 제 1박막저항(545)에 전류를 형성하며 이를 검출하여 대변 유무 신호를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송신하게 된다. 제 1박막저항(545)에서 전류를 검출하는 대변 신호검출부(미도시) 는 코일 또는 포토커플러 등등 여러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제 1박막저항(545)에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제 3도전선(555)는 금속 도선, 금속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3도전선(555)의 부분이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흡수패드(546)는 제 3도전선(555)과 제 1알루미늄판(560)의 사이에 위치도며, 수분을 흡수하는 패드로 이루어진다. 제1 흡수패드(546)에 수분이 흡수되면 제 3도전선(555)과 제 1알루미늄판(560)가 쇼트되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제1 흡수패드(546)는 수분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며, 예를들어, 천, 스폰지, 기공을 가진 우레탄 등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제 4도전선(557)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선으로, 제2 흡수패드(548) 위에 위치되며, 또한 제 2박막저항(547)에 접속된다. 소변 배출에 의해 제2 흡수패드(548)에 수분 등이 흘러들고 또한 소변의 무게에 의해 제 4도전선(557)이 눌리어지게 되어, 제 2알루미늄판(565)과 쇼트된다. 그러므로 제 2도전선(550)과 접속되어 있는 제 2알루미늄판(565)의 소정 전압이 제 4도전선(557)에도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제 2도전선(550)과 접속되어 있는 제 2알루미늄판(565)의 소정 전압이 제 4도전선(557)에도 걸리게 된다. 즉, 제 4도전선(557)은 제 2박막저항(547), 제 1도전선(540), 제 2도전선(550), 제 2알루미늄판(565) 등과 함께 소변감지센서부(525)를 이루고, 소변이 배출되어 소변의 수분이 제 2알루미늄판(565)과 제 4도전선(557) 사이의 전도체가 되어, 제 2박막저항(547)에 전류를 형성하며 이를 검출하여 대변 유무 신호를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송신하게 된다. 제 2박막저항(547)에서 전류를 검출하는 소변 신호검출부(미도시)는 코일 또는 포토커플러 등등 여러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제 2박막저항(547)에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제 4도전선(557)은 금속 도선, 금속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4도전선(557)의 부분을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흡수패드(548)는 제 4도전선(557)과 제 2알루미늄판(565)의 사이에 위치도며, 수분을 흡수하는 패드로 이루어진다. 제2 흡수패드(548)에 수분이 흡수되면 제 4도전선(557)과 제 2알루미늄판(565)가 쇼트되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제2 흡수패드(548)는 수분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며, 예를들어, 천, 스폰지, 기공을 가진 우레탄 등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제 1알루미늄판(560)은 절연지지부재(535) 하단에 위치한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서, 제1 흡수패드(546)의 수분흡수에 따라 제 2도전선(550), 제 3도전선(555)과 쇼트되도록 이루어진다. 제 1알루미늄판(560)의 알루미늄은 전도율이 좋고 은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구리보다 유연성이 좋아 조제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1알루미늄판(560)은 도전성이 있는 다른 금속 재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 2알루미늄판(565)은 절연지지부재(535) 하단에 위치한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서, 제2 흡수패드(548)의 수분흡수에 따라 제 2도전선(550), 제 4도전선(557)과 쇼트되도록 이루어진다. 제 2알루미늄판(565)의 알루미늄은 전도율이 좋고 은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구리보다 유연성이 좋아 조제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2알루미늄판(565)은 도전성이 있는 다른 금속 재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 2시트(570)는 제 1알루미늄판(560)과 제 2알루미늄판(565) 하단에 위치하며, 제 1시트(530)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 제 2시트(570)의 가장자리 내부쪽으로 벨크로를 포함하고 있어 가장 상단의 제 1시트(530)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2시트(570) 하단면에는 기저귀에 대소변 감지부(500)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테이프 같은 접착 수단이 존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시트(530)와 제 2시트(570)의 대신에 폴리 우레탄 등에 의해 코팅되어질 수 있으며, 폴리 우레탄 등에 의해 코팅되어 질 경우, 적어도 대변감지센서부(520)와 소변감지센서부(525)가 위치한 부분의 코팅부분은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부(575)는 대소변 감지부(500)의 끝단에 위치하여 대소변 감지부(500)를 기저귀에 착용시 커넥터부(575)가 허리부분에 위치되게 되며, 환자휴대 키입력부(110)로 부터 입력된 전원신호를 대소변 감지부(500)로 전달하며, 상기 전원신호는 제 1도전선(540)과 제 2도전선(550)을 통해 대소변 감지부(500) 전체로 전달된다. 또한 커넥터부(575)는 대변감지센서부(520)와 소변감지센서부(525)에서의 검출된 대변 또는 소변신호를 수신하여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를 거쳐 복대부(600)로 전송하거나 또는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에서 대변 또는 소변신호에 따른 자극전극 제어신호,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복대부(600)로 전송한다.
도 7은 도 2의 복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복대부(600)는 자극전 극(640), 면상발열체(650), 벨크로 루프(670), 벨크로 후크(675), 복대커넥터(680), 복대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복대부는 심전도 전극 등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대소변 감지에 따른 설명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극전극(640)은 저주파 자극 전극으로, 복대가 착용되었을 때 복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복대부(6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전극(640)이 구비된다. 복대제어부는 대소변 감지부(500)로부터 대변 배출 신호를 수신하면 자극 전극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로부터 자극전극(640)을 제어하여, 즉 자극전극(640)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주어 복부에 저주파 자극을 준다. 자극전극(640)은 다양한 저주파 전극 패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전도성 섬유에 의해 직조된 전극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면상발열체(650)는 복부에 온열효과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복대가 착용되었을 때 복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복대제어부는 대소변 감지부(500)로부터 소변 배출 신호를 수신하면 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면상발열체(650)를 제어하여, 복부에 온열효과를 제공한다.
벨크로 루프(670)가 복대부(600)의 일단에 위치하여, 복대부(600)의 다른 일단에 벨크로 후크(675)가 위치되어, 벨크로 루프(670)과 벨크로 후크(675)이 결합하여 복대부(600)를 복부에 착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벨크로에 의해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복부 둘레와 상관 없이 유연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복대 커넥터(680)는 대소변 감지부(600)의 커넥터부(680)에 연결되어지는 커넥터이다.
복대제어부(미도시)는 복대부(600)의 대소변 감지부(500)로부터 수신된 대변감지신호, 소변감지신호에 따라 자극전극 제어신호, 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복대제어부는 경우에 따라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에서 복대제어부의 역할 까지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별도의 복대제어부를 구비하지 않고 이의 기능을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의 기능에 포함시켜 구동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환자단말 연산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초기화 단계로, 환자단말 키입력부(993)에서 시작키가 온(ON)으로 수신됨에 따라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의 모든 플래그를 초기화한다(S110).
데이터 수신단계로, 환자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송수신부(995)를 거쳐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대변 검지여부, 소변 검지여부 등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환자단말 저장부(996)에 저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로 전송한다(S120).
혈압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로, 데이터 수신단계(S120)에서 수신된 혈압 신호가 혈압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혈압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로, 혈압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S130)에서 혈압신호가 혈압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6), 환 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이를 출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에도 전송한다(S140).
혈압 응급상황 검사단계로, 혈압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에서 혈압신호 또는 혈압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값을 가지고 혈압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2).
혈압 응급상황 알림단계로, 혈압 응급상황 검사단계(S142)에서 혈압이 응급상황이라면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6),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이를 출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에도 이를 전송한다(S144). 이때 중앙서버(100)는 이를 다시 의사단말부(2000)으로 알린다.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로, 데이터 수신단계(S120)에서 수신된 산소포화도 신호가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로,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S150)에서 산소포화도 신호가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6),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이를 출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에도 전송한다(S160).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검사단계로,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S160)에서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를 가지고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범위 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2).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알림단계로,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검사단계(S162)에서 산소포화도가 응급상황이라면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6),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이를 출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에도 이를 전송한다(S164). 이때 중앙서버(100)는 이를 다시 의사단말부(2000)으로 알린다.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로, 데이터 수신단계(S120)에서 수신된 심전도 신호가 심전도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로,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S170)에서 심전도신호가 심전도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6),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이를 출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에도 전송한다(S180).
심전도 응급상황 검사단계로,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S180)에서 심전도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를 가지고 심전도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82).
심전도 응급상황 알림단계로, 심전도 응급상황 검사단계(S182)에서 심전도가 응급상황이라면 표시부(992), 환자단말 저장부(996),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로 이를 출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995)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900), 중앙서버(1000)에도 이를 전송한다(S184). 이때 중앙서버(100)는 이를 다시 의사단말부(2000)로 알린다.
그후 다시 데이터 수신단계로 되돌아 간다.
도 9는 도 2의 환자휴대 연산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초기화 단계로, 환자휴대 키입력부(110)의 시작키가 온(ON)됨에 따라 대소변신호 연산처리부의 모든 플래그를 초기화한다(S210).
소변플래그 검사단계로, D/A변환기를 통해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소변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소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소변검출여부를 검사한다(S220).
발열체 구동단계로, 소변플래그 검사단계(S220)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소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A변환기를 통해 면상발열체 구동부로 전송한다(S230).
발열체온도 검사단계로, 면상발열체에 위치된 온도센싱부로부터 수신된 발열체온도신호가 기준온도와 비교한다(S240).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로, 발열체온도 검사단계(S240)에서 발열체온도신호가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소변플래그를 다시 검사하여 소변이 계속 배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S260), 소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되어 소변이 계속 배출되고 있으면 발열체 구동단계로 되돌아 간다.
온열 중지단계로, 발열체온도 검사단계(S240)에서 발열체온도신호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면상발열체 동작을 중지한다(S250).
소변완료 단계로,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소변이 배출되고 있지 않다면 면상발열체 구동을 중지하고, 소변완료 표시를 하며(S270), 소변 플래그를 클리어한다(S290).
대변플래그 검사단계로, 소변플래그 검사단계(S220)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D/A변환기를 통해 환자휴대 연산처리부(700)로 대변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대변플래그가 세트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대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대변검출여부를 검사하며(S310), 대변 플래그도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소변플래그 검사단계(S220)로 되돌아간다.
자극구동 단계로, 대변플래그 검사단계(S310)에서 대변플래그가 세트되어 대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극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A변환기를 통해 자극전극 구동부로 전송한다(S320). 이로써 자극전극이 구동하여 저주파 자극을 복부에 제공하게 한다.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로,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S330), 대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상태라면 여전히 대변이 배출되고 있는 중으로서 자극구동 단계(S320)로 되돌아 간다.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에서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대변이 완료되면, 자극전극의 구동을 정지하며 대변완료 표시를 하고(S340), 대변플래그를 클리어 한다(S350).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 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자 모니터링부와 간병인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대소변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대소변 감지부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대소변 감지부의 B-B'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대소변 감지부의 C-C'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복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의 환자단말 연산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2의 환자휴대 연산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Claims (24)

  1. 혈압 검출센서부,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 심전도 전극부, 대소변 감지부를 구비하여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환자 모니터링부;
    상기 환자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중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 즉, 기준범위 이탈 여부를 연산처리하여 판단하는 환자 단말부;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혈압 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의 기준범위 이탈여부를 수신하여 기준범위 이탈일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간병인단말기;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중앙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부는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가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들 신호가 각 응급범위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하여 응급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응급상황임을 상기 간병인단말기, 상기 중앙서버로 알리며,
    상기 중앙서버는 응급상황임을 의사단말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모니터링부는
    복부에 장착되며, 대변 신호 또는 소변 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 또는 면상발열체를 구동하는 복대부;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를 상기 환자 단말부로 무선 전송하는 환자 휴대단말;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대소변 감지부는 기저귀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대변감지센서부와 소변감지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휴대단말은
    대변 신호, 즉 대변이 검출되면 자극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복대부로 전송하며,
    소변 신호, 즉 소변이 검출되면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복대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인단말기는 대변 신호, 소변 신호를 알람, 빛, 진동 중에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인단말기는, 기준범위 이탈일 경우, 기준범위 이탈임을 알람, 빛, 진동 중에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인단말기는, 응급상황일 경우, 응급상황임을 알람, 빛, 진동 중에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대부에 대소변 감지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와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제 1도전선과 제 2도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도전선은 접지전위로 하여,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2도전선 사이에는 일정한 전위차(또는 전압)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감지센서부는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
    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3도전선;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3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환자의 대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대변이 배출될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대변 검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는
    상기 소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
    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4도전선;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4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환자의 소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소변이 배출될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소변 검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박막저항의 값은 제 1박막저항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2. 제5항에 있어서,
    대소변 감지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대소변 감지부를 복대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커넥터부를 적어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전극은 저주파 전극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4. 환자 모니터링부, 환자 단말부, 간병인단말기,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 단말부의 구동방법은
    환자 모니터링부로부터 혈압신호,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대변 신호, 소변 신호, 대변 검지여부, 소변 검지여부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고,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간병인 단말기,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혈압 신호가 혈압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혈압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
    상기 혈압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에서 혈압신호가 혈압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기준범위 이탈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혈압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
    상기 혈압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에서 혈압신호 또는 혈압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값을 가지고 혈압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혈압 응급상황 검사단계;
    상기 혈압 응급상황 검사단계에서 혈압이 응급상황이라면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 하는 혈압 응급상황 알림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산소포화도 신호가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
    상기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에서 산소포화도 신호가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기준범위 이탈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
    상기 산소포화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에서 산소포화도 신호 또는 산소포화도 기준범위값에서 벗어난 정도값을 가지고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검사단계;
    상기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검사단계에서 산소포화도가 응급상황이라면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산소포화도 응급상황 알림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심전도 신호가 심전도 기준범위값과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
    상기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검사단계에서 심전도신호가 심전도 기준범위값 내에 있지 않다면 기준범위 이탈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
    상기 심전도 기준범위이탈 알림단계에서 심전도 신호 또는 심전도 기준범위 값에서 벗어난 정도값을 가지고 심전도 응급상황 범위값과 비교하여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심전도 응급상황 검사단계;
    상기 심전도 응급상황 검사단계에서 심전도가 응급상황이라면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출력을 하고, 이를 환자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간병인 단말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심전도 응급상황 알림단계;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부의 구동방법.
KR1020080005186A 2008-01-17 2008-01-17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1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86A KR101112598B1 (ko) 2008-01-17 2008-01-17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86A KR101112598B1 (ko) 2008-01-17 2008-01-17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10A true KR20090079310A (ko) 2009-07-22
KR101112598B1 KR101112598B1 (ko) 2012-02-15

Family

ID=4129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186A KR101112598B1 (ko) 2008-01-17 2008-01-17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99B1 (ko) * 2021-10-28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881A1 (ko) * 2017-06-07 2018-12-13 주식회사 레드서브마린 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816B1 (ko) * 2000-04-03 2003-01-09 주식회사 유비케어 원격 의료 장치 및 방법
US20040100376A1 (en) * 2002-11-26 200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JP4525135B2 (ja) 2004-03-30 2010-08-18 ヤマハ株式会社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90005737A (ko) * 2007-07-10 2009-01-14 최성은 개인의료정보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99B1 (ko) * 2021-10-28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598B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US11064924B2 (en) Wearable ultrasound device for signalling changes in a human or animal body
ES2926481T3 (es) Métodos inalámbricos de alerta de úlceras por presión y sistemas de los mismos
KR101365591B1 (ko) 체온 측정기 및 이를 구비한 체온 측정 시스템
EP0770349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s
JP2003235813A (ja) 監視装置
US20140257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An Individual
JPH0880285A (ja) 監視装置
US10231640B2 (en) Device for detecting fullness of bladder
Digarse et al. Arduino UNO and GSM based wireless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patients
JP2019524409A (ja) 医療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100966040B1 (ko) 대소변 감지시스템
AU2017284764B2 (en) Diaper sensor device and system for diaper surveillance
KR100790000B1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JP2004130012A (ja) 生体信号強度測定方法、並びに就寝状態判定方法及び就寝状態監視装置
KR101112598B1 (ko)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US11504280B2 (en) Incontinence care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H01277558A (ja) 尿失禁監視装置
JPH09294762A (ja) おむつ用センサ
KR101547527B1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KR102116665B1 (ko) 휴대용 배변 감시 장치
KR100762993B1 (ko) 무선 간호 시스템
JP2018171387A (ja) 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