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755A -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755A
KR20110049755A KR1020110029244A KR20110029244A KR20110049755A KR 20110049755 A KR20110049755 A KR 20110049755A KR 1020110029244 A KR1020110029244 A KR 1020110029244A KR 20110029244 A KR20110029244 A KR 20110029244A KR 20110049755 A KR20110049755 A KR 2011004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ng
transaction
account
bil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김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영 filed Critical 김보영
Priority to KR102011002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755A/ko
Publication of KR2011004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요금, 지로대금, 전화요금, 전기요금, 상하수도요금 및 제세공과금 등(이하 "공과금"이라 한다)을 청구하고 납부하는 모든 공과금거래를 통장 하나로 수행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과금거래용도로 공과금통장을 구성하고, 납부자에게 고지된 각종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하고, 상기 고지된 청구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납부하고, 상기 청구내역과 납부내역을 거래가 발생한 순서대로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고지서 없이 통장만으로 모든 공과금거래가 가능하고, 금융기관의 모든 점포 및 온라인상의 모든 공간에서 거래수행이 가능하고, 계좌거래방식을 채택함으로서 각종 주변기술의 응용 및 접목이 용이하고,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을 이용함으로서 거래의 안정성이 담보되는 장점 및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The System for billing and paying every tax and utility charge by using the customer's utility passbook as the intermedium}
본 발명은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공과금을 고지하고 납부하는 모든 공과금거래를 통장 하나로 처리할 수 있도록, 납부자에게 고지된 각종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을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하고, 상기 고지된 청구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납부하고, 상기 모든 고지/납부내역을 거래가 발생한 순서대로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및 인터넷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금융기관의 금융거래기법이 날로 첨단화 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공과금을 납부하는 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초래되고 있다.
90년대 초반까지 주류를 이루던 금융기관의 창구수납이 점차 자취를 감추고 대신 무인수납기계, 현금자동지급기, 인터넷 및 이메일 등을 이용한 새로운 납부방식이 빠른 속도로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과금 수납과정을 축약적으로 도시한 납부과정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납부방법은 그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실물고지서에 기재된 내용을 인식할 수 있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납부하는 방법이다.
CD/ATM기와 같은 금융기관의 자동화기기에 스캐닝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스캐닝장치를 통해 고지서의 내용을 읽어 들임으로서 납부하는 방법 및 현재 금융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무인수납기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는, 실물고지서에 특정한 기능을 부가한 뒤,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납부하는 방법이다.
여기에 속하는 기술로는 실물고지서에 바코드를 기재하고, 무인자동화기기에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리더기를 설치하여 실물고지서의 내용을 보다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바코드를 이용한 수납방법 및 특정의 고지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고지서에 고유의 전자번호를 부여하고 자동화기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번호로 납부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는, 전자고지서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납부하는 방법이다.
통신망을 통해 전자고지서를 수령하고 열람한 후 결제 승인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납부방법과 이메일을 통해 전자고지서를 수령한 후, 페이먼트 게이트웨이 등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는 이메일을 이용한 납부방법 및 현재 금융결제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터넷지로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결국 다음과 같은 공통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공과금을 납부하는데 있어, 고지서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또한 고지서에 모든 정보(고지정보, 징수기관정보 등)가 등재되어 있는 관계로, 그것이 실물고지서이던 전자고지서이던 간에 고지서가 없으면 원천적으로 거래가 불가능하다.
둘째로, 실물고지서를 이용하면 이용공간이 오프라인으로 제한되고, 전자고지서를 이용하면 이용공간이 온라인으로 제한되어 납부자의 이용공간에 대한 선택권이 박탈된다.
셋째로, 거래방식이 고지서를 기반으로 한 단순수납방식인 관계로 금융기관의 방대한 인프라를 이용하기가 어렵고, 또한 주변기술이 아무리 발달하더라도 이를 응용하고 접목시켜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넷째로, 무인수납기계를 설치하거나 기존의 자동화기기에 별도의 기계적인 장치를 부착해야 하는 관계로 많은 자금과 시간의 투자를 필요로 한다.
다섯째로, 공과금을 청구하고 납부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히스토리 관리가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모든 공과금거래를 통장으로 수행하고, 수행된 모든 결과를 통장으로 관리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금융기관의 방대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장 하나로 공과금을 고지하고 납부하는 모든 공과금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과금거래용도로 공과금통장을 구성하고, 납부자에게 고지된 각종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하고, 상기 고지된 청구내역을 고지서없이 상기 공과금통장만으로 납부하고, 상기 청구내역과 납부내역을 거래가 발생한 순서대로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개서버를 중심으로, 금융기관의 금융서버, 단말기, 전산원장 및 징수기관의 청구서버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된 시스템 환경에서, 거래금융기관을 통해 공과금통장에 가입하고 통장고지를 신청한 고객에게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거래금융기관을 통해 공과금통장에 가입한 고객(이하 “납부자”라 한다)으로부터 통장고지가 신청되면, 상기 납부자 또는 거래금융기관을 통해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 계좌정보를 수신한 뒤,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통장고지대상자로 분류하고, 상기 통장고지가 신청된 공과금과 관련하여 이용요금이 발생할 때마다, 통장고지를 위한 청구내역 데이터(이하 “통장고지데이터”라 함)를 작성하여 중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그 수납결과를 수신하여 수납처리 하는 청구서버; 상기 청구서버로부터 통장고지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통장고지데이터에 포함된 납부자의 공과금통장 계좌번호를 기준으로 이를 해당 금융기관별로 분류한 뒤 해당 금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서버로부터 그 수납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징수기관의 청구서버로 전송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통장고지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통장고지데이터로부터 청구일자, 공과금의 명칭, 이용자명, 청구금액 및 납기일을 포함하는 필요한 항목에 대한 정보를 발췌하고, 이를 거래원장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뒤, 상기 통장고지데이터에 명시된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 거래원장에 청구거래내역으로 등록하고, 이후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공과금통장에 의한 거래가 발생하거나 통장정리가 요청되면, 상기 등록된 청구거래내역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로부터 납부거래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공과금통장의 계좌번호와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고객원장에 설정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상계좌인지를 인증하고, 정상계좌로 확인되면 상기 공과금통장의 거래원장으로부터 납부가 가능한 미결제 청구거래내역을 발췌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 뒤, 납부하고자 하는 하나이상의 항목과 이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수단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안내에 따라 하나이상의 항목과 결제수단이 선택되고 수납이 요청되면, 상기 선택된 결제수단에 의해 수납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수납된 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의 거래원장에 납부거래내역으로 등록한 뒤, 상기 납부거래내역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고, 상기 수납결과를 상기 중개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로부터 신청거래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청구원장에 저장된 통장고지데이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거래번호에 해당하는 상세고지내역을 발췌한 뒤, 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미리 정해진 양식으로 인쇄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로부터 조회거래메뉴가 신청된 경우에는, 거래원장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거래내역을 발췌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금융서버; 상기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공과금통장에 부여된 계좌번호로 공과금통장을 식별하고, 상기 공과금통장 관련 서비스메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금융서버와 공과금통장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금융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및 상기 금융서버의 물리적 저장공간에 부가하여 공과금통장의 개설정보 및 거래내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공과금통장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분류 및 저장하는 전산원장;을 포함하되, 상기 공과금통장은 그 내지가 공과금의 청구 및 납부 관련 거래내역을 기장하기에 적합하도록 다수의 행과 거래일, 공과금의 명칭, 이용자명, 청구금액, 납부금액, 납기일 및 기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열 항목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과금통장을 이용하여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청구내역을 고지하고, 고지서없이 상기 공과금통장만으로 공과금을 납부하고, 상기 청구/납부내역을 통장에 체계적으로 기장하여 관리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과 효과가 있다.
첫째로 고지서가 불필요하고, 둘째로 모든 금융기관의 모든 점포 및 온/오프라인상의 모든 공간에서 거래가 가능하고, 셋째로 고지서를 기반으로 한 단순 수납방식이 아닌 계좌거래방식을 채택함으로서 기술의 발전 가능성은 물론 주변기술의 접목이 손쉬우며, 넷째로 모든 거래가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에 의해 수행되고 금융기관에 의해 관리됨으로 거래의 안정성이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납부자의 입장에서는 일반 예금거래와 마찬가지로 금융기관의 방대한 인프라를 이용한 온라인거래, 네트거래, 타행거래는 물론 온/오프라인상의 모든 공간에서 계좌번호만으로 거래가 가능하고, 거래내역이 전산원장에 의해 체계적으로 관리되므로 일일이 영수증을 챙기지 않아도 계좌번호만 알고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조회가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을 통해 거래함으로 거래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거액의 신규투자 없이 기존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으로서 대고객 이미지 제고는 물론 양질의 저코스트 자금조달 증대에 따른 손익증대 및 공과금 이용고객을 제도금융권 안으로 유인함으로서 거래기반이 크게 확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징수기관의 입장에서도 대고객 민원 감소, 징수관리비 경감에 따른 손익증대 및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에 의해 모든 거래가 수행되고 관리되므로 안정적인 징수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과금 납부과정을 도시한 납부과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의 구성을 도시한 통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의 서비스메뉴 화면을 예시한 메뉴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통장고지 신청과정을 도시한 통장고지신청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공과금통장으로 청구내역을 고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과금고지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상세고지내역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납부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납부거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납부과정을 단말기의 화면을 이용하여 도시한 화면 진행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자동납부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자동납부거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인 만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의 구성을 도시한 통장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B100)은 일반 예금통장과 마찬가지로 앞표지(B110)와 뒤표지(B130) 및 다수의 내지(B120)가 일체로 제본되고, 앞표지(B110)의 겉면에는 통장명칭이 부기되며, 앞표지(B110)의 내면에는 납부자성명, 공과금계좌번호 및 계좌발급정보 등이 기재되고, 뒤표지(B130)에는 공과금계좌의 정보가 내장된 마그네틱스트라이프 또는 IC칩 등의 정보저장수단이 부착된다.
또한 공과금통장(B100)의 내지(B120)의 각 면은 다수의 행(Row)과 거래일, 거래번호, 공과금의 명칭, 청구금액, 납부금액, 납기일, 취급점 등의 열 항목에 의한 다수의 열(Column)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과금통장(B100)의 규격, 내지의 면수, 행수, 열수 및 정보저장수단의 부착위치 등은 해당 금융기관의 전산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과금통장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과금통장의 가입대상자는 하나 이상의 공과금(제3자명의 포함)을 납부하는 납부자라면 누구나 가능하고, 동일인의 명의로 여러 개의 통장을 개설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과금통장(B100)에는 금융기관의 계좌번호체계에 의한 공과금계좌번호를 부여하며,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수행하는 모든 공과금거래는 상기 공과금계좌번호로 수행되고, 상기 공과금통장 관련 모든 데이터는 전산원장(D100)에 의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과금통장(B100)은 상기 공과금계좌번호를 기본계좌로 하고, 납부자의 수시로 입금/출금거래가 가능한 다른 예금계좌를 연결계좌로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과금통장을 개설하면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정보가 기록된 공과금카드가 별도로 발급되며, 상기 공과금카드는 납부자명의의 현금카드, 직불카드, 신용카드 등의 타 카드와 겸용카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공과금통장이 예금통장과 다른 점은, 예금통장의 경우에는 예금의 입금과 예금의 출금을 거래구성요소로 하는 반면, 공과금통장의 경우에는 공과금의 청구와 공과금의 납부를 거래구성요소로 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다수의 징수기관으로부터 납부자에게 고지되는 각종 청구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의 차변거래(또는 청구거래)로 처리하고, 상기 차변거래(청구거래)와 관련하여 납부자가 납부한 납부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의 대변거래(또는 납부거래)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예금통장의 경우에는, 입금/출금거래가 모두 예금주에 의해 수행되는 반면, 공과금통장의 경우에는 청구거래(차변거래)는 금융기관에 의해 수행되고 납부거래(대변거래)는 납부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상기 청구거래(차변거래)는 거래의 성격상 납부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거래내역을 공과금통장에 기장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공과금통장의 차변거래(청구거래)는 공과금통장 내지(B120)의 열 항목중 거래일, 거래번호, 공과금의 명칭, 청구금액, 납기일을 포함하는 차변계정에 기장하고, 공과금통장의 대변거래(납부거래)는 거래일, 공과금의 명칭, 납부금액, 취급점을 포함하는 대변계정에 기장하며, 상기 청구거래와 납부거래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거래가 발생한 순서대로 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란 바로 상기 공과금통장을 이용하여, 납부자에게 정기/비정기적으로 부과되는 각종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을 실물고지서가 아닌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하고, 상기 고지된 공과금을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납부하고, 상기 청구내역과 납부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납부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기(M100), 금융서버(S100), 전산원장(D100) 및 다수의 청구서버(S3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M100)는 납부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채널로서, 현재 금융기관에서 운영하는 각종 단말기의 기능에 상기 공과금통장(B100)을 식별하고, 납부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서비스메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금융서버와 서비스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M100)는 상기 금융서버(S100)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장치이면 그 종류와 수에 제한이 없으며, OTM단말기, CD/ATM기, 인터넷뱅킹, 폰뱅킹, 모바일뱅킹, TV뱅킹 등과 같은 금융기관 단말기와 상기 인터넷뱅킹, 폰뱅킹, 모바일뱅킹, TV뱅킹 등을 이용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 유무선전화기, PDA, TV 등과 같은 납부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M100)가 공과금통장(B100)을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공과금통장 또는 공과금카드에 부착된 정보저장수단으로부터 공과금계좌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공과금계좌번호로 해당 공과금통장을 식별하거나 상기 단말기(M100)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공과금계좌번호로 해당 공과금통장(B100)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융서버(S100)는 금융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M100)와 연결하고, 전용선, 인터넷망을 통해 다수의 청구서버(S300)와 연결하며, 다수의 단말기(M100)를 제어하고, 상기 청구서버(S300)로부터 납부자에게 정기/비정기적으로 부과되는 각종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청구내역으로부터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할 정보를 발췌한 뒤, 이를 거래원장(D100)에 청구거래로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청구거래를 해당 납부자의 공과금통장(B100)에 자동기장 되도록 하여 납부자에게 고지하고, 상기 단말기(M100)의 서비스메뉴를 통해 서비스가 요청되면, 신청거래, 납부거래, 조회거래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3에서는 금융서버(S100)를 편의상 하나의 장치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운영함에 있어서는 인터넷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WEB서버, 폰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ARS서버 및 모바일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WAP서버 등을 추가하여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금융기관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 하나의 메인서버에 다수의 보조서버를 연결하여 운영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산원장(D100)은 본 발명의 공과금통장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분류/저장하며, 고객원장, 청구원장, 거래원장, 통장고지신청원장, 예약원장, 자동납부원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산원장(D100)은 상기 금융서버(S100)에 장착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금융서버(S100)에 부가된 물리적 저장공간에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금융서버(S100)에 의해 등록, 검색, 수정, 삭제,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를 가지며,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적당한 필드 또는 엘리먼트를 갖는다.
상기 고객원장에는 납부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 인적사항 및 공과금계좌번호, 비밀번호, 개설일자, 개설점 등 통장개설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청구원장에는 본 발명의 공과금통장서비스에 의해 상기 금융서버(S100)가 다수의 청구서버(S300)로부터 수집한 각종 청구내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거래원장에는 본 발명의 공과금통장서비스에 의해 수행된 모든 청구거래 및 납부거래내역이 저장된다.
상기 통장고지신청원장에는 본 발명의 공과금통장서비스에 의해 통장고지가 신청된 공과금에 대한 상세정보 및 납부자의 공과금계좌정보를 포함한 통장고지 신청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예약원장에는 본 발명의 공과금통장서비스에 의한 예약납부가 신청된 청구거래에 대한 예약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자동납부원장에는 본 발명의 공과금통장서비스에 의한 자동납부대상 공과금의 상세정보 및 출금계좌정보 등을 포함한 자동납부신청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청구서버(S300)는 각종 요금, 지로대금, 제세공과금 등 각종 공과금에 대한 청구, 수납, 관리 등 징수업무를 수행하는 서버(예를 들어, 한전서버, 통신공사서버, 국세청서버, 아파트관리소서버 등)로, 상기 금융서버(S100)와 연결하여, 금융서버(S100)로부터 통장고지 신청정보를 접수하면, 이를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통장고지 대상자로 분류/관리하고, 상기 통장고지대상 납부자에게 공과금 청구사유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계좌번호가 포함된 청구내역을 작성하여 금융서버(S100)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서버로부터 상기 공과금에 대한 수납결과를 전송받아 납부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단말기(M100), 금융서버(S100), 전산원장(D100) 및 다수의 청구서버(S300) 외에 중개서버(S200)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중개서버(S200)는 상기 다수의 청구서버(S300) 및 금융서버(S100)와 연결하는 가운데, 상기 다수의 청구서버(S300)와 금융서버(S100) 상호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릴레이 하거나, 상기 청구서버(S300)와 금융서버(S10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이 다수이고 이에 따라 다수의 금융서버(S100)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중개서버(S2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 훨씬 더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N100)는 다수의 단말기(M100)와 금융서버(S100)는 금융기관의 전용선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고, 금융서버(S100)와 다수의 청구서버(S300)는 전용선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개서버(S20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금융서버(S100)와 중개서버(S200)는 전용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중개서버(S200)와 다수의 청구서버(S300)는 전용선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메뉴의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단말기(M100)의 서비스메뉴는 신청거래메뉴, 납부거래메뉴 및 조회거래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청거래메뉴는 상세고지서신청메뉴를 부메뉴로 갖고, 상기 납부거래메뉴는 조회납부거래메뉴와 지정납부거래메뉴를 부메뉴로 가지며, 상기 조회거래메뉴는 청구거래조회메뉴, 납부거래조회메뉴, 미결제청구거래조회메뉴, 납부가능한 미결제청구거래조회메뉴 및 미기장거래조회메뉴를 각각 부메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청거래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간략하게 고지된 각종 청구거래내역에 대한 상세고지내역을 열람하거나 인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납부거래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청구내역이 고지된 각종 공과금을 납부할 수 있으며, 상기 조회거래메뉴를 선택하면, 청구거래내역, 납부거래내역, 미결제 청구거래내역, 납부가능한 미결제청구거래내역, 미기장거래내역 등 각종 거래내역에 대한 조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장고지 신청과정을 도시한 통장고지신청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납부자에게 부과된 각종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을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떤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을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할 것인지가 결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통장고지신청은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할 공과금의 종류를 지정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납부자가 납부하고 있는 각종 공과금 중에서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납부하고자 하는 공과금의 종류를 지정한 뒤, 공과금통장(B100)을 개설한 금융기관에 통장고지를 신청한다(S101).
여기서, 통장고지신청은 상기 금융기관에 신청하거나 또는 해당 징수기관에 직접 신청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통장고지를 신청할 수 있는 공과금의 종류는 납부자 본인명의 또는 납부자가 실질적으로 이용요금을 납부하는 제3자명의의 공과금이 모두 가능하고, 정기/비정기적으로 부과되는 모든 공과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금융기관에 신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신청정보(공과금계좌정보 및 공과금의 상세정보)가 단말기(M100)를 통해 금융서버(S100)로 전송되고(S102), 상기 전송된 내용이 상기 금융서버(S100)에 의해 통장고지신청원장에 등록된다(S103)
이어서, 상기 금융서버(S100)가 상기 등록된 신청정보를 해당 청구서버(S300)로 전송하면(S104), 해당 청구서버(S300)가 이를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S105), 통장고지 대상자로 분류/관리한다(S106)
여기서, 상기 금융서버(S100)가 상기 통장고지 신청정보를 해당 청구서버(S300)로 전송하는 단계(S104)부터의 과정은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며, 상기 과정을 생략하더라도, 상기 금융서버(S100)가 상기 청구서버(S300)로부터 수집한 각각의 청구내역에 대한 납부자의 공과금계좌번호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통지고지신청에 의해 대상공과금의 종류가 미리 지정되는 관계로 충분히 식별이 가능하다.
이어서, 납부자가 징수기관에 직접 신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청구서버(S300)가 납부자로부터 인지한 공과금계좌정보를 고객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S105), 통장고지 대상자로 분류/관리한다(S106).
한편, 상기 통장고지신청은 최초 한번만 수행하면 이를 해지하지 않는 한 계속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부자에게 고지된 각종 청구내역을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통장고지를 신청한 공과금과 관련하여 이용요금이 발생하면, 상기 청구서버(S300)가 상기 부과된 청구내역정보를 상기 금융서버(S100)로 전송한다(S201).
여기서, 상기 금융서버(S100)로 전송되는 청구내역정보에는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계좌번호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만약, 상기 통장고지 신청과정에서, 상기 통장고지 신청정보를 해당 청구서버(S300)로 전송하는 과정(S104)을 생략하여 상기 청구내역정보에 납부자의 공과금계좌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금융서버(S100)에 의해 상기 각각의 청구내역정보에 납부자의 공과금계좌번호를 부가시키는 작업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청구서버(S300)로부터 수령한 청구내역정보를 청구원장(D100)에 저장하고(S202), 상기 저장된 청구내역으로부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할 정보를 발췌한 뒤(S203), 이를 거래원장(D100)에 청구거래로 등록한다(S205).
여기서,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고지하기 위해 상기 청구내역으로부터 발췌되는 정보에는, 납부자가 통장에 기장된 내용만 보고도 해당 청구거래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청구일자, 이용자명(실제명의자), 공과금의 명칭, 납기내일자, 납기내금액, 납기후일자, 납기후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고, 이밖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청구내역으로부터 발췌되는 정보의 데이터 형식, 내용 및 크기 등은 당연히 상기 거래원장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정의된 요건과 부합하여야 할 것이며, 그렇지 못한 경우, 이를 상기 정의된 요건과 부합하도록 수정(이하 "표준화된 서식으로의 변환"이라 한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거래원장(D100)에 등록되는 각각의 청구거래에는 상기 금융서버(S100)에 의해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고유의 거래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거래원장(D100)에 청구거래로 등록되면, 상기 금융서버(S100)에 의해 해당 납부자에게 청구거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문자메시지(SMS) 또는 이메일이 발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금융서버(S100)에 연결된 단말기(M100)로부터 상기 공과금통장(B100)에 의한 거래가 발생하면, 상기 금융서버(S100)가 상기 거래원장(D100)에 등록된 청구거래내역을 상기 단말기(M100)로 전송하여(S206), 상기 공과금통장(B100)에 자동기장 되도록 함으로서(S207) 상기 납부자에 의해 열람 및 확인된다(S208).
여기서, 상기 납부자가 공과금통장(B100)으로 고지된 청구거래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기(M100)에 의한 자동기장 외에도, 상기 납부자가 단말기(M100)를 통해 통장기장거래를 수행하여 청구거래내역을 통장에 기장하거나 또는 거래내역조회를 통해 열람 및 확인하는 것이 모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상세고지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주지하다시피, 본 발명에 의해 공과금통장(B100)으로 고지되는 청구내역은 공과금통장(B120)의 하나의 행(Row)에 기장할 수 있는 정도의 간략한 내용으로 구성되고, 별도의 실물고지서가 제공되지 않는 관계로 납부자가 공과금통장으로 고지된 청구내역에 대한 상세고지내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M100)를 통해 이를 조회하거나 인쇄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상세고지서에는 실물고지서에 기록된 거의 모든 주요고지정보가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단말기(M100)에 공과금계좌번호와 비밀번호를 인식시키고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메뉴로부터 상세고지서신청메뉴를 선택한다(S301)
여기서, 상기 단말기(M100)에 공과금계좌번호를 인식시키는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공과금통장(B100) 또는 공과금카드를 삽입(또는 접촉)하면, 상기 공과금통장 또는 공과금카드에 부착된 정보저장수단으로부터 공과금계좌번호가 판독됨으로서 인식이 가능하게 되고, 무통장 또는 무카드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공과금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함으로서 인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단말기(M100)로부터 납부자의 공과금계좌번호, 비밀번호 및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금융서버(S100)로 전송되면(S302), 상기 금융서버가 고객원장을 검색하여 정상계좌여부를 인증하고(S303), 정상계좌로 확인되면 상세고지서를 제공할 대상 청구거래의 거래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정상계좌가 아니면 단말기로 에러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상기 단말기로부터 거래번호가 입력되고 전송되면(S305), 상기 금융서버가 청구원장(D100)을 검색하여 상기 거래번호에 해당하는 상세고지내역을 검출한 뒤(S306)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S307)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S308), 납부자에 의해 열람 및/또는 인쇄 출력된다(S309)
여기서, 상기 거래번호가 아닌 조회거래를 통해 상세고지서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청구거래내역 조회거래를 수행하면 다수의 청구거래내역이 제공되고, 상기 제공된 청구거래 중에서 원하는 청구거래를 선택한 뒤, 상세고지서를 신청하면 상기 금융서버가 상기 청구원장으로부터 상기 청구거래에 해당하는 상세고지내역을 검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세고지내역은 상기 금융기관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식으로 인쇄되고, 인쇄수단을 갖춘 단말기를 통해서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고지된 각종 공과금을 납부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는,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고지된 모든 청구거래내역을 일괄 조회한 뒤, 납부하고자 하는 하나이상의 청구거래를 선택하여 납부하는 조회납부거래와, 납부하고자 하는 특정청구거래를 거래번호로 지정하여 납부하는 지정납부거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도 8은 상기 조회납부거래와 지정납부거래 방법을 하나의 도면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두개의 납부거래과정을 포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납부자가 선택한 단말기(M100)에 공과금계좌번호와 비밀번호를 인식시키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로부터 납부거래메뉴를 선택한다(S401).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식된 공과금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및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금융서버로 전송되고(S402), 상기 금융서버가 고객원장을 검색하여 정상계좌여부를 인증한다(S403).
상기 인증과정에서, 정상계좌가 아니면 상기 단말기로 에러메시지를 전송하여 표시하고(S404), 정상계좌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에서 선택한 납부거래메뉴가 지정납부거래인 경우에는, 상기 금융서버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납부하고자 하는 청구거래의 거래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거래번호가 입력되고(S405), 상기 입력된 거래번호가 전송되면(S406), 상기 금융서버가 상기 거래원장을 검색하여 상기 거래번호에 해당하는 청구거래내역을 검출한 뒤(S407),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408).
만약, 상기 선택한 납부거래메뉴가 조회납부거래인 경우에는, 상기 금융서버에 의해 상기 거래원장으로부터 납부가 가능한 미결제청구거래내역이 모두 검출된 뒤(S407),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고(S408), 상기 표시된 청구거래항목 중에서 납부하고자 하는 항목의 선택이 요청됨에 따라, 납부하고자 하는 하나이상의 청구거래 항목을 선택한다(S409).
여기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청구거래내역은 이용자명(실제 명의상의 이용자), 공과금의 명칭, 청구금액, 납기일 등 상기 청구거래를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간략한 내용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지정납부 또는 조회납부방법에 의해 지정된 하나이상의 대상 청구거래에 대한 즉시납부 또는 예약납부 등의 결제방식을 선택한다(S410)
상기 선택한 결제방식이 예약납부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정된 청구거래에 대한 결제자금을 인출할 출금계좌번호의 입력이 요청되고, 이에 따라 출금계좌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금계좌정보가 상기 금융서버로 전송되고(S411), 상기 금융서버에 의해 상기 청구거래정보와 출금계좌정보가 예약원장에 저장된다(S412).
상기 납부예약된 청구거래는 해당 납기일에 상기 금융서버가 상기 출금계좌에서 결제자금을 인출하여 수납처리하고, 수납처리한 내역을 거래원장에 납부거래로 등록하며, 해당 청구서버로 납부결과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예약납부에 의한 납부처리결과는 납기일이후 상기 납부내역을 공과금통장에 기장하거나 거래내역조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선택한 결제방식이 즉시납부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선택한 청구거래를 결제할 결제수단을 선택한다.(S413)
상기 선택한 결제수단이 계좌이체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결제자금을 인출할 출금계좌번호가 인식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출금계좌정보가 상기 금융서버로 전송되고(S414), 상기 금융서버가 상기 출금계좌에서 결제자금을 인출하여 수납처리를 실행한다(S415).
여기서, 납부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와 같이 출금계좌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상기 금융서버가 상기 공과금통장의 연결계좌에서 결제자금을 직접 인출하여 자동으로 수납처리하는 구성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선택한 결제수단이 현금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결제자금이 현금으로 수납되고 상기 수납정보가 상기 금융서버로 전송됨에 따라(S414) 상기 금융서버가 수납처리를 실행하고(S415), 신용카드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신용카드정보가 전송됨에 따라(S414), 상기 금융서버가 신용카드 결제경로를 따라 수납처리를 실행한다(S415).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는 현금, 계좌이체, 신용카드, 전자화폐 등의 각종 결제수단을 제공하나, 납부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의 종류, 기능, 특성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결제수단에 의해 수납처리가 종료되면, 상기 금융서버에 의해 상기 납부내역이 거래원장에 납부거래로 등록되고(S416), 납부결과가 단말기로 전송되어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에 기장되고(S417), 해당 청구서버로 전송되어 납부처리 등록된다(S418)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납부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을 단말기의 화면으로 예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단말기에 공과금계좌번호를 인식시키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어서, 공과금메뉴(S501)를 선택하면 납부거래메뉴(S502)가 부메뉴로 표시되고, 다시 납부거래메뉴를 선택하면 조회납부거래와 지정납부거래가 부메뉴(S503)로 표시된다.
이어서, 조회납부거래를 선택한 경우에는, 단말기의 화면에 납부 가능한 미결제청구거래내역이 표시되고, 납부하고자 하는 청구거래내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S504)
여기서, 납기일이 경과하였거나 기타 사유로 납부가 불가능한 청구거래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며, 화면에 표시된 청구거래 항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납부하고자 하는 청구거래 항목을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상기 선택한 청구거래의 거래건수와 합계금액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결제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S505)
만약, 상기 과정에서 지정납부거래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말기의 화면에 거래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화면이 표시된다(S506)
이어서 거래번호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상기 입력된 거래번호에 해당하는 청구거래내역이 화면에 표시된다(S507)
상기 과정에서, 계속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연속해서 거래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이 끝나면 확인버튼을 선택한다.
상기 과정에서 청구거래내역을 확인한 후 확인버튼을 누르면 상기 결제방법을 선택하는 화면(S505)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즉시납부버튼을 선택하면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현금, 계좌이체, 신용카드 등 이용이 가능한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S508)
여기서, 결제수단으로는 현금, 계좌이체, 신용카드, 전자화폐 등이 모두 가능하나, 단말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만약, 결제수단으로 계좌이체가 선택된 경우에는 결제자금을 인출할 출금계좌번호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메시지가 표시되고(S509), 상기 안내메시지에 따라 예금통장 또는 카드를 삽입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수납처리가 실행된다(S510)
여기서, 상기 수납된 자금은 징수기관의 결제계좌로 입금되거나 별도의 약정이 있을 경우에는, 금융기관의 공금예금계정, 지로계정, 별단예금계정, 국고대리점계정 등 자체계정으로 입금되었다가 정해진 날짜에 해당 징수기관의 결제계좌로 일괄 입금된다.
이어서 단말기에 의해 수납처리가 종료되면 단말기의 화면에 종료메시지가 표시되고 공과금통장에 거래내역이 기장되고 거래가 종료된다(S511)
한편, 상기 (S505)화면에서, 예약납부버튼을 선택하면, 결제자금을 인출할 출금계좌를 입력받기 위해 (S509)화면으로 이동하고, 출금계좌번호를 인식시키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예약한 내용이 예약원장에 저장되고 거래가 종료된다.
상기 예약된 청구거래는 납기일에 예약된 출금계좌에서 자동으로 인출되어 수납처리 된다.
상기 수납처리가 완료된 청구거래에 대한 결과정보는 정해진 시기 및 정해진 방법에 따라 해당 청구서버로 전송되고, 인터넷 등을 통한 조회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과금통장서비스에서 자동납부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납부방법이 현재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로자동이체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지로자동이체는, 납부자가 자동이체 신청을 하면, 금융기관에 의해 자동이체신청정보가 해당 징수기관으로 통보되고, 이에 따라 해당 징수기관으로부터 출금요청명세가 접수되면, 상기 출금요청명세에 의거하여 자동이체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통보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납부는 자동납부 신청정보가 해당 징수기관으로 통보되지 않고, 따라서 출금요청명세를 별도로 수령하지 않으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청구거래가 고지되면, 금융기관이 상기 청구거래가 자동납부대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자동납부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자동납부하고자 하는 공과금의 종류를 지정하고, 결제자금을 인출할 출금계좌를 지정한 뒤, 공과금통장(B100)을 개설한 금융기관에 자동납부를 신청한다(S601).
여기서, 자동납부신청이 가능한 공과금은 상기 공과금통장으로 통장고지가 신청된 공과금에 한정하고, 출금계좌는 상기 납부자명의의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한 예금계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자동납부신청내용이 단말기(M100)를 통해 금융서버(S100)로 전송되고(S602), 상기 전송된 내용이 상기 금융서버(S100)에 의해 자동납부원장에 등록된다(S603)
여기서, 상기 자동납부원장에 등록되는 내용에는 상기 자동납부대상 공과금에 대한 상세정보와 결제자금을 인출할 출금계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청구서버로부터 통장고지가 신청된 공과금에 대한 청구내역정보가 제공되고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으로 통장고지가 이뤄지면, 상기 금융서버에 의해 상기 거래원장으로부터 자동납부대상 청구거래가 발췌되고(S604), 상기 자동납부원장으로부터 출금계좌정보가 발췌된 뒤, 이를 토대로 자동납부출금명세가 생성된다(S605).
여기서, 상기 자동납부대상 청구거래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자동납부원장에 등록된 자동납부대상 공과금에 대한 상세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자동납부출금명세에 의거하여 상기 자동납부대상 청구거래의 지정된 납기일에 상기 금융서버에 의해 상기 출금계좌로부터 결제자금이 인출되어 수납처리되고(S606), 상기 수납내역이 거래원장에 납부거래로 등록된다(S607).
이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과금통장에 의한 거래가 발생하면, 상기 수납내역을 단말기로 전송하여(S608) 납부자의 공과금통장에 기장하고(S609), 상기 수납내역을 해당 청구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징수기관에 의해 납부처리 등록된다(S610)
한편, 상기 금융서버가 자동납부에 의한 수납처리를 위해 결제자금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출금계좌의 잔액이 결제자금에 미달하더라도 일부결제가 허용된 경우에는 출금계좌의 잔액범위 내에서 인출하여 수납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납부에 의해 수납된 자금은 해당 징수기관의 결제계좌로 직접 입금하거나, 별도 약정이 있을 경우 금융기관의 공금예금계정, 지로계정, 별단예금계정, 국고대리점계정 등의 자체계정에 입금했다가 정해진 날짜에 해당 징수기관의 결제계좌로 일괄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동납부 처리된 내역은 지정된 납기일이후 납부거래내역을 공과금통장에 기장하거나 거래내역조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가 본 명세서에 개진된 실시예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서는 안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내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 금융서버 B110 : 공과금통장 앞표지(내면)
S200 : 중개서버 B120 : 공과금통장 내지
S300 : 청구서버 B130 : 공과금통장 뒤표지
N100 : 네트워크
D100 : 전산원장
M100 : 단말기
B100 : 공과금통장

Claims (4)

  1. 중개서버를 중심으로, 금융기관의 금융서버, 단말기, 전산원장 및 징수기관의 청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된 시스템 환경에서, 거래금융기관을 통해 공과금통장에 가입하고 통장고지를 신청한 고객에게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거래금융기관을 통해 공과금통장에 가입한 고객(이하 “납부자”라 한다)으로부터 통장고지가 신청되면, 상기 납부자 또는 거래금융기관을 통해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 계좌정보를 수신한 뒤,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통장고지대상자로 분류하고, 상기 통장고지가 신청된 공과금과 관련하여 이용요금이 발생할 때마다, 통장고지를 위한 청구내역 데이터(이하 “통장고지데이터”라 함)를 작성하여 중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그 수납결과를 수신하여 수납처리 하는 청구서버;
    상기 청구서버로부터 통장고지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통장고지데이터에 포함된 납부자의 공과금통장 계좌번호를 기준으로 이를 해당 금융기관별로 분류한 뒤 해당 금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서버로부터 그 수납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징수기관의 청구서버로 전송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통장고지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통장고지데이터로부터 청구일자, 공과금의 명칭, 이용자명, 청구금액 및 납기일을 포함하는 필요한 항목에 대한 정보를 발췌하고, 이를 거래원장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형태(형식, 내용, 크기)로 변환한 뒤, 상기 통장고지데이터에 명시된 상기 납부자의 공과금통장 거래원장에 청구거래내역으로 등록하고, 이후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공과금통장에 의한 거래가 발생하거나 통장정리가 요청되면, 상기 등록된 청구거래내역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로부터 납부거래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공과금통장의 계좌번호와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고객원장에 설정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상계좌인지를 인증하고, 정상계좌로 확인되면 상기 공과금통장의 거래원장으로부터 납부가 가능한 미결제 청구거래내역을 발췌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 뒤, 납부하고자 하는 하나이상의 항목과 이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수단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안내에 따라 하나이상의 항목과 결제수단이 선택되고 수납이 요청되면, 상기 선택된 결제수단에 의해 수납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수납된 내역을 상기 공과금통장의 거래원장에 납부거래내역으로 등록한 뒤, 상기 납부거래내역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공과금통장에 기장하고, 상기 수납결과를 상기 중개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로부터 신청거래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청구원장에 저장된 통장고지데이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거래번호에 해당하는 상세고지내역을 발췌한 뒤, 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미리 정해진 양식으로 인쇄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메뉴로부터 조회거래메뉴가 신청된 경우에는, 거래원장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거래내역을 발췌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금융서버;
    상기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공과금통장에 부여된 계좌번호로 공과금통장을 식별하고, 상기 공과금통장 관련 서비스메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금융서버와 공과금통장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금융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및
    상기 금융서버의 물리적 저장공간에 부가하여 공과금통장의 개설정보 및 거래내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공과금통장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분류 및 저장하는 전산원장;
    을 포함하되,
    상기 공과금통장은 공과금의 청구와 납부를 거래구성요소로 하고, 그 내지가 공과금의 청구 및 납부 관련 거래내역을 기장하기에 적합하도록 다수의 행과 거래일, 공과금의 명칭, 이용자명, 청구금액, 납부금액, 납기일 및 기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열 항목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서버는 해당 금융기관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 필요한 경우 인터넷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WEB서버, 폰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ARS서버 및 모바일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WAP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금융서버에 연결되어 금융거래의 수행이 가능한 단말장치이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OTM단말기와 CD/ATM기를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단말기와 인터넷뱅킹, 폰뱅킹, TV뱅킹, 모바일뱅킹을 이용하기 위한 개인용 PC, 유무선 전화기, 휴대폰, TV, PDA를 포함하는 납부자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구서버에 의해 작성되는 통장고지데이터에는 납부자에게 부과된 청구내역과 상기 청구내역이 기장될 납부자의 공과금통장계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10029244A 2011-03-31 2011-03-31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110049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44A KR20110049755A (ko) 2011-03-31 2011-03-31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44A KR20110049755A (ko) 2011-03-31 2011-03-31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230A Division KR101033338B1 (ko) 2007-06-18 2007-06-18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755A true KR20110049755A (ko) 2011-05-12

Family

ID=4436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244A KR20110049755A (ko) 2011-03-31 2011-03-31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7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14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ging send transactions
CN108520461B (zh) 一种基于基金份额赎转付的信用卡还款方法及系统
CN101689275A (zh) 使用支付卡系统将资金汇款到非支付卡账户的方法和设备
JP5231120B2 (ja) 収納システム、決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06971B2 (ja) 収納システム、決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84300B1 (ko)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문서 처리 장치
JP4351242B2 (ja) 現金支払システム、金融機関端末装置及び現金支払方法
KR20000012722A (ko) 자동화 단말기 및 자동화 단말기에서의 공과금 수납방법
KR101033338B1 (ko)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N113570361A (zh) 一种基于商业银行授信产品的信用就医平台
JP5117072B2 (ja) 支払処理システム、支払処理方法及び支払処理プログラム
US20150106132A1 (en) Processing insurance payments
KR20050055058A (ko) 고객정보를 이용한 공과금 자동납부 단말기
KR20110049755A (ko) 공과금통장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US201800395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imilarities in instructional data and creating consolidated records thereof
JP720643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01980A (ko) 공용 가상 계좌 서비스를 이용한 금융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346192Y1 (ko) 고객정보를 이용한 공과금 자동납부 단말기
KR19990075390A (ko) 전자금융납부제도
KR20050058694A (ko) 금융거래내역조회가 가능한 지로공과금 납부처리장치 및그 방법
KR20030005118A (ko) 씨디/에이티엠기를 이용한 지로/공과금 자동수납시스템 및처리방법
JP2005018601A (ja) 入金管理装置、入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金担当者用携帯情報処理装置
KR20140066466A (ko)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