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231A - 열충격시험기 - Google Patents

열충격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231A
KR20110043231A KR1020090100262A KR20090100262A KR20110043231A KR 20110043231 A KR20110043231 A KR 20110043231A KR 1020090100262 A KR1020090100262 A KR 1020090100262A KR 20090100262 A KR20090100262 A KR 20090100262A KR 20110043231 A KR20110043231 A KR 20110043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amber
high temperature
tank
test
sp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072B1 (ko
Inventor
우성종
최왕진
윤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피코
Priority to KR102009010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0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e.g. refractory materials, to rapid heat cha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충격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외함 내에 노즐(30)이 설치된 고온챔버(10)와, 스플래쉬탱크(40)와 이멀전탱크(50)가 모두 구비되고, 스플래쉬탱크(40)와 이멀전탱크(50)의 시험액 순환라인이 냉각장치(70)의 열교환기(75)를 경유하여 시험액이 냉각되며, 상기 고온챔버(10)와 그 하측에 설치된 상기 이멀전탱크(50) 사이를 크래들(60)이 승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시험기 내에서 스플래쉬 테스트와 이멀전 테스트를 모두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열충격시험기, 스플래쉬 테스트, 이멀전 테스트

Description

열충격시험기{thermal shock test chamber}
본 발명은 열충격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플래쉬 테스트와 이멀전 테스트를 모두 행할 수 있는 열충격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부품)의 열충격시험(Air to Liquid)으로서 스플래쉬 테스트와 이멀전 테스트를 실시한다.
스플래쉬 테스트(splash test)는 제품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 저온의 액체를 분사하여 제품에 스트레스를 주는 시험이고, 이멀전 테스트(Immersion test)는 제품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 저온의 액조로 침수시켜 스트레스를 주는 시험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스플래쉬 테스트를 위한 시험기와 이멀전 테스트를 위한 시험기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있어서, 두 가지 시험을 모두 실시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시험기를 모두 갖추어야만 했다.
따라서, 장비 구매에 고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장비의 설치에도 많은 공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시험기에서 스플래쉬 테스트와 이멀전 테스트를 모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열충격시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함과;
상기 외함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고온챔버와;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 벽에 설치되어 고온챔버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 벽에 설치되어 고온챔버 내부로 시험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시험액이 저장된 스플래쉬탱크와;
상기 고온챔버의 하측에 설치되고 시험액이 저장된 이멀전탱크와;
상기 고온챔버와 이멀전탱크 사이를 상하 이동하는 크래들과;
상기 스플래쉬탱크와 이멀전탱크의 시험액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에 인접하여 팬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플래쉬탱크와 상기 노즐 사이의 배관에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스플래쉬탱크로부터 쓰리웨이밸브를 경유하여 스플래쉬탱크로 복귀되는 시험액 순환배관이 형성되며, 상기 시험액 순환배관이 상기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시험액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온챔버의 바닥면이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홈에 드레인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관에 쓰리웨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쓰리웨이밸브와 상기 스플래쉬탱크를 연결하는 리턴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멀전탱크와 상기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의 사이에 시험액 순환배관이 형성되고, 시험액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플래쉬탱크와 이멀전탱크의 시험액 순환배관이 경유하는 열교환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각각의 열교환기에 포함되는 증발기 외에 또 다른 보조증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함의 바닥면과 고온챔버 사이에 가이드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에 가이드플레이트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구비된 2열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상기 이멀전탱크의 측부에 장착된 슬라이더가 삽입되어 상기 이멀전탱크가 승강 및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온챔버의 바닥벽에 상기 크래들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의 상부벽과 하부벽은 상기 고온챔버의 바닥벽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래들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복수의 바닥판을 갖춘 다단 선반이고, 상기 바닥판에 다수의 탭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함의 상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온챔버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전선유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전선유입관을 통해 전선이 유입되어 시험대상 부품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유입관의 하단이 상기 크래들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시험기 내에서 스플래쉬 테스트와 이멀전 테스트를 모두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각각의 시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비 구입 비용이 절감되고, 실험실내에서 시험장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기는 스플래쉬 테스트와 이멀전 테스트시 시험대상 부품의 가열을 하나의 고온챔버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스플래쉬탱크와 이멀전탱크의 시험액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역시 하나의 냉방사이클로 이루어져 증발기를 제외한 냉각장치의 나머지 장치들(압축기, 콘덴서 등)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험기는 이멀전탱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고온챔버의 하부벽에 밀착되므로 테스트시 시험액이 외부로 튀어 시험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멀전탱크가 전후로 이동가능하여 외함의 외부로 이멀전탱크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내벽의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용이하다.
또한, 전선유입관이 구비되어 시험대상 부품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의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시험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우측 단면도이며, 도 3은 좌측 단면도이고, 도 4는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시험기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함(케이스;1) 내부에 필요한 장치들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시험기는 고온챔버(10)와, 상기 고온챔버(10)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20)와, 상기 고온챔버(10)의 내부로 시험액을 분사하는 노즐(30)과, 상기 노즐(30)로 공급되는 시험액이 저장된 스플래쉬탱크(40)와, 상기 고온챔버(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시험액이 저장된 이멀전탱크(50)와, 상기 고온챔버(10)와 이멀전탱크(50) 사이를 상하 이동하는 크래들(60)과, 상기 스플래쉬탱크(40)와 이멀전탱크(50)의 시험액을 냉각하는 냉각장치(70)를 포함한다.
상기 고온챔버(10)는 시험기 외함(1)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개 구되는 도어(11)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11)가 닫혔을 때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설치되는 시험대상 부품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히터(20)는 전기저항 발열 방식의 히터로서 고온챔버(10)의 후방벽에 설치되어 고온챔버(1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터(20) 설치위치에 근접하여 모터(22)로 구동되는 팬(23)이 구비되는데, 상기 팬(23)이 구동되어 히터(20)에서 발생한 열을 고온챔버(10) 내부 공간으로 활발히 전달함으로써 고온챔버(10)에 설치되는 시험대상 부품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노즐(30)은 고온챔버(10)의 좌우측벽 중 외함(1)의 내측에 위치한 벽면(도면에서 우측벽면)에 설치된다.
상기 노즐(30)은 벽면의 중간 높이 정도에 설치되어 스플래쉬 테스트시 고온챔버(10) 내부에 설치된 시험대상 부품으로 정확하게 시험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플래쉬탱크(40)는 시험기 외함(1)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30)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배관중에는 시험액을 노즐(30)로 압송하기 위한 순환펌프(31)가 구비된다.(도 6 동시 참조)
상기 이멀전탱크(50)는 상기 고온챔버(10)의 하측에 설치되는데, 상하로 승강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후 이동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이멀전탱크(50)의 좌우 측부의 전방과 후방 각각(총 4개소)에 외 함(1)의 바닥면과 고온챔버(10)의 하측면을 연결하는 가이드로드(51)가 설치되고, 그 중 같은 쪽의 전후 가이드로드(51)에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플레이트(5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2)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53)들이 횡방향으로 2열 설치되며, 그 가이드롤러(53)의 사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더(54)가 상기 이멀전탱크(50)의 측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로드(51)들에 인접하여 공압실린더(55)가 설치된다.
상기 공압실린더(55)는 상기 가이드로드(51)와 마찬가지로 이멀전탱크(50)의 좌우 측부의 전방과 후방 총 4개소에 설치되는데, 상기 공압실린더(55)들의 실린더바디는 외함(1)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실린더로드(55a)의 상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2)의 하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멀전탱크(50)는 상기 공압실린더(55)가 작동되면 가이드플레이트(52)가 가이드로드(51)를 따라 상하 이동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52)와 일체로 상하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2)에 구비된 상하 가이드롤러(53)의 사이에서 슬라이더(54)가 전후 이동될 수 있으므로 외함(1)의 전면 하부 즉, 상기 이멀전탱크(50)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56)를 열고, 상기 이멀전탱크(50)를 외함(1)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다시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도 5에 이멀전탱크(50)가 외함(1)의 밖으로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래들(60)은 전체적으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단 선반(도 면에는 2단의 선반이 도시됨)으로서 4측면이 개방되어 있음은 물론, 시험대상 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각 바닥판(61)에도 다수의 관통 구멍(탭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시험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60)은 공압실린더(6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데, 상기 공압실린더(62)는 고온챔버(10)의 상부벽 외측(정확히는 외함(1)의 상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공압실린더(62)의 실린더로드(62a)는 고온챔버(10)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고온챔버(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크래들(6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온챔버(10)의 바닥벽에는 4각의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62)가 작동되면 상기 관통홀(12)을 통해 상기 크래들(6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60)의 상부벽(63)과 하부벽(64)은 고온챔버(10)의 바닥벽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크래들(60)이 완전 상승하여 고온챔버(10)의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하부벽(64)이 고온챔버(10)의 바닥벽과 일치되어 관통홀(12)을 차단하고, 크래들(60)이 완전 하강하여 이멀전탱크(50)의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벽(63)이 고온챔버(10)의 바닥벽과 일치되어 관통홀(12)을 차단한다.(도 1과 도 3은 크래들이 하강한 상태, 도 2와 도 5는 크래들이 상승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각장치(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71)와 콘덴서(72)와 팽창밸브(73) 및 증발기(74)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74)를 포함하여 열교환기(75)가 구성된다.
단, 팽창밸브(73)와 증발기(74)를 포함하는 배관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그 중 두 배관에 상기 열교환기(75)가 구비된다.
그 중 한 열교환기는 스플래쉬탱크(40)의 시험액 냉각용으로 사용되고, 다른 한 열교환기는 이멀전탱크(50)의 시험액 냉각용으로 사용되며, 열교환기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증발기는 냉각장치(70)의 원활한 운전 유지를 위하여 냉매의 충분한 증발량을 확보하기 위한 보조증발기로 사용된다.
즉, 스플래쉬탱크(40)의 시험액 순환배관이 상기 열교환기(75) 중 하나를 경유하고, 이멀전탱크(50)의 시험액 순환배관이 나머지 한 열교환기(75)를 경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플래쉬탱크(40)의 시험액 순환배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펌프(31)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순환펌프(32) 이후의 위치에 쓰리웨이밸브(32)가 설치되어 배관이 분기되며, 분기된 한 배관에 상기 노즐(30)이 설치되고, 다른 한 배관이 상기 열교환기(75)를 경유하여 스플래쉬탱크(40)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온챔버(10)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완만하게 경사 형성되고, 그 후단에는 시험액이 모이는 집수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홈(13)의 후방 바닥에 바닥벽을 관통하여 드레인관(14)이 연결된다.(도 6 동시 참조)
따라서, 사용이 종료된 시험액을 외부로 드레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관(14)에 쓰리웨이밸브(15)가 설치되어 시험액을 외부로 드레인하지 않고 쓰리웨이밸브(15)의 타단과 상기 스플래쉬탱크(40)를 연결하여 시 험액을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쓰리웨이밸브(15)와 스플래쉬탱크(40)를 연결하는 리턴배관에는 시험액의 원활한 복귀를 위하여 리턴펌프(16)가 설치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이멀전탱크(50)의 시험액 순환배관도 상기 열교환기(75)중 하나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며, 이멀전탱크(50)와 열교환기(75)의 사이에 순환펌프(57)가 설치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71)는 외함(1)의 후방 우측 하부에 설치되고, 압축기(71) 주변의 빈 공간에 상기 콘덴서(72)와 팽창밸브(73) 및 증발기(74)(외형상으로는 증발기를 포함한 열교환기)등이 적절히 설치된다.(냉방사이클을 이루는 각 구성 장치의 배치는 기술적으로 특이한 사항이 아니므로 대표적으로 상기 압축기(71)만을 도시하고 그 외 장치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한편, 시험대상 부품에 통전 상태를 구현하여 통전 상태에서 스플래쉬 테스트 및 이멀전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상기 고온챔버(10)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전선유입관(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유입관(80)은 하단이 고온챔버(10)의 내부 공간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스플래쉬 테스트시 시험대상 부품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플래쉬 테스트 뿐만 아니라 이멀전 테스트 시에도 시험대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유입관(80)이 상기 크래들(60)의 상부벽(63)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유입관(80)을 통해 유입된 전선을 이멀전 테스트시 크래들(60)의 바닥판(61)에 놓여진 시험대상 부품에 연결하여 통전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선유입관(80)의 하단은 크래들(60)의 상부벽(63)에 매립 상태로 고정되고, 상단은 고온챔버(10) 상부벽의 관통홀에 마련된 가이더(81)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유입관(80)은 크래들(60)과 일체로 상하 이동되면서 그 설치 상태를 유지하여 고온챔버(10)의 고온과 노즐(30)로부터 분사되는 시험액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험기는 외함(1)의 바닥 하면에 바퀴(90)가 구비되어 이동이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120은 상기 히터(20)와, 팬(23) 구동용 모터(22)와, 냉각장치(70)의 압축기(71) 등에 용량에 맞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변환트랜스이고, 130은 장치의 구동 제어에 필요한 각종 릴레이, 스위치 등의 제어용 소자가 설치되는 제어용 소자 설치부로서 외함(1)의 전면 우측에 구비될 콘트롤패널에 와이어하니스로 연결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시험기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스플래쉬 테스트의 경우를 설명한다.
스플래쉬 테스트는 고온챔버(1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크래들(60)이 필요 없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62)를 작동시켜 크래들(60)을 완전 하강시킴으로써 크래들(60)은 이멀전탱크(50)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크래들(60)의 상부벽(63)이 관통홀(12)을 막게 하여 고온챔버(10)를 밀폐시킨다.
이후 고온챔버(10)의 도어(11)를 열고 고온챔버(10)의 바닥면에 시험대상 부품을 설치할 받침대(100)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대(100)는 스플래쉬 테스트시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볼트 등을 이용하는 탈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힌지핀으로 연결된 X자형 링크식으로 구성된 보조받침대(110)를 추가로 사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도 1)
이후, 상기 받침대(100) 또는 보조받침대(110)에 시험대상 부품을 장착(받침대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 평판으로서 볼트와 밴드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시험대상 부품을 고정할 수 있다.)하고, 도어(11)를 닫은 후, 히터(20)와 팬(23)을 작동시켜 고온챔버(10) 내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원하는 온도까지 시험대상 부품을 가열한다.
이때 상기 팬(23)의 작용에 의하여 시험대상 부품이 신속히 가열될 뿐만 아니라 고온챔버(10) 내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부품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장치(70)는 선 가동되어 스플래쉬탱크(40)에 저장된 시험액이 설정 온도만큼 충분히 저온으로 냉각되어 있게 된다.
시험대상 부품과 시험액의 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순환펌프(31)를 작동시켜 냉각된 저온 시험액을 노즐(30)을 통해 시험대상 부품으로 분사한다.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분사된 시험액은 고온챔버(10)의 경사진 바닥면을 타고 후방으로 흘러서 집수홈(13)으로 모인다.
이때 쓰리웨이밸브(15)는 리턴배관쪽으로 열려 있어서 시험액은 리턴배관을 통해 스플래쉬탱크(40)로 유입되어 재사용된다.(시험액은 고가의 규격먼지를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재순환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액 리턴배관에는 상기 리턴펌프(1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스플래쉬탱크(40)로의 재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정해진 만큼의 냉각수 분사가 완료되면, 시험이 완료된 부품을 꺼내어 여러 가지 물성 및 결함을 검사하여 기록한다.
상기와 같이 시험대상 부품의 스플래쉬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시험이 종료되고, 집수홈(13)에 고여 있는 잔여 시험액을 제거할 때는 상기 쓰리웨이밸브(15)를 전환하여 드레인관(14)을 통해 시험액을 배출한다.
이제 이멀전 테스트를 실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멀전 테스트시에는 이멀전탱크(50)에 시험액이 채워지고, 냉각장치(70)가 가동되어 시험액이 설정온도까지 냉각된다.
이때 이멀전탱크(50) 좌우 측부의 공압실린더(55)들이 작동되어 가이드플레이트(52)를 상승시킴으로써 이멀전탱크(50)가 상승한다.
이멀전탱크(50)는 상단이 고온챔버(10)의 바닥벽 하면에 밀착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가열된 부품 침수시 튀는 물방울이 이멀전탱크(50) 외부로 튀어 시험기의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멀전 테스트시에는 크래들(60)이 사용된다.
상기 크래들(60)은 완전히 상승되어 하부벽(64)이 관통홀(12)을 차단함으로써 고온챔버(10)가 밀폐되고, 그 상태에서 도어(11)를 열고 시험대상 부품을 크래들(60)의 바닥판(61)에 올려놓는다. 시험대상 부품의 고정은 상기 받침대(100)에 적용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도어(11)를 닫고 히터(20)와 팬(23)을 작동시켜 시험대상 부품을 설정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후, 고온챔버(10) 상부의 공압실린더(62)를 작동시켜 크래들(60)을 완전 하강시킨다.
크래들(60)의 하강이 완료되면 크래들(60)의 상부벽(63)이 관통홀(12)을 차단하여 이멀전탱크(50)를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크래들(60)이 하강하면 가열된 시험대상 부품이 시험액에 완전히 침수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설정 시간만큼 유지된다.
이후, 시험이 종료되면 크래들(60)을 재상승시키고 도어(11)를 열어 부품을 꺼낸 뒤, 여러가지 물성 시험을 실시하고 결함을 체크하며 그 결과를 기록한다.
상기와 같이 이멀전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가지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어느 경우에도 상기 전선유입관(80)을 통해 전선을 삽입하여 받침대(100) 및 크래들(60)에 연결하거나 또는 시험대상 부품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시험대상 부품의 통전 조건하에서 시험을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이멀전탱크(50)내의 시험액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때 이멀전탱크(50)의 하단에 구비된 드레인관(50a)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이멀전탱크 전방의 도어(56)를 열고, 이멀전탱크(50)를 외함(1)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이멀전탱크(50) 내벽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시험기의 정단면도,
도 2는 우측 단면도,
도 3은 좌측 단면도,
도 4는 평단면도,
도 5는 이멀전탱크가 외함 내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시험기의 시험액 순환 및 냉각 배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온챔버 11 : 도어
20 : 히터 23 : 팬
30 : 노즐 40 : 스플래쉬탱크
50 : 이멀전탱크 51 : 가이드로드
52 : 가이드플레이트 54 : 슬라이더
55 : 공압실린더 60 : 크래들
62 : 공압실린더 70 : 냉각장치
75 : 열교환기 80 : 전선유입관
90 : 바퀴 100 : 받침대

Claims (12)

  1. 외함과;
    상기 외함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고온챔버와;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 벽에 설치되어 고온챔버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 벽에 설치되어 고온챔버 내부로 시험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시험액이 저장된 스플래쉬탱크와;
    상기 고온챔버의 하측에 설치되고 시험액이 저장된 이멀전탱크와;
    상기 고온챔버와 이멀전탱크 사이를 상하 이동하는 크래들과;
    상기 스플래쉬탱크와 이멀전탱크의 시험액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를 포함하는 열충격시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인접하여 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플래쉬탱크와 상기 노즐 사이의 배관에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스플래쉬탱크로부터 쓰리웨이밸브를 경유하여 스플래쉬탱크로 복귀되는 시험액 순환배관이 형성되며, 상기 시험액 순환배관이 상기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시험액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챔버의 바닥면이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홈에 드레인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에 쓰리웨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쓰리웨이밸브와 상기 스플래쉬탱크를 연결하는 리턴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멀전탱크와 상기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의 사이에 시험액 순환배관이 형성되고, 시험액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7. 청구항 3 또는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래쉬탱크와 이멀전탱크의 시험액 순환배관이 경유하는 열교환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각각의 열교환기에 포함되는 증발기 외에 또 다른 보조증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바닥면과 고온챔버 사이에 가이드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에 가이드플레이트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구비된 2열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상기 이멀전탱크의 측부에 장착된 슬라이더가 삽입되어 상기 이멀전탱크가 승강 및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챔버의 바닥벽에 상기 크래들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의 상부벽과 하부벽은 상기 고온챔버의 바닥벽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래들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복수의 바닥판을 갖춘 다단 선반이고, 상기 바닥판에 다수의 탭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함의 상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챔버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전선유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전선유입관을 통해 전선이 유입되어 시험대상 부품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선유입관의 하단이 상기 크래들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시험기.
KR1020090100262A 2009-10-21 2009-10-21 열충격시험기 KR10110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262A KR101101072B1 (ko) 2009-10-21 2009-10-21 열충격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262A KR101101072B1 (ko) 2009-10-21 2009-10-21 열충격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231A true KR20110043231A (ko) 2011-04-27
KR101101072B1 KR101101072B1 (ko) 2011-12-30

Family

ID=4404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262A KR101101072B1 (ko) 2009-10-21 2009-10-21 열충격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6268A (zh) * 2014-04-10 2014-07-16 北京工业大学 一种熔体传热式壁材料表面热疲劳试验系统及方法
KR101511693B1 (ko) * 2015-01-07 2015-04-10 주식회사 삼정이엔씨 열충격 냉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074B1 (ko) 2021-10-21 2022-03-29 한국가스안전공사 에어커튼을 활용한 열손실 방지용 저고온수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5393B2 (ja) * 1999-06-04 2003-07-14 エスペック株式会社 噴霧式熱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6268A (zh) * 2014-04-10 2014-07-16 北京工业大学 一种熔体传热式壁材料表面热疲劳试验系统及方法
KR101511693B1 (ko) * 2015-01-07 2015-04-10 주식회사 삼정이엔씨 열충격 냉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072B1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072B1 (ko) 열충격시험기
CN104977542B (zh) 二次电池的测试装置
KR20070107701A (ko) 액조식 냉열 충격 시험 장치
US20170022579A1 (en) Cooling device and multi-chamber heat treatment device
CN102787223B (zh) 一种金属材料端面淬火试验机
JPH0371062B2 (ko)
US10690416B2 (en) Heat treatment device
KR20170110841A (ko) 열교환기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세정방법
JP5526338B2 (ja) 真空乾燥器
KR100970572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920327B1 (ko) 기판 열처리 장치
JP2020076637A (ja) 温度サイクル試験装置及びその方法
CN105002334A (zh) 一种自动淬火油槽及利用该自动淬火油槽进行淬火的方法
US8681497B2 (en) Board coolant jacket jig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board coolant jacket
KR20130117579A (ko) 정속 시험이 가능한 열 충격 시험기 및 열 충격 시험 방법
CN211856294U (zh) 一种多功能复合环境试验装置
CN114225974A (zh) 洁净厌氧箱
JP4395497B2 (ja) 浴冷却装置
KR200466594Y1 (ko) 비상디젤발전기 냉각수 온도조절밸브 성능시험장치
CN219879970U (zh) 一种双水浴装置
JP7239977B2 (ja) 加熱コイルの保管設備
CN219714049U (zh) 一种炼钢炉烟气冷却装置
KR200486670Y1 (ko) 이온교환막 스팀분사장치
KR102380074B1 (ko) 에어커튼을 활용한 열손실 방지용 저고온수조
CN214937644U (zh) 一种避免烧损的淬火炉出料炉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