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127A -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127A
KR20110038127A KR1020117002817A KR20117002817A KR20110038127A KR 20110038127 A KR20110038127 A KR 20110038127A KR 1020117002817 A KR1020117002817 A KR 1020117002817A KR 20117002817 A KR20117002817 A KR 20117002817A KR 20110038127 A KR20110038127 A KR 2011003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 gum
cationic
modified guar
cationic modified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오바니 칼루시
알레산드로 가글리아르디니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1003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02Alkyl or cycloalkyl ethers
    • C08B11/04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8B11/14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10Crosslinking of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96Guar, guar gum, guar flour, guaran, i.e. (beta-1,4) linked D-mannose units in the main chain branched with D-galactose units in (alpha-1,6), e.g. from Cyamopsis Tetragonolobu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 예를 들어 생리대, 팬티라이너 또는 탐폰에 관한 것이다. 구아검은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화제에 의해서 변성되며, 양이온화제의 치환도는 약 0.070 내지 0.30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실질적으로 수용성이다.

Description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ABSORBENT PRODUCT COMPRISING A CATIONIC MODIFIED GUAR GUM}
본 발명은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 예를 들어, 생리대, 팬티라이너 또는 탐폰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및 기저귀와 같은 대부분의 구매가능한 일회용 흡수 제품은 체액 흡수 및 보유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합성 강력 흡수성 중합체(superabsorbent polymers; SAP), 전형적으로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합성 흡수성 재료는 탈이온수에 대해서는 탁월한 흡수 용량을 나타내지만, 월경 분비물과 같은 전해질/염-함유 용액에 대한 흡수 용량은 비교적 낮다. 전해질, 단백질 및 세포 (주로 월경 분비물 중의 적혈구)의 존재가 흡수성 겔화 물질의 팽윤 과정을 방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문헌 [P. K. Chatterjee, B. S. Gupta, "Absorbent Technology" Elsevier 2002; pages 455-457] 참조).
합성 강력 흡수성 중합체는 소변과 같은 단순한 유체는 매우 잘 흡수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흡수할 유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월경 분비물 유체인 여성 케어 응용에서는 그 성능이 실망스럽다. 이는 여성 케어 제품이 월경 분비물 유체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게 하여 결국 누출 및 사용자 의복의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122390A1호는 저증발성 흡수 제품을 개시한다. 저증발성 흡수 제품은, 활성화시, 흡수 코어에 존재하는 팽윤된 강력 흡수성 제품을 코팅하여 그로부터의 증발을 감소시키는 처리제를 흡수성 제품의 흡수 코어에 포함하는데, 흡수 코어 중에 검이 개시된다. 몇몇 적합한 처리제가 개시된다.
미국 특허 제5,780,616호는 강력 흡수성 특성을 갖는 양이온성 다당류를 개시한다. 다당류는 적어도 0.5의 비교적 큰 치환도를 가지고 4차 암모늄 기로 치환된다. 다당류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이다. 다당류는 물에 불용성으로 유지되기에 충분한 정도로 가교결합된다.
프록터 앤드 갬블(Procter & Gamble)의 미국 특허 제6,887,564호는 키토산 물질 및 음이온성 흡수성 겔화 물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을 개시한다. 그러나, 키토산 물질의 높은 비용은 현재까지 그의 상업적 사용을 막고 있다.
미국 특허 제5,532,350호는 흡수성 물질로서 유용한 가교결합된 다당류를 개시하며, 그중에서 구아검과 구아 유도체가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다당류는 수불용성이다.
미국 특허 제5,801,116호는 흡수성 물질로 사용되는,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은 다당류, 특히 구아 중합체, 예를 들어 구아검을 개시한다. 다당류는 전형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단지 약간 수용성이며, 물에 용해되는 다당류를 50% 미만을 갖는다.
상기 고찰로부터 적절한 가격으로 월경 분비물을 고정할 수 있는 고도의 능력을 갖는 물질이 요구된다.
이제 놀랍게도 소정의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에서 키토산 유도체에 필적하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은 이전에 제안된 것보다 더욱 수용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은 전형적으로 그를 가교결합시키지 않고서, 또는 이전에 제안된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가교결합제를 또한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4차 암모늄 기에 대한 비교적 낮은 치환도가 여성 보호 응용을 위해 적절하다는 것을 또한 알아내었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예를 들어 키토산 염에 비하여 대량으로 입수가능하고 잠재적으로 더 저렴한 원료 물질(구아검)로부터 기인한 추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월경 분비물과 같은 단백질성 유체의 존재 하에서 특히 잘 작용하며 유체-취급 이점을 제공하고, 혈액 기반 유체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능력이 이미 개시된 다른 다당류 유도체보다 더 우수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제한하고자 함이 없이, 본 발명의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이를 월경 분비물 고정화에 대해 최적화되게 만드는 특성들의 고유한 조합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은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화제에 의해서 변성된 구아검을 포함하며, 양이온화제의 치환도는 약 0.070 내지 0.30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실질적으로 수용성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 구아검을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화제와 반응시켜, 양이온화제의 치환도가 약 0.070 내지 0.30 미만인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얻는 단계;
- 선택적으로 동일 단계 또는 개별 단계에서, 구아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ppm 내지 약 1000 ppm의 가교결합제 농도로 상기 구아검과 가교결합제를 반응시키는 단계;
- 이전 단계에서 얻은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흡수 코어에 적용하는 단계;
- 상기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이라는 용어는 월경 분비물을 흡수하기 위해 여성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뿐만 아니라 성인의 경등도 내지 중등도 요실금 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제품은 보통 일회용으로서 사용후 폐기된다. 보통의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은 월경 분비물 흡수 제품, 예를 들어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및 음순간 패드(interlabial pad)를 포함하나 유아용 기저귀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라는 용어는 구아검과 적합한 양이온화제 사이의 반응 생성물을 말한다. 보통,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3 내지 10의 pH 범위, 특히 5 내지 9의 pH의 수용액에서 순수 양전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은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변성화 전의 구아검의 공급원은 전형적으로 구아 콩이다.
구아 가루로도 알려진 구아검은 갈락토만난으로 이루어진 고분자량 다당류를 포함한다. 구아검의 수용성 분획은 구아란으로 불리며 전형적으로 α-D-갈락토피라노실 단위(D-갈락토스)가 (1→6) 결합에 의해 부착된 (1→6)-β-D-만노피라노실 단위(D-만노스)의 선형 사슬로 이루어진다. D-갈락토스 대 D-만노스의 비는 1:2이다.
양이온성 작용기를 구아검에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08/01129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지만, 이는 수 분산성 폴리갈락토만난 중합체를 설명하고 있다. 구아검의 양이온성 변성과 함께 또는 변성 없이 구아검을 가교결합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또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32,350호와 제5,801,116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이들 공지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의 제조에 사용되는 양이온화제는 전형적으로 암모늄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적합한 양이온화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80,616호 제4 컬럼 제5 행 내지 제5 컬럼 제15 행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112907호에 열거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기 예를 포함한다:
- 하기 구조식을 갖는, 2,3-에폭시프로필-N,N,N-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데구사 아게(Degussa A.G.)로부터 70% 수용액으로서 명칭 QUAB 151로, 또는 플루카(Fluka)로부터 고체 형태의 순수 화합물로서 제품 코드 50045로 구매가능):
Figure pct00001
- 하기 구조식을 갖는,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N,N,N-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AS # 3327-22-8, 데구사 아게로부터 65% 수용액으로서 명칭 QUAB 188로 구매가능):
Figure pct00002
양이온화제에 의한 다당류의 양이온화 정도는 양이온화제에 의한 다당류의 반응기의 치환도(이하, "양이온화제의 치환도"라고 지칭함)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이는 본 기술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80,616호, 영국 특허 제1576475호, 미국 특허 제7,135,451호를 참조한다). 양이온화제의 치환도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국제 특허 공개 WO92/19652호에 개시된 방법, 또는 미국 특허 제7,135,451호 제3 컬럼에 개시된 방법, 또는 예를 들어 변성 구아검에 결합된 질소의 양을 측정하는 원소 분석에 기반한 방법(양이온화제가 암모늄 기에 기반한 경우), 예를 들어 크젤달법(Kjeldahl method)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양이온화제의 치환도가 낮은 변성 구아검이 월경 분비물을 고정화하기 위해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양이온화제의 치환도가 약 0.070 내지 0.30 미만, 특히 약 0.10 내지 약 0.20 범위일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종래 문헌은 불용성화된 변성 구아검을 사용하는 것을 교시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이 실질적으로 수용성일 수 있으며 원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은 실질적으로 수용성이다. "실질적으로 수용성"이란, 그들이, 예를 들어 영국 특허 제1,576,475호에 개시된 시험에 의해 측정할 때, 50%(중량 기준) 미만의 수불용성 탄수화물을 함유함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은 30% 미만, 또는 20% 미만 또는 심지어 10% 미만의 불용성 탄수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은 완전히 수용성일 수 있다. 용해도 데이터는 하기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15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21℃)에서 변성 구아검(1 g)을 증류수(100 ㎖) 중에 슬러리화한다. 슬러리를 8시간 동안 정치한 후에 여과한다. 가용성 탄수화물에 대한 페놀/황산 시험을 사용하는 공지된 비색법에 의해서 여과액 중의 용해된 탄수화물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에서는, 시험 용액의 1㎖ 샘플에 1 ㎖의 페놀 용액(5% w/v)을 첨가한 다음, 5 ㎖의 진한 황산을 첨가하고 액체들을 1분 동안 손으로 흔들어 혼합한다. 1시간 동안 냉각되게 둔 후에, 자외선 분광광도계(예를 들어, 유니캠(Unicam) SP 800 또는 유사한 것)를 사용하여 글루코스 표준시료를 기준으로 483 ㎚에서의 피크의 흡광도로부터 가용성 탄수화물의 농도를 결정한다.
변성 구아검의 용해도는 사용되는 가교결합제의 양에 의해 통상 좌우된다. 적어도 일부의 종래 기술(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32,350호와 제5,801,116호)은 변성 구아검을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으로 만들기 위해 높은 정도의 가교결합을 사용하는 것을 교시하는 반면, 본 발명자들은 낮은 수준의 가교결합이 여성 케어 응용에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양태에서, 변성 구아검은 가교결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특히 합성 동안 변성 구아검의 가공성 및 회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성 구아검은 유리하게는 여전히 약간 가교결합될 수 있지만, 가교결합 수준은 유리하게는 종래 기술에 개시된 것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변성 구아검의 가교결합 수준 및 그에 따른 변성 구아검의 용해도는 합성 동안 숙련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특히 반응 혼합물 중의 가교결합제의 농도를 변화시켜 원하는 양의 가교결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반응 혼합물 중의 약 0 ppm 내지 약 1000 ppm(parts per million)의 가교결합제의 농도가 원하는 양의 가교결합을 얻는 데 유리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더욱 구체적인 범위는 약 50 ppm 내지 700 ppm, 및 약 100 ppm 내지 700ppm이다. "ppm"은 백만부 당 부로 표현되는 가교결합되는 구아검 재료의 중량당 중량 단위로 표현되는 가교결합제의 상대적인 양을 의미한다.
가교결합의 양은 또한 가교결합제에 의한 변성 구아검의 치환도(본 명세서에서는 "가교결합제의 치환도"라고 지칭함)에 준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유리하게는 0.0010 미만, 예를 들어 약 0.00001 내지 약 0.00025, 또는 약 0.00003 내지 약 0.000200일 수 있다. 가교결합제의 치환도는 때때로 문헌에서 사용된다(예를 들어, 영국 특허 제1,576,475호 및 미국 특허 제3,622,562호 참조).
구아검의 가교결합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32,350호, 제5,801,116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US 2008/01129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가교결합은 구아검에 첨가된 적합한 가교결합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형적인 가교결합제는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지르코늄 화합물, 예를 들어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지르코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리, 철, 납, 칼슘 및 나트륨 염이 또한 가교결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전형적인 가교결합제는 붕사와 같은 붕산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서 가교결합제는 글리옥살일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결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제조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많은 방식으로 흡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의 수계 또는 용매계 용액이 적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건조 분말 형태로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라,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100 ㎛ 미만, 또는 1 ㎛ 내지 70 ㎛, 또는 5 ㎛ 내지 50 ㎛, 또는 또한 10 ㎛ 내지 3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 미립자 형태로 흡수 용품에 포함된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의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입자 크기는 흡수 용품에서의 월경 분비물 고정화에 유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평균 입자 크기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상기에 개시된 것과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 크기의 경우, 광 산란 기술에 기반한 방법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중위(median) 입자 크기로도 불리는 평균 입자 크기는 전형적으로, 적합한 공지 수단에 의해 얻어진 미립자 물질의 입자 크기 분포로부터 평가되며, 전형적으로 두 가지 상기 분포로 나뉘는 입자 크기로 간주되며, 즉 미립자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절반은 상기 평균 입자 크기보다 더 거칠고 크며, 중량을 기준으로 절반은 더 미세하다. 미립자 형태의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의 평균, 또는 중위 입자 크기는, 예를 들어 베크만 코울터(Beckman Coulter)로부터 입수가능한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 LS 13 320 시리즈, 또는 임의의 등가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균 입자 크기의 측정은 건조 샘플 재료에서, 제어된 환경, 전형적으로 23±2℃ 및 50±10% RH에서 실시될 것이다. 샘플 재료는 60℃에서 3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될 것이고, 그 후 밀폐 용기에서 유지되고 주위 실험 온도와 평형화된다. 제어된 실험 환경에서 수분 획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밀폐 용기로부터 제거 후 샘플 재료를 신속하게, 즉 전형적으로 45분 이내에 시험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흡수 제품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적용한 후에 구성 요소를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 액체 침투성 톱시트, 백시트 및 백시트와 톱시트 중간의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생리대 또는 팬티라이너와 같은 흡수 제품에 대해서,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이들 구성요소 중 임의의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흡수 코어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흡수 코어의 신체 대향 표면, 흡수 코어의 의복 대향 표면, 또는 흡수 코어의 양쪽 표면과 같은, 흡수 코어의 표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또한 상기 표면 코어 중 하나의 중심 부분에, 또는 상기 코어의 두 측면을 따라 줄무늬로 적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흡수 제품의 구성요소 중 하나 내에 적용하는 것이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몇몇 층의 라미네이트로서 제조되는 코어의 경우, 코어의 외측 표면이 아닌, 이들 층 중 하나의 표면에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 적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또한 존재한다면 백시트 또는 톱시트와 같은 제품의 다른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라,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적용 구역 제곱미터 당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 중량 기준으로, 0.5 g/㎡ 내지 500 g/㎡, 바람직하게는 1 g/㎡ 내지 50 g/㎡의 농도로, 흡수 제품에, 즉 그 구성요소 중 임의의 것에, 예를 들어 흡수 코어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변성된 양이온성 구아검의 수용액을 분무하는 경우, 수용액은 예시적으로 용액의 약 3 중량% 내지 약 6 중량%의 농도로 양이온성 구아검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계 용액의 경우, 더 높은 농도, 예를 들어 용액의 약 6 중량% 내지 약 60 중량%가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유리하게는 흡수 제품의 개별 구성요소에 적용한 후에 이러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조립하여 제품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최종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 구아검을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화제와 반응시켜, 양이온화제의 치환도가 약 0.070 내지 0.30 미만인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얻는 단계;
- 선택적으로, 동일 단계 또는 개별 단계에서, 상기 구아검을, 구아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ppm 내지 약 1000 ppm의 가교결합제 농도로 가교결합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 이전 단계에서 얻은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의 구성요소에 적용하는 단계;
- 상기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흡수 제품을 제조하기 전 또는 후에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구성요소에 적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적용하는 단계가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에 선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코어를 사용하여 흡수 제품을 제조하기 전에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흡수 코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에 흡수 코어가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유형의 흡수 코어가 사용될 수 있다. 표준 코어는 보통 셀룰로오스 펄프의 플러프(fluff) 매트릭스, 또는 셀룰로오스 펄프와 합성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코어는 또한 전통적인 합성 강력 흡수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계 겔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1447067호에 개시된 것들과 같은 얇은 코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은 음이온성 흡수성 겔화 물질을, 예를 들어 흡수 코어 내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험
리올로지 (rheological) 분석
월경 분비물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 변성 구아검의 유효성을 비교하기 위한 한가지 예시적인 방법을 예를 들어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올로지 분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샘플 제조: 0.5 g의 양이온성 구아검 분말을 12 x 12 cm의 페트리 접시에 칭량하여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의 5% w/w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4.50 g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질한 겔이 페트리 접시 내에 얻어질 때까지 교반한다.
겔화 후, 페트리 접시를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8시간 동안 45℃에 설정된 온도에서 환기된 오븐 내에 둔다.
페트리 접시에서 건조 후에, 건조된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 분말의 층이 존재할 것이다. 페트리 접시를 오븐에서 꺼내고 실온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1시간 놓아둔다.
건조된 양이온성 중합체 층에 4.50 g의 AMF(하기에 기재된 인공 월경분비물 유체)를 천천히 첨가하여, 전체 표면을 적신다. 첨가 후에, 재료를 균질한 겔이 얻어질 때까지 5분 동안 스패츌러(spatula)로 추가로 혼합한다.
리올로지 특성의 평가: 리올로지 파라미터(G')는 미국 뉴저지주 08505 보든타운 크로스윅스 로드 231에 소재하는 리올로지카 인스트루먼츠 인크(Reologica Instruments Inc)에 의해 공급된 스트레스 테크(Stress Tech) HR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0 ㎐ 및 37℃에서, 2 mm의 갭을 갖는 40 mm의 평행판 형태를 이용하여 이 장비를 작동시켰다.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레오익스플로러(RheoExplorer) 버전 5.0.40.38이었다.
G'는 탄성률이고 40 ㎐에서 측정한 값은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 인공 월경 분비물 유체를 증점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G' 값이 높을수록 변성 구아검이 흡수 제품 내에 월경 분비물을 더 우수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AMF (인공 월경 분비물 유체)의 제조
인공 월경 분비물 유체(AMF)는 점도, 전기 전도도, 표면 장력 및 외양에서 인간의 월경 분비물 유체와 매우 흡사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개질된 양(sheep)의 혈액에 기초한다.
시약:
피브린-제거된(defibrinated) 양(sheep)의 혈액은 유니패스 에스.피.에이(Unipath S.p.A.)(이탈리아 가르바그나테 밀라네제)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네덜란드 소재의 제이. 티. 베이커(J. T. Baker)로부터의 락트산, 시약 등급(85 내지 95 w/w).
미국 소재의 시그마 케미칼 컴퍼니(Sigma Chemical Co.)로부터의 수산화칼륨(KOH), 시약 등급.
미국 소재의 시그마 케미칼 컴퍼니로부터의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정제(tablet), 시약 등급.
미국 소재의 시그마 케미칼 컴퍼니로부터의 염화나트륨, 시약 등급.
미국 소재의 시그마 케미칼 컴퍼니로부터의 위 뮤신(Gastric Mucine), 타입 III (CAS 84082-64-4).
증류수.
단계 1: 락트산 분말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9 +/- 1% 락트산 용액을 제조한다.
단계 2: KOH 분말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 수산화칼륨(KOH) 용액을 제조한다.
단계 3: 지시된 대로 정제를 1 L 증류수에 용해하여 pH=7.2로 완충된 포스페이트 완충 용액을 제조한다.
단계 4: 하기 조성의 용액을 제조하여 45 +/- 5℃로 천천히 가열한다: 460 +/-5 ㎖의 포스페이트 완충 용액. 7.5 +/- 0.5 ㎖의 KOH 용액.
단계 5: 단계 4에서 제조된 예비 가열(45 +/-5℃)된 용액에 약 30 그램의 위(gastric) 뮤신을 (계속 교반하면서) 천천히 용해하여 점액질 용액을 제조한다. 일단 용해되면 용액 온도를 50 내지 80℃까지 증가시켜야 하며, 혼합물을 대략 15분 동안 덮어두어야 한다. 가열을 줄여서 40 내지 50℃의 비교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2.5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한다.
단계 6: 핫 플레이트에서 용액을 제거하고 (단계 5로부터의) 용액을 이제 40℃ 미만으로 냉각되게 둔다. 2.0 ㎖의 10% 락트산 용액을 첨가하고 2분 동안 완전히 혼합한다.
단계 7: 용액을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15분 동안 121℃의 온도까지 가열한다.
단계 8: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되게 하고 피브린-제거된 양의 혈액으로 1:1로 희석한다.
AMF 제조 후에, 혈액 특성이 정상적인 월경혈에 근접한 범위 안에 드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그의 점도, pH 및 전도도를 측정한다(참고문헌 [H. j. Bussing "Zur Biochemie des Menstrualblutes" Zbl Gynaec, 179,456 (1957)] 참조). 점도는 7 내지 8 (단위 cStK)의 범위 안에 들어야 한다. pH는 6.9 내지 7.5의 범위 안에 들어야 하며, 전도도는 10.5 내지 13 (단위 mmho) 안에 들어야 한다. 점도가 상기에 명시된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새로운 배치(batch)의 AMF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AMF 용액은 사용전에 성분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계속 혼합하여야 한다. 용액은 오직 제조후 4시간 이내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임의의 상호 참조된 또는 관련된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서는, 명백하게 배제되거나 달리 제한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임의의 문헌의 인용은 그 문헌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거나 청구되는 임의의 발명에 대한 종래의 기술이거나, 그 문헌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참조 문헌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그러한 발명을 교시, 제안, 또는 개시한다는 승낙은 아니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의 동일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그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수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포괄하고자 한다.

Claims (22)

  1.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으로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화제에 의해서 변성된 구아검을 포함하며, 상기 양이온화제의 치환도는 약 0.07 내지 약 0.30 미만이며,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실질적으로 수용성인, 흡수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가교결합제에 의해서 가교결합된 것인 흡수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결합제가 구아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ppm 내지 약 1000 ppm의 가교결합제의 농도로 구아검과 반응된 흡수 제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결합제는 글리옥살인 흡수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미립자 형태이며, 평균 입자 크기가 약 100 ㎛ 미만인 흡수 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제품이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및 음순간 패드(interlabial pa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 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제품이 액체 침투성 톱시트, 백시트 및 상기 백시트와 톱시트 중간의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며,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된 흡수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적용 구역 제곱미터당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g/㎡ 내지 약 500.0 g/㎡의 농도로 상기 흡수 코어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적용되는 흡수 제품.
  10.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흡수성 겔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 제품.
  11.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으로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화제에 의해서 변성되고 가교결합제에 의해서 가교결합된 것이며, 상기 양이온화제의 치환도는 약 0.07 내지 약 0.30 미만이고, 상기 가교결합제가 구아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ppm 내지 약 1000 ppm의 가교결합제의 농도로 구아검과 반응된, 흡수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결합제는 글리옥살인 흡수 제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은 미립자 형태이며, 평균 입자 크기가 약 100 ㎛ 미만인 흡수 제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제품이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및 음순간 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 제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제품이 액체 침투성 톱시트, 백시트 및 상기 백시트와 톱시트 중간의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며,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된 흡수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 적용 구역 제곱미터당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g/㎡ 내지 약 500.0 g/㎡의 농도로 상기 표면에 적용된 흡수 제품.
  18. 제1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흡수성 겔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 제품.
  19. - 구아검을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화제와 반응시켜, 양이온화제의 치환도가 약 0.07 내지 약 0.30 미만인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얻는 단계;
    - 선택적으로, 동일 단계 또는 개별 단계에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구아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ppm 내지 약 1000 ppm의 가교결합제 농도로 가교결합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 이전 단계에서 얻은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의 구성요소에 적용하는 단계; 및
    - 상기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여성 보호용 흡수 제품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구성요소에 적용하는 단계는 평균 입자 크기가 약 100 ㎛ 미만인 미립자 형태의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이 적용되는 구성요소는 흡수 코어인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구성요소 상의 적용 구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적용 구역 제곱미터 당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의 중량 기준으로, 약 0.5 g/㎡ 내지 약 500.0 g/㎡의 농도로 상기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적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02817A 2008-08-08 2009-08-05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KR201100381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2062.7 2008-08-08
EP08162062A EP2153808A1 (en) 2008-08-08 2008-08-08 Absorbent product comprising a cationic modified guar g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127A true KR20110038127A (ko) 2011-04-13

Family

ID=4038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817A KR20110038127A (ko) 2008-08-08 2009-08-05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36341A1 (ko)
EP (1) EP2153808A1 (ko)
JP (1) JP2011529772A (ko)
KR (1) KR20110038127A (ko)
CN (1) CN102112090A (ko)
BR (1) BRPI0916892A2 (ko)
CA (1) CA2733438A1 (ko)
MX (1) MX2011001231A (ko)
WO (1) WO2010017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225A1 (en) * 2011-07-08 2013-01-17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composite material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absorbent composite material
JP6674326B2 (ja) * 2016-06-03 2020-04-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7209076A1 (ja) * 2016-06-03 2017-12-07 花王株式会社 生理用吸収性物品
JP6228629B1 (ja) * 2016-06-03 2017-11-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8778206A (zh) * 2016-06-03 2018-11-09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6259540B2 (ja) * 2016-06-03 2018-01-10 花王株式会社 生理用吸収性物品
WO2017209072A1 (ja) * 2016-06-03 2017-12-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674328B2 (ja) * 2016-06-03 2020-04-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7217101A (ja) * 2016-06-03 2017-12-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20947B1 (ja) * 2016-10-25 2017-10-25 花王株式会社 生理用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707457A (ko) 1967-05-30 1968-12-02
US3903889A (en) * 1973-02-16 1975-09-09 First National Bank Of Nevada Disposable liquid absorbent products
GB1576475A (en) 1977-01-19 1980-10-08 Unilever Ltd Absorbent cross-linked starch materials
US4298494A (en) * 1979-03-27 1981-11-03 Lever Brothers Company Shampoo
IT1249309B (it) 1991-05-03 1995-02-22 Faricerca Spa Polisaccaridi di tipo cationico
US5387207A (en) * 1991-08-12 1995-0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unit-wet absorbent foam materials for aqueous body fluid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5532350A (en) 1994-02-15 1996-07-02 Rhone-Poulenc Inc. Crosslinked polysaccharides useful as absorbent materials
US5780616A (en) 1994-11-10 1998-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tionic polymer
US5801116A (en) 1995-04-07 1998-09-01 Rhodia Inc. Process for producing polysaccharides and their use as absorbent materials
HUP0103378A2 (hu) * 1998-06-29 2001-12-28 The Procter & Gamble Co. Eldobható ürülékkezelő eszköz
US6887564B2 (en) 2000-04-25 2005-05-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mprising chitosan material and an anionic absorbent gelling material
US20020120241A1 (en) * 2000-12-22 2002-08-29 Tyrrell David John Absorbent articles with hydrophilic compositions containing anionic polymers
US20040122390A1 (en) 2002-12-23 2004-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 evaporative superabsorbent products and composites and methods for utilizing the same
DE60331115D1 (de) 2003-02-12 2010-03-11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US7135451B2 (en) 2003-03-25 2006-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ationic starch
US7618758B2 (en) * 2006-08-30 2009-11-17 Xerox Corporation Silanol containing perylene photoconductors
US7785710B2 (en) * 2006-10-02 2010-08-31 Weyerhaeuser Nr Company Superabsorbent particles containing carboxyalkyl cellulose and temporary metal crosslinks
CN101547678A (zh) 2006-11-03 2009-09-30 赫尔克里士公司 用于个人护理或家用护理的经非硼酸金属盐或螯合物处理的可分散的聚半乳甘露聚糖聚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6341A1 (en) 2010-02-11
BRPI0916892A2 (pt) 2018-02-06
EP2153808A1 (en) 2010-02-17
WO2010017275A1 (en) 2010-02-11
CN102112090A (zh) 2011-06-29
JP2011529772A (ja) 2011-12-15
CA2733438A1 (en) 2010-02-11
MX2011001231A (es)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8127A (ko) 양이온성 변성 구아검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ES2261201T3 (es) Polisacarido vitreo util como absorbente de liquidos.
KR20110008241A (ko) 양이온성 변성 전분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FI110192B (fi) Menetelmä alginaattikuitujen valmistamiseksi
US8581019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ncreased absorption and retention capacity for proteinaceous or serous body fluids
EP1976537B1 (en) Hemostatic material
EP1981511B1 (en) Hemostatic material
US20070093767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bsorption and retention capacity for proteinaceous or serous body fluids
JP2010536414A (ja) イリドイド配糖体から誘導できるアグリコンを含む吸収性物品
KR20130018920A (ko) 양이온성 다당류와 친수성 캐리어 매트릭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
EP2535060B1 (e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hydratable non-deliquescent inorganic salts
EP1776967A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increased absorption and retention capacity for proteinaceous or serous body fluids
US8569204B2 (en) Absorbent core
EP2450061B1 (en) Absorbent core comprising a not cross-linked polycarboxylic acid based 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