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456A -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456A
KR20110040456A KR20090097730A KR20090097730A KR20110040456A KR 20110040456 A KR20110040456 A KR 20110040456A KR 20090097730 A KR20090097730 A KR 20090097730A KR 20090097730 A KR20090097730 A KR 20090097730A KR 20110040456 A KR20110040456 A KR 20110040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data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030B1 (ko
Inventor
김연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30B1/ko
Priority to US12/728,440 priority patent/US8570562B2/en
Priority to EP20100158672 priority patent/EP2312823A3/en
Priority to JP2010231434A priority patent/JP2011086294A/ja
Priority to CN201010506208.2A priority patent/CN102045404B/zh
Publication of KR2011004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to different circuits or for supplying power at different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14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related to a single-mode communication, e.g.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 H04N1/3261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related to a single-mode communication, e.g.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with re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제어부, 및,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물리층 프로토콜과 제1 매체 접근 제어부 및 제2 매체 접근 제어부와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네트워크, 접속 방법, 스위칭, 먹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NETWORK OF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하여, 다른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 구현한 복합기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 화상형성장치는 절전 모드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인쇄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러 이외에 저전력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 시에도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기능은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간단한 네트워크 기능만을 수행하는 별도의 저전력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이면서 네트워크 기능이 지원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저전력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정상 모드 시에도, 네트워크 패킷은 저전력 컨트롤러를 통하여 메인 컨트롤러에 전달되었다. 구체 적으로, 저전력 컨트롤러는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고 메인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정상 모드 시에 네트워크 속도는 메인 컨트롤러뿐만 아니라 저전력 컨트롤러의 성능에도 영향을 받았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전력 컨트롤러의 성능도 향상시켜야 하였다. 하지만, 저전력 컨트롤러의 성능이 향상되면, 저전력 모드에서 저전력 컨트롤러의 소비 전력도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하여 다른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 어를 수행하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상기 제1 매체 접근 제어부 및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와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상기 제1 매체 접근 제어부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플립플롭(flip-flop), 상기 제1 매체 접근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플립플롭,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플립플롭, 상기 제2 플립플롭 및 상기 제3 플립플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플립플롭에 송신하거나, 상기 제1 플립플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플립플롭 또는 상기 제3 플립플롭에 송신하는 먹스(MUX), 및, 상기 제2 플립플롭 및 상기 제3 플립플롭의 데이터 수신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먹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제어부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가 인쇄 잡(job)과 관련 된 데이터인 경우, 인쇄 잡이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1 제어부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인쇄 잡이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통지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독취하여, 인쇄 잡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제어부는, 인쇄 잡이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통지받으면, 상기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의 재송을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거나, 전원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 패스는,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RMII(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 GMII(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RGMII(Reduced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 사이의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 사이의 제2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 패스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와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 사이의 제2 데이터 패스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데이터 패스를 상기 제1 데이터 패스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상기 제2 제어부가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1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상기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함께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의 재송을 상기 인쇄 잡을 전송한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데이터 패스 및 제2 데이터 패스는,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RMII(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 GMII(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RGMII(Reduced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 엔진부(110),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스위칭부(130),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인쇄 엔진부(110)는 인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 또는 저장부(160)에 기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물리층 프로토콜(physical layer protocol: PHY)를 포함하며, 물리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서버 또는 인쇄 제어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물리층 프로토콜(121)을 통하여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층 프로토콜(121)은 물리적 매체를 통해 비트 흐름을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화상형성장치(100)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맞추어 데이터 전송을 송수신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제1 제어부(140), 제2 제어부(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 부(120)와 연결되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와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50)와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와 제1 제어부(140)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제1 제어부(140)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제1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와 제2 제어부(150)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제2 제어부(150)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제2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통시 인터페이스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130)는 제1 플립플롭(131), 제2 플립플롭(133), 제3 플립플롭(134), 먹스(132), 및, 선택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1 플립플롭(131)은 통신 인터페이스(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플립플롭(131)은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과 먹스(MUX: 132)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각각의 동작 타이밍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 수 있다.
제2 플립플롭(133)은 제1 제어부(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플립플롭(133)은 제1 제어부(140)의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와 먹스(132)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각각의 동작 타이밍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플립플롭(134)은 제2 제어부(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3 플립플롭(134)은 제2 제어부(150)의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와 먹스(132)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각각의 동작 타이밍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먹스(132)는 후술할 선택부(135)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와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50) 사이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먹스(132)는 제2 플립플롭(133) 및 제3 플립플롭(134)으로부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1 플립플롭(131)에 송신하거나, 제1 플립플롭(13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2 플립플롭(133) 또는 제3 플립플롭(134)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정상 모드인 경우, 먹스(132)는 제2 플립플롭(133)으로부터 데이터를 제1 플립플롭(131)에 전달하고, 제1 플립플롭(13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제2 플립플롭(133)에 전달하는 제1 데이터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모드인 경우, 먹스(132)는 제3 플립플롭(134)으로부터 데이터를 제1 플립플롭(131)에 전달하고, 제1 플립플롭(13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제3 플립플롭(134)에 전달하는 제2 데이터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부(13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 제2 플립플롭(133), 및 제3 플립플롭(134)의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먹스(132)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 으로, 선택부(13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제1 플립플롭(131)의 데이터가 제2 플립플롭(133)으로 전달되도록 먹스(132)를 제어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제1 플립플롭(131)의 데이터가 제3 플립플롭(134)으로 전달되도록 먹스(13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부(135)는 제2 플립플롭(133) 및 제3 플립플롭(134)의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각각의 제2 플립플롭(133) 및 제3 플립플롭(134)의 데이터가 제1 플립플롭(131)에 전달되도록 먹스(13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플립플롭(filp-flop)을 이용하여 스위칭부(130)를 구현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플립플롭 이외의 래치 등의 다른 버퍼 구성을 이용하여 스위칭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먹스 및 디먹스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먹스(132)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30)는 TX, RX 패스를 구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인쇄 잡의 처리, 스캔 데이터 처리, 이미지 처리 등을 수행하거나, 이와 같은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정상 모드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는 제1 매체 접근 제어 부(141)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정상 모드 시에 스위칭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네트워크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스위칭부(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는 절전 컨트롤러이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기능이 제1 제어부(140)에서만 수행되는바, 제2 제어부(150)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거나, 전원 오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제1 제어부(140), 제2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도 1과 비교하였을 때, 도 3은 스위칭부(130)가 제2 제어부(150) 내에 포함된다. 도 3의 제2 제어부(150)는 스위칭부(130)를 포함하나,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제2 제어부(140)와 동일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물리층 프로토콜(PHY, 121)을 포함한다. 물리층 프로토콜(121)은 제어부(150) 내의 스위칭부(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리층 프로토콜(121)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서버 또는 인쇄 제어 장 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를 스위칭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스위칭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물리층 프로토콜(121), 스위칭부(130),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 및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RMII(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 GMII(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RGMII(Reduced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등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기능을 제어하며,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를 포함한다.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절전 모드 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140)는 스위칭부(130),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 저장부 제어부(152), 및 데이터 처리부(153)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스위칭부(130)를 제2 제어부(140)가 포함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도 1과 같이 스위칭부(130)는 제2 제어부(140) 외부의 별도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물리층 프로토콜(121),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31),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와 연결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물리층 프로토콜(121)과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 및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와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과 제1 제어부(140)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제1 제어부(140)의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제1 제어부(140)의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과 제2 제어부(150)의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로부터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통시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절전 모드 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제어부(152)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 및 데이터 처리부(153)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 제어부(152)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가 스위칭부(1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저장부(160)를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부(153)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데이터 처리부(153)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50)의 동작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저장부(160)를 이용하여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50)가 공통으로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저장부를 이용하여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50) 각각 하나의 저장부를 이용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저장부가 각각의 제어부 내에 포함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제2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 시에 화상형성장치(100)의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동작 모드 시에 제1 제어부(140)만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바, 제2 제어부(150)의 성능은 동작 모드인 경우의 화상형성장치(100)의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동작 모드 시에 제2 제어부(150)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거나 오프 모드로 동 작한다는 점에서, 동작 모드 시에 소비 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도 스위칭부(130) 구성이 제2 제어부(150)에 포함되는 형태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150) 외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절전 모드에서의 네트워크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절전 모드 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과 제2 제어부(150)의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 사이에 제1 데이터 패스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 시에 물리층 프로토콜(121)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물리층 프로토콜(121)은 수신한 데이터를 스위칭부(120)의 제1 플립플롭(121)에 전달하고, 스위칭부(120)의 선택부(135)는 절전 모드인바, 제1 플립플롭(1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3 플립플롭(134)에 전달되도록 먹스(13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플립플롭(134)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에 데이터가 전달되면, 데이터 처리부(153)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술한 데이터 전송과정의 역순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20)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 체적으로,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 잡의 시작을 알리는 데이터인 경우, 스위칭부(120)의 선택부(135)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데이터 패스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제1 제어부(140)에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변경 또는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 잡인 경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는 수신된 인쇄 잡이 저장부(160)에 저장되도록 저장부 제어부(152)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인쇄 잡이 저장된 저장부(160)의 주소를 제1 제어부(140)에 전달하거나, 제1 제어부(140)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인쇄 잡 데이터를 제1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50)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잡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40)는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받음을 제2 제어부(150)로부터 통지받으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 제어부(150)가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은 제1 제어부(140)가 수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40)는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서 재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는 제2 제어부(150)로부터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받거나,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부(160)의 주소 정보를 제2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받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인쇄 잡을 송신한 네트워크 장치에 인쇄 잡의 재송을 요청하는 형태로도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 모드 시에 제1 제어부(140)가 절전 모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 있더라도, 제2 제어부(150)는 내부의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 저장부 제어부(152), 및 데이터 처리부(153)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정상 모드에서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정상 모드에서의 네트워크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과 제1 제어부(140)의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 사이에 데이터 패스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리층 프로토콜(121)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동작 모드 시에 데이터를 수신하면, 물리층 프로토콜(121)은 수신한 데이터를 스위칭부(120)의 제1 플립플롭(121)에 전달하고, 스위칭부(120)의 선택부(135)는 동작 모드인바, 제1 플립플롭(1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2 플립플롭(133)에 전달되도록 먹스(13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립플롭(133)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에 데이터가 전달되고, 제1 제어부(140)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40)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할 필요가 있는 경 우, 상술한 데이터 전송 과정의 역순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20)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40)는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인쇄 잡과 관련된 유닛을 제어하여 인쇄 잡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동작 모드 시에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 저장부 제어부(152), 데이터 처리부(153)가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바, 네트워크 성능에 제2 제어부(150)의 성능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스위칭부(130)가 제2 제어부(150) 내에 포함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130)가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된 경우, 동작 모드 시에 제2 제어부(150)는 절전 모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인바, 동작 모드 시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스위칭부의 TX 패스에 대한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 또는 제2 제어부(150)의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로 전달하는 스위칭부의 TX 패스가 도시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제어부(140)의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0)의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42)는 각각 스위칭부(120)와 TXD[3:0], TX_FR, TX_EN 및 클럭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20)의 물리층 프로토콜(121)은 스위칭부(120)와 TXD[3:0], TX_FR, TX_EN 및 TX_클럭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구현시에는 상술한 TX 패스에 대응하는 RX 패스를 구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제1 제어부(140) 또는 제2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S71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른 데이터 패스가 형성되도록 이하의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하나의 데이터 패스가 형성된 이후에 동작 모드가 변경된 경우, 제1 데이터 패스 및 제2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141)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40)와 물리층 프로토콜(121) 사이의 데이터 패스를 형성한다(S720). 제1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동작 및 이를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4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형성된 제1 데이터 패스를 통하여 인쇄 잡을 수신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쇄 잡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과 관련된 잡을 수신한 경우, 이에 대응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151)를 포함하며, 제1 제어부(140)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제2 제어부(150)와 물리층 프로토콜(121) 사이의 제2 데이터 패스를 형성한다(S740). 제2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동작 및 이를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2, 5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형성된 제2 데이터 패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면(S750),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760). 구체적으로, 제2 데이터 패스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단순히 응답을 요청하는 데이터인 경우, 제2 제어부(150)가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2 데이터 패스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데이터 패스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인 경우, 제1 제어부(140)가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 패스를 변경할 수 있다(S770). 구체적으로, 인쇄 잡과 관련된 기능은 제1 제어부(140)가 수행하는바, 제2 제어부(150)는 제1 제어부(140)에서 인쇄 잡을 처리 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제2 데이터 패스가 제1 데이터 패스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패스의 변경이 별도의 단계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7의 S710 단계를 통하여 데이터 패스가 변경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40)는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한 네트워크 장치에 재송을 요청할 수 있다(S780). 구현시에는 제2 제어부(150)로부터 직접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1 제어부(140)가 수신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절전 모드 시에 저전력 제2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고, 동작 모드 시에 제1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동작 모드 시에 제2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바, 동작 모드 시에 제2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정상 모드 시에 제2 제어부(150)는 절전 모드 또는 오프 상태가 되는바, 정상 모드 시에 소비 전력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도 1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칭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스위칭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인쇄 엔진부
120: 통신 인터페이스부 130: 스위칭부
140: 제1 제어부 150: 제2 제어부

Claims (17)

  1.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상기 제1 매체 접근 제어부 및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와의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상기 제1 매체 접근 제어부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 간에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플립플롭(flip-flop);
    상기 제1 매체 접근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플립플롭;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플립플롭;
    상기 제2 플립플롭 및 상기 제3 플립플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플립플롭에 송신하거나, 상기 제1 플립플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플립플롭 또는 상기 제3 플립플롭에 송신하는 먹스(MUX); 및
    상기 제2 플립플롭 및 상기 제3 플립플롭의 데이터 수신 여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먹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제어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가 인쇄 잡(job)과 관련된 데이터인 경우, 인쇄 잡이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1 제어부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인쇄 잡이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통지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독취하여, 인쇄 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인쇄 잡이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통지받으면, 상기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의 재송을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거나, 전원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스는,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RMII(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 GMII(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RGMII(Reduced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물리층 프로토콜(PHY)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며,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하는 제1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 사이의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에 대한 매체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2 매체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부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 사이의 제2 데이터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 패스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스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매체 접근 제어부와 상기 물리층 프로토콜 사이의 제2 데이터 패스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데이터 패스를 상기 제1 데이터 패스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가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상기 제1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상기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를 함께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인쇄 잡과 관련된 데이터의 재송을 상기 인쇄 잡을 전송한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스 및 제2 데이터 패스는,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RMII(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 GMII(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RGMII(Reduced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KR1020090097730A 2009-10-14 2009-10-14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KR10156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30A KR101569030B1 (ko) 2009-10-14 2009-10-14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US12/728,440 US8570562B2 (en) 2009-10-14 2010-03-2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thereof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supports different network connection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EP20100158672 EP2312823A3 (en) 2009-10-14 2010-03-3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thereof
JP2010231434A JP2011086294A (ja) 2009-10-14 2010-10-14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CN201010506208.2A CN102045404B (zh) 2009-10-14 2010-10-14 图像形成装置及其网络连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30A KR101569030B1 (ko) 2009-10-14 2009-10-14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56A true KR20110040456A (ko) 2011-04-20
KR101569030B1 KR101569030B1 (ko) 2015-11-16

Family

ID=4219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730A KR101569030B1 (ko) 2009-10-14 2009-10-14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0562B2 (ko)
EP (1) EP2312823A3 (ko)
JP (1) JP2011086294A (ko)
KR (1) KR101569030B1 (ko)
CN (1) CN102045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8913B2 (en) * 2010-07-06 2015-06-02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control of transmit diversity to provide operating power reduction
JP5740860B2 (ja) * 2010-07-15 2015-07-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データ受信装置、印刷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印刷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
KR101766835B1 (ko) * 2011-05-04 2017-08-0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902402B2 (ja) * 2011-06-02 2016-04-1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データ出力調整装置、データ出力調整方法、rgmii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rgmiiネットワーク通信路切替方法
US8509616B2 (en) * 2011-06-22 2013-08-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un-time reassignment of a PHY to MAC devices interconnect
JP6047958B2 (ja) * 2012-07-06 2016-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6458582B2 (ja) * 2015-03-20 2019-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7098611A1 (ja) * 2015-12-09 2017-06-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宅側装置、ponシステムおよび宅側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487B1 (ko) 2003-02-08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제어회로 및 저속·저전력 제어회로를 구비하는프로세서
JP2005074928A (ja) * 2003-09-03 2005-03-24 Fuji Xerox Co Ltd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
JP2006293983A (ja) * 2005-03-18 2006-10-26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76683A1 (en) * 2005-09-30 2007-04-05 Chung Ching A Low power module for a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US20070127403A1 (en) * 2005-12-06 2007-06-07 Mediatek Inc. Power saving method for WLAN station
JP4876810B2 (ja) * 2006-09-15 2012-02-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節電プログラム
JP2008123128A (ja) * 2006-11-09 2008-05-29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
KR101207280B1 (ko) * 2006-11-28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JP4888099B2 (ja) * 2006-12-13 2012-02-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1207873A (zh) * 2006-12-18 2008-06-2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通讯系统及其相关的功率管理方法
US8078892B2 (en) * 2007-11-01 2011-12-13 Ricoh Company, Limite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packe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network device and switching between a normal power mode and a power saving mode
JP5369567B2 (ja) * 2007-11-01 2013-12-1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パケット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58715B1 (ko) * 2009-07-24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저전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70562B2 (en) 2013-10-29
US20110085197A1 (en) 2011-04-14
EP2312823A3 (en) 2014-11-05
CN102045404A (zh) 2011-05-04
CN102045404B (zh) 2015-01-07
JP2011086294A (ja) 2011-04-28
KR101569030B1 (ko) 2015-11-16
EP2312823A2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0456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US8127162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nformation which includes a power-saving mode having a plurality of sub power modes
US7698404B2 (en)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JP5369567B2 (ja) 情報処理装置、パケット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78892B2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packe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network device and switching between a normal power mode and a power saving mode
KR10115871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저전력 제어방법
JP506103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H12013000039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8099096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403135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108614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4064335A (ja) ネットワーク機器の通信速度制御方法
JP4057986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省エネ制御方法及び省エネ制御プログラム
JP2004243533A (ja) 画像形成装置
JP53329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62282A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0182091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提供装置の動作実行プログラム
JP5742245B2 (ja) 画像形成装置
JP3635573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0166313A (ja) 通信制御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99463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1143663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
JP2011159191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201325873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復帰方法
JPH1165791A (ja) 印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