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043A -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043A
KR20110046043A KR1020090102855A KR20090102855A KR20110046043A KR 20110046043 A KR20110046043 A KR 20110046043A KR 1020090102855 A KR1020090102855 A KR 1020090102855A KR 20090102855 A KR20090102855 A KR 20090102855A KR 20110046043 A KR20110046043 A KR 2011004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rent
input
address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6043A/ko
Publication of KR2011004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유닛에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구비하여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각 유닛에서 주소를 설정하고, 출력포트를 통해 다른 유닛으로 일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주소를 설정할 수 있고, 유닛에 설정된 주소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유닛에 대한 주소 설정이 용이하고 설정된 주소를 이용하여 유닛을 제어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원격 관리 시스템, 칠러, 에어 컨트롤, 공기조화, 플랜트, 주소설정

Description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Remote managing system and address setting method for remote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에 주소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는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가 대형화, 멀티화됨에 따라, 증발기와 응축기 등의 용량이 증대되고, 하나의 대형 응축기가 두면 또는 삼면으로 절곡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두면 또는 삼면을 통해 흡입되고, 공기조화기의 두면 또는 삼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절곡된 응축기를 통과한 후 상측으로 토출된다.
한편, 통신망의 발달로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원격지에 원격 관리 서버를 구비하고, 원격 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 의 원거리 공기조화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유닛이 연결될 뿐 아니라, 냉각기와 순환기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여 동작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상호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송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따라 신속하고 빠르게, 중복 없이 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각 유닛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주소를 설정하고, 각 유닛에 설정된 주소에 따라 유닛을 제어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소정 크기의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전류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전류값에 대응하여 유닛의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일정 규칙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상기 일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는 유닛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의 주소 설정 방법은 유닛으로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유닛의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일정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주소 설정 방법은 제 1 유닛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전류에 대응하여 제 1 주소를 설정하고, 기 설정된 식에 따라 제 1 전류에 대응하는 제 2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제 2 유닛은 입력포트가 상기 제 1 유닛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 2전류를 입력받아 제 2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전류에 대응하는 제 3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제 3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출력포트로부터 상기 제 3 전류를 입력받아 제 3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류에 대응하는 제 4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마지막 유닛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전류값에 대응하여 제 n 주소를 설정하고 주소 설정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의 주소 설정에 있어서, 각 유닛으로 소정 크기의 전류가 입력되면, 일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각 유닛에서 주소를 설정하고, 복수의 유닛에 순차적으로 주소를 설정할 수 있으며, 유닛에 설정된 주소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치 설정 없이도 간편하게 유닛별로 주소를 설정할 수 있고 중복이 나 빠짐없이 주소를 설정할 수 있어 주소 설정이 용이하고, 설정된 중소를 통해 하며, 설정된 주소에 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제어 및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에어 핸들링 유닛(1), 칠러(2)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제어부(미도시)는 칠러(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 유닛으로서,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실내 공기(I)와 실외 공기(O)를 흡입하되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를 실외로 배출하고, 나머지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와 혼합하며, 혼합 공기를 냉수 코일등의 냉수 수요처(이하, 냉수 코일로 칭함)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하고,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실내 공기(I)를 흡입하여 냉수 코일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를 갖는 냉수 코일과, 냉수 코일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혼합 공기 또는 실내 공기를 순환 송풍시키는 송풍 팬을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이나 가옥 중에서 에어 핸들링 유닛(1)이 공조시키는 실내와 별도로 마련된 공조실이나 기계실 등에 설치되거나 실외에 설치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비환기 공조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에어 핸들링 유닛(1)이 공조시키는 실내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냉수 코일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직접 토출하는 팬 코일 유닛(FCU: Fan Coil Unit) 등으로 구성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실내 공기 흡입부(11)와, 실내 공기 배출부(12)와, 외기 공기 흡입부(13)와, 공조 공기 배출부(14)가 형성된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와,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27)(28)과,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 공기 배출부(14)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키는 냉수 코일(40)을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내 공기 흡입부(11)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로 흡입되도록 실내와 실내 공기 흡입부(11)를 연통시키는 환기 덕트(21)가 연결되고, 실내 공기 흡입부(11)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실내 공기 배출부(12)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배기 덕트(22)가 연결되며, 실외 공기가 실외 공기 흡입부(13)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로 내부로 흡입되도록 실외와 실외 공기 흡입 부(13)를 연통시키는 외기 덕트(23)가 연결되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공조 공기 배출부(14)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급기 덕트(24)가 연결된다.
환기 덕트(21)는 실내 공기 흡입부(11)에 연결되고, 배기 덕트(22)는 실내 공기 배출부(12)에 연결되며, 외기 덕트(23)는 실외 공기 흡입부(13)에 연결되고, 급기 덕트(24)는 공조 공기 배출부(14)에 연결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실내 공기 흡입부(11)로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가 실내 공기 배출부(12)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고, 나머지가 외기 공기 흡입부(13)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혼합되며, 혼합된 공기가 냉수 코일(40)와 열교환된 후 공조 공기 배출부(14)와 급기 덕트(19)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게 구성되는 바, 공기 유동 방향으로 냉수 코일(40) 이전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 챔버(26: Mixing Chamber)가 위치된다.
송풍팬(27)(28)은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실내 공기 흡입부(11)와 실내 공기 배출부(12)의 사이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 내부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리턴 팬(27)과, 혼합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냉수 코일(40)와 공조 공기 배출부(14)의 사이에 위치되어 혼합 공기를 냉수 코일(40)로 흡인시킨 후 공조 공기 배출부(14)를 향해 송풍시키는 공급 팬(28)을 포함한다.
송풍팬(27)(28)은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량 가변형 송풍팬로서, 블로워(29)와, 블러워(29)를 둘러싸고 공기 흡입구(30)과 공기 토출구(31)가 형성된 하우징(32)과, 블러워(29)를 회전시키는 블로워 구동원을 포함한다.
블로워 구동원은 블로워(29)의 회전 중심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블러워(29)의 회전 중심에 연결된 샤프트(34)와, 하우징(32)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모터(35)와, 모터(35)의 구동력을 샤프트로 전달하는 연결하는 구동 풀리(36)와 벨트(37)와 종동풀리(38)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다.
모터(35)는 풍속이 가변되는 인버터 모터로 이루어진다.
냉수 코일(40)은 혼합 공기와 냉수가 열교환되어 혼합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일종의 열교환기로서, 냉수가 통과하는 유로를 갖는 냉수 코일을 갖고, 혼합 챔버(26)와 공급 팬(28)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냉수 코일(40)에는 칠러(2)와 냉수 코일(40)을 연결하는 수배관(41)(42)이 연결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혼합 공기 중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댐퍼(43)(44)(45)를 포함한다.
댐퍼(43)(44)(45)는 실내 공기 배출부(12)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43)와, 외기 공기 흡입부(13)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 흡기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44)와, 혼합 챔버(26)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중 혼합 챔버(26)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혼합 댐퍼(45)를 포함한다.
칠러(2)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팽창기구(53)와 증발기(54)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냉수 코일(40)로 냉수를 공급하는 일종의 냉수 공급 유닛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1)와,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52)와,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53)와, 팽창기구(53)에서 팽창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기(54)를 포함하고,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팽창기구(53)와 증발기(54)가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칠러(2)는 응축기(52)가 공랭식으로 이루어지고, 실외 공기가 응축기(52)를 통과하게 건물의 옥상 등의 실외에 설치된다.
칠러(2)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팽창기구(53)와 증발기(54)가 설치되고, 실외 공기가 흡입되어 응축기를 통과한 후 토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압축기(51)는 운전 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 이루어지고, 부하에 따라 일부 혹은 전부 구동되는 복수개의 압축기로 이루어지거나, 인버터 압축기나 스크류 압축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압축기(51)는 응축기(52)와 연결되는 출구 배관에 압축기(51)에서 유출된 냉매와 오일 중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기(55)가 설치되고, 오일 분리기(55)에는 압축기(51)로 오일을 회수시키는 오일 회수 유로(56)가 연결된다.
응축기(52)는 실외 팬(57)에 의해 송풍되는 실외 공기에 의해 냉매가 응축되게 하는 것으로서, 냉매가 통과하는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이루어진다.
팽창기구(53)는 캐필러리 튜브나 전자팽창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s)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기구부(A)와 응축기부(B) 중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증발기(54)는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냉수 코일(40)과 수배관(41)(42)으로 연결되어 팽창기구(53)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물을 냉각시키는 쿨러로서,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가 열교환부재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증발기(54)는 물이 통과하고 물 유로를 갖는 복수개의 이너 튜브와, 복수개의 이너 튜브의 외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이너 튜브와 사이에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를 갖는 쉘을 포함한다.
증발기(54)는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열교환기(40)와 수배관(41)(42)으로 연결되는 바, 복수개의 이너 튜브와, 수배관(41)(42)과, 에어 핸들링 유닛(1)의 냉수 코일(40)은 냉수 순환 유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배관(41)(42)은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수배관(41)(42)에는 냉수를 순환되게 펌핑시키는 냉수 펌프(58)가 설치된다.
냉수 펌프(58)는 수배관(41)(42) 중 에어 핸들링 유닛(1)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칠러(2)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에어 핸들링 유닛(1)과 칠러(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칠러(2)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압축기(51)와 증발기(54) 등이 설치되는 기구부(A)와, 응축기(52)를 갖는 응축기부(B)와, 실외팬(57)을 갖는 실외팬부(C)를 포함한다.
칠러(2)는 기구부(A)의 상측에 응축기부(B)가 배치되며, 실외팬부(C)가 응축기부(B)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어부(미도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즉, 각 유닛의 입출력 정보를 수집하고, 공기조화기의 장애 발생시, 수집된 입출력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원격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 원인이 분석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장애의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원격 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는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 원인이 분석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공기조화기 관리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원격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 핸들링 유닛(1), 칠러(2) 등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가 복수로 구비되고(U1, U2, U3), 복수의 유닛(111 내지 122)을 제어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 관리 시스템은 환기 유닛, 별도로 구비되는 냉각 유닛 과 같은 설비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111 내지 122)은 각각 상호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제어기(100)에 연결되어, 제어기(100)에 의해 통합 제어된다. 복수의 유닛(111 내지 122)은 마스터유닛과 일반유닛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기(100)는 전술한 도 1 과 같은 공기조화기기의 에어 핸들링 유닛(1), 칠러(2)를 각각 하나의 유닛으로써 모니터링 하고 그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각 공기조화기가 유닛간의 연동으로 통해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기(100)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별 제어 하되,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통합 제어하고 관리한다.
제어기(100)는 복수의 유닛에 대해 통신선 기반의 유선통신을 통해 제어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무선통신을 이용한 제어 또한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100)는 데이터부(140), 입력부(150), 출력부(160), 주소설정부(170), 통신부(180) 그리고 제어기의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데이터부(140)에는 복수의 유닛의 동작정보가 동작데이터로써 저장되고, 각 유닛에 대한 정보 및 유닛간의 연동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40)는 각 유닛에 설정된 주소정보가 저장된다.
입력부(150)는 키, 스위치, 버튼, 로터리 스위치, 터치패드 등과 같이 조작에 의해 소정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조작에 따라 제어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입력한다.
출력부(160)는 디스플레이수단, 스피커, 램프 와 같은 출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제어기의 동작상태 및 복수의 유닛에 대한 동작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160)는 구비되는 출력수단에 따라 문자, 숫자 또는 이미지로 정보를 표시하거나, 소정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동작상태를 색 또는 점멸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소정 통신 규격 에 따라 유닛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80)는 제어부(190)의 제어명령을 소정 유닛으로 전송하고, 복수의 유닛에 대한 동작데이터를 각 유닛으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190)는 각 유닛에 설정된 주소정보를 통신부(17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부(140)에 저장하고, 주소정보에 대응하여 각 유닛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각 유닛의 주소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각 유닛으로 주소설정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설정 완료된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각 유닛으로 소정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닛이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은 유닛데이터부(220), 유닛 입력부(230), 유닛 출력부(240), 유닛 구동부(250), 입력포트(270), 출력포트(280), 유닛 통신부(260) 그리고 유닛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각 유닛은 유닛의 종류, 특성, 연결된 다른 유닛과의 관계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유닛 입력부(230)는 각 유닛 별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이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유닛 출력부(240)는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스피커,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유닛 구동부(250)는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나, 유닛 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유닛이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유닛이 전술한 도 1의 에어 핸들링 유닛(1)인 경우, 유닛 구동부(250)는 공기 순환을 위해 구비되는 팬의 회전동작을 위해, 팬에 연결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냉수코일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닛이 칠러(2)인 경우, 유닛 구동부(250)는 유닛 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칠러 내부의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팽창기구(53)와 증발기(54)로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유닛 통신부(260)는 다른 유닛, 제어기(100)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유닛 통신부(260)는 제어기(100)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유닛 제어부(210)로 인가하고 유닛 제어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제어기(200) 또는 다른 유닛으로 전송한다.
입력포트(270)는 소정 크기의 전류가 입력되고, 출력포트(280)는 유닛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크기가 전류가 출력되는 아날로그 포트이다.
입력포트(270)는 다른 유닛의 출력포트와 연결되고, 출력포트(280)는 또 다른 유닛의 입력포트와 연결된다. 그에 따라 복수의 유닛은 각각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로 연결되게 된다.
유닛 제어부(210)는 유닛입력부(230) 또는 유닛 통신부(26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기(100)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유닛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고, 유닛의 동작상태를 유닛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유닛 제어부(210)는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유닛 통신부(260)를 통해 제어기(100)로 전송하고, 유닛 데이터부(22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또한, 유닛제어부(210)는 입력포트(27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 응하여 유닛의 주소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소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포트(28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유닛제어부(210)는 구동 후, 유닛에 주소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유닛의 주소 설정을 시작한다. 유닛 제어부(210)는 구동 후 소정 시간이 경과 되기까지 입력포트(270)를 통해 전류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해당 유닛을 마스터 유닛으로 판단하여 주소를 자동 설정한다.
유닛 제어부(210)는 구동 후 소정 시간 내에 입력포트(270)를 통해 소정 크기의 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유닛이 일반유닛인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된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소를 설정한다.
또한, 유닛 제어부(210)는 입력된 전류보다 일정 크기가 큰 전류를 출력포트(28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복수의 유닛 중, 통일한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모든 유닛은 동일한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포트(280)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설정한다. 단, 다른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유닛은 다른 알고리즘을 통해 출력포트를 통해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유닛 제어부(210)는 해당 유닛이 마지막 유닛인 경우, 즉 출력포트(280)에 다른 유닛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출력포트로 전류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유닛 제어부(210)는 마지막 유닛의 주소 설정 완료에 대한 신호를 마스터 유닛 또는 제어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2의 제 1 내지 제6 유닛(111 내지 116)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에 동일한 값을 추가하여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각 유닛은 입력된 값에 따라 주소를 설정하고 입력된 전류값에 따라 소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므로, 각 유닛은 입,출력포트를 통해 연결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소가 설정된다.
유닛 제어부(210)는 주소 설정 완료 시 설정된 주소정보를 유닛 통신부(260)를 통해 제어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유닛이 마스터 유닛인 경우 다른 유닛의 주소정보를 제어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유닛이 각자 제어기(100)로 설정된 주소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명령을 다른 유닛으로 인가할 수 있다.
유닛 제어부(210)는 주소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기(100)로 데이터 전송 시 유닛의 주소를 송신처의 주소로 설정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유닛 통신부(260)를 제어한다. 또한, 유닛 통신부(26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 주소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가 유닛의 데이터인지 다른 유닛의 데이터 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 또는 폐기 한다.
입력포트(270) 및 출력포트(28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복수의 유닛이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주소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은 각각 통신선(L11)으로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유닛은 각각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구비하고,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통해 다른 유닛과 연결된다(L12).
이때, 각 유닛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전류값에 대응하여 주소를 설정하고, 입력된 전류값에 소정 크기를 더해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즉, 소정 유닛은 앞에 연결된 유닛에서 출력된 전류값을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받고, 유닛에서 출력된 전류값은 그 다음에 연결된 유닛의 입력포트로 입력된다.
예를들어, 유닛 0(unit 0)은 입력포트를 통해 전류가 입력되지 않으므로(0mA), 유닛이 마스터 유닛인 것으로 판단하여 주소 1을 자동 할당한다. 또한, 유닛 0은 입력된 전류값 0 mA에 2mA를 더해, 출력포트를 통해 2mA의 전류를 출력한다.
유닛 1(unit 1)은 입력포트를 통해 2mA가 입력되면, 2mA에 대응하여 주소 2를 설정한다. 또한, 유닛 1은 입력포트를 통해 2mA가 입력되었으므로 입력된 전류값에 2mA를 더해, 출력포트를 통해 4mA의 전류를 출력한다.
유닛 2(unit 2)은 입력포트를 통해 4mA가 입력되면, 4mA에 대응하여 주소 3을 설정한다. 또한, 유닛 2는 입력포트를 통해 4mA가 입력되었으므로 입력된 전류값에 2mA를 더해, 출력포트를 통해 6mA의 전류를 출력한다.
유닛 3(unit 3)은 입력포트를 통해 6mA가 입력되면, 6mA에 대응하여 주소 4을 설정한다. 또한, 유닛 3은 입력포트를 통해 6mA가 입력되었으므로 입력된 전류값에 2mA를 더해, 출력포트를 통해 8mA의 전류를 출력한다.
유닛 4(unit 4)는 입력포트를 통해 8mA가 입력되면, 8mA에 대응하여 주소 5을 설정한다. 또한, 유닛 4는 입력포트를 통해 8mA가 입력되었으므로 입력된 전류값에 2mA를 더해, 출력포트를 통해 10mA의 전류를 출력한다.
단, 유닛 4가 마지막 연결된 유닛인 경우, 즉 출력포트에 다른 유닛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출력포트로 전류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유닛 4는 마지막 유닛의 주소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마스터유닛인 유닛 0으로 통신선(L1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유닛 4 또는 마스터 유닛인 유닛 0으로부터 마지막 유닛까지 주소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유닛인 유닛 0은 다른 유닛의 주소 정보를 통신선(L11)을 통해 제어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 유닛이 제어기(100)로 주소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명령을 통신선(L1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유닛이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전류값에 2mA를 더하여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것은 일 예일 뿐 다른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입력된 전류에 특정 값을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거나 나누어 출력할 수 있다. 단, 동일한 통신선으로 연결된 모든 유닛은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된 전류값에 따라 소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한다.
여기서, 유닛 0 내지 유닛 4에 설정되는 주소 1 내지 주소 5는 순차적으로 0,1,2,3,4로 설정될 수 있으며, 2,4,6,8,10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단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며, 연결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주소 설정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각 유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를 설정한다.
주소 설정이 시작되면, 또는 전원이 입력되어 동작이 시작되면(S310), 각 유닛의 유닛 제어부(210)는 입력포트(27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값을 감지한 다(S320).
이때, 유닛 제어부(210)는 소정 시간 내에 입력포트(270)를 통해 기본 입력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유닛이 마스터 유닛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본 주소를 설정한다(S330).
예를 들어 기본 입력전류가 0mA인 경우 즉 전류가 입력되지 않는 유닛 제어부는 기본입력전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마스터 유닛으로 주소 00을 설정 할 수 있다. 단, 기본 입력전류는 설정에 따라, 유닛의 종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기본 주소 또한,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유닛 제어부(210)는 입력전류 값에 소정값을 더한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S340). 예를 들어 입력된 전류값이 0 이므로 여기에 1mA를 더해 1mA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유닛 제어부(210)는 소정 크기의 입력전류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려되는 경우, 입력된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입력전류값에 대응하여 주소를 설정한다(S350). 입력된 전류값이 3mA인 경우 3에 대응하여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제어부(210)는 입력전류값에 소정값을 더한 크기의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S360). 예를 들어 3mA 의 전류가 입력되면 여기에 1mA를 더한 4mA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시간 내에 전류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경과 후 일정 크기의 전류가 입력되면 유닛 제어부(210)는 입력된 전류값에 따라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유닛 제어부(210)는 주소가 설정되면 설정된 주소정보를 유닛 데이터부(220)에 저장한다(S370). 또한, 유닛 제어부(210)는 주소 설정이 완료되면, 마스터 유닛 또는 제어기(100)로 설정된 주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유닛에 주소가 설정되면, 설정된 주소를 이용하여 유닛간의 데이터 전송 또는 제어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닛의 주소 설정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복수의 유닛 중 각 유닛은 전술한 도 6와 같이 입력된 전류값에 따라 주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소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한다.
이때, 입력된 전류에 대한 출력전류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은 일 예 일뿐 변경될 수 있다.
주소 설정이 시작되고(S410), 마스터 유닛의 주소가 설정된다(S420). 이때, 마스터 유닛은 소정 시간이 경과 되어도 입력포트를 통해 전류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또는 지정된 기본 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유닛이 마스터 유닛인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주소를 설정한다.
마스터 유닛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입력전류에 에 대응하는 A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S430).
마스터 유닛의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된 A전류는 마스터 유닛의 출력포트에 연결된 제 1 유닛의 입력포트로 입력된다(S440).
제 1 유닛은 입력포트로 입력된 A전류에 대응하여 제 1 유닛의 주소를 설정한다(S450). 또한, 제 1 유닛은 입력포트로 입력된 A전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 고리즘에 따라 A전류에 x를 더한 B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S460).
제 1 유닛의 출력포트와 연결된 제 2 유닛에는 입력포트를 통해 B전류가 입력된다(S470).
제 2 유닛은 입력포트로 입력된 B전류에 대응하여 제 2 유닛의 주소를 설정한다(S480). 또한, 제 2 유닛은 입력포트로 입력된 B전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B전류에 x를 더한 C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S490).
제 3 유닛은 제 2 유닛의 출력포트와 입력포트가 연결되어, 제 2 유닛에서 출력된 C전류가 입력된다(S500).
제 3 유닛은 입력포트로 입력된 C전류에 대응하여 제 3 유닛의 주소를 설정한다(S510).
제 3 유닛이 마지막 유닛이 아니고 다른 유닛이 계속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 3 유닛은 입력된 C전류에 소정값을 더해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S530).
제 3 유닛에 연결된 다음 유닛은 입력된 전류값에 대응하여 주소를 설정하고(S540), 입력된 전류값에 따라 소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입력포트에 따른 주소 설정 및 입력포트에 대하여 소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것은 마지막 유닛까지 반복된다.
이때, 제 3 유닛이 마지막 유닛인 경우(S520), 제 3 유닛은 주소 설정을 완료한다(S550). 제 3 유닛이 마지막 유닛인 경우 마지막 유닛의 주소 설정 완료에 대한 신호를 마스터 유닛 또는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닛의 주소 설정 방법에 대한 예가 도시된 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주소 설정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닛의 주소 설정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Claims (13)

  1. 유닛으로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유닛의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일정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닛의 주소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가 기본 입력전류인 경우 해당 유닛으로 마스터 유닛으로 설정하고,
    상기 입력포트를 입력되는 전류가 기본 입력전류가 아닌 경우 일반 유닛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의 주소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 전, 상기 유닛이 마지막 유닛인 경우, 주소설정을 완료하고 마스터 유닛 또는 제어기로 주소 설정완료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닛의 주소 설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주소가 순차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의 주소 설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과 동일한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모든 유닛은 상기 기 설정된 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전류값에 대응하는 출력전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의 주소 설정방법.
  6. 제 1 유닛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전류에 대응하여 제 1 주소를 설정하고, 기 설정된 식에 따라 제 1 전류에 대응하는 제 2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제 2 유닛은 입력포트가 상기 제 1 유닛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 2전류를 입력받아 제 2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전류에 대응하는 제 3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제 3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출력포트로부터 상기 제 3 전류를 입력받아 제 3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류에 대응하는 제 4 전류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마지막 유닛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전류값에 대응하여 제 n 주소를 설정하고 주소 설정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주소 설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주소는 상기 제 1 내지 마지막 유닛의 연결순서에 대응하여 일정 규칙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주소 설정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상기 마지막 유닛은, 상기 제 1 내지 제 n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내지 상기 마지막 유닛에 연결된 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주소 설정방법.
  9. 복수의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소정 크기의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전류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전류값에 대응하여 유닛의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일정 규칙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상기 일정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는 유닛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각각 구비하여,
    다른 유닛과 입력포트를 통해 연결되고, 또 다른 유닛과 출력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연결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동일한 상기 일정 규칙에 따라 상기 출력포를 통해 출력하는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유닛에 설정된 주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개별제어하거나, 다른 유닛과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090102855A 2009-10-28 2009-10-28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KR20110046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55A KR20110046043A (ko) 2009-10-28 2009-10-28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55A KR20110046043A (ko) 2009-10-28 2009-10-28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43A true KR20110046043A (ko) 2011-05-04

Family

ID=4424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855A KR20110046043A (ko) 2009-10-28 2009-10-28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60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52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바이콤 스피커 연결 순서 자동 인식 방법
CN109469972A (zh) * 2018-10-24 2019-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外机地址配置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52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바이콤 스피커 연결 순서 자동 인식 방법
CN109469972A (zh) * 2018-10-24 2019-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外机地址配置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1676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2431677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21101140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90044785A (ko) 냉매 누설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9279A (ko)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486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8956A (ko) 공기조화기
CN113710964B (zh) 空调系统
KR20110046043A (ko)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760731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mount of refrigerant of dual type unitary air conditioner
CN113728203B (zh) 空调系统
JP718147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10043254A (ko)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서버
KR20150049530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13574326B (zh) 装置评价系统和装置评价方法
US20070044490A1 (en) Method for selectively operating compressors of dual type unitary air conditioner
KR20110046044A (ko) 설비 제어 시스템
KR10181201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5644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CN114867970A (zh) 空气调节器系统
KR2012009027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9819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6754A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2009027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