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868A - 디아실글리세롤 풍부 지방, 오일 및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디아실글리세롤 풍부 지방, 오일 및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868A
KR20110049868A KR1020117005796A KR20117005796A KR20110049868A KR 20110049868 A KR20110049868 A KR 20110049868A KR 1020117005796 A KR1020117005796 A KR 1020117005796A KR 20117005796 A KR20117005796 A KR 20117005796A KR 20110049868 A KR20110049868 A KR 20110049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at
dag
oils
f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네쉬 키쉬오레
Original Assignee
아분다 누트리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분다 누트리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분다 누트리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4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9/013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6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6Fatty acid esters
    • A21D2/165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5/00Butter; Butter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5/12Butter preparations
    • A23C15/126Butter containing a minority of vegetable oils; Enrichment of butter with fatty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9Other cheese preparations; Mixtures of cheese with other foodstuffs
    • A23C19/093Addition of non-milk fats or non-milk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15Non-milk proteins or fats; Seeds, pulses, cereals or soja; Fatty acids, phospholipids, mono- or diglycerides or derivatives therefrom; Eg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10Peanut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10 내지 90% DAG를 포함하고 실온에서 적어도 15% 고형물을 포함하는 요리 적용을 위해 유용한 지방 또는 오일이 기술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은 팜유, 팜핵유, 코코넛 오일, 해바라기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포도씨유, 쌀겨유, 참기름, 및 땅콩유,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유도되고, 소비 단위 당 혈청 LDL 감소, 혈청 HDL 증가, 전체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대사 증후군의 위험 감소, 당뇨병의 위험 감소, 태아 건강 향상, 인슐린 민감성 향상, 고혈압의 위험 감소 및 비만에 대한 내성 향상을 포함하는 건강 이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지방 또는 오일을 이용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또한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아실글리세롤 풍부 지방, 오일 및 기능성 식품 {DIACYLGLYCEROL RICH FATS, OILS AND FUNCTIONAL FOOD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문헌
본 출원은 미국가출원번호 제61/087,926호 (2008년 8월 11일 출원), 및 미국가출원번호 제61/087,991호 (2008년 8월 11일 출원)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각각의 문헌은 이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연방정부 후원에 의한 연구 또는 개발에 대한 진술
해당사항 없음.
콤팩트 디스크 상에 제출된 자료의 참조문헌에 의한 도입
해당사항 없음.
분야
본 발명은 조리 사용을 위해,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물, 의학적 보충물, 약제, 화장품 및 다른 관련 적용에서, 해바라기, 대두, 옥수수, 평지씨 및 높은 팔미트산 및/또는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의 다른 온대성 식물성 오일과 조합될 수 있는, 팜 또는 다른 트로피칼 식물성 오일로부터 유도되는,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건강-증진 디아실글리세롤-풍부 반고형 지방 및 오일을 제조하고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반고형 지방 및 오일은 1,2- 및 1,3-디아실글리세롤 분자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8-22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사슬 길이의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은 포화되거나 일부 포화된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반고형 지방 및 오일은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디아실글리세롤 분자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많은 식품 분야에서 트랜스 지방에 대한 대체물을 발견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트랜스 지방은 보다 포화된, 보다 높은 융점 고체 지방을 생산하기 위해 식물 오일(plant oil)을 일부 수소첨가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생산된다. 트랜스 지방산 ("TFA")은,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오일 및 지방이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첨가"될 때 생산된다. 수소첨가는 우선 불포화 지방의 용융 범위를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수많은 고체 지방 제형에 이들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불포화 지방 또는 오일이 완전 수소첨가될 때, 모든 불포화 지방산은 이들의 포화 유사체로 전환된다. 대부분의 식물성 오일에서의 불포화가 거의 18-탄소 지방산, 즉 올레산 (18:1, n-9), 리놀레산 (18:2, n-6), 및 리놀렌산 (18:3, n-3)이기 때문에, 이러한 오일의 완전 수소첨가는 스테아르산 (18:0), 즉 높은 용융 블록의 지방을 초래할 것이다. 촉매의 존재하에 일부 수소첨가는 TFA의 형성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것들은 트랜스 배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함유한 불포화 지방산의 기하 이성질체들이다. 이러한 트랜스 배열은 지방의 유동성 감소, 및 이에 의한 이의 융점의 증가를 포함하는 물리적 성질들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액체 오일의 일부 수소첨가는 고체 지방 제형에서 이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 도구이다. 이러한 트랜스 지방은 딥 프라잉(deep frying) 및 베이킹(baking)과 같은 적용을 위해 사용되지만, 이러한 공정의 생성물의 저장 수명을 연장시킨다. TFA는 통상적인 마가린, 베이커리 및 프라잉 지방, 식물성 쇼트닝, 및 바나스파티를 함유하는 식품에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인간 음식물(human diet)에 이들을 도입한 이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TFA를 함유한 일부 수소첨가된 지방은 고체 지방, 특히 마가린을 위한 바람직한 지방산으로서 주장되었다. 이러한 것들은 초기에 버터지방을 대체하도록 디자인되었으며, 심혈관 질환 ("CVD") 위험에 대한 포화 지방산 ("SFA")의 악영향에 대한 본 출원인의 지식의 진보와 함께, TFA는 안전한 대체물로서 분명하게 선전되었다. 그러나, 전세계의 보건 당국, 특히 FDA는 최근에 "나쁜" 저밀도 리포단백질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상승시키고 "좋은" 고밀도 리포단백질 ("H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상동맥 질환(coronary heart disease)을 증가시키는 이들의 능력으로 인하여 트랜스 지방의 소비를 0 내지 소량으로 감소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멘싱크(Mensink) 및 카탄(Katan)의 연구에서는 높은-TFA 음식물의 소비 후에 TFA가 전체 및 L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유익한 H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고 제안되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TFA 음식물이 대체하도록 디자인된 SFA-풍부 음식물 보다 나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간호사 건강 연구(Nurses Health Study)에서는 85,095명의 여성으로부터 역학적 데이타를 이용한 TFA 음식물의 효과를 설명하였으며, 이는 TFA와 관상동맥 질환 ("CHD")으로부터의 비-치명적 심근 경색의 발병률 간의 관계를 입증하였다. TFA와 CHD 간의 확실하고 상당한 관계는 명확하다. 마가린 및 쿠키를 포함하는, TFA의 주요 공급원인 식품은 또한 확실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CVD에 대한 상대적 위험은 TFA 소비의 결과로서 27%까지 증가되었다. 다른 연구들에서는 관련된 효소 활성, 및 면역 기능을 포함하는, 염증의 혈청 마커에 대한 TFA의 악영향을 나타내었다 [참조, Baer DJ, Judd JT, Clevidence BA, et al]. 식이 지방산은 조절된 음식물이 공급된 건강한 남성에서 염증의 혈장 마커에 영향을 미친다 [a randomized crossover study, Am J CIm Nutr 2004;79:969-73; de Roos NM, Schouten EG, Scheek LM, et al]. 식이 포화 지방의 트랜스 지방으로의 대체는 건강한 남성 및 여성에서 혈청 파라옥소나제 활성을 감소시킨다 [Metabolism 2002; 12: 1534-7; and Han SN, Leka LS, Lichtenstein AH, et al. Effect of hydrogenated and saturated, relative to polyunsaturated, fat on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of adults with moderate hypercholesterolemia. J Lipid Res 2002;43:445-52]. 이러한 연구에서는 TFA 소비와 CVD로부터의 발병률 및 사망률의 증가와의 명백한 관계를 입증하였다. 여기에서는 미국에서만 거의 80,000명의 사망이 TFA가 풍부한 식품의 계속적인 소비와 관련되었음을 입증하였다. 다른 최근의 연구에서는 TFA-풍부 음식물이 당뇨병의 위험성 및 발병률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다른 개념들은, TFA가 태아 발달 동안에 필수 지방산과 경합하기 때문에 심장 부정맥 및 발달중인 태아의 건강을 위한 근본적인 관계에 대한 TFA의 악영향을 포함한다.
천연 팜유는 서아프리카에서 유래된 열대종(tropical species)인 오일 팜 나무의 열매로부터 유래되지만, 현재 여러 종류들이 전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성장되고 있다. 팜 및 다른 열대작물 오일은 트랜스 지방을 대신하는 적용에 대해 유용한 성질들을 갖는다. 비교적 저가인 것에 추가하여, 팜유는 실온에서 반고체로서, 베이킹 및 식품 생산을 위해 매우 적합한 오일을 만든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에서의 의료 기관이 포화 지방의 일일 섭취를 낮출 필요성에 대해 소비자들을 교육시키려 할때 이의 높은 포화 지방 함량 (팜유의 경우에 50%, 팜핵유의 경우에 80%)이 바람직하지 않는다는 강력한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재포뮬레이션된 고체 지방은 증가된 함량의 SFA를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오늘날의 식품 산업에서의 주요 고려사항은 TFA와 SFA의 합계를 "콜레스테롤 상승(elevating)"으로서 계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요망되는 조리 성질들을 가지면서 보다 큰 건강 이득을 갖는 재포뮬레이션된 고체 지방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교시는 디아실글리세롤 ("DAG")-계열 반고형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양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DAG-계열 반고형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은 팜, 팜핵, 코코넛, 다른 열대성 식물, 온대성 식물 및 조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DAG-계열 반고형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은 비-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비-식물 공급원은 어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시는 본 발명의 DAG-계열 반고형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을 이용한 조리 및 식품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DAG-계열 반고형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이 제공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DAG-계열 반고형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을 포함한 요리 지방 및 오일(cooking fat and oil)이 제공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을 관리하고/거나 식후 및 금식 혈액 지질 수준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열대작물 오일로부터 유도된 DAG를 포함한 반고형 지방 또는 오일이 제공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이러한 오일은 팜유, 팜핵유, 코코넛 오일 및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을 갖는 오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지방 또는 오일은 포유동물에 의해 섭취될 때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구체예의 일 양태에서, 이러한 건강에 유익한 효과는 질환 상태의 개선을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이러한 질환 상태는 고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당증, 인슐린 내성, 식후 지질혈증, 및 대사 증후군의 다른 양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이러한 건강에 유익한 효과는 혈청 LDL의 감소, 혈청 HDL의 증가, 전체 혈청 콜레스테롤의 감소, 대사 증후군의 위험 감소, 당뇨병의 위험 감소, 태아 건강 향상, 인슐린 민감성 향상, 고혈압의 위험 감소,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감소, 및 비만에 내성의 향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양태에서,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는 시토카인, C-반응성 단백질 (CRP), 인터루킨-6 (IL-6),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 (MCP-1),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 인터루킨-18 (IL-18), 인터루킨-10 (IL-10), 혈청 아밀로이드 A (SAA), 피브리노겐, 세포간 부착 분자-1 (ICAM-1), 리포단백질-관련 포스포리파제-A2 (Lp-PLA2), 미엘로퍼옥시다제, CD40 리간드, 오스테오프로테게린, P-셀렉틴, 및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I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건강에 유익한 효과는 포유동물의 체중 감소 및 세포내 염증 마커의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추가적으로 중쇄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상술된 지방 또는 오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실온에서 적어도 15% 고형물을 포함하는, 10 내지 90% DAG를 포함하는 요리 적용을 위해 유용한 지방 또는 오일이 제공된다.
본 구체예의 일 양태에서, 본 지방 또는 오일은 20 내지 70% DAG를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 지방 또는 오일은 25 내지 60% DAG를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 지방 또는 오일은 30 내지 50% DAG를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 지방 또는 오일은 실온에서 20% 내지 60% 고형물을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 지방 또는 오일은 실온에서 22% 내지 50% 고형물을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 함유물은 팜, 팜핵, 코코넛, 다른 열대성 식물, 비-열대성 식물, 채소 및 조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로부터 유도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 함유물은 팜, 팜핵, 코코넛 및 높은-스테아레이트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오일로부터 유도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 함유물은 팜유로부터 유도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DAG-계열 반고형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은 비-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 성분 중의 포화 지방 함량은 이로부터 DAG 성분이 유도되는 모 스톡(parent stock)에 비해 5% 내지 30% 증가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 성분 중의 포화 지방 함량은 이로부터 DAG 성분이 유도되는 모 스톡에 비해 15% 내지 30% 증가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적어도 25% 1,3-DAG를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을 이용하여 조리되거나 제조된 식품의 식이성 소비는 소비 단위 당 혈청 LDL 감소, 혈청 HDL 증가, 전체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대사 증후군의 위험 감소, 당뇨병의 위험 감소, 태아 건강 향상, 인슐린 민감성 향상, 고혈압의 위험 감소,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감소, 및 비만에 대한 내성 향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건강 이득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 지방 또는 오일은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가 구성성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 조성물은 피토스테롤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지방 또는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쇼트닝, 베이커리 지방, 프라잉 지방, 코코아-버터 균등물, 코코아-버터 대체물, 마가린, 및 바나스파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료품들 중 하나를 포함하도록 포뮬레이션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식품 조성물은 쇼트닝을 포함하도록 포뮬레이션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조리되거나 제조된 제조 식품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케이크, 빵, 감미 반죽, 크림 필링, 아이스크림, 그라놀라 바, 페이스트리, 비-유제품 지방, 코팅 지방, 딥 지방 프라이, 쇼트닝, 코코아-버터 대체물, 특수한 지방(specialty fat) 및 베이커리 지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식품 조성물은 소비된 고형물 단위 당 향상된 저장 안정성, 향상된 에멀젼 안정성, 감소된 취성, 향상된 퍼짐성, 향상된 입안에서 녹는 느낌(melt-in-the-mouth sensation), 보다 높은 융점, 트랜스 지방산 함량의 감소, 소비된 고형물의 단위 당 감소된 PUFA 함량 감소, 산화에 대한 감소된 민감성, 향상된 질감, 기호성 향상, 윤활성 향상, 및 공기 트랩핑 용량 향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향상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특히, 식품 조성물은 비-지방 또는 저지방 생성물의 기호성, 구용성 및 관능 속성의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향상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식품 조성물은 향상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피검체에 상기 구체예들 중 임임의 구체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피검체에 대한 소비 단위 당 혈청 LDL 감소, 혈청 HDL 증가, 전체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대사 증후군의 위험 감소, 당뇨병의 위험 감소, 태아 건강 향상, 인슐린 민감성 향상, 고혈압의 위험 감소,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감소 및 비만에 대한 내성 향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건강 이득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제공된 건강 이득은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감소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을 갖는 오일은 12 중량% 이상의 스테아르산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을 갖는 오일은 해바라기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포도씨유, 쌀겨유, 참기름, 시어 버터(shea butter), 코코아 버터 및 땅콩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40% 내지 99% 1,3-DAG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50% 내지 95% 1,3-DAG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60% 내지 90% 1,3-DAG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적어도 70% 1,3-DAG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40% 내지 99% 1,2-DAG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50% 내지 95% 1,2-DAG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60% 내지 90% 1,2-DAG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은 적어도 70% 1,2-DAG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DAG는 8-22개의 탄소의 SFA를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는 8-18개의 탄소의 SFA를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SFA는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SFA는 대두, 해바라기, 카놀라/OSR, 시어 버터 및 코코아 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SFA는 높은 SFA 수준을 함유하도록 개질된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DAG는 1, 2, 또는 3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지방산은 18:1, 18:3, 18:4, 20:3, 20:4, 20:5, 및 22: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지방산은 오메가 3 및 오메가 6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불포화 지방산은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어류, 조류 및 식물은 불포화 지방산의 공급원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15%-99%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50%-99%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60%-99%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70%-99%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80%-99%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60%-99%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15% 내지 50%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20% 내지 50%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30% 내지 50%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40% 내지 50%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임의의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지방 또는 오일의 SFA 성분은 적어도 15%의 SF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의 다른 양태에서, SFA의 백분율은 지방산의 전체 수로 나누어진 SFA에 100을 곱한 지방산의 수이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비-지방 또는 저지방 생성물의 기호성, 구용성 및 관능 속성의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상된 특징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물과 배합된 10 내지 90% DAG를 포함하는 반고형 지방 또는 오일이 제공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및 지방은 어류, 조류, 채소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구체예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및 지방은 팜, 코코넛, 임의의 열대작물 오일, 해바라기, 옥수수, 대두, 평지씨 및 카놀라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구체예의 다른 양태에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및 지방은 18:1, 18:2, 18:3 (오메가 3 및 오메가 6 둘 모두), 18:4, 20:3, 20:4, 20:5 및 22:6 오메가 3 지방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또는 지방은 감마-리놀렌산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또는 지방은 스테아리돈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양태 및 장점,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하기 설명,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로 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하기에 기술된 도면이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도면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교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DAG vs TAG의 물질대사 경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대표적인 1,3- 및 1,2-디아실글리세롤의 화학적 구조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다양한 온도에서 수개의 조성물의 고체 지방 지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DAG-함유 화합물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시험하는 프로토콜의 도식화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DAG-풍부 오일 및 지방은 신체에서의 이들의 차별적인 대사로 인하여 향상된 영양가(nutritional value)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포화 지방의 감소는 포화 지방-함유 오일에 대한 우수한 건강 속성(health attribute), 예를 들어 식후 LDL 및 트리글리세리드 ("TAG") 수준의 감소를 제공하지만, 식품 및 요리 지방 및 오일 중에 트랜스 지방을 대체하는데 요구되는 고체 지방의 중요한 물리적 성질들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DAG-풍부 오일은 우수한 가정 및 상업적 요리 및 프라잉 오일에 대해, 그리고 다른 식료품에 도입을 위해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DAG-풍부 지방 및 오일은 에너지, 필수 지방산 및 지용성 비타민의 중요한 공급원을 제공하면서; 이러한 것들은 식품에 우수한 착향, 질감, 및 기호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의 구조 및 대사 프로필로 인하여, 이러한 것들은 식후 고지혈증, 인슐린 내성, LDL 및 HDL 혈액 수준과 같은 대사 증후군의 특정 마커를 다루기 위해 유익하다 [참조, Hidekatsu Yanai, Yoshiharu Tomono, Kumie Ito, Nobuyuki Furutani, Hiroshi Yoshida and Norio Tada, Diacylglycerol oil for the metabolic syndrome, Nutritional Journal 2007, 6:43]. 야나이 등(Yanai et al.)은 이전에 TAG와 DAG 대사 간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TGA와는 상반되게, 1,3- 및/또는 1,2-DAG는 이러한 것들이 소장강(intestinal lumen)을 통해 소화되고 흡수된 후에 완전히 재결합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후에, 유리 지방산은 간으로 이동되고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1) 대사 증후군 및/또는 CVD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2) 트랜스 지방-함유 쇼트닝 및 다른 반고형 지방을 대체하기 위해 반고형 팜 및 다른 지방 및 오일의 우수한 물리적 성질들을 이용하고; (3) 감소된 포화 TAG 함량을 특징으로 하는 팜유-계열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장 세그먼트를 개발하는 지방 및 오일 조성물을 발견하였다.
또한, 다른 열대작물 오일 중 팜핵유 및 코코넛 오일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MCT)의 풍부한 공급원이다. MCT는 중쇄 디아실글리세리드 (MCD)로 개질될 수 있다. MCD는 6개 내지 12개 범위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디아실글리세리드이다. 다른 디아실글리세리드와 같이, MCD는 소비될 때 지방과다증(adiposity)에 기여하기 보다는 에너지 요구를 위해 대사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출원인의 DAG-풍부 팜 및 팜핵-유래 오일 및 지방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MCD를 함유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DAG의 사용을 수반하는 LDL 중의 감소에 추가하여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중쇄 지질의 공지된 효과는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의 소비와 관련하여 건강 이득을 제공할 것이다.
천연 팜유는 대략 50% SFA (하나의 테이블 스푼 제공량에서 7g)이며, 천연 팜핵유는 대략 80% SFA (하나의 테이블 스푼 제공량에서 10g)이고, 4 내지 7.5%의 대략적인 DAG 함량을 갖는다. 본 출원인의 DAG-풍부 팜 및 팜핵-유래 오일 및 지방 조성물은 모 오일(parent oil) 보다 큰 DAG 함량을 갖는데, 대략 70% 1,3-DAG 및 30% 1,2-DAG를 함유한다 (1,3-DAG 및 1,2-DAG의 화학적 구조에 대한 도 2 참조).
본 출원인의 DAG-풍부 팜유 조성물은 또한 개선된 저장 수명 및 부패(stale)되는 것에 대한 저항을 특징으로 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DAG의 도입이 에멀젼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패 착향(stale flavor)과 관련되어 있는 화합물의 형성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DAG의 도입은 식품 매트릭스(food matrix)를 포함하는 전분 및 단백질에서 수분 활성도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부패 착향의 형성을 초래하는 공정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의 적용은 보다 건강에 좋은 고형 지방 프로필, 개선된 저장 수명, 및 부패 성질을 연구하는 광범위한 용도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들은 딥 지방 프라이, 쇼트닝, 및 과자 식품에서의 코코아-버터 대체물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본 출원인의 DAG-풍부 팜-유래 오일 및 지방 조성물이 과자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지방,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균등물, 코코아 버터 대체물, 토피 지방(toffee fat), 비-유제품 지장(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에서 사용), 크림 필링 지방, 베이커리 지방 (예를 들어, 케이크, 치즈케이크 파이, 페이스트리, 빵 등과 같은 디저트에서 사용), 및 일반 목적의 코팅 지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우수한, 보다 건강에 좋은 오일 생성물인 고가의 생성물이다. 이러한 용도는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딥-프라잉(deep-frying)은 거의 일반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중요한 식품 제조 및 가공 방법이다. 딥-프라잉 목적을 위하여, 오일 또는 지방은 매우 빠르게 산화하는 경향이 있는 리놀렌산의 낮은 다불포화 지방 ("PUFA") 프로필을 가져야 한다. 상업적 프라잉 작업은 주로 오일의 산화를 최소화하고 프라잉된 제품의 저장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액체 오일 보다 고체 지방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베이커리 지방을 포함한 쇼트닝은 식품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쇼트닝의 중요한 기능은 케이크 배터(cake batter)에서 빻거나 설탕과 함께 크림화 될 때 공기를 도입하고 이를 유지하는 능력이다. 공기의 트랩핑은 다공성 구조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크림 및 베이킹된 생성물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쇼트닝은 또한 윤활성에 기여하고 반죽물에 요구되는 최종 경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성질들은 적절한 고체 함량이 부족한 천연의 액체 오일에 의해 제공될 수 없다. 본 출원인의 DAG-풍부 팜 유래, 또는 다른 DAG-풍부 쇼트닝은 이의 반고형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건강 대체물을 제공한다. DAG-풍부 팜유를 포함하는 쇼트닝은 바람직하게 10-90%, 더욱 바람직하게 20-70%, 더더욱 바람직하게 25-60%, 및 가장 바람직하게 30-40% DAG-풍부 팜유로 다양하게 한다. 본 출원인의 DAG-풍부 함유 조성물은 실온에서 22-25% 고형물을 가지고, 쇼트닝을 안정화시키고 양호한 베이킹 성능에 도움이 된다. DAG-풍부 팜-계열 생성물로 가능한 다양한 트랜스-지방-부재 케이크 쇼트닝 중에서, 층 및 파운드 케이크, 감미 반죽, 빵 및 크림 충전물과 같은 특정 적용을 위한 여러 특별하게 디자인된 쇼트닝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또한 페이스트리 및 빵 지방으로서 우수하다.
상술된 식료품, 및 이러한 DAG-풍부 구성분을 함유한 다른 식료품은 또한 아이스크림, 냉동 디저트, 냉동 요거트 및 유사한 생성물과 같은 냉동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가린은 80% 이상의 지방, 16% 이하의 물을 함유하고 일반적으로 비타민 A로 강화된 액체 또는 가소성 에멀젼으로서 규정된다. 각각이 특정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포뮬레이션된 여러 타입의 마가린이 존재한다. 본 출원인의 DAG-풍부 팜-유래 오일 및 지방 조성물은 대체될 수 있는 천연 대응물 또는 TFA-풍부 마가린에 비해 우수한 보다 건강에 좋은 마가린을 제공한다. 이러한 것들은 과도한 오일 분리없는 에멀젼 안정성, 감소된 취성, 양호한 퍼짐성, 및 입안에서 부드럽게 녹는 능력을 포함하는 고급 마가린을 위해 필수적인 양호한 물리적 성질을 제공한다.
식물성 버터기름(ghee), 또는 바나스파티는 중동, 인도 준대륙, 아프카니스탄 및 동남 아시아의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주요 지방 공급원이다. 바나스파티의 지역적 선호의 차이는 특정 조리 실습에 따라, 완전히 매끄럽거나 까칠까칠한 범위의 생성물의 질감에 의해 확대된다. 바나스파티는 전통적으로 수소첨가화된 지방을 함유한 매우 높은 수준의 TFA를 포함한, 일정한 범위의 지방 배합물로 생산된다. 본 출원인의 DAG-풍부 팜-유도 오일 및 지방 조성물은 기본 구성성분 (최대 100%)으로서, 또는 다양한 소프트 오일(soft oil)과의 배합물로서 도입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저장 수명, 착향, 경도 또는 유익한 건강 성질들을 개선시키기 위해 여러 일반적인 가정용 식료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조성물은 땅콩 버터, 크림 치즈, 요거트 및/또는 쿠키에 도입될 수 있다.
"열대성 식물"은 코코넛, 코코아, 시어(shea) 및 팜 식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열대작물 오일"은 열대성 식물로부터 유도된 오일을 칭한다. "온대성 식물"은 본원에서 열대성 식물로서 정의되지 않은 모든 식물이다. "온대성 식물로부터의 오일" 및 "온대성 식물 오일(들)"은 온대성 식물로부터의 오일이다. "조류(들)"는 시아노박테리아를 포함하는 단세포 및 다세포 광합성 유기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가장 넓은 개념으로 해석된다.
1,3-DAG의 생산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다양한 생산 방법으로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팜유, 팜핵유, 코코넛 오일, 뿐만 아니라 해바라기, 옥수수, 대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오일과의 조합물은 트리글리세리드 모 오일의 글리세롤 골격 상의 하나의 지방산의 제거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디아실글리세랄 분자의 직접 합성에 의해 디아실글리세리드 ("DAG")로 개질될 수 있다. 팜유, 팜핵유 및 코코넛 오일과 같은 열대작물 오일 및 해바라기, 대두 및 옥수수유와 같은 가능한 다른 오일로부터의 디아실글리세리드 (DAG) 계열 (반)고형 지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술된다.
디아실글리세롤은 효소 또는 비-효소적 수단에 의한 방법을 포함하는 여러 방법들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AG 생산은 리파제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참조, Janni Brogaard Kristensen, Xuebing Xu and Huiling Mu, Diacylglycerol synthesis by enzymatic glycerolysis: Screening of commercially available lipases, J. Amer. Oil Chemists' Society, Vol. 82, No. 5, 2005, p.329-334]. 산업적 스케일로 DAG를 생산하기 위하여, 효소의 재사용이 유리하고, 여러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효소는 고정화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1,3-DAG의 수율 및 DAG의 순도 둘 모두는 반응 온도, 압력, 및 존재하는 효소의 양을 포함하는 실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온도 또는 사용되는 효소의 양의 증가는 1,3-DAG 생산속도의 증가를 야기시킬 수 있다. 진공은 1,3-DAG의 높은 수율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하다. 50℃에서 고진공(1 mmHg)의 조건하에서, 1.09 M 1,3-DAG는 1.29M 글리세롤 및 2.59 MFA로부터 84% 수율 및 90% 순도로 생산될 수 있다 [T. Watanabe, et al.]. 1,3-DAG의 리파제-촉매화된 합성을 위하여, n-헥산의 존재는 리파제 활성의 유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1,3-DAG 합성의 최적의 수율(40%)은 반응이 n-헥산/옥탄(1:1, v/v)로 수행될 때 얻어질 수 있다 [H.F.Liao, et al.].
중간체의 분리없이 두개의 주요 단계로 수행되는 팜유, 팜핵유 또는 가능한 다른 열대작물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sn-1,3-디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생촉매화된 합성이 수행될 수 있다.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ctica)(Novozym 435)로부터의 고정화된 비-위치특이적 리파제를 이용한 팜유, 팜핵유, 또는 가능한 다른 열대작물 오일의 에탄올분해는 글리세롤 (GIy) 및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FAEE)를 획득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 에탄올분해 생성물은 용매의 존재하에 또는 용매 부재 시스템인 상이한 반응 매질 중에서 상이한 시간 동안 상이한 온도(12, 25 및 40℃)에서 고정화된 및 비-고정화된 상이한 sn-1,3-위치특이적 리파제를 이용하여 다시 에스테르화될 수 있다. 리조무코 미에헤이(Rhizomucor miehei)(Lipozyme IM)로부터의 리파제는 스크리닝된 sn-1,3-특이적 리파제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이다 [F. Blasi, et al].
실시예
본 교시의 양태들은 하기 실시예에 비추어 추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교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디아실글리세롤(들),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들) 및 1,2-디아실글리세롤(들)은 다른 액체 DAG 오일 및/또는 고체 지방과 조합으로 투여되어 바람직한 대사 및/또는 심혈관 결과 및/또는 식후 및 금식 혈액 지질 수준의 유지를 형성시킨다.
일 구체예에서, 반고형 디아실글리세롤(들)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들) 및 1,2-디아실글리세롤(들)은 해바라기, 옥수수, 대두, 평지씨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은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 및/또는 높은 팔미트산 함량을 갖는 다른 지질 DAG 오일 및/또는 지방과 조합으로 투여되어 바람직한 대사 및/또는 심혈관 결과 및/또는 식후 및 금식 혈액 지질 수준의 유지를 형성시킨다.
다른 구체예에서, 디아실글리세롤(들)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들), 및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 조합물, 또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물질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식용 오일 및/또는 식용 지방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 내지 99 중량% 디아실글리세롤(들) 및 1 내지 99 중량%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를 포함하고, 임의적으로 모노글리세리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영양 보조물 및 구강으로 투여가능한 약제 제조물의 제조에서 식용 오일 및/또는 식용 지방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되거나, 추가적인 식용 지방에 분산되지 않는,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 (PSE)와 조합하여 팜유 및 팜핵유 및 가능하게 다른 열대작물 오일로부터 유도된, 디아실글리세롤(들),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 중의 피토스테롤 에스테르(들)는 임의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바타시토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캄페스테롤, 5-아베나스테롤 및 이들의 이성질체 및 유도체의 올레산 및 팔미트산 에스테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약 1:5 내지 약 5:1의 디아실글리세롤(들)과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의 몰비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들)의 양은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 7 내지 48 중량%이며, 조성물 중의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의 양은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 5 내지 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식용 오일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5 중량%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들) 및 25 중량% 전체 PSE로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식용 오일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5 중량%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들) 및 25 중량% 전체 피토스테롤 에스테르(들) (P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에서, 디아실글리세롤(들)과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간의 몰비는 바람지하게 약 1:5 내지 약 5:1이다. 일 구체예에서, 조합물에서 디아실글리세롤(들)의 양은 적어도 1 중량%이다. 또한, 약제 조성물에서,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의 조합한 양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1 중량%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 중에 포함된 조합물은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 7 내지 48 중량%의 양의 디아실글리세롤(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합물에서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의 양은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 5 내지 50 중량%이다.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올리고유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5 중량% DAG, 주로 1,3-아실글리세롤(들) 및 25 중량% 전체 PSE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디아실글리세롤(들)은 임의의 통상적인 효소 또는 비-효소 절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오일 및/또는 지방 중에 존재하는 피토스테롤(들)과 트리글리세리드(들) 간의 상호에스테르화 반응(inter-esterification)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들)는 임의의 통상적인 효소 또는 비-효소 절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조성물은 1 내지 99 중량% 디아실글리세롤, 1 내지 99 중량%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및 0 내지 50 중량% 모노글리세리드, 및 1 내지 99 중량% 트리아실글리세롤(들) 및 1 내지 99 중량%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조성물은 3 내지 50 중량% 디아실글리세롤, 7 내지 48 중량%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 및 2 내지 90 중량% 트리아실글리세롤(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지방 및 지방-부재 식품의 저장 수명, 착향, 경도, 구용성, 다른 관능 속성 또는 유익한 건강 성질들을 개선시키기 위해 여러 일반적인 가정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기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서 "하트라이트(Heartlite)"로서 칭하여지는 본 발명의 팜 DAG 조성물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땅콩 버터, 크림 치즈, 요거트, 베이커리 제품, 그라놀라 바 및 쿠키와 같은 식료품에 도입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설명:
1.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의 용기에 탕콩 버터를 배치시킴.
2. 초음파 안전 용기에 하트라이트를 배치시키고 액체가 될 때까지 용해시킴.
3. 초음파로부터 하트라이트를 제거하고 이를 탕콩 버터에 첨가함.
4. 탕콩 버터 및 하트라이트가 완전히 도입될 때까지 저속으로 혼합시킴.
5. 혼합물이 균일하게 되도록 용기의 측면을 주기적으로 문지름.
Figure pct00002
설명:
1. 크림 치즈 용기로부터 뚜껑 및 호일을 제거함.
2. 초음파에서 15초 동안 크림 치즈를 배치시켜 약간 가온시킴.
3.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의 용기에서 크림 치즈를 계량함.
4. 초음파처리가능한 용기에서 측정된 하트라이트를 배치시키고 액체가 될 때까지 초음파에서 가열시킴.
5. 백색 칼라가 되고 고형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하트라이트를 포크로 교반함.
6. 혼합기가 저속으로 서서히 작동하는 동안 크림 치즈에 하트라이트를 첨가함.
7. 크림 치즈 혼합물이 균일하고 하트라이트가 냉각될 때까지 계속 혼합시킴.
Figure pct00003
설명:
1. 실온이 될 때까지 버터를 연화시킴. 버터를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의 용기에 배치시킴.
2. 초음파 안전 용기에 하트라이트를 배치시키고 액체가 될 때까지 용해시킴.
3. 초음파로부터 하트라이트를 제거하고, 이를 거품을 낸 프로스팅(whipped frosting)의 경도가 될 때까지 교반함.
4. 연화된 버터에 하트라이트를 첨가하고, 크림화될 때까지 저속으로 혼합함.
5. 혼합물이 균일하게 되도록 용기의 측면을 주기적으로 문지름.
Figure pct00004
설명:
1. 블랜더에 측정된 요거트를 배치하고 요거트가 잘 회전하기에 충분히 길게 저속으로 배합함.
2. 초음파처리가능한 접시에 하트라이트를 배치시키고, 액체가 될 때까지 초음파처리함.
3. 초음파로부터 하트라이트를 제거하고 온도를 약간 상승시킴. 하트라이트가 고형화되지 않게 함.
4. 고속으로 혼합하는 동안에 용융된 하트라이트를 블랜더에 흘려보냄.
5. 모든 하트라이트를 도입한 후에 블랜더의 측면과 뚜껑을 문지름. 블랜더를 고속으로 돌리고, 45초 동안 혼합함.
Figure pct00005
설명:
1. 설탕, 버터, 당밀, 및 염을 혼합 용기에 배치시킴.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를 이용하여, 엷고 가볍게 될 때까지 구성성분을 크림화함.
2. 액체가 될 때까지 초음파에서 하트라이트를 용융시킴. 초음파로부터 제거하고 하트라이트가 연화된 버터의 경도를 갖을 때까지 일정하게 교반함.
3. 물에 베이킹 소다를 용해시킴. 옆에 셋팅함.
4. 달걀, 물 및 베이킹 소다를 크림화된 버터 혼합물에 서서히 흘려보냄. 액체가 도입된 후에 기계를 정지시키고 용기를 문지름. 저속으로 바꾸고 30초 이상 동안 혼합함.
5. 밀가루 및 바닐린을 체질함.
6. 혼합기를 정지시키고, 밀가루, 초콜렛 칩, 및 바닐린을 첨가함. 합쳐질 때까지 저속으로 혼합함.
7. 4분 후에 쿠기를 회전시키면서 8-10분 동안 베이킹시킴.
Figure pct00006
설명:
1. 설탕, 염, 및 연화된 버터를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의 용기에 배치시킴.
2. 엷고 가볍게 될 때까지 설탕 혼합물을 중간 속도로 크림화함.
*3. 액체가 될 때까지 초음파에서 하트라이트를 용융시킴. 초음파로부터 제거하고, 하트라이트가 거품을 낸 프로스팅의 질감이 될 때까지 하트라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함.
4. 크림화된 버터/설탕 혼합물에 하트라이트를 첨가하고, 하트라이트가 도입되고 혼합물이 다시 엷고 가벼워질 때까지 계속 혼합함.
6. 혼합기가 저속인 동안에, 달걀, 배 퓨레, 및 버터밀크를 서서히 첨가함. 용기를 문지르고 다시 혼합하여 바터를 균일하게 만듬.
7. 바닐린, 밀가루 및 베이킹 소다를 체질함.
8. 체질된 밀가루 혼합물을 바터에 첨가하고 합쳐질 때까지 교반함.
9. 컵케이크 틴 (양피지 라이너로 라이닝됨)을 전체의 2/3까지 채우고 300℃에서 12-15분 동안 또는 완료될 때까지 베이킹시킴.
* 단지 하트라이트를 포함한 샘플에 대한 지시.
참조: 바터를 양피지 라이너로 라이닝된 컵케이크에 분배하고, 15분 동안 베이킹시킴. 컵케이크 틴을 베이킹 내내 절반쯤 회전시킴. 각 샘플을 개별적으로 베이킹시킴.
Figure pct00007
설명:
1. 사과의 껍질을 벗기고 과심을 도려내고, 4등분함. 당근 껍질을 벗김.
2. 분쇄기 부착물이 장착된 로보컵을 이용하여, 사과 및 당근을 분쇄함. 옆에 셋팅함.
3. 밀가루, 계피, 클로브(shred) 및 베이킹 소다를 큰 혼합 용기에 체질함. 체질된 구성성분들에 라이스 크리스피(Rice Krispies)를 첨가함.
4. 설탕, 염, 및 오일을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의 용기에 배치함.
*5. 액체가 될 때까지 초음파에서 하트라이트를 용융시킴. 지방이 고형화되고 거품을 낸 프로스팅의 질감이 될 때까지 하트라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함.
6. 하트라이트, 설탕, 오일 및 염을 크림화함.
7. 크림화된 하트라이트에 달걀 및 바닐라를 서서히 첨가함. 필요한 경우에 용기의 측면을 문지름.
8. 분쇄된 사과 및 당근을 달걀 혼합물에 첨가함.
9. 도입될 때까지 우유 중에서 교반함.
10. 체질된 구성성분을 첨가하고 도입될 때까지 교반함.
11. 2 oz의 바터를 페이퍼 라이너로 라이닝된 머핀 틴(muffin tin)에 분배하고 15분동안 또는 완료될 때까지 베이킹함.
Figure pct00008
설명:
1.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의 용기에 쇼트닝, 설탕 및 염을 배치시키고, 매끄럽고 배합될 때까지 혼합함.
*2. 액체가 될 때까지 초음파에서 하트라이트를 용융시킴. 지방이 고형화되고 거품을 낸 프로스팅의 질감이 될 때까지 하트라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함.
3. 쇼트닝 혼합물에 하트라이트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될 때까지 크림화함.
4. 밀가루 및 베이킹 소다를 중간정도의 혼합 용기에 체질함. 귀리(oat) 및 올브란(All-Bran)을 첨가함. 모든 구성성분들을 잘 도입시킴.
5. 작은 혼합 용기에 달걀을 약하게 휘저음.
6. 크림화된 버터 혼합물에 커피 및 달걀을 서서히 첨가함. 모든 구성성분이 균질하게 도입될 때까지 용기의 측면을 문지름.
7. 건조 구성성분들을 첨가하고 도입될 때까지 교반함.
8. 기름을 칠하고 3 하프 호텔 팬에 뿌림.
9. 제조된 팬 상에 바터(batter)를 가압함.
10. 10분 동안 베이킹하고, 팬을 회전시키고, 10 분 이상 동안 또는 완성될 때까지 오븐에 다시 넣음.
Figure pct00009
설명:
1. 패들이 장착된 스탠드 혼합기의 용기에 쇼트닝, 설탕 및 염을 배치시키고, 매끄럽고 배합될 때까지 혼합함.
*2. 액체가 될 때까지 초음파에서 하트라이트를 용융시킴. 지방이 고형화되고 거품을 낸 프로스팅의 질감이 될 때까지 하트라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함.
3. 쇼트닝 혼합물에 하트라이트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될 때까지 크림화함.
4. 밀가루 및 베이킹 소다를 중간정도의 혼합 용기에 체질함. 귀리(oat) 및 올브란(All-Bran)을 첨가함. 모든 구성성분들을 잘 도입시킴.
5. 작은 혼합 용기에 달걀을 약하게 휘저음.
6. 크림화된 버터 혼합물에 커피 및 달걀을 서서히 첨가함. 모든 구성성분이 균질하게 도입될 때까지 용기의 측면을 문지름.
7. 건조 구성성분들을 첨가하고 도입될 때까지 교반함.
8. 기름을 칠하고 3 하프 호텔 팬에 뿌림.
9. 제조된 팬 상에 바터(batter)를 가압함.
10. 10분 동안 베이킹하고, 팬을 회전시키고, 10 분 이상 동안 또는 완성될 때까지 오븐에 다시 넣음.
실시예 2
본 발명자들은 15 g/일의 팜 또는 팜핵 DAG 지방을 포함한 식사가 모 지방 (팜 또는 팜핵)과 비교하여 중간정도의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체에서 지질 및 리포단백질 프로필을 개선시키는 지를 측정하였다 (도 4).
중간정도로 상승되거나 상승된 (하기 참조) L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갖는 개체 (n=20)를 제어된 공급 연구를 위해 모집하였다. 상기 연구는 무작위적인 2-주기 블라인드 크로스-오버 디자인(randomized, 2-period, blinded cross-over design)이다 (하기 다이아그램 참조). 전체 연구 동안에, 둘 모두의 그룹은 대조 백그라운드 식사를 섭취하였으며, 모든 식품이 급식 시기 동안 제공되었다. 4주의 각 처리 시기 동안에, 식사 그룹, 팜유 (PO) 또는 팜유 DAG (POD)에 따라 상이한 지방이 레시피(즉, 스프레드, 땅콩 버터, 크림 치즈)에 도입될 것이다. 상기 연구의 개시시에 및 이틀에 한번씩 각 식사 시간 후에, 참가자들에게서 체혈하고 체중 및 혈압(BP)를 체크하였다. 제 2 식사 기간의 개시 전에 2 주 이상 중단하는 경우에, 베이스라인을 설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체혈을 수행하였다. 적절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추가 검정 (염증 마커)에 대해 제외된 분취량과 함께 지질 프로필에 대해 샘플을 평가하였다.
참가자들은 건강한 30-60세의 남성 및 여성으로서, 이들은 중간정도로 상승된 LDL-C (120-175 mg/dL) 또는 상승된 LDL-C (> 175 img/dL) 및 30-50 mg/dL의 HDL-C 및 120-350 mg/dL의 트리글리세리드를 갖는다. 본 연구를 위하여, Harris-Benedict 방정식에 의해 2100-3000의 총칼로리 수준/일이 요구되는 참가자들을 선택하였다. 이는 모든 참가자들에 대해 15-20 g에서 시험 시장의 일일 용량을 허용할 것이다. 참가자들이 흡연자이고 당뇨병을 가지고 임산부이거나 임신한 것으로 예상되고 적어도 6달내에 젖을 분비한 경우에 피검체에서 제외하였다. (비록 스타틴이 참가자에 대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인식되지만) 스타틴을 포함한 콜레스테롤-저감 약제를 섭취한 사람들을 제외하였다. 혈압 강하 약제는 참가자가 조절된 BP, ≤ 140/90 mmHg를 갖는 경우에 허용할 수 있다.
식사 디자인: 백그라운드 조절 식사는 현재 식사 권고사항(current dietary recommendation) - 과일 및 채소 높음, 전곡(whole grain), 낮은 지방 식사, 및 살코기를 충족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다량 영양소 프로필은 하기와 같다: 25-32% 전체 지방, 15-18% 단백질, ~55% CHO, 10g/1000 kcal 섬유/일 및 식이성 콜레스테롤 < 300 mg/일. 시험 식사는 시험 지방을 포함한, 모든 공급원으로부터의 포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의 <10%를 제공한다. 15 g 시험 지방 용량은 2100-2400 kcal 수준에 대해 셋팅된 것이다. 15 g PO 또는 POD 식사의 경우에, 15 g의 모 지방에 대해 15 g의 POD 지방이 대체된다. 이러한 방법은 DAG 지방 대 모 지방의 효과가 명확하게 시험되도록 지방의 다른 모든 공급원에 대해 조절한다. 식사 또는 약간의 스낵을 섭취하는 날에, 참가자는 DAG 또는 모 지방 함유 생성물을 섭치하는 것으로, 즉 "비히클로서 지방 "용량"을 제공받는다. 참가자들은 2회의 4주 시기 각각 동안에 이들 모든 식품을 섭취한다. 식품은 다이어트 센터 직원(Diet Center Staff)에 의해 참가자들을 위해 제조되고 취득되고 패킹된 것이다. 참가자들은 1주일에 5회 (월요일부터 금요일) 다이어트 센터에 와서, 선택된 하나의 식사 (감도하에)를 섭취하고, 편리한 시간 및 장소에서 패킹된 다른 식사/스낵을 섭취하였다. 주말용 식사를 집에서 소비하기 위해 패킹하였다. 참가자들은 다른 식품을 섭취하지 말 것을 지시받았다. 식사 준수 체크는 질문서를 통해 매일 이루질 것이다.
1차 종료점은 본 연구가 지질 및 리포 단백질 프로필 (TC, LDL-C, HDL-C, TG)인 것이다 (도 4).
데이타 분석: 데이타를 대조군, 모 지방 및 시험 지방에 대한 차이를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다. 종료점에 대한 처리 간의 현저한 차이 및 다양한 종료점 간의 상호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표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이 팜 DAG 및 팜핵 DAG을 조성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한 일반적인 분석 방법은 문헌[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AOCS) Methods, 4th Edition (1990)]에 기술되어 있다.
외형을 평가하였다.
수분을 Karl-fisher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Karl-fisher 시험은 샘플에서 소량의 수분을 정량화하는 표준 적정이다.
유리 지방산을 AOCS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Ca 5a-40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퍼옥사이드 수치를 또한 AOCS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Cd 8-53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지방산 조성물의 위치 분석을 sn-1,3 특이적 리파제와의 췌장 가수분해로 결정하였다.
sn-2 모노아실글리세리드 (MAG)를 분석하기 위해, sn-1,3 위치 지방산을 효소 반응 sn-1,3 특이적 리파제로 글리세롤 골격으로부터 분리하였다. sn-1,3-리파제 반응으로부터의 sn-2 MAG 및 유리 지방산(FFA)을 함유한 반응 혼합물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LC)로 분리하였다. sn-2 MAG를 TLC 플레이트로부터 수거하고, 지방산 조성물에 대한 AOCS 프로토콜에 따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C)로 분석하였다.
글리세리드 조성물을 또한 분석하였다. TAG, 1,3-디아실글리세리드, 1,2-디아실글리세리드, MAG 및 FFA를 분리하기 위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증발 광산란 검출기 (ELSD)와 함께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의 결과를 다시 계산하여 표준 곡선을 기초로 하여, 완전한 조성의 백분율로서 각 글리세리드를 나타내었다.
28.8%의 sn-2 MAG에서의 SFA 함량은 상술된 바와 같이 얻어졌다.
이러한 분석을 Agilent 1100 HPLC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컬럼은 Alltima Silica 5u (250 mm x 4.6 mm, 5 ㎕, Alltech)이었다. 검출기는 Alltech ELSD이었으며, 분석 소프트웨어는 Chemstations이었다.
표 1: 팜 DAG의 지방산 조성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표 2: 팜핵 DAG의 지방산 조성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실시예 4
팜핵 DAG, 비개질된 팜핵유 및 비개질된 팜유의 고체 지방 지수를 AOCS Cd 10-57을 기초로 한 방법 (변형됨)을 이용하여 온도 범위에 따라 결정하였다. 상기 방법은 10℃에서 50 또는 그 미만의 고체 지방 지수를 갖는 오일 및 지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마가린 오일, 쇼트닝, 수소첨가된 베이스 스톡(hydrogenated base stock) 및 다른 지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고체 지방 지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시험 조건 하에서 지방의 용융 프로필을 실험적으로 결정한다. 고체 지방 지수는 특정 온도에서 합한 액체 및 고체 상과 관련된 특정 부피로부터 계산되며, 이는 샘플의 ml/kg에서의 계산된 지방 확장/팽창(fat expansion/dilation)을 이용한다.
도 3은 하기 표 3 내지 표 5에 나타낸 데이타를 그래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y-축은 3개의 조성물 각각의 고체 지방 지수를 도시한 것이다. 온도는 x-축 상에 플롯팅되었다.
표 3: 다양한 온도에서 팜핵 DAG의 고체 지방 지수
Figure pct00014
표 4: 다양한 온도에서 팜핵유의 고체 지방 지수
Figure pct00015
표 5: 다양한 온도에서 팜유의 고체 지방 지수
Figure pct00016
표 3 내지 표 5, 및 도 5에서의 데이타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팜핵 DAG 조성물이 대조 지방과 비교하여 바람직한 고체 지방 지수를 가짐을 나타내고 있다.
팜핵 DAG의 고체 지방 지수는 DAG 조성물을 현재 사용되는 대체 지방에 비해 식료품 도입에 대해 보다 유용하게 한다. 팜핵 DAG 조성물은 대체 지방과 비교하여 바람직한 고체 지방 지수를 갖는다. 이러한 고체 지방 지수 프로필은 대체 지방과 동일한 질감을 달성하기 위해 DAG 조성물의 보다 적은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팜핵 DAG 조성물은 요리시에 현재 사용되는 다른 지방에 비해 보다 균일한 고체 지방 지수 프로필을 갖는다. 이러한 보다 균일한 고체 지방 지수 프로필은 다른 지방에 비해 보다 넓은 온도 범위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을 허용한다.
DAG 조성물의 높은 융점은 지방을 함유하는 식료품의 생성 또는 저장에서 유용할 수 있다. 많은 지방 함유 식료품의 전통적인 조성물은 보다 높은 온도에서 제조되거나 저장될 때 용융되거나 질감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다 높은" 온도는 대략 25℃의 표준 실온에서 보다 단지 약간 "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DAG 조성물과 함께 제조된 식료품은 이러한 "보다 높은" 온도에서 제조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온도에서 향상된 저장-수명을 갖는 개선된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팜핵 DAG 조성물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보다 높은 고체 지방 지수를 가지고 보다 높은 온도에서 보다 낮은 고체 지방 지수를 갖는다. 이러한 속성들의 조합은 저장-안정성 식료품에서 팜핵 DAG의 사용을 허용함과 동시에 소비시에 구강내의 바람직한 용융 질감을 제공한다. 낮은 융점 (단지 40℃에서 0 보다 약간 높은 고체 지방 지수에 의해 예시됨, 표 3)은 또한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용융되는 바, 식품에 팜핵 DAG 조성물이 보다 용이한 도입을 허용한다.
실시예 5
DAG 함유 지방 및 오일의 추가적인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구체예에서, 팜유로부터 유도된 DAG가 제공된다. 상기 DAG는 1,3-DAG 또는 1,2-DAG일 수 있다. 상기 DAG는 15% 내지 99% SF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AG는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팜핵유로부터 유도된 DAG가 제공된다. 상기 DAG는 1,3-DAG 또는 1,2-DAG일 수 있다. 상기 DAG는 15% 내지 99% SF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AG는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열대성 식물로부터 유도된 DAG가 제공된다. 상기 DAG는 1,3-DAG 또는 1,2-DAG일 수 있다. 상기 DAG는 15% 내지 99% SF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AG는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온대성 식물로부터 유도된 DAG가 제공된다. 상기 DAG는 1,3-DAG 또는 1,2-DAG일 수 있다. 상기 DAG는 15% 내지 99% SF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AG는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조류로부터 유도된 오일로부터 유도된 DAG가 제공된다. 상기 DAG는 15% 내지 99% SF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AG는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2-DAG 및 1,3-DAG를 포함하며, 여기서 1(3) 및 2 위치, 또는 1,2 및 1,3 위치 모두에서 사슬 길이가 8-18개의 탄소 원자인 SFA일 수 있다. 이러한 SFA는 임의의 공급원, 예를 들어 팜, 코코넛, 임의의 열대작물 오일, 대두, 해바라기 및 카놀라 오일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들 중 임의의 오일은 높은 SFA 수준을 함유하도록 개질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DAG 조성물은 DAG의 1(3) 또는 2 위치에 18:1, 18:2, 18:3 (오메가 3 및 오메가 6 둘 모두), 18:4, 20:3, 20:4, 20:5 및 22:6 오메가 3 지방산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FA는 어류, 조류 및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입수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DAG 함유 조성물은 요망되는 최종 조성물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오일 및/또는 지방과 배합될 수 있다. DAG 함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는 다른 오일 및 지방의 비제한적인 예는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DAG 함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는 오일 및 지방은 어류, 조류 및 채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입수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오일 공급원의 특정한 비제한적인 예는 팜, 코코넛, 임의의 열대작물 오일, 해바라기, 옥수수, 대두, 평지씨 및 카놀라 오일을 포함한다.
DAG 함유 배합물에 포함될 수 있는 지방산의 특정한 비제한적인 예는 감마-리놀렌산 (γ-리놀렌산, "GLA") 및 스테아리돈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방산은 자체적으로 건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GLA는 18:3 (오메가-6) 필수 지방산이다. 이는 주로 식물-유래 오일에서 발견된다. GLA는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 GLA의 리튬염인 Li-GLA는 시험관내에서 HIV-감염된 T 세포를 파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바, HIV 감염증의 치료에서 유용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 2상 임상 시험 중에 있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은 오메가-3 지수(index)를 증가시키고 심장 질환에 대한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아리돈산 (또한 모록트산이라 칭함)은 18:4 (오메가-3) 필수 지방산으로서, 이는 EPA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 제안되었다. 이는 알파-리놀렌산으로부터 효소 델타-6-데사투라제에 의해 생합성된다. 스테아리돈산의 공급원은 대마(hemp), 블랙커런트(blackcurrant) 및 에키움(echium)의 종자 오일, 및 시아노박테리아 스피루리나(cyanobacterium spirulina)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실행에 있어 당업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본원에 기술되고 청구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예들이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의 예시로서 의도된 바, 본원에 기술된 특정 구체예에 의해 그 범위에 있어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의 균등한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제로,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발명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는 본 독창적인 발견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는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인용된 참고문헌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공개문, 특허, 특허출원, 및 다른 참고문헌들은, 각 개개 공개문, 특허, 특허출원 또는 다른 참고문헌이 모든 목적을 위해 이의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명확하고 개별적으로 명시되는 것과 동일한 범위로 모든 목적을 위해 이들의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원에 기술된 참고문헌의 인용문은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고백(admission)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48)

  1. 열대작물 오일(tropical oil)로부터 유도된 디아실글리세롤 ("DAG")을 포함하는 반고형 지방 또는 오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팜유, 팜핵유(palm kernel oil), 코코넛 오일, 및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을 갖는 오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 또는 오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이 포유동물에 의해 섭취될 때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방 또는 오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질환 상태의 개선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상태가 고지혈증(hyperlipidemia),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emia), 고혈당증(hyperglycemia), 인슐린 내성, 식후 지질혈증(postprandial lipemia), 및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 또는 오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포유동물의 체중감소 및 하나 이상의 세포내 염증성 비만 바이오마커, 예를 들어 시토카인, C-반응성 단백질 (CRP), 인터루킨-6 (IL-6),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 (MCP-1),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 인터루킨-18 (IL-18), 인터루킨-10 (IL-10), 혈청 아밀로이드 A (SAA), 피브리노겐, 세포간 부착 분자-1 (ICAM-1), 리포단백질-관련 포스포리파제-A2 (Lp-PLA2), 미엘로퍼옥시다제(myeloperoxidase), CD40 리간드, 오스테오프로테게린, P-셀렉틴, 및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II의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 또는 오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쇄 디글리세리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8. 실온에서 15% 이상의 고형물을 포함하는, 10 내지 90% DAG를 포함한 요리 적용을 위해 유용한 지방 또는 오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이 20 내지 70% 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이 25 내지 60% 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이 30 내지 50% 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이 실온에서 20% 내지 60% 고형물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이 실온에서 22% 내지 50% 고형물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14. 제 8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AG 함유물이 팜(palm), 팜핵(palm kernel), 코코넛, 및 고-스테아레이트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오일로부터 유도되는 지방 또는 오일.
  15. 제 14항에 있어서, DAG 함유물이 팜유로부터 유도되는 지방 또는 오일.
  16. 제 8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AG 성분 중의 포화 지방 함량이, 이로부터 DAG 성분이 유도되는 모 스톡(parent stock)에 비해 15% 내지 30% 감소되는 지방 또는 오일.
  17. 제 16항에 있어서, DAG 성분 중의 포화 지방 함량이 DAG 성분이 유도되는 모 스톡에 비해 15% 내지 30% 감소되는 지방 또는 오일.
  18. 제 8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이 25% 이상의 1,3-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19. 제 8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을 이용하여 조리되거나 제조된 식품의 식사 소비(dietary consumption)가 소비 단위 당 혈청 LDL 감소, 혈청 HDL 증가, 전체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대사 증후군의 위험 감소, 당뇨병의 위험 감소, 태아 건강 향상, 인슐린 민감성 향상, 고혈압의 위험 감소,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감소 및 비만에 대한 내성 향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건강 이득(health benefit)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지방 도는 오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가 시토카인, C-반응성 단백질 (CRP), 인터루킨-6 (IL-6),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 (MCP-1),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 인터루킨-18 (IL-18), 인터루킨-10 (IL-10), 혈청 아밀로이드 A (SAA), 피브리노겐, 세포간 부착 분자-1 (ICAM-1), 리포단백질-관련 포스포리파제-A2 (Lp-PLA2), 미엘로퍼옥시다제, CD40 리간드, 오스테오프로테게린, P-셀렉틴, 및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I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21. 피토스테롤(phytosterol) 및 피토스탄올(phytost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 구성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 8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방 또는 오일 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토스테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조성물.
  23. 제 8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방 또는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쇼트닝(shortening), 베이커리 지방(bakery fat), 프라잉 지방(frying fat), 코코아-버터 균등물(cocoa-butter equivalent), 코코아 버터 대체물(cocoa butter replacer), 마가린, 및 바나스파티(vanaspat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료품 중 하나를 포함하도록 포뮬레이션되는 식품 조성물.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쇼트닝을 포함하도록 포뮬레이션되는 식품 조성물.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의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조리되거나 제조된 제조 식품(prepared food)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로서, 케이크, 빵, 감미 반죽(sweet dough), 크림 필링(cream filling), 크림 치즈, 페이스트리(pastry), 비-유제품 지방, 및 코팅 지방, 딥 지방 프라이(deep fat fry), 코코아-버터 지방, 냉동 식품, 아이스크림, 냉동 디저트(frozen dessert), 냉동 요거트, 땅콩 버터, 크림 치즈, 그라놀라(granola), 바(bar), 및 쿠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품 조성물.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케이크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27.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향상된 저장 안정성, 향상된 에멀젼 안정성, 감소된 취성, 향상된 퍼짐성, 향상된 입안에서 녹는 느낌(melt-in-the-mouth sensation), 보다 높은 융점, 소비된 고형물의 단위 당 감소된 트랜스 지방산 함량, 소비된 고형물의 단위 당 감소된 PUFA 함량 감소, 산화에 대한 감소된 민감성, 향상된 질감, 향상된 기호성, 향상된 윤활성, 및 향상된 공기 트래핑 용량(air trapping capacit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상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향상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
  29. 피검체에 제 23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피검체에 소비 단위 당 혈청 LDL 감소, 혈청 HDL 증가, 전체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대사 증후군의 위험 감소, 당뇨병의 위험 감소, 태아 건강 향상, 인슐린 민감성 향상, 고혈압의 위험 감소,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감소 및 비만에 대한 내성 향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건강 이득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과 관련된 염증성 바이오마커가 시토카인, C-반응성 단백질 (CRP), 인터루킨-6 (IL-6),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 (MCP-1),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 인터루킨-18 (IL-18), 인터루킨-10 (IL-10), 혈청 아밀로이드 A (SAA), 피브리노겐, 세포간 부착 분자-1 (ICAM-1), 리포단백질-관련 포스포리파제-A2 (Lp-PLA2), 미엘로퍼옥시다제, CD40 리간드, 오스테오프로테게린, P-셀렉틴, 및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I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 2항에 있어서,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을 갖는 오일이 12 중량% 이상의 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32. 제 2항에 있어서, 높은 스테아르산 함량을 갖는 오일이 해바라기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포도씨유, 쌀겨유(rice bran oil), 참기름, 및 땅콩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 또는 오일.
  33. 제 8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이 40% 내지 99% 1,3-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34. 제 8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이 50% 내지 95% 1,3-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35. 제 8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이 60% 내지 90% 1,3-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36. 제 8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또는 오일 중의 DAG 성분이 70% 이상의 1,3-DAG를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37. MUFA, PUFA, 중쇄 지방산 및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물과 배합된 10% 내지 90% DAG를 포함하는 반고형 지방 또는 오일.
  38. 제 37항에 있어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및 지방이 어류, 조류(algae), 채소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는 지방 또는 오일.
  39. 제 38항에 있어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또는 지방이 팜, 코코넛, 임의의 열대작물 오일, 해바라기, 옥수수, 대두, 평지씨(rapeseed), 및 카놀라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는 지방 또는 오일.
  40. 제 37항에 있어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및 지방이 18:1, 18:2, 18:3 (오메가 3 및 오메가 6 둘 모두), 18:4, 20:3, 20:4, 20:5 및 22:6 오메가 3 지방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41. 제 37항에 있어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또는 지방이 감마-리놀렌산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42. 제 37항에 있어서, DAG-함유 조성물과 배합된 오일 또는 지방이 스테아리돈산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43. 제 37항에 있어서, DAG 오일이 1,2-DAG 및 1,3-DAG를 포함하며, 1(3) 및 2 위치 중 한 위치, 또는 1,2와 1,3 위치 모두에서, DAG가 8-18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의 SFA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44. 제 37항에 있어서, SFA가 팜, 코코넛, 임의의 열대작물 오일, 대두, 해바라기 및 카놀라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유도되는 지방 또는 오일.
  45. 제 37항에 있어서, DAG 조성물이 DAG의 1(3) 또는 2 위치에 18:1, 18:2, 18:3 (오메가 3 및 오메가 6 둘 모두), 18:4, 20:3, 20:4, 20:5 및 22:6 오메가 3 지방산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46. 제 37항에 있어서, DAG 조성물이 감마-리놀렌산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47. 제 37항에 있어서, DAG 조성물이 스테아리돈산을 포함하는 지방 또는 오일.
  48. 제 23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지방 또는 저지방 생성물의 증가된 기호성, 구용성(mouth feeling), 및 관능 속성(sensory attribu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상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
KR1020117005796A 2008-08-11 2009-08-11 디아실글리세롤 풍부 지방, 오일 및 기능성 식품 KR201100498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92608P 2008-08-11 2008-08-11
US8799108P 2008-08-11 2008-08-11
US61/087,926 2008-08-11
US61/087,991 2008-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868A true KR20110049868A (ko) 2011-05-12

Family

ID=4166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796A KR20110049868A (ko) 2008-08-11 2009-08-11 디아실글리세롤 풍부 지방, 오일 및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23497A1 (ko)
KR (1) KR20110049868A (ko)
CN (1) CN102176834A (ko)
BR (1) BRPI0917949A2 (ko)
CA (1) CA2733569A1 (ko)
MX (1) MX2011001673A (ko)
WO (1) WO2010019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6224A1 (en) * 2008-08-11 2011-07-07 Kishore Ganesh M Diacylglycerol rich fats, oils and functional foods
US8183227B1 (en) 2011-07-07 2012-05-22 Chemo S. A. France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nutrition supplementation
CA2843196A1 (en) * 2011-08-03 2013-02-07 University Of Guelph Novel 1,3-diacylglycerol (1,3-dag) for hard fat applications
JP5975784B2 (ja) 2011-08-22 2016-08-23 花王株式会社 ハードバター
JP5925637B2 (ja) 2011-08-22 2016-05-25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US8168611B1 (en) 2011-09-29 2012-05-01 Chemo S.A. France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nutrition supplementation
JP6166984B2 (ja) * 2012-09-04 2017-07-19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MY175278A (en) * 2012-12-13 2020-06-18 Sime Darby Malaysia Berhad Bakery shortenings from palm diacylglycerol
CN104322714A (zh) * 2014-09-24 2015-02-04 刘道鸣 半固态食用植物油
CN110141564A (zh) * 2019-06-06 2019-08-20 广东省农业科学院蚕业与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富含多不饱和脂肪酸的甘油酯混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160991B (zh) * 2019-06-18 2021-12-14 山东艾科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散射比浊法测定血清淀粉样蛋白a含量的试剂盒
CN116042736A (zh) * 2023-02-24 2023-05-02 江南大学 一种甘油二酯的酶法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0783B1 (en) * 2000-08-08 2006-10-11 Kao Corporation Oil/fat composition
IL155136A0 (en) * 2003-02-10 2003-10-31 Enzymotec Ltd A composition for reducing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US20060233863A1 (en) * 2003-02-10 2006-10-19 Enzymotec Ltd.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s and unit dosage forms thereof for use in therapy
US20080069932A1 (en) * 2004-04-28 2008-03-20 Kao Corporation Oil or Fat Composition
EP1890767A2 (en) * 2005-05-27 2008-02-27 Pfizer Products Inc. Combination of a cannabinoid-1- receptor-antagonist and a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inhibitor for treating obesity or mainataining weight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01673A (es) 2011-08-12
CA2733569A1 (en) 2010-02-18
WO2010019598A1 (en) 2010-02-18
EP2323497A1 (en) 2011-05-25
BRPI0917949A2 (pt) 2015-08-18
CN102176834A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868A (ko) 디아실글리세롤 풍부 지방, 오일 및 기능성 식품
US7514472B2 (en) Fat or oil composition
US7008661B2 (en) Oil/fat composition
US7090886B2 (en) Oil/fat composition
JP4031219B2 (ja) 油脂組成物
US7056949B2 (en) Oil/fat composition
JP2002322490A (ja) 油脂組成物
EP1544281B1 (en) Fat composition
JP3752127B2 (ja) 油脂組成物
Dupont et al. Saturated and hydrogenated fats in food in relation to health.
JP3997043B2 (ja) 油脂組成物および油脂加工品
Gurr Lipids and nutrition
US20110166224A1 (en) Diacylglycerol rich fats, oils and functional foods
JP2004075653A (ja) 体脂肪分解促進剤および飲食物
JP2001064169A (ja) Pai−1低下剤
JPWO2004022051A1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薬活性化受容体調整剤
JP2007045789A (ja) 食後高インスリン血症改善剤
WO2004080209A1 (ja) 血清レムナント様リポタンパク濃度調整剤
JP2023055836A (ja) 血管内皮機能の改善用組成物
WO2002102169A2 (en) Synthetic fat composition
SHAIK EFFECT OF RICE BRAN OIL SPREAD (RBO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QUALITY OF BAKED PRODUCTS
Lai et al. 10Trans Fatty Acids and Trans-Free Lipids
JP2006062973A (ja) LDL−C及びLp(a)低下剤
JPS6043347A (ja) 油脂含有加工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