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200A -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9200A KR20110039200A KR1020100098216A KR20100098216A KR20110039200A KR 20110039200 A KR20110039200 A KR 20110039200A KR 1020100098216 A KR1020100098216 A KR 1020100098216A KR 20100098216 A KR20100098216 A KR 20100098216A KR 20110039200 A KR20110039200 A KR 20110039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discharging
- charge
- magnetic force
- conduct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3—Utilizing electromagnetic force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충전장치와; 충전제어장치와;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와; 통전되는 자화 권선과;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 및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각종 충방전장치의 충전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는 검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에 끼워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장치와; 충전제어장치와;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와; 통전되는 자화 권선과;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 및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각종 충방전장치의 충전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는 검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에 끼워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가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는, 충전기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방이 가능한 장치는 오랜 시간 동안 충전기 안에 방치되는 바, 이에 따른 과충전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장치와; 충전제어장치와;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와; 통전되는 자화 권선과;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 및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각종 충방전장치의 충전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는 검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전 완료 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극성에 따라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설치된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끼워질 경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에 끼워져 공정되고, 이와 동시에 충전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입력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1) 충전 상태 검측장치는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이에 의하여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는 위치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방출시킨다. 및/또는,
2)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는 충전제어장치(102)에 전달되어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하고, 이에 의하여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는 위치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킨다. 및/또는
3)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는 위치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킨다. 및/또는
4)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고,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는 위치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켜 2단식 충전이 형성될 수 있다. 및/또는
5)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는 위치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킨다.
이러한 충전장치는, 중력 또는 인장력 압축 스프링 등과 같은 자기력, 유력 또는 기계력 등의 긴장력장치를 설치하고, 이와 더불어 긴장력 압축 스프링의 탄력 또는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는 기계구조(115)의 밀어 내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긴장력장치 중 적어도 한 가지를 구동시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서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 및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통전에 의해 자화될 경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을 방출시켜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중단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긴장력에 의해 방출시키고 자기력에 의해 잡는 기능을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을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6는 도5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충전이 완료되었을 경우, 통전에 의해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을 가진 전도장치(112)는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사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통전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을 가진 전도장치(112)는,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충전시키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중단함으로써 전도장치(112)가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9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가 긴장력에 의하여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도11에 진동편 접점(126)을 설치하여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적용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3은 도11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4은 도11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도12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도13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전류가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긴장력에 의해 방출시키고 자기력에 의해 잡는 기능을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구동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8은 도17의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구동식 가동 구조(231)를 설치하여 충전 기능을 가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0은 도1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1은 도18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2는 도19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3은 도22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긴장력 진동편(108) 및 전동장치(112)가 서로 결합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4는 도22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긴장력 진동편(108) 및 전동장치(112)가 서로 결합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설치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를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6는 도25의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편 접점(126)을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7은 도25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8은 도25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9는 도26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0은 도2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통전에 의해 자화될 경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을 방출시켜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중단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긴장력에 의해 방출시키고 자기력에 의해 잡는 기능을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을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6는 도5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충전이 완료되었을 경우, 통전에 의해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을 가진 전도장치(112)는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사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통전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을 가진 전도장치(112)는,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충전시키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중단함으로써 전도장치(112)가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9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가 긴장력에 의하여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도11에 진동편 접점(126)을 설치하여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적용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3은 도11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4은 도11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도12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도13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전류가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긴장력에 의해 방출시키고 자기력에 의해 잡는 기능을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구동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8은 도17의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구동식 가동 구조(231)를 설치하여 충전 기능을 가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0은 도1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1은 도18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2는 도19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3은 도22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긴장력 진동편(108) 및 전동장치(112)가 서로 결합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4는 도22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긴장력 진동편(108) 및 전동장치(112)가 서로 결합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설치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를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6는 도25의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편 접점(126)을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7은 도25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8은 도25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9는 도26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0은 도2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충전장치와; 충전제어장치와;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와; 통전되는 자화 권선과;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 및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각종 충방전장치의 충전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는 검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 및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충전전원(101)의 전기에너지는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되고, 이는 다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를 통해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로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충전시킨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기계전자나 고상의 전자 엘러먼트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입력된 상기 충전전원(101)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충전전압, 충전전류를 출력 및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받아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송전시기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독립된 회로장치, 또는 상기 충전전원(101)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입력된 전기 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엘러먼트 또는 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되거나,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의해 제어되고, 통전되어 자화된 상태 또는 단전 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이탈 구조(1060)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이탈시키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이탈 구조(1060)는, 중력에 의해 위치를 이동하는 구조 공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기력, 또는 기계력, 또는 긴장력 스프링 등의 긴장력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에 의해 밀려나가는 기계 구조로 구성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력; 및/또는 긴장력 스프링의 압력; 및/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에 의해 밀려나가는 기계 구조의 밀어 내는 힘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의 작용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적어도 한 쪽의 전극단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에 있어서, 이 둘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작동 기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켰을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되고, 동극성에 의하여 통전되는 상태에서 충전 전기에너지를 전달 받으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아래와 같은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그 위치는, 1)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 및/또는 2)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가까운 위치; 및/또는 3)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전극단에 연결되는 위치; 및/또는 4)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 전원 출력단에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충전 상태의 검측신호, 특히 충전이 완료된 검측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구성 방식은 아래와 같은 예를 들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것에 있어서,
1) 충전 중인 단전압 검측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단전압 검측 방식으로 구성된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충전되는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정·부극단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 둘은 모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중인 단전압 신호를 검측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2) 충전이 완료된 전압이 갑작스럽게 저하되는 검측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단전압 검측장치를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로 사용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 완료시, 단전압은 갑작스럽게 저하되고, 단접안 검측장치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충전되는 전기에너지를 축력하는 정·부극단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의 양단에 설치할 수 있는 바, 이 둘은 모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 완료시, 단전압의 갑작스럽게 저하된 전기에너지의 신호를 검측할 수 있는 구성 방식; 및/또는,
3) 충전전류 검측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충전이 완료된 충전전류 하강시, 전류값의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4) 열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온가가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 개폐 기능의 에코 효과를 내는 구성 방식; 및/또는,
5) 정온도 또는 부온도의 전기저항계수에 대한 엘러먼트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온가가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대적인 전기저항값의 변화를 잃으키는 구성 방식; 및/또는,
6) 내부저항 측정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내부저항이 상대적인 변화를 잃으킬 경우, 상대적인 저항값의 신호를 검측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7) 기타 기존에 사용되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검측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극성에 따라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될 경우, 상기 전도장치(112)가 이를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전도장치(112)가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입력시키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에 의하여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에 있어서, 그 방식은,
1)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2)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4)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2단식 충전을 형성하는 방식; 및/또는,
5)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충전 완료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은, 상이한 구조에 따라 상이한 방출 방식을 갖는 것에 있어서, 그 구성은,
1)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잡고 있던 상태에서 방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은 중력에 의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방식; 및/또는,
2) 자기력, 또는 유력, 또는 기계력 등의 긴장력장치를, 예를 들어,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중력 방향, 또는 반중력 방향, 또는 기타 방향을 포함한 밀어 내는 기능을 갖도록 하고,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할 경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압력이 가해지는 긴장력 상태를 띄게 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킬 때,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 방향에 따르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밀어 냄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도록 하고, 그 밀어 내는 방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 자체의 중력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중력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기타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의 밀어 내는 힘을 통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되도록 하고, 그 밀어 내는 방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 자체의 중력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중력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기타 방행으로 밀어 내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식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도1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1의 실시예와 같다.
도3은 도1에 따른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통전에 의해 자화될 경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을 방출시켜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중단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전원(101)은 직류전원, 또는 교류가 직류로 변하거나, 직류가 교류로 변하는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충전제어장치(102)를 통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 시키는 것에 있어서, 그 구요 구성은,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기계전자나 고상의 전자 엘러먼트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입력된 상기 충전전원(101)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충전전압, 충전전류를 출력 및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받아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송전시기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독립된 회로장치, 또는 상기 충전전원(101)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입력된 전기 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엘러먼트(element) 또는 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그 제어 방식은,
1)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4)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2단식 충전을 형성하는 방식; 및/또는,
5)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중력; 및 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을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 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방식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충전이 가능한 알카리 전지, 또는 각종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 슈퍼축전기 또는 축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되어 충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자기력을 받아 구동될 경우,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방출시키고, 중력; 및/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탄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하는 것에 의하여 충전이 중단되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로 구성되고, 이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출 방식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중단되는 것에 있어서, 그 구성은,
1)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4)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2단식 충전을 형성하는 방식; 및/또는,
5)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중력; 및 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오 한쪽의 전극단을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 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극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전도장치(112)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둘은 공동 구조, 또는 개별적인 구조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구조(110)를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질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에 대하여 긴장력을 이용한 압축을 가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전도장치(112)의 긴장력 및 전기 전도 특성에 의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충전되는데, 이때,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을 통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구동시킬 경우, 중력 및/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를 설치함에 따른 탄력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함으로써 충전을 중단한다.
한편, 도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도4는 도3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3의 실시예와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긴장력에 의해 방출시키고 자기력에 의해 잡는 기능을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을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때,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한 물림 작용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되는데, 그 작동 기능은,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로부터 출력된 충전전류를 감지 및 측정하고,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통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을 흡입함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압력을 가함에 따라 고정되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지 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잡고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 및 직접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는 전류를 차단하며, 이는 상기 전도장치(112)로 하여금 물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정지되며, 그 이탈 방식은, 중력에 의한 이탈 방식; 및/또는 상기 기장력 스프링(106)의 밀어 내는 힘에 의한 이탈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도6는 도5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5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동시에 갖춘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의 긴장력에 의하여 고정되고 충전되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구비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충전이 완료되었을 경우, 통전에 의해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을 가진 전도장치(112)는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사한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킬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의 긴장력에 의하여 고정되고 충전에 필용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으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전기를 보내 자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로 사용되는 자기력을 받아 구동되는 기능을 동시에 갖춘 상기 전도장치(112)을 구동시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동시에 충전을 중단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작동 기능은 도3과 같다.
한편, 도7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도8은 도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7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동시에 갖춘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화된 전류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여 상기 전동장치(112)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충전시키고,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중단하게 되며, 이에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통전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을 가진 전도장치(112)는,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충전시키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중단함으로써 전도장치(112)가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킬 때,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에 따른 자화에 의하여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을 동시에 갖춘 상기 정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중단함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가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며, 이에 따른 작동 기능은 도5와 같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상치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도10은 도9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9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에 의하여 자화된 전류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여 자기력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며, 그 비어진 공안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때,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에 의하여 직접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통해 제어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자화 전류가 차단되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가 긴장력에 의하여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주요 구성은, 충전제어장치(102)와;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 및;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기계전자나 고상의 전자 엘러먼트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입력된 상기 충전전원(101)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충전전압, 충전전류를 출력 및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받아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송전시기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독립된 회로장치, 또는 상기 충전전원(101)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이어지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는 공간에는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 및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이 구비되어 있어,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기계 구조로 구성되며, 통전이 중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이동 기계 구조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상기 전도장치(112)의 위치로 밀어내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되어 자화될 경우,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이동 기계 구조는 흡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가 충전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하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로 구성되고, 이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구성 방식은, 아래와 같은 예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 것에 있어서,
1) 충전 중인 단전압 검측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단전압 검측 방식으로 구성된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충전되는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정·부극단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 둘은 모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중인 단전압 신호를 검측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2) 충전이 완료된 전압이 갑작스럽게 저하되는 검측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단전압 검측장치를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로 사용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 완료시, 단전압은 갑작스럽게 저하되고, 단접안 검측장치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충전되는 전기에너지를 축력하는 정·부극단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의 양단에 설치할 수 있는 바, 이 둘은 모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 완료시, 단전압의 갑작스럽게 저하된 전기에너지의 신호를 검측할 수 있는 구성 방식; 및/또는,
3) 충전전류 검측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충전이 완료된 충전전류 하강시, 전류값의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4) 열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온가가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 개폐 기능의 에코 효과를 내는 구성 방식; 및/또는,
5) 정온도 또는 부온도의 전기저항계수에 대한 엘러먼트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온가가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대적인 전기저항값의 변화를 잃으키는 구성 방식; 및/또는,
6) 내부저항 측정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내부저항이 상대적인 변화를 일으킬 경우, 상대적인 저항값의 신호를 검측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7) 기존에 사용되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검측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에 의하여 제어되는 작동 기능은,
1)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통전에 의하 자화를 직접 차단할 수 있는 기능;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된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전기에너지를 차단하는 기능;
3)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된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 또는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다시 검측하였을 때,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전기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자화를 중단시키는 기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전기에너지를 차단할 경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가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충전이 가능한 알카리 전지, 또는 각종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 슈퍼축전기 또는 축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되어 충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며,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가 자화를 중단하거나, 또는 자화 전류가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이 생성하는 밀어 내는 전류값의 한계까지 떨어질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1에 도시된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에는,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과 상호작용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이에 따라 변형될 때,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상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는 기계전자식, 또는 고상의 계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작 방식에 따라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그 조작 스위치는,
기계의 이동에 의한 접촉, 광전에 의한 조작, 압력에 의한 조작, 음성파에 의한 조작, 전정기에 의한 조작, 자기력에 의한 조작, 전자파 감지에 의한 조작, 축전기 감지에 의한 조작 등의 방식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원의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12는 도11에 진동편 접점(126)을 설치하여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적용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1에 도시된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상기 진동편 접점(126)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와 더불어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동기화로 전원을 넣을 수 있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할 때 동기화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13은 도11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1에 도시된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와 더불어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동기화로 전원을 넣을 수 있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할 때 동기화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11내지 도1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도14은 도11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11의 실시예와 같다.
도15는 도12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따로 설치고, 또한 상기 진동편 접점(126)를 설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와 더불어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12의 실시예와 같다.
도16은 도13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따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13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충전전류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구비된 자기회로철심(127)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고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전류가 차단되거나 감소될 경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 및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켜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시키고 충전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전류가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긴장력에 의해 방출시키고 자기력에 의해 잡는 기능을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구동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요 구성은,
상기 충전전원(101)은, 각종 직류전원, 또는 교류가 정류되어 직류로 전환된 직류충전전원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1) 충전시간를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2) 춘전전압을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3)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기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기능으로 제어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는 공간에는 전자기 기동장치(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에는 상기 자화 권선(103), 상기 자기회로철심(127),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상기 전도장치(112),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 및 병렬분류회로장치(120)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될 경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흡입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는 전류가 작어지거나 차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긴장력으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가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도록 하며;
상기 병렬분류회로장치(120)는, 기계전자식, 또는 전자회로 엘러먼트, 또는 고상의 파워 엘러먼트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양단에 병렬로 되어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는 전류값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이탈시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만약 사용되는 전체 충전전류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대한 자화 전류일 경우, 상기 병렬분류회로장치(120)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충전전원(101)의 전기에너지는, 직접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통해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도장치(112)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통과하는 충전전류의 전부 또는 일부 비율의 충전전류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로 흘러 들어가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짐에 따라 충전전류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할 경우,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는 자기력을 받아 이동하게 되고, 이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구비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을 구동시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잡아 고정시키는 힘 및 전기 도전 기능을 형성토록 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은 충전 완료 후, 전압이 점차 상승함에 따라 충전전류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루가 작아지거나,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차단될 경우, 상기 자기 기동장치(124)는 자기를 받는 것이 중단되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진장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작어져 방출시키는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중단됨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킬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강제로 밀어 내면서 상기 전동장치(112)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중단시킨다.
도18은 도17의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요 구성은 도17과 동일한 것에 있어서, 그 추가된 특징은, 상기 전도장치(112)에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되는 공간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이 설치되어 있고, 이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작아져 방출시키는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중단됨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으로서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상기 전도장치(112)의 정·부극 간의 간격 상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충전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전극 간격보다 크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킨 후에는, 따로 외부 힘의 가동 구조에 대한 구동을 통하여 상기 전도장치(112)의 정전극과 부전극이 밀리는 힘에 의하여 가까워지면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과 접촉함으로써 충전전원이 정·부전극의 양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도록 하고, 그 충전전류는 동시에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으로 하여금 통전에 의한 자화를 통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흡입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고정시키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지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구동식 가동 구조(231)를 설치하여 충전 기능을 가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101)은, 각종 직류전원, 또는 교류가 정류되어 직류로 전환된 직류충전전원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1) 충전시간를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2) 충전전압을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3)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기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기능으로 제어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도장치(112)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는 공동 구조로 이루어지며, 정·부전극의 상기 전도장치(112)의 간격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전극의 간격보다 크고, 환상형의 위치고정 구조(105)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킨 후, 외부의 힘을 통해 압력 구동식 가동 구조(231)를 구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전동장치(112)의 정·부전극이 밀려 나가며, 이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과 접촉하여 충전전원이 정·부전극으로 구성된 두 개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통과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장치에 송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는 통전에 의한 자화됨에 따라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가 작동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흡입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그 힘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지속적으로 잡아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이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작아져 방출의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중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진장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7내지 도19에 따른 전동장치와 물림 구조는, 만약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부리된 구조일 경우 즉, 상기 전도장치(112) 및 상기 물림 구조(229)로 구분될 경우,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고 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물림 구조(229)는 잡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측단을 잡아 고정시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때 충전전원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전달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는 통전에 의하여 자화됨에 따라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잡아 고정시키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작아지거나 중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17내지 도19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로 구성될 수 있다.
도20은 도1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17의 실시예와 같다.
도21은 도18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고, 이와 더불어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함으로써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물림 구조(229)가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킬 때,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밀어내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18의 실시예와 같다.
도22는 도19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고, 상기 전도장치(112)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사에이는 긴장력 진동편(108)이 설치되는데, 상기 진강력 진동편(108)은 진장력을 가진 탄성구조로, 그 긴장력의 방향은 정규적으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밀려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방향으로서, 기 긴장력은 상기 물림 구조(229)의 잡는 힘보다는 작으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중량보다는 크며,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에는 상기 전도장치(112)의 정전극 및 부전극의 전기에너지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전극 및 부전극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가 설치되어 있으며, 만약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이 절연 재료로 제작되었을 경우, 상기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는 직접 그 상단에 설치할 수 있고, 만약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이 전도성 재료로 제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와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의 사이에는 절연체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제어되는 상기 물림 구조(229)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경우, 상기 압력 구동식 작동 구조(231)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물림 구조(229)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고정시키고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의 전기에너지를 상기 긴장력 전동편(108)에 설치된 상기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를 통과시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로 전달함으로써 이를 충전시키고, 또한 상기 물림 구조(229)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에 의한 자화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지속적으로 잡아 고정시키도록 하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물림 구조(229)는 아탈함에 따라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의 진장력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던 상기 전도장치(112)을 이탈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19의 실시예와 같다.
도23은 도22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긴장력 진동편(108) 및 전동장치(112)가 서로 결합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4는 도22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긴장력 진동편(108) 및 전동장치(112)가 서로 결합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는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내는 역할을 하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의하여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로부터 밀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설치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를 가진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5에 도시된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그 작동 기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끼워 고정될 때, 상기 전도장치(112)에 의하여 고정되고 충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를 검측하는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충전이 완료될 경우,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작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그 구성은,
1)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3)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4)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5)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에 의한 자화를 제어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를 밀어 내고, 이와 더불어 상기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에 의하여 자화될 경우,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은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도록 하여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5에 도시된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과 상호작용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이에 따라 변형될 때,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상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는 기계전자식, 또는 고상의 계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작 방식에 따라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그 조작 스위치는,
기계의 이동에 의한 접촉, 광전에 의한 조작, 압력에 의한 조작, 음성파에 의한 조작, 전정기에 의한 조작, 자기력에 의한 조작, 전자파 감지에 의한 조작, 축전기 감지에 의한 조작 등의 방식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원의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6는 도25의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편 접점(126)을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 및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상기 진동편 접점(126)를 설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와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그 설치 위치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는 위치, 또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진동편이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충전전원을 제어하여 단전(off)에서 통전(on)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7은 도25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를 설치하여 전원 동시화 조작 스위치로 사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는 위치, 또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진동편이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충전전원을 제어하여 단전(off)에서 통전(on)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도25내지 도27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로 구성될 수 있다.
도28은 도25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따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25의 실시예와 같다.
도29는 도26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따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24의 실시예와 같다.
도30은 도27의 실시예를 한쪽에 전기 전도 구조가 설치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따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기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도27의 실시예와 같다.
101:충전전원 102:충전제어장치
103:통전되는 자화 권선 104:충방전이 가능한 장치
105:환상형의 위치고정 구조 106:긴장력 스프링
107:충전 상태 검측장치 108:긴장력 진동편
110: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 111: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
112:전도장치
114: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
115: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
116:긴장력 복귀 스프링 117:리미트 스위치
120:병렬분류회로장치 124:전자기 기동장치
126:진동편 접점 127:자기회로철심
229:물림 구조 231:압력 구동식 가동 구조
1060: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이탈 구조 장치
1081: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
103:통전되는 자화 권선 104:충방전이 가능한 장치
105:환상형의 위치고정 구조 106:긴장력 스프링
107:충전 상태 검측장치 108:긴장력 진동편
110: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 111: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
112:전도장치
114: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
115: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
116:긴장력 복귀 스프링 117:리미트 스위치
120:병렬분류회로장치 124:전자기 기동장치
126:진동편 접점 127:자기회로철심
229:물림 구조 231:압력 구동식 가동 구조
1060: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이탈 구조 장치
1081: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
Claims (22)
- 충전장치와; 충전제어장치와;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와; 통전되는 자화 권선과;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 및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각종 충방전장치의 충전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는 검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는, 충전전원(101)의 전기에너지가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되고, 이는 다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를 통하여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로 절달됨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된 상기 충전제어장차(112)에 끼워 고정된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충전이 이루워지며, 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기계전자나 고상의 전자 엘러먼트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입력된 상기 충전전원(101)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충전전압, 충전전류를 출력 및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받아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송전시기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독립된 회로장치, 또는 상기 충전전원(101)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입력된 전기 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엘러먼트 또는 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되거나,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의해 제어되고, 통전되어 자화된 상태 또는 단전 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이탈 구조(1060)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이탈시키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이탈 구조(1060)는, 중력에 의해 위치를 이동하는 구조 공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기력, 또는 기계력, 또는 긴장력 스프링 등의 긴장력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에 의해 밀려나가는 기계 구조로 구성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력; 및/또는 긴장력 스프링의 압력; 및/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에 의해 밀려나가는 기계 구조의 밀어 내는 힘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의 작용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적어도 한 쪽의 전극단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에 있어서, 이 둘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작동 기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켰을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되고, 동극성에 의하여 통전되는 상태에서 충전 전기에너지를 전달 받으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아래와 같은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그 위치는, 1)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 및/또는 2)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가까운 위치; 및/또는 3)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전극단에 연결되는 위치; 및/또는 4)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 전원 출력단에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충전 상태의 검측신호, 특히 충전이 완료된 검측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구성 방식은 아래와 같은 예를 들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것에 있어서,
1) 충전 중인 단전압 검측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단전압 검측 방식으로 구성된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충전되는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정·부극단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 둘은 모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중인 단전압 신호를 검측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2) 충전이 완료된 전압이 갑작스럽게 저하되는 검측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단전압 검측장치를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로 사용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 완료시, 단전압은 갑작스럽게 저하되고, 단접안 검측장치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충전되는 전기에너지를 축력하는 정·부극단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의 양단에 설치할 수 있는 바, 이 둘은 모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 완료시, 단전압의 갑작스럽게 저하된 전기에너지의 신호를 검측할 수 있는 구성 방식; 및/또는,
3) 충전전류 검측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충전이 완료된 충전전류 하강시, 전류값의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4) 열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온가가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 개폐 기능의 에코 효과를 내는 구성 방식; 및/또는,
5) 정온도 또는 부온도의 전기저항계수에 대한 엘러먼트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온가가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대적인 전기저항값의 변화를 잃으키는 구성 방식; 및/또는,
6) 내부저항 측정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내부저항이 상대적인 변화를 잃으킬 경우, 상대적인 저항값의 신호를 검측하는 구성 방식; 및/또는,
7) 기타 기존에 사용되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검측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극성에 따라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될 경우, 상기 전도장치(112)가 이를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전도장치(112)가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입력시키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에 의하여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에 있어서, 그 방식은,
1)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2)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4)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2단식 충전을 형성하는 방식; 및/또는,
5)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충전 완료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은, 상이한 구조에 따라 상이한 방출 방식을 갖는 것에 있어서, 그 구성은,
1)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잡고 있던 상태에서 방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은 중력에 의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방식; 및/또는,
2) 자기력, 또는 유력, 또는 기계력 등의 긴장력장치를, 예를 들어,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중력 방향, 또는 반중력 방향, 또는 기타 방향을 포함한 밀어 내는 기능을 갖도록 하고,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을 설치할 경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압력이 가해지는 긴장력 상태를 띄게 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킬 때,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 방향에 따르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밀어 냄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도록 하고, 그 밀어 내는 방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 자체의 중력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중력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기타 방행으로 밀어 내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의 밀어 내는 힘을 통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되도록 하고, 그 밀어 내는 방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 자체의 중력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중력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밀어 내거나, 또는 기타 방행으로 밀어 내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식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통전에 의하여 자화될 경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을 방출시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중단시키며, 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기계전자나 고상의 전자 엘러먼트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입력된 상기 충전전원(101)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충전전압, 충전전류를 출력 및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받아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송전시기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독립된 회로장치, 또는 상기 충전전원(101)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입력된 전기 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엘러먼트 또는 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은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그 제어 방식은,
1)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4)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2단식 충전을 형성하는 방식; 및/또는,
5)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중력; 및 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오 한쪽의 전극단을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 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방식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충전이 가능한 알카리 전지, 또는 각종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 슈퍼축전기 또는 축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되어 충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자기력을 받아 구동될 경우,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방출시키고, 중력; 및/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탄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하는 것에 의하여 충전이 중단되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로 구성되고, 이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방출 방식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중단되는 것에 있어서, 그 구성은,
1)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3)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방식; 및/또는,
4)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2단식 충전을 형성하는 방식; 및/또는,
5)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전도장치(112)가 따라 움직이면서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중력; 및 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오 한쪽의 전극단을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 를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긴장력에 의해 방출시키고 자기력에 의해 잡는 기능을 가진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을 구동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때,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한 물림 작용력에 의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되는데, 그 작동 기능은,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로부터 출력된 충전전류를 감지 및 측정하고,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통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을 흡입함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압력을 가함에 따라 고정되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지 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잡고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 및 직접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는 전류를 차단하며, 이는 상기 전도장치(112)로 하여금 물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정지되며, 그 이탈 방식은, 중력에 의한 이탈 방식; 및/또는 상기 기장력 스프링(106)의 밀어 내는 힘에 의한 이탈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동시에 갖춘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의 긴장력에 의하여 고정되고 충전되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구비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설치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동시에 갖춘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능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화된 전류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여 상기 전동장치(112)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충전시키고,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자화를 중단하게 되며, 이에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에 의하여 자화된 전류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여 자기력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며, 그 비어진 공안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때,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에 의하여 직접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통해 제어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자화 전류가 차단되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며, 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기계전자나 고상의 전자 엘러먼트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입력된 상기 충전전원(101)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충전전압, 충전전류를 출력 및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받아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송전시기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독립된 회로장치, 또는 상기 충전전원(101)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이어지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는 공간에는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 및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이 구비되어 있어,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기계 구조로 구성되며, 통전이 중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이동 기계 구조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상기 전도장치(112)의 위치로 밀어내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되어 자화될 경우,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이동 기계 구조는 흡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가 충전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하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충전 상태 검측장치로 구성되고, 이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완료 상태를 검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에 의하여 제어되는 작동 기능은,
1)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통전에 의하 자화를 직접 차단할 수 있는 기능;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된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전기에너지를 차단하는 기능;
3)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검측된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 또는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다시 검측하였을 때,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전기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자화를 중단시키는 기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전기에너지를 차단할 경우,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가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게 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충전이 가능한 알카리 전지, 또는 각종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 슈퍼축전기 또는 축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에 끼워 고정되어 충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며,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가 자화를 중단하거나, 또는 자화 전류가 상기 긴장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전자기 구동흡입장치(114)의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이 생성하는 밀어 내는 전류값의 한계까지 떨어질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이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를 이탈함으로써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과 상호작용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이에 따라 변형될 때,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상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는 기계전자식, 또는 고상의 계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작 방식에 따라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그 조작 스위치는,
기계의 이동에 의한 접촉, 광전에 의한 조작, 압력에 의한 조작, 음성파에 의한 조작, 전정기에 의한 조작, 자기력에 의한 조작, 전자파 감지에 의한 조작, 축전기 감지에 의한 조작 등의 방식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원의 개폐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더불어 진동편 접점(126)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 또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와 함게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동기화로 전원을 넣을 수 있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이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 할 때 동기화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따로 설치고, 또한 상기 진동편 접점(126)를 설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와 더불어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따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충전전류가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구비된 자기회로철심(127)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도장치(112)가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고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전류가 차단되거나 감소될 경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 및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켜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시키고 충전을 중단시키며, 그 주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101)은, 각종 직류전원, 또는 교류가 정류되어 직류로 전환된 직류충전전원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1) 충전시간를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2) 춘전전압을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3)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기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기능으로 제어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는 공간에는 전자기 기동장치(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에는 상기 자화 권선(103), 상기 자기회로철심(127),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상기 전도장치(112),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 및 병렬분류회로장치(120)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될 경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흡입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는 전류가 작어지거나 차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긴장력으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가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도록 하며;
상기 병렬분류회로장치(120)는, 기계전자식, 또는 전자회로 엘러먼트, 또는 고상의 파워 엘러먼트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양단에 병렬로 되어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하는 전류값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이탈시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만약 사용되는 전체 충전전류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대한 자화 전류일 경우, 상기 병렬분류회로장치(120)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충전전원(101)의 전기에너지는, 직접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통해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도장치(112)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통과하는 충전전류의 전부 또는 일부 비율의 충전전류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로 흘러 들어가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짐에 따라 충전전류가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를 통과할 경우,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는 자기력을 받아 이동하게 되고, 이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구비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을 구동시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잡아 고정시키는 힘 및 전기 도전 기능을 형성토록 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은 충전 완료 후, 전압이 점차 상승함에 따라 충전전류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루가 작아지거나, 또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차단될 경우, 상기 자기 기동장치(124)는 자기를 받는 것이 중단되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진장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그 추가된 특징은, 상기 전도장치(112)에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되는 공간에는 상기 긴장력 스프링(106)이 설치되어 있고, 이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작아져 방출시키는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중단됨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킴으로서 상기 긴자력 스프링(106)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의 정·부전극 간의 간격 상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충전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전극 간격보다 크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킨 후에는, 따로 외부 힘의 가동 구조에 대한 구동을 통하여 상기 전도장치(112)의 정전극과 부전극이 밀리는 힘에 의하여 가까워지면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과 접촉함으로써 충전전원이 정·부전극의 양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도록 하고, 그 충전전류는 동시에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으로 하여금 통전에 의한 자화를 통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흡입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고정시키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지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주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101)은, 각종 직류전원, 또는 교류가 정류되어 직류로 전환된 직류충전전원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1) 충전시간를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2) 충전전압을 제어하는 기능; 및/또는 3)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기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기능으로 제어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는,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도장치(112)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는 공동 구조로 이루어지며, 정·부전극의 상기 전도장치(112)의 간격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전극의 간격보다 크고, 환상형의 위치고정 구조(105)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끼워 고정시킨 후, 외부의 힘을 통해 압력 구동식 가동 구조(231)를 구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전동장치(112)의 정·부전극이 밀려 나가며, 이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부전극과 접촉하여 충전전원이 정·부전극으로 구성된 두 개의 상기 전도장치(112)를 통과하여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장치에 송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는 통전에 의한 자화됨에 따라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가 작동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를 흡입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그 힘을 받아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지속적으로 잡아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이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작아져 방출의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중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진장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가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전동장치와 물림 구조는, 만약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부리된 구조일 경우 즉, 상기 전도장치(112) 및 상기 물림 구조(229)로 구분될 경우,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고 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물림 구조(229)는 잡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측단을 잡아 고정시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때 충전전원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전달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는 통전에 의하여 자화됨에 따라 상기 전자기 기동장치(124)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잡아 고정시키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을 통과하는 전류가 작아지거나 중단될 경우, 상기 긴장력 복귀 스프링(116)의 긴장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 및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와 공동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물림 구조(229)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질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장치(112)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일측단이 한쌍으로 결합되는 전기 전도 구조에 설치되고, 상기 전도장치(112)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사에이는 긴장력 진동편(108)이 설치되는데, 상기 진강력 진동편(108)은 진장력을 가진 탄성구조로, 그 긴장력의 방향은 정규적으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밀려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방향으로서, 기 긴장력은 상기 물림 구조(229)의 잡는 힘보다는 작으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중량보다는 크며,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에는 상기 전도장치(112)의 정전극 및 부전극의 전기에너지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정전극 및 부전극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가 설치되어 있으며, 만약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이 절연 재료로 제작되었을 경우, 상기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는 직접 그 상단에 설치할 수 있고, 만약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이 전도성 재료로 제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와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의 사이에는 절연체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제어되는 상기 물림 구조(229)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경우, 상기 압력 구동식 작동 구조(231)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물림 구조(229)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잡아 고정시키고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의 전기에너지를 상기 긴장력 전동편(108)에 설치된 상기 릴레이 전기 전도 구조(1081)를 통과시켜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로 전달함으로써 이를 충전시키고, 또한 상기 물림 구조(229)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에 의한 자화에 따라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을 지속적으로 잡아 고정시키도록 하며,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물림 구조(229)는 아탈함에 따라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고,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는 상기 긴장력 진동편(108)의 진장력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던 상기 전도장치(112)을 이탈함에 따라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는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내는 역할을 하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의 의하여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로부터 밀어내는 것에 있어서, 그 작동 기능은,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에 끼워 고정될 때, 상기 전도장치(112)에 의하여 고정되고 충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충전 상태를 검측하는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충전이 완료될 경우,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작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1)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하여 통전 또는 단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2)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3)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하여 세류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환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4)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의 신호를 충전제어장치(102)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로 하여금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충전전류를 낮추도록 한 후,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가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 또는 단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상기 전도장치(112)는 잡고 있던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방출시키며;
5) 상기 충전 상태 검측장치(107)는 충전 완료 신호를 검측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에 대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의 충전전류를 점차 낮추도록 하고, 마지막 차례에서 상기 충전제어장치(102)를 구동시켜 상기 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에 대한 통전에 의한 자화를 제어하여 상기 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111)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도장치(112)를 밀어 내고, 이와 더불어 상기통전되는 자화 권선(103)이 통전에 의하여 자화될 경우, 동시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려나가는 기계구조(115)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단은 상기 전도장치(112)를 이탈하도록 하여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과 상호작용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면서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가 이에 따라 변형될 때,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를 충전시키며, 상기 전원 동기화 조작 스위치는 기계전자식, 또는 고상의 계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아래와 같은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작 방식에 따라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그 조작 스위치는,
기계의 이동에 의한 접촉, 광전에 의한 조작, 압력에 의한 조작, 음성파에 의한 조작, 전정기에 의한 조작, 자기력에 의한 조작, 전자파 감지에 의한 조작, 축전기 감지에 의한 조작 등의 방식을 포함하므로써 전원의 개폐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진동편 접점(126)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전도장치(112) 또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17)와 함게 동기화 조작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 고정될 때, 상기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104)가 끼워지는 위치, 또는 상기 자기력에 의해 기동되는 전도장치(110)의 진동편이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충전전원을 제어하여 단전(off)에서 통전(on)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576,281 US8269454B2 (en) | 2009-10-09 | 2009-10-09 | Power charging device with charge saturation disconnector through electromagnetic force release |
US12/576,281 | 2009-10-09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4228A Division KR101893296B1 (ko) | 2009-10-09 | 2017-04-27 |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9200A true KR20110039200A (ko) | 2011-04-15 |
Family
ID=434942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8216A KR20110039200A (ko) | 2009-10-09 | 2010-10-08 |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KR1020170054228A KR101893296B1 (ko) | 2009-10-09 | 2017-04-27 |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4228A KR101893296B1 (ko) | 2009-10-09 | 2017-04-27 |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8269454B2 (ko) |
EP (1) | EP2309616B1 (ko) |
JP (2) | JP5913795B2 (ko) |
KR (2) | KR20110039200A (ko) |
CN (4) | CN105896684B (ko) |
CA (1) | CA2716691C (ko) |
DE (1) | DE202010014111U1 (ko) |
SG (1) | SG170682A1 (ko) |
TW (2) | TWM411729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69454B2 (en) * | 2009-10-09 | 2012-09-18 | Tai-Her Yang | Power charging device with charge saturation disconnector through electromagnetic force release |
CN102892282B (zh) * | 2010-05-19 | 2016-02-03 | 胡斯华纳有限公司 | 用于将机器人园林工具连接到充电装置的充电耦合器 |
US8610403B2 (en) * | 2010-11-29 | 2013-12-17 | Blackberry Limited | Charging cradle |
US8536829B2 (en) * | 2011-02-24 | 2013-09-17 | Tennrich International Corp. | Charging system |
US8653791B2 (en) * | 2011-04-28 | 2014-02-18 | Nintendo Co., Ltd. | Battery charger for hand-held electronic game device |
DE102012100866A1 (de) | 2012-02-02 | 2013-08-08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Transportsicherung sowie akkubetriebenes Elektrogerät |
US9041344B2 (en) * | 2012-05-25 | 2015-05-26 | Timotion Technology Co., Ltd. | Standby battery box for electric cylinder |
CN103580074B (zh) * | 2012-07-25 | 2015-08-19 | 名硕电脑(苏州)有限公司 | 能自动断电的充电装置 |
CN103580297B (zh) * | 2013-01-10 | 2015-11-18 |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 移动设备及其充电方法 |
FR3007911B1 (fr) * | 2013-06-27 | 2015-06-26 | Somfy Sas | Dispositif de controle d’un moteur |
CN103745844A (zh) * | 2013-12-30 | 2014-04-23 | 李玉珂 | 光伏发电充电专用自动开关 |
US9727083B2 (en) | 2015-10-19 | 2017-08-08 | Hand Held Products, Inc. | Quick release dock system and method |
CN106131272B (zh) * | 2016-08-30 | 2019-05-14 |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防水装置及终端 |
TWI647597B (zh) * | 2017-05-19 | 2019-01-11 | 海盜船電子股份有限公司 | 充電滑鼠墊及其使用方法 |
CN109101089B (zh) * | 2018-08-10 | 2020-01-07 | 黄河科技学院 | 计算机信息插口防撞保护装置 |
CN111883188B (zh) * | 2018-09-07 | 2022-01-25 | 河南经贸职业学院 | 用于计算机存储装置的防爆保护装置 |
CN110112798B (zh) * | 2019-04-03 | 2020-12-18 | 六安市同心畅能电子科技有限公司 | 电动车电池充电保护器电路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3134A (en) * | 1977-11-07 | 1979-07-31 | Upaya, Inc. | Safety jumper cables |
CN2058273U (zh) * | 1989-06-02 | 1990-06-13 | 张恩侗 | 一种自动断电式充电装置 |
DE3923230C2 (de) * | 1989-07-14 | 2002-06-20 | Variomatic Gmbh & Co Kg | Vorrichtung zum Schwenken für an einem Drehtisch angeordnete Werkstück-Halteeinrichtungen |
JPH0974686A (ja) * | 1995-09-01 | 1997-03-18 | Brother Ind Ltd | 充電器 |
EP0977215A3 (en) * | 1996-08-09 | 2000-12-06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 |
JPH10112354A (ja) * | 1996-08-09 | 1998-04-28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
US6462507B2 (en) * | 1998-08-07 | 2002-10-08 | Okc Product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l charging, self-starting, and operation of a power supply with an intermittent and/or variable energy source and a rechargeable energy storage device |
CN100492752C (zh) * | 2001-01-10 | 2009-05-27 | 杨泰和 | 供对可充电电池充电的充电装置 |
JP2005235679A (ja) * | 2004-02-23 | 2005-09-02 | Fujitsu Support & Service Kk | 電源プラグ抜け防止コンセント |
KR20070047952A (ko) * | 2005-11-03 | 2007-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
US8269454B2 (en) * | 2009-10-09 | 2012-09-18 | Tai-Her Yang | Power charging device with charge saturation disconnector through electromagnetic force release |
-
2009
- 2009-10-09 US US12/576,281 patent/US8269454B2/en active Active
-
2010
- 2010-10-01 CA CA2716691A patent/CA2716691C/en active Active
- 2010-10-05 TW TW099219207U patent/TWM411729U/zh unknown
- 2010-10-05 TW TW099133850A patent/TWI528675B/zh active
- 2010-10-06 SG SG201007369-0A patent/SG170682A1/en unknown
- 2010-10-06 JP JP2010226661A patent/JP5913795B2/ja active Active
- 2010-10-08 JP JP2010006704U patent/JP3164918U/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0-08 EP EP10187066.5A patent/EP2309616B1/en active Active
- 2010-10-08 KR KR1020100098216A patent/KR201100392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10-08 CN CN201610430819.0A patent/CN10589668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0-08 CN CN2010205560609U patent/CN202009240U/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0-10-08 CN CN201010299800.XA patent/CN102044892B/zh active Active
- 2010-10-08 DE DE202010014111U patent/DE202010014111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0-10-08 CN CN201510196433.3A patent/CN10490135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
- 2017-04-27 KR KR1020170054228A patent/KR10189329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913795B2 (ja) | 2016-04-27 |
EP2309616A3 (en) | 2014-10-08 |
TW201114145A (en) | 2011-04-16 |
US8269454B2 (en) | 2012-09-18 |
CA2716691A1 (en) | 2011-04-09 |
CN105896684A (zh) | 2016-08-24 |
CN202009240U (zh) | 2011-10-12 |
CN102044892A (zh) | 2011-05-04 |
CN104901356B (zh) | 2018-02-02 |
CN105896684B (zh) | 2019-05-31 |
SG170682A1 (en) | 2011-05-30 |
JP3164918U (ja) | 2010-12-24 |
DE202010014111U1 (de) | 2011-03-03 |
JP2011083185A (ja) | 2011-04-21 |
KR101893296B1 (ko) | 2018-08-29 |
TWI528675B (zh) | 2016-04-01 |
TWM411729U (en) | 2011-09-11 |
EP2309616A2 (en) | 2011-04-13 |
CA2716691C (en) | 2018-07-10 |
CN102044892B (zh) | 2016-08-10 |
US20110084649A1 (en) | 2011-04-14 |
KR20170049490A (ko) | 2017-05-10 |
CN104901356A (zh) | 2015-09-09 |
EP2309616B1 (en) | 2020-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3296B1 (ko) |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 |
US20130187596A1 (en) | Limitation of vampiric energy loss within a wireless inductive battery charger | |
CN101651354A (zh) | 充电控制装置和充电装置 | |
TWI739032B (zh) | 繼電器控制器系統、雙穩態繼電器控制電路以及控制雙穩態繼電器的方法 | |
CN210007424U (zh) | 一种结合磁吸对位的无线充电装置 | |
CN101930058B (zh) | 一种自动测试电池充放电控制电路 | |
CN101142649B (zh) | 供电电路、开关执行设备及用于运行开关执行设备的方法 | |
CN101499591A (zh) | 一种电动杠杆式漏电保护插座 | |
CN101562092B (zh) | 过零动作磁保持继电器 | |
CN102592900B (zh) | 一种可控制断开的开关装置 | |
JP2018121509A (ja) | 振動エネルギー収集装置 | |
EP3070811A1 (en) | Power supply circuit | |
CN216015203U (zh) | 一种交流浪涌保护电路 | |
CN219436665U (zh) | 一种充电装置 | |
CN210053226U (zh) | 充电设备、电子设备及充电系统 | |
CN202454510U (zh) | 一种可控制断开的开关装置 | |
CN102474113A (zh) | 具有功率部件的充电装置 | |
KR102162508B1 (ko) | 리드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 절체 회로 및 자동 절체 방법 | |
KR101692713B1 (ko) | 하나의 코일과 전류방향 전환수단 및 영구자석으로 구동되는 전자접촉기 | |
KR20020038824A (ko) | Dc 조작용 전자접촉기의 코일 구동장치 | |
KR20200008878A (ko) | 리드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 절체 회로 및 자동 절체 방법 | |
CN102280309A (zh) | 断电吸持型永磁式接触器 | |
JPH076788A (ja) | 二次電池過放電防止装置 | |
KR20070093490A (ko) | 동력발생 부 병설 변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