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044A - 설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044A
KR20110046044A KR1020090102856A KR20090102856A KR20110046044A KR 20110046044 A KR20110046044 A KR 20110046044A KR 1020090102856 A KR1020090102856 A KR 1020090102856A KR 20090102856 A KR20090102856 A KR 20090102856A KR 20110046044 A KR20110046044 A KR 2011004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put
output module
air
ch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6044A/ko
Publication of KR2011004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관제점이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 설비에 연결되어 복수의 관제점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설비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복수의 관제점에 대한 각각의 제어설정을 조합하여 복수의 제어타입을 설정하고, 복수의 제어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어타입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제점을 제어하는 복수의 입출력모듈 및 복수의 입출력 모듈을 통합 관리하는 다이렉트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로 구비되는 다이렉트 제어기에서 직접 제어를 위해 부하 또는 센서로 구비되는 관제점과 입출력 포트로 각각 연결되지 않고, 설비별로 구비되어 복수의 관제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입출력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설비 제어를 위한 설정 시간을 단축하고 오설정을 방지하여 설비 통합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DC, 관제점, 입출력 모듈

Description

설비 제어 시스템{Equipment control sytem}
본 발명은 설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설비 제어를 위한 설정 시간을 단축하고 오설정을 방지하여 설비 통합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위험 감지는 자동적 연속적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시설물의 해석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초기에 파악하고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최근 빌딩과 같은 시설물이 대형화, 고기능화되어 공조, 전력, 방법, 방재 등의 각종 설비들이 복잡하게 조합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설비들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해 구축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중앙 제어 시스템과 디지털 제어기 즉,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을 운용함에 있어서 각종 설비 및 시스템(공조제어, 전력제어, 조명제어, 엘리베이터등에 대한 감시제어) 상호간의 제어 및 감시에 필요한 많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신뢰성 높고 속도 빠른 통신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하 다.
또한, 디지털 제어기 즉, 일반적인 DDC는 각종의 센서 및 부하에 상응하는 관제점을 통해 빌딩내 설비들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며, 내장된 제어 로직에 따라 소프트웨어적 연산 과정을 거쳐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게이트웨이 및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 필요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로 구비되는 다이렉트 제어기(102)는 관제점(104, 106, 108, 110, 112, 114)에 대한 직접 제어를 위해 부하 또는 센서로 구비되는 모든 관제점에 대해 입출력 포트를 통해 각각 연결됨으로써, 설비 제어를 위한 설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로 구비되는 다이렉트 제어기에서 직접 제어를 위해 부하 또는 센서로 구비되는 관제점과 입출력 포트로 각각 연결되지 않고, 설비별로 구비되어 복수의 관제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입출력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설비 제어를 위한 설정 시간을 단축하고 오설정을 방지하여 설비 통합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관제점이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 상기 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관제점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상기 설비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관제점에 대한 각각의 제어설정을 조합하여 복수의 제어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어타입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관제점을 제어하는 복수의 입출력모듈 및 상기 복수의 입출력 모듈을 통합 관리하는 다이렉트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설비는 센서, 밸브 및 댐퍼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제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어느 하나의 설비에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모듈은, 회전 스위치(rotary switch)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어타입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관제점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냉각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냉각탑 입출력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칠러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칠러 입출력 모듈이고, 상기 칠러 입출력 모듈은 상기 칠러에 포함되는 압축기, 응축기, 밸브 및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에어 핸들링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칠러 입출력 모듈이고, 상기 칠러 입출력 모듈은 상기 칠러에 포함되는 송풍팬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렉트 제어기는, DDC(Direct Digital Cont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로 구비되는 다이렉트 제어기에서 직접 제어를 위해 부하 또는 센서로 구비되는 관제점과 입출력 포트로 각각 연결되지 않고, 설비별로 구비되어 복수의 관제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입출력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설비 제어를 위한 설정 시간을 단축하고 오설정을 방지하여 설비 통합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다이렉트 제어기(102), 제1 관제점(104)과 제2 관제점(106)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1 입출력 모듈(202), 제3 관제점(108)과 제4 관제점(110)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2 입출력 모듈(204) 및 제5 관제점(112)과 제6 관제점(114)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3 입출력 모듈(20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렉트 제어기(102)는 복수의 입출력 모듈(202, 204, 206)을 통합 관리하며,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로 구비될 수 있다.
DDC는 빌딩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의 원활한 제어를 위해, 입출력 모듈(202, 204, 206)을 통해 설비의 각 포인트(즉, 관제점)에 대한 모니터링과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중앙 제어 시스템의 지시를 받지 않더라도 로컬에서 설비의 직접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DDC는 각 입출력 모듈(202, 204, 206)에 따른 관제점 제어 상태 정보를 중앙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여 중앙 제어 시스템의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202, 204, 206)은 복수의 관제점이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 각각에 연결되어 복수의 관제점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설비의 동작을 모니터 링하고, 복수의 관제점에 대한 각각의 제어설정을 조합하여 복수의 제어타입을 설정하고, 복수의 제어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어타입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입출력 모듈(202, 204, 206)은 다이렉트 제어기(102)와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관제점에 대한 제어 타입을 미리 설정하며,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관제점은 설비 제어를 위한 각종 센서 및 부하일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02, 204, 206)은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어 타입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 모듈(202, 204, 206)은 각 입출력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각 관제점을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02, 204, 206)은 회전 스위치(rotary switch)를 구비하여, 회전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제어 타입을 회전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은 냉각탑 입출력 모듈로 구비되어, 냉각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은 칠러 입출력 모듈로 구비되어, 압축기, 응축기, 밸브 및 증발기 중 하나 이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입출력 모듈은 에어 핸들링 유닛 입출력 모듈로 구비되어, 송풍팬과 댐퍼 중 하나 이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300)은 예를 들어, 냉각탑 입출력 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DDC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302), 조작부(304), 냉각탑과 센서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306), 저장부(308) 및 제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에어 핸들링 유닛, 칠러, 냉각탑을 포함할 수 있고, 에어 핸들링 유닛과 칠러는 수배관으로 연결되며, 칠러와 냉각탑은 냉각수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하나 이상의 관제점(예를 들어, 냉각탑, 센서)에 대한 제어 타입을 미리 설정하며, 하나 이상의 관제점(예를 들어, 냉각탑, 센서)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냉각탑은 칠러와 냉각수 배관으로 연결되어 칠러로 냉각수를 공급하며, 센서는 냉각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어 타입을 저장부(308)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해당 입출력 모듈(300)에 의해 제어되는 각 관제점(예를 들어, 냉각탑, 센서)을 조작부(304)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300)은 회전 스위치(rotary switch)(미도시)를 구비하여, 회전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제어 타입을 회전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400)은 예를 들어, 칠러 입출력 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DDC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402), 조작부(404), 압축기, 응축기, 밸브, 증발기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406), 저장부(408) 및 제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칠러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인 밸브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에어 핸들링 유닛의 냉수 코일로 냉수를 공급하는 일종의 냉수 공급 유닛으로서, 지하실 등의 기계실이나 실외에 설치되고, 증발기에 수배관이 연결되고, 응축기에 냉각수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칠러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인 밸브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칠러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압축기는 운전 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 이루어지고, 병렬로 연결되고 부하에 따라 일부 혹은 전부 구동되는 복수개의 압축기로 이루어지거나, 인버터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용량이 조절되는 스크류 압축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기는 냉각탑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매가 응축되게 하는 것이다.
즉, 응축기는 냉각수 펌프의 구동시, 냉각탑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응축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킨 후 냉각탑으로 순환되고, 냉매는 응축된 상태로 팽창기구인 밸브로 이동된다.
팽창기구인 밸브는 캐필러리 튜브나 전자팽창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s)로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는 팽창기구인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물을 냉각시키는 물 쿨러로서,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가 열교환부재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즉, 냉매에 의해 차가워진 냉수가 수배관을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으로 공급된 후 증발기로 순환되고, 냉매는 증발된 상태로 압축기로 이동된다.
또한, 제어부(410)는 복수의 관제점(예를 들어, 압축기, 응축기, 밸브, 증발기)에 대한 제어 타입을 미리 설정하며, 복수의 관제점(예를 들어, 압축기, 응축기, 밸브, 증발기)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어 타입을 저장부(408)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해당 입출력 모듈(400)에 의해 제어되는 각 관제점(예를 들어, 압축기, 응축기, 밸브, 증발기)을 조작부(404)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400)은 회전 스위치(rotary switch)(미도시)를 구비하여, 회전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제어 타입을 회전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500)은 예를 들어, 에어 핸들링 유닛 입출력 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DDC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502), 조작부(504), 송풍팬, 댐퍼 등과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506), 저장부(508) 및 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에어 핸들링 유닛은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흡입하되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를 실외로 배출하고, 나머지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와 혼합하며, 혼합 공기를 냉수 코일등의 냉수 수요처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하고,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수 코일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를 갖는 냉수 코일과, 냉수 코일 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혼합 공기 또는 실내 공기를 순환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은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이나 가옥 중에서 에어 핸들링 유닛이 공조시키는 실내와 별도로 마련된 공조실이나 기계실 등에 설치되거나 실외에 설치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은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에어 핸들링 유닛이 공조시키는 실내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냉수 코일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직접 토출하는 팬 코일 유닛 등으로 구성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실내 공기 흡입부와, 실내 공기 배출부와, 외기 공기 흡입부와, 공조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와,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 공기 배출부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키는 냉수 코일을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내 공기 흡입부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로 흡입되도록 실내와 실내 공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환기 덕트가 연결되고, 실내 공기 흡입부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실내 공기 배출부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배기 덕트가 연결되며, 실외 공기가 실외 공기 흡입부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로 내부로 흡입되도록 실외와 실외 공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외기 덕트가 연결되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공조 공기 배출부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급기 덕트가 연결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은 실내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가 실내 공기 배출부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고, 나머지가 외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혼합되며, 혼합된 공기가 냉수 코일과 열교환된 후 공조 공기 배출부와 급기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게 구성되는 바, 공기 유동 방향으로 냉수 코일이전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 챔버(26: Mixing Chamber)가 위치될 수 있다.
송풍팬은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실내 공기 흡입부와 실내 공기 배출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 내부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리턴 팬과, 혼합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냉수 코일와 공조 공기 배출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혼합 공기를 냉수 코일로 흡인시킨 후 공조 공기 배출부를 향해 송풍시키는 공급 팬을 포함한다.
송풍팬은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량 가변형 송풍팬로서, 블로워와, 블로워를 둘러싸고 공기 흡입구과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블로워를 회전시키는 블로워 구동원을 포함한다.
냉수 코일은 혼합 공기와 냉수가 열교환되어 혼합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일종의 실내 열교환기로서, 혼합 챔버와 공급 팬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은 혼합 공기 중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댐퍼는 실내 공기 배출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외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 흡기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혼합 챔버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중 혼합 챔버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혼합 댐퍼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510)는 하나 이상의 관제점(예를 들어, 송풍팬, 댐퍼 등)에 대한 제어 타입을 미리 설정하며, 하나 이상의 관제점(예를 들어, 송풍팬, 댐퍼 등)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설정된 제어 타입 중 특정 제어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어 타입을 저장부(508)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해당 입출력 모듈(500)에 의해 제어되는 각 관제점(예를 들어, 송풍팬, 댐퍼 등)을 조작부(504)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500)은 회전 스위치(rotary switch)(미도시)를 구비하여, 회전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제어 타입을 회전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해당 관제점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설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Claims (8)

  1. 복수의 관제점이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
    상기 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관제점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상기 설비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관제점에 대한 각각의 제어설정을 조합하여 복수의 제어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어타입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관제점을 제어하는 복수의 입출력모듈; 및
    상기 복수의 입출력 모듈을 통합 관리하는 다이렉트 제어기;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센서, 밸브 및 댐퍼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제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어느 하나의 설비에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회전 스위치(rotary switch)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어타입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어 타입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관제점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냉각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냉각탑 입출력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칠러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칠러 입출력 모듈이고,
    상기 칠러 입출력 모듈은 상기 칠러에 포함되는 압축기, 응축기, 밸브 및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에어 핸들링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칠러 입출력 모듈이고,
    상기 칠러 입출력 모듈은 상기 칠러에 포함되는 송풍팬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제어기는, DDC(Direct Digital Cont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0090102856A 2009-10-28 2009-10-28 설비 제어 시스템 KR20110046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56A KR20110046044A (ko) 2009-10-28 2009-10-28 설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56A KR20110046044A (ko) 2009-10-28 2009-10-28 설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44A true KR20110046044A (ko) 2011-05-04

Family

ID=4424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856A KR20110046044A (ko) 2009-10-28 2009-10-28 설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60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637A (zh) * 2018-04-27 2018-11-27 上海申铁杰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实时监控功能的冷却水循环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637A (zh) * 2018-04-27 2018-11-27 上海申铁杰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实时监控功能的冷却水循环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42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1048807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leak protection control
JP5029913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7163321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11959652B2 (en) Machine learning apparatus,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achine learning method
US20060123810A1 (en) Method for operating air conditioner
WO2012050087A1 (ja) 熱源装置
JP2011137597A (ja) 空気調和装置
KR20100128956A (ko) 공기조화기
KR20120019279A (ko)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0339513A (ja) エアコンシステム
KR2013005397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36634B1 (ko)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중앙관리 시스템
JP2010190484A (ja) 電子機器冷却装置
KR101702008B1 (ko) 복합공조 방식의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CN114026368A (zh) 外部空气处理装置和空调系统
KR2014005459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4581B1 (ko)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KR20110046044A (ko) 설비 제어 시스템
CN113728203B (zh) 空调系统
CN113692515B (zh) 空调系统
JP6716024B2 (ja) 空気調和装置
JP6902912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全熱交換装置
KR20110046043A (ko)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KR20200119676A (ko) 냉난방 및 실내공기제어를 위한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