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854A -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854A
KR20110039854A KR1020090096883A KR20090096883A KR20110039854A KR 20110039854 A KR20110039854 A KR 20110039854A KR 1020090096883 A KR1020090096883 A KR 1020090096883A KR 20090096883 A KR20090096883 A KR 20090096883A KR 20110039854 A KR20110039854 A KR 2011003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emory
layer
film transistor
charge injec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285B1 (ko
Inventor
윤성민
조경익
황치선
임성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2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박막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덮는 반도체 채널층;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노출 부분과 상기 반도체 채널층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 상에 형성된 추가 반도체층; 및 상기 추가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메모리 소자에 추가적인 전하 주입막을 증착함으로써 지우기 동작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플래시 메모리, 비휘발성, 박막 트랜지스터

Description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Charge injection nonvolatile flash memory thin-film transistor}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박막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6-S-079-04, 과제명 : 투명전자소자를 이용한 스마트 창].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트랜지스터는 모두 다 실리콘 기판 위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투명 유연한 소자의 개발에 발맞추어 박막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 개발이 시작되었다.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반도체 박막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트랜지스터는 모두 채널층에서부터 전자를 주입하여 쓰고 지우는 방식이다. 전하 주입식 메모리 소자를 만들기 위해서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 3층의 유전층을 만들게 된다. 모두 채널 로부터 전자를 주입하기 위해 채널 근처에 얇은 전하 저장층을 넣는다.
그러나 이렇게 구동한 경우 결과적으로 볼 때, 전하가 주입되는 과정은 잘 일어나지만 다시 빠져 나오는 지우기 과정의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종래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 쓰기 동작을 할 때에는 채널에서의 전자 주입을 이용하기에 지우기 동작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전하 주입 막을 증착한 새로운 구조의 메모리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지우기 동작의 효율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설명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덮는 반도체 채널층;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노출 부분과 상기 반도체 채널층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 상에 형성된 추가 반도체층; 및 상기 추가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메모리 소자에 추가적인 전하 주입막을 증착함으로써 지우기 동작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기판을 이용하여 200도 이하의 온도에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메모리 소자들에 비하여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쓰기, 지우기 : ± 8V, 읽기 : 1V 이내)
또한, 본 발명은, 채널과 추가 반도체의 타입을 p-type 및 n-type으로 조절함으로써 메모리의 구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이하,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외 전하 주입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구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 게이트(top-gate) 형태의 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텀 게이트(bottom-gate) 형태의 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 소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채널 쪽이 아닌 게이트 전극 쪽에 더 가까이 위치한 전하 저장층을 포함한 샌드위치 구조의 유전막 구조체와, 유전막과 투명 기판 사이, 혹은 유전막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 채널층을 갖는다.
유전층에 포함된 터널링 층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추가 반도체 층을 갖고, 그로부터 전하가 주입된다.
위의 소자에서 추가 반도체 층에 게이트 전극이 연결되고, 반도체 채널에 소스/드레인 전극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를 만든다.
전극으로 알루미늄(Al), 금(Au), 티타늄(Ti), 크롬(Cr) 등의 금속과 GaZnO, NiOX, AlZnO, ITO 등의 투명 산화물 전극을 이용할 수 있다.
반도체 채널 혹은 추가 반도체 층에 이용되는 물질은 ZnO, IGZO 를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와, pentacene, tetracene, CuPc를 포함하는 유기물 반도체를 이용한다.
유전층 물질로는 ITO, IZO, SnO2, GiZO, Cu2O, SiNX, Si3N4, HfO2, HfSiO, Al2O3, TiO2, Ta2O5, ZrO2, Si3N4 및 나노 결정 물질, 유기물 자가 조립 물질 중 하나 혹은 그 혼합층들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p-type 반도체를 채널(300)로 사용하고, p-type 반도체를 전하 주입 공급층(700)으로 사용하여 트랜지스터 소자를 구현하였을 때의 플래시 메모리 구동 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게이트 전극에 (+) 전압을 가해주면 p-type 반도체(700)로부터 다량의 hole이 터널링 층(600)을 지나 전하 저장층(500)으로 넘어오게 된다. 그로 인해 반대쪽에 있는 n-type 반도체 채널(300)에는 더 많은 전자들이 유도된다.
반대로 (-) 전압을 가해주면, 전하 저장층(500)으로부터 hole 이 다시 빠져나오게 되어 반도체 채널(300)에도 전자들이 더 적게 유도된다. 이로써 두 가지 상태의 구분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실제로 그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8V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에 채널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고(green; write), -8V 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 다시 전류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blue; er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 게이트형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텀 게이트형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기판
200 : 소스/드레인 전극
300 : 반도체 채널층
400 : 유전층-blocking layer
500 : 유전층-trapping layer
600 : 유전층-tunneling layer
700 : 추가 반도체층
800 : 게이트 전극

Claims (1)

  1.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덮는 반도체 채널층;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노출 부분과 상기 반도체 채널층을 덮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 상에 형성된 추가 반도체층; 및
    상기 추가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KR1020090096883A 2009-10-12 2009-10-12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KR10159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83A KR101596285B1 (ko) 2009-10-12 2009-10-12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83A KR101596285B1 (ko) 2009-10-12 2009-10-12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54A true KR20110039854A (ko) 2011-04-20
KR101596285B1 KR101596285B1 (ko) 2016-02-23

Family

ID=4404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883A KR101596285B1 (ko) 2009-10-12 2009-10-12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320A (ko) * 2018-03-08 2019-09-18 한국과학기술원 기상증착 고분자 절연층을 이용한 유연 비휘발성메모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570B1 (ko) * 2018-01-16 2019-08-2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형 적층회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67B1 (ko) * 2004-08-09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32659A (ko) * 2004-01-23 2006-12-2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박막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
KR20090029136A (ko) * 2007-09-17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체적으로 투명한 메모리 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659A (ko) * 2004-01-23 2006-12-2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박막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
KR100609067B1 (ko) * 2004-08-09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29136A (ko) * 2007-09-17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체적으로 투명한 메모리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320A (ko) * 2018-03-08 2019-09-18 한국과학기술원 기상증착 고분자 절연층을 이용한 유연 비휘발성메모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285B1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9899B2 (en) Transistor, inverte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ransistor and inverter
US10192992B2 (en) Display device
US11594639B2 (en) Thin film transistor,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84300B2 (en)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istor
US9123817B2 (en) Transistor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20110156020A1 (en) Transistor
US11011534B2 (en) Multi-level cell thin-film transistor memo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40183453A1 (en)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double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channels
US20090242992A1 (en) Inverter, logic circuit including an invert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Park et al. Nanofloating gate memory devices based on controlled metallic nanoparticle-embedded InGaZnO TFTs
CN104201175B (zh) 一种基于薄膜晶体管的反相器
JP2007318061A (ja) デュアルゲート有機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インバータ
KR20120006218A (ko) 이중 게이트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트랜지스터
KR20080088284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Bak et al. Nonvolatile charge-trap memory transistors with top-gate structure using In–Ga–Zn-O active channel and ZnO charge-trap layer
KR102623624B1 (ko)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Wu et al. Flexible three-bit-per-cell resistive switching memory using a-IGZO TFTs
CN104183649A (zh) 一种阈值电压可调的薄膜晶体管
KR101596285B1 (ko) 채널 외 전하 주입 방식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박막 트랜지스터
Son et al. Impacts of bottom-gate bias control for low-voltage memory operations of charge-trap memory thin film transistors using oxide semiconductors
US823721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metal-insulator transition material
KR101046176B1 (ko)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Yang et al. Double-Gate and Body-Contacted Nonvolatile Oxide Memory Thin-Film Transistors for Fast Erase Programming
Wu et al. Multi-bit-per-cell a-IGZO TFT resistive-switching memory for system-on-plastic applications
CN112436053A (zh) 一种闪存单元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