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745A - 서스펜션 범프 스톱 및 스트럿 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범프 스톱 및 스트럿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745A
KR20110049745A KR1020107026187A KR20107026187A KR20110049745A KR 20110049745 A KR20110049745 A KR 20110049745A KR 1020107026187 A KR1020107026187 A KR 1020107026187A KR 20107026187 A KR20107026187 A KR 20107026187A KR 20110049745 A KR20110049745 A KR 2011004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ump stop
suspension
sealing lip
sto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무엘 비오
이브-앙드레 리브라토
세드릭 브뤼라르
기 헥
Original Assignee
아크티에볼라겟 에스케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티에볼라겟 에스케이에프 filed Critical 아크티에볼라겟 에스케이에프
Publication of KR2011004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61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specifically for bearings with purely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 B60G2204/45021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for limiting upper mount movement of a McPherson str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방향 범프 스톱을 형성하는 롤링 베어링(44)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범프 수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롤링 베어링(44)에는 상부 링(46), 하부 링(48) 및 상기 링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롤링 부재들이 장착되며,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은 각각 상부 컵(40)과 하부 컵(4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 컵은 서스펜션 스프링(18)을 위한 베어링 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컵들 중 한 컵 위에 하나 이상의 밀봉 립이 제공되어 다른 컵의 베어링 표면 부분에 대해 지탱된다. 상기 베어링 표면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밀봉 립은 하부 방향으로 상기 롤링 베어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고 상기 베어링 표면 부분에 대해 방사형 경계면으로 지탱되며, 상기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베어링 표면 부분은 상기 두 컵들이 서로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심배열 되는 경우 상부를 향해 상기 밀봉 립이 지탱할 수 있는 숄더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범프 스톱 및 스트럿 장치{SUSPENSION BUMP STOP AND STRUT DEVIC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서스펜션 스트럿에 사용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 링과 하부 링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볼 또는 롤러와 같은 롤링 부재(rolling element)들이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들은 일반적으로 캡 또는 컵과 같은 지지 부분들 또는 하부 베어링과 상부 베어링과 접촉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상부 지지 컵과 하부 지지 컵은 롤링 베어링의 링들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링들과 이를 둘러싸는 부재들 사이에 경계면을 제공한다.
서스펜션 범프 스톱이 자동차 차체 외곽(bodyshell)과 서스펜션 스프링 사이에 있는 서스펜션 스트럿의 상측 부분에 위치된다. 이 스프링은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피스톤 로드 주위에 설치되는데, 상기 쇼크 업소버의 단부는 진동을 걸러내는 탄성 블록에 의해 자동차 차체 외곽에 연결된다. 상기 서스펜션 스프링은 하부 컵 위에서 축방향으로(직접적으로나 또는 간접적으로) 지탱된다. 서스펜션 스프링 부분을 위한 상부 컵은 자동차 차체 외곽에 대해 고정된다.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는 축방향 힘이 자동차 차체 외곽과 서스펜션 스프링 사이에 전달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하부 컵과 상기 필터 탄성 블록 사이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상대적 각운동으로 인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이 회전하고 및/또는 서스펜션 스프링이 압축된다. 상부 컵과 하부 컵들은 레이스웨이(raceway)와 컵들 사이에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상부 컵과 하부 컵들은 하중을 우수하게 분산시키는 베어링 표면(bearing surface)들을 가진다. 상기 컵들에 일체로 구성된 수단들은 서스펜션 범프 스톱의 여러 부재들의 축방향 보존력(retention)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밀봉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자동차 스트럿 장치들에서, 서스펜션 스프링이 서스펜션 스프링의 하측 단부를 거쳐 맞은편에서 서스펜션 범프 스톱에 대해 지탱하는 시트(seat)는 축에 대해 경사지며 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서스펜션 범프 스톱의 하부 컵에 가해지는 힘 라인(line of force)은 쇼크 업소버의 축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의 한 예가 특허 출원 FR 2 783 204호에 예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서스펜션 범프 스톱의 하부 컵에 반경 방향의 힘들이 가해진다. 이 반경 방향 힘들은 상기 하부 컵이 상부 컵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종종, 마찰 베어링 표면들에 대해 지탱하는 부드러운 밀봉 립(sealing lip)들에 의해, 상기 상부 컵과 하부 컵들 사이에서 범프 스톱이 밀봉된다. 서스펜션 범프는 자동차의 차체 밑에 바퀴 옆에 있기 때문에, 특히 튀기는 물에 노출된다. 따라서 특히 효율적으로 밀봉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허 출원 FR-A-2 857 906호에서는, 하부 컵에 금속 강화 삽입체(metal reinforcing insert)를 삽입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 출원의 서스펜션 범프 스톱은 범프 스톱을 밀봉하기 위해 롤링 베어링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 캡과 상부 캡 사이에 오직 단순한 좁다란 통로만을 제공하는 단점을 가진다.
그 결과, 특정 조건 하에서는, 가령, 예를 들어, 자동차가 물이 범람된 도로 표면을 따라 운행할 때 또는 대안으로 자동차가 고압의 제트 와시로 세척될 때, 롤링 베어링 내로 물이 약간 유입될 수 있어서 베어링 수명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특허 출원 FR 2 783 204호에 예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편심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서, 컵들에 의해 제공된 밀봉 수단들은 컵들의 베어링 표면과 더 이상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지 않아서, 결국 특정 영역들에서는 밀봉력이 약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베어링 표면들과 밀봉 립들 사이의 반경 방향 경계면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도 있지만, 범프 스톱의 마찰 토크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모든 작동 상태들 특히 범프 스톱 롤링 베어링 지지 컵들이 반경 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범프 스톱의 마찰 토크를 증가시키지 않고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가지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상대적으로 높은 축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물 또는 그 외의 오염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단단한 서스펜션 범프 스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간에 걸쳐 특히 안정적인 서스펜션 범프 스톱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는 축방향 범프 스톱을 형성하는 롤링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링 베어링에는 상부 링, 하부 링 및 상기 링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롤링 부재들이 장착되며,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은 각각 상부 컵과 하부 컵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부 컵은 서스펜션 스프링을 위한 베어링 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컵들 중 한 컵 위에 하나 이상의 밀봉 립이 제공되며 상기 밀봉 립은 다른 컵의 베어링 표면 부분에 대해 지탱한다. 상기 베어링 표면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상기 밀봉 립은 하부 방향으로 상기 롤링 베어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고 상기 베어링 표면 부분에 대해 방사형 경계면으로 지탱된다. 상기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베어링 표면 부분은 상기 두 컵들이 서로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심배열 되는 경우 상부를 향해 상기 밀봉 립이 지탱할 수 있는 숄더에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심지어 컵들이 서로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 때에도 범프 스톱의 밀봉력이 유지된다. 밀봉 립 또는 밀봉 립들은 사실 심지어 이들이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 부분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을 때에도 숄더와 마찰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외측 밀봉 립은 하부 컵에 의해 지지된다. 외측 밀봉 립을 위한 베어링 표면 부분은 상부 컵의 스커트의 방사형 내측 벽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구체예와 조합될 수 있는, 또 다른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내측 밀봉 립은 하부 컵에 의해 지지된다.
이 모든 경우, 숄더는 실질적으로 방사형 표면(radial surface), 실질적으로 원뿔대형 표면(frustoconical surface) 또는 대안으로 실질적으로 환상체 표면(toroidal surface)을 가질 수 있으며, 컵들이 반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원통형의 베어링 표면과의 접촉 상태가 차단되는 경우 어떠한 갑작스러운 덜컹거림 없이도 밀봉 립이 마찰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유리한 구체예에서, 서스펜션 스프링을 위한 베어링 수단을 형성하는 하부 컵은 본체와 본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강화 삽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밀봉 립을 포함하는 연성 재료로 구성된 부분과 강성 재료로 구성된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성 재료는 상기 강성 재료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몰딩되며 상기 강화 삽입체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성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히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와 쇼크 업소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스트럿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예시되고 전반적으로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한 구체예를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자동차 스트럿 내에 장착된 서스펜션 범프 스톱의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두 컵들 사이에서 편심력 없이 범프 스톱이 작동될 때 밀봉 립들의 위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범프 스톱이 서스펜션 장치 내에 장착되기 전에 범프 스톱이 조립될 때, 편심력 없이 외부 립의 위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편심력으로 인해 두 컵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영역에서 외부 밀봉 립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편심력으로 인해 두 컵들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는 영역에서 내부 및 외부 밀봉 립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 스트럿에 쇼크 업소버(12)가 제공되는데, 상기 쇼크 업소버(12)는 축(16)을 가진 로드(14), 스프링(18), 상기 로드(14) 주위에 장착된 서스펜션 범프 스톱(20) 및 상기 스트럿(10)이 장착된 자동차 차체 외곽(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범프 스톱(20) 사이에 위치된 탄성 필터 블록(22)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은 상기 스프링(18)에 의해 가해지는 힘 라인(16a)을 보여준다. 특허 출원 FR 2 783 204호의 예에 설명된 것과 같이, 스프링(18)의 하측 단부가 축(16)에 대해 기울어진 시트 위에 장착되기 때문에(이것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상기 힘 라인(16a)은 서스펜션 장치의 축(16)과 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쇼크 업소버(12)는 일부분만 도시된 쇼크 업소버 실린더(24)를 포함한다. 상기 쇼크 업소버의 로드(14)는 큰 직경을 가진 부분(14a), 작은 직경을 가진 부분(14b)을 가지며, 상기 부분들은 방사형 숄더(14c)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쇼크 업소버(12)는 숄더(14c)에 대해 지탱하게 되고 작은 직경을 가진 부분(14b) 주위로 장착된 플레이트(26)를 추가로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환형의 충격-흡수 패드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6)에 고정된다. 큰 직경을 가진 부분(14a) 주위에는 예컨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충격-흡수 패드(28)가 배치된다. 쇼크 업소버(12)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들을 둘러싸고 보호하도록, 보호 각반(30)이 상기 플레이트(26)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트럿(10)은 탄성 블록(22)과 플레이트(26)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탱하고 로드(14)의 작은 직경을 가진 부분(14b) 주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위치된 축방향 스페이서 부분(3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 블록(22)을 상기 스페이서 부분(32)에 대해 클램프 고정하고 상기 탄성 블록(22)을 서스펜션 범프 스톱(20)에 대해 클램프 고정하도록 로드(14)의 작은 직경을 가진 부분(14b)의 해당 스레드 구성 부분과 협력하는 너트(34)가 있다. 또한 장착 플랜지(34a)가 상기 너트(34)에 의해 탄성 블록(22)에 대해서 클램프 고정된다.
상기 탄성 블록(22)은 엘라스토머와 같은 연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상기 탄성 블록(22) 내로, 예컨대, 금속 삽입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강성 삽입체가 삽입될 수 있다. 기술된 구체예에서, 전체적으로 환형의 두 삽입체(36, 38)들이 탄성 블록(22) 내부에 제공된다. 큰 직경을 가진 삽입체(36)는 상기 탄성 블록(22) 내에 완전히 삽입되는 반면, 작은 직경을 가진 삽입체(38)는 상기 탄성 블록(22)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한 반경 방향 부분이 상기 스페이서 부분(32)에 대해 지탱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더욱 명확하게 예시된 것과 같이, 서스펜션 범프 스톱(20)은 탄성 블록(22)과 접촉하고 있는 상부 베어링 캡 또는 컵(40), 스프링(18)을 지탱하기 위한 지탱 수단을 형성하는 하부 지지 캡 또는 컵(42) 및 두 컵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롤링 베어링(44)을 포함한다.
상부 컵(40)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로 강화될 수 있거나 또는 강화되지 않은 나일론-6,6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일체형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컵(40)은 복수의 방사형 리브들을 포함하는 탄성 블록(22)의 환형 부분(22a)과 접촉하고 있는 상부 방사형 표면(40a)과 상기 방사형 표면(40a)의 작은 직경을 가진 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 블록(22)의 축방향 부분(22b) 위에 중심이 위치된 작은 직경을 가진 축방향 표면(40b)을 포함한다. 상기 축방향 부분(22b)은 환형 리브(22a)에 대해 내부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 배열된다. 또한 상부 베어링 컵(40)은 작은 두께를 가진 내부 환형 축방향 스커트(40c)를 포함하는데, 이 축방향 스커트(40c)는, 다소, 하부 방향을 향하는 축방향 표면(40b)의 연속면 내에 위치된다.
상부 베어링 컵(40)은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뿔대형 표면에 의해 상측 방사형 표면(40a)에 연결된 큰 직경과 작은 두께를 가진 내부 환형 축방향 스커트(40d)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의 상측 단부 자체는 축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된 방사형 표면에 의해 내부를 향해 작은 직경의 에지로 연장되고, 축방향 표면 자체는 방사형 표면에 의해 상측 단부에서 내부를 향해 연장된다. 주변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는 내부 방향을 향하는 방사형 돌출부(40e)가 하측 단부 가까이 외부 축방향 스커트(40d)의 내부 에지 위에 형성된다. 이 경우, 방사형 돌출부(40e)는 주변 방향으로 연속적이며 하측 지지 컵(42)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내부를 향하는 리브를 형성한다.
롤링 베어링(44)은 가압 금속 시트(sheet)로부터 얻어진 하부 링(48)과 상부 링(46)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서 일렬의 롤링 부재(50)가 돌아가고 여기서는 볼의 형태로 수용된다. 상기 롤링 부재(50)들 사이에서 주변 방향으로 일정하게 거리가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케이지(52)가 배열된다. 롤링 부재(50)들은 상부 링(46)과 하부 링(48)에 의해 형성된 레이스웨이(raceway) 사이에 위치된다. 상부 링(46)의 외측 직경이 하부 링(48)의 내측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때문에, 절단 가공과 프레싱 가공에 의해 하나의 금속 미가공 시트 및 동일한 금속 미가공 시트로부터 상기 링들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도 4의 확대 도면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부 링(46)은 베어링 캡(40)의 보완 표면(40f)과 접촉하고 있는 환상체 부분(46a)을 가지며, 상기 환상체 부분(46a)은 상기 표면(40f)과 상기 내부 축방향 스커트(40c)에 연결되고 주변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 환형 방사형 표면(40g) 가까이 연장되는 서로 맞은편에 있는 오목한 환상체 부분(46b)에 의해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환상체 부분(46a)의 외측 표면은 롤링 부재(50)들을 위한 레이스웨이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 링(48)은 하부 지지 컵(42)과 접촉하고 있으며 오목한 내부 표면이 롤링 부재(50)들을 위한 레이스웨이를 형성하고 환상체 부분(48a)을 가진다. 상기 환상체 부분(48a)은 서로 맞은편에 있는 오목한 환상체 부분(48b)에 의해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케이지(52)는 상기 환상체 부분(46b)과 환상체 부분(48a)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하부 지지 컵(42)은 강성 재료(62)와 연성 재료(64)로 형성된 본체(60)와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고 스프링(18)과 롤링 베어링(44) 사이에 축방향 하중과 반경 방향 하중을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본체를 강화하는 강화 삽입체(66)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60)의 강성 재료(62)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로 충전될 수 있거나 또는 충전되지 않은 나일론-6.6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강성 재료(62)는 작은 축방향 수치를 가진 원통형의 축방향 외측 표면(62a)을 가지며, 상기 외측 표면(62a)의 하측 단부로부터 축방향 표면(62c)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표면(62b)이 연장된다. 상기 축방향 표면(62c)은 스프링(18)을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인 반면, 방사형 표면(62b)은 상기 스프링을 위한 베어링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축방향 표면(62c)의 하측 단부로부터 환형의 방사형 표면(62d)이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방사형 표면(62d)은 하부 지지 컵(42)의 보어를 형성하는 축방향 표면(62c)에 의해 작은 직경의 에지로부터 축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축방향 외측 표면(62a)의 상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본체(60)의 강성 재료(62)는 축방향으로 베어링 캡(40)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축방향 환형 부분(62f, 62g)을 추가로 포함한다. 큰 직경을 가진 제 1 축방향 부분(62f)의 상측 단부는 제 2 축방향 부분(62g)의 상측 단부에 대해 축방향에서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축방향 부분(62g)은 하부 링(48)의 환상체 부분(48b)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싼다. 상기 축방향 부분(62g)의 상측 단부는 하부 링(48)의 환상체 부분(48a)과 접촉하고 있는 표면(62h)에 의해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환상체 부분(48a)과 상호보완적인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환상체 표면(62h)은 원뿔대형 표면에 의해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 원뿔대형 표면으로부터, 둥근 표면에 의해 축방향 표면(62c)에 연결된 환형의 방사형 표면(62j)에 의해 하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축방향 표면(62i)이 연장된다.
전반적으로 환형으로 구성된 강화 삽입체(66)는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L자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강화 삽입체(66)는 둥근 부분(66b)에 의해 상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축반향 부분(66a)을 포함하며, 상기 둥근 부분(66b)으로부터 방사형 부분(66c)이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강화 삽입체(66)는 충분한 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금속 미가공 시트로부터 절단 가공과 프레싱 가공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축방향 부분(66a)과 둥근 부분(66b)은 본체(60)의 강성 재료(62) 내에 완전히 삽입된다. 상기 축방향 부분(66a)은 방사형 표면(62b)에 위치된 영역과 같이 환형의 방사형 표면(62d) 가까이 위치된 영역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방사형 부분(66c)은 하부 링(48)의 환상체 영역(48b)에 위치된 영역과 같이 상부 링(46)의 환상체 부분(46b)에 위치된 영역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강화 삽입체(66)는 하부 지지 컵(42)이 스프링(18)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 하중과 반경 방향 하중들을 롤링 베어링(44)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강화 삽입체(66)는 둥근 부분(66b)에 근접한 방사형 부분(66c)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홀(68)들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10개인 상기 관통 홀(68)들은 주변 방향으로 일정하게 분포된다. 강화 삽입체(66)는 방사형 부분(66c)의 자유 에지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노치(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노치(70)들은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관통 홀(68)이 상기 노치(70)와 반경 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노치(70)는 관통 홀(68)들 중 하나로서 동일한 반경 방향 평면에 위치된다.
이 구체예에서, 본체(60)의 강성 재료(62)는 상기 강화 삽입체(66) 위로 오버몰딩되며(overmoulded), 따라서 이 두 부재들은 서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기 강성 재료(62)가 오버몰딩되기 때문에, 축방향 통로(72 및 74)(도 4 참조)들이 생성되며, 일련의 제 1 통로(72)는 강화 삽입체(66) 내에 있는 관통 홀(68)을 통과하고 일련의 제 2 통로(74)는 노치(70)들을 통과하여 이에 따라 내부 축방향 통로(72)가 외부 통로(74)와 같이 동일한 반경 방향 평면에 배열된다. 축방향 통로(72 및 74)는 강성 재료(62)가 각각의 노치(70)의 경계를 결정하는 에지와 각각의 홀(68)의 보어를 가릴 수 있도록 생성된다. 각각의 내부 통로(72)는 강화 삽입체(66)의 방사형 부분(66c) 하에서 생성된 비-미가공 또는 개방 방사형 통로(76)에 의해 관련된 외부 통로(74)에 연결된다. 대안으로서, 강성 재료(62)는 상기 강성 재료(62)가 관통 홀(68)의 내부를 가리지 않도록 상기 강화 삽입체(66) 상으로 오버몰딩될 수 있다.
본체(60)의 연성 재료(64)는 내측 밀봉부(78)와 외측 밀봉부(80)를 형성하기 위해 강성 재료(62)와 강화 삽입체(66) 위로 오버몰딩된다. 연성 재료(64)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 고무로 구성된 엘라스토머로 제조될 수 있다.
축방향으로 강화 삽입체(66)를 관통하고 방사형 통로(76)에 의해 상호연결된 통로(72 및 74)들로 인해, 연성 재료(64)는 소수의 주입 지점(injection point)들을 사용하여 오버몰딩될 수 있으며, 용융된 연성 재료는 제작용 몰드 내에 퍼져 상기 밀봉부(78, 80)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작용 몰드의 구조는 간단하다.
달리 말하면, 강화 삽입체(66)의 노치(70)들과 관통 홀(68)들은 이중 기능 즉 지지 캡(42)을 제작할 때 강화 삽입체(66)의 두 개의 맞은편 표면들 사이에서 연성 재료(64)가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연성 재료(64)가 흐를 수 있게 하며 또한 상기 연성 재료(64)를 상기 강화 삽입체에 단단하게 부착하는 기능을 가지는 통로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된 본체(60)를 오버몰딩 과정은 예를 들어 단순한 오버몰딩 또는 대안으로 2회 주입 몰딩과 같은 서로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두 개의 연속적인 단계들로 수행된다.
본체(60)를 서로 다른 두 개의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기계적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부 지지 컵(42)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물론, 본체(60)를 다수의 재료들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내측 밀봉부(78)는 복수의, 여기서는 10개의 내부 축방향 스터드 또는 브릿지(81)들을 포함하는데, 이 스터드 또는 브릿지(81)들은 강성 재료(62)로 구성된 통로(72) 내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내부 스터드(82)는 맞은편에 있는 방사형 표면(62j)의 레벨과 같이 방사형 표면(62b) 가까이 위치된 영역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스터드(81)는 강성 재료(62)와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강화 삽입체(66)를 축방향으로 바로 관통한다. 달리 말하면, 강화 삽입체(66) 내의 각각의 관통 홀(68)에서, 몇몇 강성 재료(62)는 강화 삽입체(66)의 방사형 부분(66c)과 몇몇 연성 재료(64)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내측 밀봉부(78)에는 모든 스터드(81)들에 연결되고 방사형 표면(62j)을 가리는 환형 힐(84a)이 장착되며,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환형 내부 밀봉 립(84b)은 상기 환형 힐(84a)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밀봉 립(84b)은 상부 베어링 캡(40)의 내부 축방향 스커트(40c)의 외측 표면과 마찰 접촉상태에 있다. 상기 밀봉 립(84b)은 하부 방향으로 즉 롤링 베어링(4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된다. 밀봉 립(84b)은 축방향 스커트(40c)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표면 부분(90)(도 2 및 도 4 참조)에 대해 반경 방향 경계면으로 지탱하게 된다. 이 표면 부분(90)은 축방향 스커트(40c)의 하측 단부 가까이에 위치되며 둥근 부분에 의해 밀봉 립(84b)이 지탱할 수 있는 숄더(91)에 롤링 베어링(44)을 향해 상부 방향으로 연결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상기 숄더(91)는 실질적으로 원뿔대형으로 구성되며 도 4와 도 5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부 쪽으로 갈수록 넓어져서, 밀봉 립(84b)의 아래를 행해 만곡된 형태의 거울상이다.
또한 외측 밀봉부(80)는 강성 재료(62)의 통로(74)들 내부에 형성된 축방향의 외부 스터드(83)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내부 스터드(83)는 축방향 부분(62f)의 상측 단부와 같이 방사형 표면(62b) 가까이에 있는 영역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스터드(83)는 강성 재료(62)와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강화 삽입체(66)를 축방향으로 바로 관통한다. 따라서, 강화 삽입체(66) 내에 있는 각각의 노치(70)의 경계를 결정하는 에지에서, 몇몇의 강성 재료(62)는 강화 삽입체(66)의 방사형 부분(66c)과 몇몇의 연성 재료(64)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위치된다.
외측 밀봉부(80)에는 모든 스터드(83)들에 연결되고 축방향 부분(62g)의 외측 횡방향 표면과 축방향 부분(62f)의 상측 단부를 가리는 환형 힐(86a)이 추가로 제공된다. 상기 외측 밀봉부(80)는 또한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고 환형 힐(86a)에서 시작하는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환형의 외측 밀봉 립(86b)을 포함한다. 하부 컵(42)의 본체(60) 위에 제공된 밀봉 립(86b)은 상부 베어링 컵(40)의 외부 스커트(40d)의 보어와 마찰 접촉상태에 있다. 이 밀봉 립(86b)은 하부 방향으로 만곡된다. 상기 밀봉 립(86b)은 상부 컵(40)의 축방향 스커트(40d)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 부분(92)에 대해 지탱된다. 상기 표면 부분(92)은 둥근 부분에 의해 롤링 베어링(44) 방향으로 위를 향해 숄더(93)에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숄더(93)는 위를 향해 점점 넓어지고 실질적으로 원추 형태로 구성된다.
한 방사형 평면과 동일한 방사형 평면에 위치된 스터드(81, 83)들은 반경 방향 통로(76)들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 방사형의 연결 비드(82)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각각의 비드(82)는 강화 삽입체(66)의 방사형 부분(66c)과 직접 접촉되며 방사형 표면(62b) 위로 개방된다. 강화 삽입체(66)는 전체적으로 연성 재료(64)와 강성 재료(62)로 덮힌다. 달리 말하면, 강화 삽입체(66)는 본체(60) 내에 완전히 삽입된다.
내측 밀봉부(78)와 외측 밀봉부(80)는 하부 지지 컵(42)에 대해 밀봉하는 정적 밀봉 기능을 수행하고 상부 베어링 컵(40)에 대해 밀봉하는 동적 밀봉 기능을 수행한다.
내측 밀봉 립(84b)과 외측 밀봉 립(86b)의 하부 방향 곡률은 물 또는 다른 오염물질이 튀기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성능을 증가시키는 점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립(84b, 86b)들은 특히 효과적인 디플렉터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이렇게 물 또는 오염물질이 튀기는 경우, 상부 베어링 컵(40)과 립들 사이의 접촉 압력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립들의 효율성이 추가로 개선된다.
또한, 외측 밀봉 립(86b)은 범프 스톱이 장착되기 전에 축방향으로 상부 베어링 컵(40)을 보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밀봉 립(86b)은 립(40e)의 직경보다 더 큰 외측 직경을 가지며, 범프 스톱이 조립체 내에 장착되기 전에 지지 컵(42)과 베어링 컵(40)이 분리되기 시작하는 경우 상기 립(40e)과 직경 방향으로 간섭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립(40e)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밀봉 립(86b)은 하부 지지 컵(42)에 대해 상부 베어링 컵(40)을 축방향으로 보유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외측 밀봉 립(86b)이 하부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부분들이 사고 시에 해체되는 위험성 없이 이송될 수 있고 취급될 수 있도록 부분들이 조립되는 충분한 축방향 보존력을 보장하도록 장착됨에 따라 변형되기 쉽게 한다.
마지막으로, 내부 스커트(40c)와 외부 스커트(40d)의 각각의 베어링 표면들의 특정 구조로 인해, 심지어 상부 컵과 하부 컵들 사이에 상대적인 편심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밀봉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2와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범프 스톱이 조립되었지만 아직 서스펜션 장치에 장착되지 않은 형상에서, 외측 밀봉 립(86b)은 오직 상부 컵(40)의 외부 스커트(40d)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92)과 지지 접촉 상태에 있다. 자유 상태에서는, 상기 외측 밀봉 립(86b)의 직경은 상부 컵의 외부 스커트(40d)의 보어 직경보다 더 크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내부 밀봉 립(84b)은 오직 상부 컵(40)의 내부 스커트(40c)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90)과 접촉 상태에 있다. 자유 상태에서, 상기 내측 밀봉 립(84b)의 직경은 내부 스커트(40c)의 외측 직경보다 더 작다.
편심력이 발생된 경우, 하부 컵은 예를 들어 도 4와 도 5의 우측에서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는, 두 컵(40 및 42)의 상대적 편심력으로 인해, 상부 컵(40)과 하부 컵(42)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영역에서 외측 밀봉 립(86b)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 위치와 상기 영역에서, 외측 밀봉 립(86b)은 숄더(93)에 대해 그리고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92)에 대해 지탱하게 된다. 반대로, 편심력이 없을 때, 내부 스커트(40c)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90)과 접촉하고 있던 내부 밀봉 립(84b)은 상기 영역에서 상기 간격의 크기가 국소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오직 숄더(91)와 접촉하게 된다. 숄더(91)를 원통형 표면(90)에 연결하는 둥근 부분으로부터 인해 아무런 덜컹거림 없이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변이된다.
도 5는 편심력으로 인해 두 컵(40 및 42)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는 영역에서 하부 컵(42)의 외측 밀봉 립(86b)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 편심력은 사실 하부 컵(42)을 화살표(F) 방향으로 도 5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도 5는 도 4에 상응하며, 이 두 도면들은 동일한 축방향 평면과 동일한 편심 위치에 있는 서스펜션 장치를 절단한 두 개의 부분 도면들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밀봉 립(86b)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92)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지만 편심력으로 인해 상부 컵(40)의 숄더(93)와 접촉하게 된다. 숄더(93)를 원통형 표면(92)에 연결하는 둥근 부분으로부터 인해 아무런 덜컹거림 없이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변이된다.
따라서 밀봉 립(84b 및 86b)들은 심지어 편심력이 발생된 경우에도 효율적인 밀봉을 지속하며, 원통형 표면(92 또는 90) 혹은 숄더(93 또는 91)이건 간에, 물이 튀기게 되면 상부 컵 위에 제공된 베어링 표면과 하부 컵의 립들 사이에 접촉이 더 공고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지금까지 기술한 밀봉 수단의 특별한 구조로 인해, 심지어 심각한 편심력이 발생하거나 물이 많이 튀기는 경우 하에서도, 낮은 마찰 토크로 우수한 밀봉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된 예에서는 밀봉 립들이 하부 컵 위에 제공되었지만, 특별한 변형 없이도, 밀봉 립들이 상부 컵 위에 제공되는 장치를 고안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축방향 범프 스톱을 형성하는 롤링 베어링(44)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범프 수톱 장치로서, 상기 롤링 베어링(44)에는 상부 링(46), 하부 링(48) 및 상기 링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롤링 부재들이 장착되며,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은 각각 상부 컵(40)과 하부 컵(4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 컵은 힘 라인(16a)이 상기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의 축과 각을 이루고 있는 서스펜션 스프링(18)을 위한 베어링 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컵들 중 한 컵 위에 하나 이상의 밀봉 립이 제공되며 상기 밀봉 립은 다른 컵의 원통형 베어링 표면 부분에 대해 지탱하고, 상기 밀봉 립은 하부 방향으로 상기 롤링 베어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고 상기 원통형 베어링 표면 부분에 대해 방사형 경계면으로 지탱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베어링 표면 부분은 상기 두 컵들이 서로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심배열 되는 경우 상부를 향해 상기 밀봉 립이 지탱할 수 있는 숄더에 연결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측 밀봉 립(86b)이 상기 하부 컵(4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밀봉 립(86b)을 위한 베어링 표면 부분(92)이 상기 상부 컵(40)의 스커트(40d)의 방사형 내측 벽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내측 밀봉 립(84b)이 상기 하부 컵(4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는 방사형 표면(radial surfac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숄더(91, 93)는 원뿔대형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는 환상체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스프링(18)을 위한 베어링 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 컵(42)은 본체(60)와 상기 본체(6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강화 삽입체(66)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60)는 상기 밀봉 립을 포함하는 연성 재료로 구성된 부분(64)과 강성 재료로 구성된 부분(6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재료는 상기 강성 재료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몰딩되며 상기 강화 삽입체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스펜션 범프 스톱 장치와 쇼크 업소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스트럿.
KR1020107026187A 2008-08-01 2009-07-29 서스펜션 범프 스톱 및 스트럿 장치 KR20110049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5334A FR2934656B1 (fr) 2008-08-01 2008-08-01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FR0855334 2008-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745A true KR20110049745A (ko) 2011-05-12

Family

ID=4029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187A KR20110049745A (ko) 2008-08-01 2009-07-29 서스펜션 범프 스톱 및 스트럿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0741B2 (ko)
KR (1) KR20110049745A (ko)
CN (1) CN102046404B (ko)
DE (1) DE112009001783T5 (ko)
FR (1) FR2934656B1 (ko)
WO (1) WO2010012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17A (ko) * 2018-02-02 2019-08-12 고재영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6580B1 (fr) * 2008-09-26 2013-03-22 Skf Ab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associee
FR2948739B1 (fr) * 2009-07-29 2016-02-19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CN103003600B (zh) * 2010-04-06 2015-09-02 Skf公司 具有密封环的轴向推力轴承装置
DE202010008769U1 (de) * 2010-10-11 2012-01-13 Rollax Gmbh & Co. Kg Federbeinlager für Kraftfahrzeuge
KR20120116074A (ko) * 2011-04-12 2012-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JP5906590B2 (ja) * 2011-06-09 2016-04-2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US8348291B1 (en) * 2011-08-09 2013-0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uspension strut bearing deflector seal
JP5909976B2 (ja) * 2011-10-07 2016-04-2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FR2983272B1 (fr) * 2011-11-24 2014-07-04 Anvis Sd France Sas Agencement de palier rotatif pour l'appui d'une tete de jambe de suspension sur un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FR2989634B1 (fr) * 2012-04-23 2015-01-30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equipee d'un tel dispositif
DE102012212520B3 (de) 2012-07-18 2013-1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beinlager
BR112015014717B1 (pt) 2012-12-20 2021-12-14 Cnh Industrial America Llc Veículo de trabalho e sistema de suspensão de cabine para acoplar uma armação de cabine a uma armação de chassi de um veículo de trabalho
CN103899178B (zh) * 2012-12-29 2016-04-27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缓冲装置
DE102013200874A1 (de) * 2013-01-21 2014-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ützlager für eine Feder- und 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e Radaufhängung in Kraftfahrzeugen
FR3003803B1 (fr) * 2013-04-02 2016-12-30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suspension equipee d'une telle butee
EP2824342B1 (en) * 2013-07-09 2018-12-26 Aktiebolaget SKF Method for assembling a bearing unit
FR3025457A1 (fr) * 2014-09-09 2016-03-11 Ntn Snr Roulements Butee de suspension de vehicule automobile
EP3002136A1 (en) * 2014-09-30 2016-04-06 Aktiebolaget SKF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EP3002137B1 (en) * 2014-09-30 2018-12-26 Aktiebolaget SKF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8291580B (zh) * 2015-12-02 2020-05-05 奥依列斯工业株式会社 合成树脂制滑动轴承
DE102016209901A1 (de) * 2016-06-06 2017-12-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beinlager und Federbein mit Federbeinlager
DE102017107135A1 (de) * 2017-04-03 2018-10-04 Vibracoustic Gmbh Lager für ein Stützlager
CN107143597A (zh) * 2017-06-08 2017-09-0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减震器的缓冲结构
WO2019134156A1 (zh) * 2018-01-08 2019-07-11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悬架支柱轴承装置
FR3084290B1 (fr) * 2018-07-25 2020-10-30 Ntn Snr Roulements Butee de suspension de vehicule automobile
CN112997023B (zh) * 2018-10-30 2022-11-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减震器支座安装构造以及减震器支座
DE102019218060A1 (de) * 2019-11-22 2021-05-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schlagpufferungsvorrichtung mit progressiv ansteigender Federcharakteristik
US11623490B2 (en) * 2020-06-03 2023-04-11 Nissan North America, Inc. Vibration attenuation assembly
DE202020104632U1 (de) 2020-08-11 2021-11-15 Rollax Gmbh & Co. Kg Federbeinlager
FR3125466A1 (fr) * 2021-07-23 2023-01-27 Skf Dispositif de butée de suspension à joint d’étanchéit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5886A (en) * 1988-04-11 1989-02-21 Chrysler Motors Corporation Jounce bumper assembly for vehicle suspension strut
US5467971A (en) * 1994-08-08 1995-11-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rut assembly with integral bearing and spring seat
US5487535A (en) * 1994-12-05 1996-01-30 Chrysler Corporation Suspension strut metal-to-metal jounce stop
US6257605B1 (en) * 1997-06-30 2001-07-10 Ina Walzlager Schaeffler Ohg Suspension strut bearing
FR2779096B1 (fr) * 1998-05-28 2000-12-15 Skf France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FR2783204B1 (fr) 1998-09-14 2000-12-15 Peugeot Dispositif de fixation superieure d'un amortisseur de suspension d'une roue avant d'un vehicule automobile
DE19960699B4 (de) * 1999-12-16 2010-09-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ederbeinlagerung
DE10004121A1 (de) * 2000-01-31 2001-08-02 Schaeffler Waelzlager Ohg Anordnung mit einer Schraubenfeder und einem Stützlager für Federbeine
FR2811264B1 (fr) * 2000-07-06 2002-11-29 Skf France Butee de suspension a moyens de retenue
FR2822508B1 (fr) * 2001-03-21 2003-08-22 Skf Ab Butee de suspension a moyens de retenue
FR2829429B1 (fr) * 2001-09-12 2003-12-12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FR2850905B1 (fr) * 2003-02-10 2006-06-23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FR2856447B1 (fr) * 2003-06-18 2005-09-09 Skf Ab Butee de debrayage et procede de montage
FR2857906B1 (fr) * 2003-07-25 2008-02-22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FR2859412B1 (fr) * 2003-09-04 2006-02-24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FR2865008B1 (fr) * 2004-01-13 2006-03-31 Skf Ab Dispositif de roulement de butee de suspension.
FR2901179B1 (fr) * 2006-05-16 2011-06-24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butee en suspension de vehicule a etancheite renforcee
FR2904261B1 (fr) * 2006-07-26 2011-05-13 Roulements Soc Nouvell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suspension pourvue d'une telle butee
FR2909929B1 (fr) * 2006-12-18 2009-02-20 Snr Roulements Sa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de vehicule a etancheite renforcee
FR2936580B1 (fr) * 2008-09-26 2013-03-22 Skf Ab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associee
FR2948739B1 (fr) * 2009-07-29 2016-02-19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17A (ko) * 2018-02-02 2019-08-12 고재영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34656B1 (fr) 2013-05-17
WO2010012766A1 (en) 2010-02-04
FR2934656A1 (fr) 2010-02-05
US20110133379A1 (en) 2011-06-09
CN102046404A (zh) 2011-05-04
US9010741B2 (en) 2015-04-21
CN102046404B (zh) 2015-04-08
DE112009001783T5 (de)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745A (ko) 서스펜션 범프 스톱 및 스트럿 장치
US9340086B2 (en)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KR101573103B1 (ko) 범프 스톱 및 맥퍼슨 스트럿
US8496235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trut
US7811005B2 (en) Thrust bearing device for a vehicle suspension
US8740472B2 (en)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US8226301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trut
EP3002137B1 (en)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907838B1 (ko) 자동차용 서스펜션 및 스러스트 베어링
US11167613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ed with such a device
US20110049829A1 (en) Suspension Strut and Thrust Bearing Device
WO2011006881A1 (en)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KR20200033219A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WO2011026703A1 (en)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US8840316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EP3002136A1 (en)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130202242A1 (en) Sealing ring with an elastic spring lip
WO2011026759A1 (en) Bump stop device and macpherson strut
JP2023071229A (ja) ストラットベ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の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
KR20130073141A (ko)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