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137A - 미립자 확산 장치 - Google Patents

미립자 확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137A
KR20110036137A KR1020117004552A KR20117004552A KR20110036137A KR 20110036137 A KR20110036137 A KR 20110036137A KR 1020117004552 A KR1020117004552 A KR 1020117004552A KR 20117004552 A KR20117004552 A KR 20117004552A KR 20110036137 A KR20110036137 A KR 2011003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
airflow
passages
diffusion device
particle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546B1 (ko
Inventor
마사끼 오쯔까
히데유끼 가리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7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8409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7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8408B1/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03C3/383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using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Nozzl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실내의 거주 공간의 상방에 제1 기류를 송출하는 제1 분출구(10a 내지 10c)와, 제1 분출구(10a 내지 10c)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 기류의 하방으로 제2 기류를 송출하는 제2 분출구(10d)와, 미립자를 발생시키는 미립자 발생 장치(17)를 구비하고,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를 실내에 송출함과 함께, 제1 분출구(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를 제2 분출구(10d)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보다 낮게 했다.

Description

미립자 확산 장치{MICRO-PARTICLE DIFFUSING DEVICE}
본 발명은, 미립자를 송출하여 실내로 확산시키는 미립자 확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을 송출하여 실내로 확산시키는 미립자 확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립자 확산 장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미립자 확산 장치는 전방면에 분출구가 개구하는 하우징 내에 송풍 팬이 설치되고, 송풍 팬과 분출구 사이가 송풍 경로에 의해 연결된다. 송풍 경로 내에는 미립자인 이온을 발생시키는 미립자 발생 장치가 배치된다.
송풍 팬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는 송풍 경로를 유통하여,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를 포함한 기류가 분출구로부터 송출된다. 송풍 경로는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형성되어,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기류가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미립자가 거실 내로 확산된다. 이에 의해,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거실 내에 공급하여 거실 내의 부유균의 살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상하로 분할된 송풍 경로를 갖는 구성이 개시된다(도 20). 이 구성에 의하면, 분출구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확대되어 미립자가 송출된다. 이에 의해, 거실 내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미립자가 거실 내로 확산된다.
특허 제3797993호 공보(제4 페이지 내지 제18 페이지, 도 1, 제20도)
그러나 상기 종래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하면, 거실 내의 거주 공간과 거주 공간보다 상방에 대략 동등한 농도의 미립자가 송출되기 때문에, 거주 공간에 충분한 이온 등의 미립자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특히, 거실의 천장이 높은 플로어 등에 있어서 이온 등의 미립자가 사람이 없는 상방까지 확산하여 거주 공간의 미립자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로 인해, 거주 공간 내의 미립자에 의한 살균이나 릴랙세이션 등의 유효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이온 이외의 방향제, 소취제, 살충제, 살균제 등의 미립자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 경로가 좌우로 확대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송풍 경로 내를 기류가 구부러져 유통한다. 이로 인해, 기류에 포함되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충돌하기 쉬워진다.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충돌하면 소멸하여, 거실 내에 송출되는 이온이 감소하여 살균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거주 공간에 미립자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미립자 확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실 내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하여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립자 확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방에 제1 기류를 송출하는 제1 분출구와, 제1 분출구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 기류의 하방으로 제2 기류를 송출하는 제2 분출구와, 미립자를 발생시키는 미립자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를 송출함과 함께, 제1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가 제2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방의 제1 분출구로부터 상방으로 제1 기류가 송출되고, 하방의 제2 분출구로부터 제1 기류의 하방으로 제2 기류가 송출된다. 제2 기류에는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가 포함되어 실내의 거주 공간 등에 미립자가 공급된다. 제1 기류는 제2 기류보다 농도가 낮은 미립자가 포함되고, 거주 공간의 상방에 송출된다. 이에 의해, 제1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제2 기류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상방으로의 확산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의 대부분이 거주 공간에 공급되어, 살균이나 릴랙세이션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분출구로부터 미립자의 농도가 0인 제1 기류를 분출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1 분출구로부터 미립자가 송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립자 발생 장치를 배치한 덕트의 단부면에 제2 분출구가 개구되어,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가 덕트를 통하여 제2 분출구로부터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1 기류의 풍속을 제2 기류의 풍속보다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거주 공간에 풍속이 낮은 제2 기류가 송출되어, 사람에게 바람을 느끼게 하지 않고 거주 공간에 미립자가 공급된다. 또한, 제1 기류에 의해 확실하게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2 기류가 제1 기류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기류에 포함되는 미립자가 제1 기류의 하부의 기류에 휩쓸려 실내의 멀리까지 미립자가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1 분출구를 상하로 분할하고, 제1 분출구의 상부로부터 분출되는 제1 기류의 풍속을 하부로부터 분출되는 제1 기류의 풍속보다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기류보다 풍속이 빠른 제1 기류는 상방으로 갈수록 서서히 풍속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기류의 흐트러짐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2 분출구로부터 제2 기류를 상하 방향으로 확대시켜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분출구가 상하 방향으로 예를 들어 나팔 형상으로 확대되어, 제2 기류의 미립자가 상하로 확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2 분출구로부터 제2 기류를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여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분출구가 좌우 방향으로 예를 들어 나팔 형상으로 확대되어, 제2 기류의 미립자가 좌우로 확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1 분출구로부터 제1 기류를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여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분출구가 좌우 방향으로 예를 들어 나팔 형상으로 확대되어, 제1 기류에 의한 에어 커튼을 확실하게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1 분출구의 좌우의 폭이 제1 분출구의 높이에 대하여 충분히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기류에 의한 에어 커튼을 확실하게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립자를 발생시키는 미립자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송풍 팬의 구동에 의해 분출구로부터 미립자를 송출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과 상기 분출구를 연결하는 송풍 경로가 상기 분출구를 상하로 분할하는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를 갖고, 상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팬이 구동되면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를 기류가 유통하여 정류되고, 미소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를 포함하여 분출구로부터 송출된다. 이때, 분출구의 상부의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하부의 기류에 포함된 미립자가 거실의 하부에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에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출구의 하부로부터 송출되는 저속의 기류에 미립자가 포함되어, 사람에게 바람을 느끼게 하지 않고 거주 공간에 미립자가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굴곡되고, 상기 송풍 팬 근방으로부터 상기 분출구로 연장되어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기류는 상방으로 유통하여 전방으로 굴곡되어, 분출구로부터 송출된다. 송풍 경로를 상방으로 유통하는 기류는 전방으로 굴곡될 때에 관성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하벽으로부터 이격되기 쉬워 상벽을 따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송풍 경로의 상부를 유통하는 기류가 하부를 유통하는 기류보다 속도가 빨라진다. 이때, 하벽으로부터 박리하는 기류가 많아지면 하벽측에서 역방향의 기류가 발생하여 기류가 흐트러진다.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는 송풍 팬 근방으로부터 설치되고, 상하 분할 통로에 의해 유로 단면의 스침 테두리 길이(단면을 둘러싸는 주위 길이)가 커진다. 이에 의해, 흐름에 대하여 관성보다 점성의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기류가 상하 분할 통로의 벽면을 따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기류의 박리를 저감하여 기류의 흐트러짐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상벽 및 하벽이 곡면부를 갖고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굴곡되고, 상기 상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과 상기 하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분출구에 연장되어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기류는 상방으로 유통하여 곡면부에서 전방으로 굴곡되어, 분출구로부터 송출된다. 송풍 경로를 상방으로 유통하는 기류는 전방으로 굴곡될 때에 관성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하벽으로부터 이격되기 쉬워 상벽을 따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송풍 경로의 상부를 유통하는 기류가 하부를 유통하는 기류보다 속도가 빨라진다. 이때, 하벽으로부터 박리하는 기류가 많아지면 하벽측에서 역방향의 기류가 발생하여 기류가 흐트러진다.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는 상벽의 곡면부의 중앙과 하벽의 곡면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으로부터 설치되어, 상하 분할 통로의 단면의 스침 테두리 길이가 커지기 때문에 기류가 상하 분할 통로의 벽면을 따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기류의 박리를 저감하여 기류의 흐트러짐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이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상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보다 상기 송풍 팬의 배기구의 내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팬의 배기구의 내주측으로부터 배기되는 기류는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에 유도되고, 외주측으로부터 배기되는 기류는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에 유도된다. 배기구의 내주측은 회전 날개의 회전 방향 전방을 나타내고, 외주측은 회전 날개의 회전 방향 후방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원심력에 의해 더욱 빨라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분할 통로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의 폭을 확대하고 기류를 상하 방향으로 확대하는 상하 폭 확대부를 갖고, 상기 상하 폭 확대부의 기류에 수직인 단면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는 상하 폭 확대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서서히 확대되고, 분출구로부터 상하로 확대되어 송출된다. 상하 폭 확대부의 단면 형상은 좌우로 확대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벽이 좌우 방향으로 길다. 이로 인해,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기류가 각 상하 분할 통로의 상하의 벽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이에 의해, 기류가 상하 분할 통로의 상하벽을 따르기 쉬워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키지 않아 상하 방향으로 기류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분할 통로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의 폭을 확대하고 기류를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는 좌우 폭 확대부를 상기 상하 폭 확대부의 하류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는 상하 폭 확대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확대되고 좌우 폭 확대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분출구로부터 상하 좌우로 확대되어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상기 상하 분할 통로는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위치 또는 그 상류측에서 유로를 조이는 조임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립자 발생 장치 상 또는 상류측에서 기류가 조여져서 정류됨과 함께 유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미립자 발생 장치 근방의 미립자의 농도가 저하한다. 미립자를 함유한 후의 기류로는 상하 폭 확대부에 의해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폭 확대부는 각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좌우 방향으로 분할한 복수의 미세 통로를 갖고, 각 상기 미세 통로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을 좌우로 폭을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분할 통로를 좌우로 분할한 각 미세 통로에 의해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기류는 미세 통로의 좌우의 벽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이에 의해, 기류가 미세 통로의 좌우벽을 따르기 쉬워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키지 않아 좌우 방향으로 기류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미립자가, 이온, 방향제, 소취제, 살충제, 살균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의 한쪽을 발생시키는 제1 이온 발생부와 다른 쪽을 발생시키는 제2 이온 발생부를 갖는 이온 발생 장치와,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온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분출구에 유도하는 송풍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경로는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좌우 방향으로 폭 확대됨과 함께 좌우로 분할되는 복수의 좌우 분할 통로를 갖고, 각각의 상기 좌우 분할 통로에는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하나를 유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팬의 구동에 의해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기류가 분출구로부터 거실 내에 송출된다. 송풍 경로는 복수의 좌우 분할 통로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분할되어, 예를 들어, 1개의 좌우 분할 통로에는 제1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좌우 분할 통로에는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내부 또는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제1, 제2 이온 발생부의 한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1개의 좌우 분할 통로 내에 제1 이온 발생부가 배치되고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좌우 분할 통로 내에 제2 이온 발생부가 배치되고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한다. 또한, 1개의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제1 이온 발생부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 분할 통로 내를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제2 이온 발생부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 분할 통로 내를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의 극성을 소정 기간마다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1개의 좌우 분할 통로를 제1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좌우 분할 통로를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1개의 좌우 분할 통로를 제1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좌우 분할 통로를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플러스 이온이 유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한쪽에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쪽에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좌우 분할 통로로부터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내부 또는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제1, 제2 이온 발생부를 설치하여, 제1, 제2 이온 발생부를 교대로 구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좌우 분할 통로를 제1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좌우 분할 통로를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1개의 좌우 분할 통로를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좌우 분할 통로를 제1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플러스 이온이 유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좌벽 및 우벽이 곡면부를 갖고 양측으로 확대되고, 상기 좌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과 상기 우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에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기류는 관성에 의해 직진하기 쉬워, 좌벽 및 우벽의 곡면부로부터 이격되어 기류가 흐트러지기 쉬워진다. 복수의 좌우 분할 통로는 좌벽의 곡면부의 중앙과 우벽의 곡면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출구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좌우 분할 통로에 의해 유로 단면의 스침 테두리 길이(단면을 둘러싸는 주변 길이)가 커져, 좌우의 벽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이에 의해, 구부러져서 유통하는 기류가 좌우 분할 통로의 좌우의 벽면을 따르기 쉬워 벽면으로부터의 박리가 저감된다. 따라서,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기류를 좌우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를 상하로 분할하는 상하 분할 통로를 갖고, 상기 좌우 분할 통로가 상기 상하 분할 통로의 상기 분출구측을 좌우로 분할한 미세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팬이 구동되면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를 기류가 유통하여 정류된다. 그리고, 상하 분할 통로의 하류부에 형성되는 좌우 분할 통로에 미소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이온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장치를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에 배치함과 함께, 상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출구의 상부의 기류가 에어 커튼으로 되어, 하부의 기류에 포함된 이온이 거실의 하부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방에 제1 기류를 송출하는 제1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가, 제1 기류의 하방에 제2 기류를 송출하는 제2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보다 낮으므로, 제1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제2 기류에 포함되는 미립자가 거주 공간의 상방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거주 공간에 미립자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거실의 천장이 높은 플로어 등에 있어서 미립자의 확산을 방지하여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 경로가 분출구를 상하로 분할하는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를 갖고,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의 풍속보다 크므로,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로부터 거주 공간 상방에 기류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의 확산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거주 공간에 송출되는 미립자가 거주 공간의 상방으로 확산되지 않아, 거주 공간에 미립자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로 확대되는 송풍 경로 내에 좌우 분할 통로를 설치하고, 각 좌우 분할 통로에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하나를 유통시키므로, 송풍 경로 내를 구부러져 유통하는 기류에 의한 이온의 충돌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의 소멸을 저감하여 거실 내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하여,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상하 분할 통로의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상하 분할 통로의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상하 분할 통로의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상하 분할 통로의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좌우 폭 확대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풍속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풍속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거실 내의 송풍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직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평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거실 내의 송풍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직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거실 내의 송풍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직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비교예 3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거실 내의 송풍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비교예 3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평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비교예 4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거실 내의 송풍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비교예 4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평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거실 내의 송풍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직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거실 내의 송풍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좌우 폭 확대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의한 수평면의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의 송풍 경로의 좌우 폭 확대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미립자 확산 장치(1)는 이온을 확산하여 송출하는 이온 확산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미립자 확산 장치(1)는 본체 하우징(2)의 좌우측 단부에 다리부(2a)가 설치되고, 거실 내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본체 하우징(2)의 전방면 상부에는 분출구(10)가 개구된다.
도 2는 미립자 확산 장치(1)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 하우징(2)의 저면에는 거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된다. 본체 하우징(2)의 하부에는 하우징(5a)에 의해 덮이는 송풍 팬(5)이 배치된다. 송풍 팬(5)은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지고, 흡기구(5b)를 통하여 회전 날개(도시하지 않음)의 주위 방향으로부터 하우징(5a) 내에 흡기하고, 배기구(5c)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배기한다. 흡입구(3)와 송풍 팬(5) 사이에는 에어 필터(4)가 설치된다.
송풍 팬(5)의 배기구(5c)와 분출구(10)는 송풍 팬(5)에 의한 기류가 유통하는 송풍 경로(6)에 의해 연결된다. 송풍 경로(6)는 하우징(5a)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굴곡된다. 송풍 경로(6) 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11, 12, 13, 14)(분할 통로)가 상방부터 순서대로 설치된다.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는 송풍 팬(5)의 배기구(5c)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는 송풍 팬(5)의 배기구(5c)의 내주측에 배치된다. 배기구(5c)의 내주측은 회전 날개의 회전 방향 전방을 나타내고, 하벽(6D)(도 3 참조)측이다. 배기구(5c)의 외주측은 회전 날개의 회전 방향 후방을 나타내고, 상벽 (6U)(도 3 참조)측이다. 배기구(5c)의 외주측의 기류의 유속이 원심력에 의해 내주측보다 빠르게 되어 있다.
분출구(10)는 각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에 대응하여 상하로 분할되고, 개구부(10a, 10b, 10c, 10d)가 형성된다.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는 상류측에 상하 폭 확대부(7)가 설치되고, 하류측에 좌우 폭 확대부(8)가 설치된다.
최하단의 상하 분할 통로(14)에는 미립자 발생 장치(17)의 전극(17a, 17b)(제1, 제2 이온 발생부, 도 8 참조)이 노출되어 배치된다. 미립자 발생 장치(17)의 전극(17a, 17b)에는 교류 파형 또는 임펄스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전압이 인가된다. 전극(17a)에는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어, 전리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이 공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주로 H+(H2O)m으로 이루어지는 전하가 양인 클러스터 이온이 형성된다.
전극(17b)에는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어, 전리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이 공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주로 O2 -(H2O)n으로 이루어지는 전하가 음인 클러스터 이온이 형성된다. 여기서, m, n은 임의의 자연수이다. H+(H2O)m 및 O2 -(H2O)n은 공기 중의 부유균이나 냄새 성분 및 저장물의 부착균의 표면에서 응집하여 이들을 둘러싼다.
그리고,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충돌에 의해 활성종인 [·OH](수산기 라디칼)나 H2O2(과산화수소)를 미생물 등의 표면 상에서 응집 생성하여 부유균이나 냄새 성분 등을 파괴한다. 여기서, m', n'는 임의의 자연수이다. 따라서,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여 분출구(10)로부터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살균 및 냄새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수학식 2>
Figure pct00002
<수학식 3>
Figure pct00003
또한, 종래부터 플러스 이온 H+(H2O)m 및 마이너스 이온 O2 -(H2O)n을 공기 중에 송출하여, 이온의 반응에 의해 부유 세균 등을 살균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들의 이온은 각각이 재결합하여 소멸하기 때문에, 이온 발생 소자의 전극 근방에서 고농도를 실현할 수 있어도 송출되는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급격하게 그 농도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실험 장치와 같은 소용적의 공간에서는 이온 농도를 수만개/㎤로 할 수 있어도, 현실의 거주 공간이나 작업 공간 등의 큰 공간에서는 기껏 2 내지 3000개/㎤의 농도로 하는 것이 한도였다.
한편, 실험에 의하면 이온 농도가 7000개/㎤일 때에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10분에 99% 제거할 수 있고, 50000개/㎤일 때에 10분에 99.9% 제거할 수 있다. 즉, 공기 중에 1000개/㎤의 바이러스가 존재했다고 가정하면, 이온에 의한 살균에 의해 각각 10개/㎤, 1개/㎤가 잔류한다. 따라서, 이온 농도를 7000개/㎤로부터 50000개/㎤로 높임으로써, 잔류하는 바이러스를 1/10으로 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이온을 송출할 뿐만 아니라, 사람 등이 생활하는 거주 공간이나 작업 공간 전체의 이온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감염증 예방이나 환경 정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해진다.
도 3은 송풍 경로(6)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송풍 경로(6)의 상벽(6U) 및 하벽(6D)은 만곡된 곡면부(6a, 6b)를 각각 갖고 있다.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형성하는 각 벽면은 상벽(6U) 및 하벽(6D)을 따라 만곡되어, 일단부(D1)가 송풍 팬(5)의 근방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는 송풍 팬(5)의 근방으로부터 분출구(10)에 걸쳐 형성된다. 곡면부(6a, 6b)의 시작점(A1, A2)은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시작점(D1)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곡면부(6a, 6b)의 중앙을 연결하는 선(C1)은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시작점(D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경로(6)를 상방으로 유통하는 기류는 곡면부(6a, 6b)에 의해 전방으로 구부러질 때에 관성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하벽(6D)으로부터 이격되기 쉽고 상벽(6U)을 따르기 쉽게 된다. 이에 의해, 송풍 경로(6)의 상부를 유통하는 기류가 하부를 유통하는 기류보다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송풍 팬(5)의 배기구(5c)의 외주측부터 순서대로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유통하는 기류의 속도를 상방부터 순서대로 빠르게 할 수 있다.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벽(6D)으로부터 박리하는 기류가 많아진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구(10)의 기류의 속도 분포는 하벽(6D)측에서 기류가 역류하는 역류 영역(H)이 발생하여 기류가 흐트러진다.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는 송풍 팬(5) 근방으로부터 설치되고,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에 의해 유로 단면의 스침 테두리 길이(단면을 둘러싸는 주위 길이)가 커진다. 이로 인해, 흐름에 대하여 관성보다 점성의 영향이 커져, 기류가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벽면을 따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류 영역(H)이 형성되지 않아, 기류의 박리를 저감하여 기류의 흐트러짐이 억제된다.
이때, 분할 통로의 시작점(D1)이 곡면부(6a, 6b)의 중앙(B1, B2)을 연결하는 선(C1)보다 하류측이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류 영역(H)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곡면부(6a, 6b)의 중앙을 연결하는 선(C1)을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시작점(D1)의 하류측에 배치함으로써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시작점(D1)을 송풍 팬(5)의 배기구(5c) 근방으로 하면 더욱 확실하게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곡면부(6a, 6b)가 곡률 일정한 경우에는 중앙(B1, B2)은 연면 거리의 중점이다. 곡면부(6a, 6b)가 변화하는 경우는, 곡면부(6a, 6b)의 시작점 및 종점의 수평에 대한 접선의 각도를 각각 θ1, θ2로 했을 때에 중앙(B1, B2)은 (θ1+θ2)/2로 되는 위치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상하 분할 통로(11, 14)를 설치한 경우에도 도 4, 도 6에 도시된 경우보다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송풍 경로(6)의 구부러짐 상태에 따라 일부에 역류 영역(H)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분할 통로의 수량을 증가시키면 압력 손실이 커진다. 이로 인해, 송풍 경로(6)의 유로 면적 및 구부러짐 상태에 따라 분할 통로의 수량이 설정된다.
도 3에 있어서, 상하 폭 확대부(7)는 송풍 경로(6)의 상벽(6U)과 하벽(6D) 사이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상하 방향으로 폭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분출구(10)로부터 기류가 상하 방향으로 확대되어 송출된다. 각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는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상하 방향으로 폭이 확대되어, 유로 단면은 좌우 방향의 폭이 높이 방향의 폭에 대하여 충분히 큰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기류는 각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상하의 벽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이에 의해,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유통하는 기류를 상하의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키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좌우 폭 확대부(8)는 상하 폭 확대부(7)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하 폭 확대부(7)의 종단부로부터 상하의 벽면이 평면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 8은 상하 분할 통로(14)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좌우 폭 확대부(8)는 송풍 경로(6)의 좌벽(6L)과 우벽(6R) 사이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분출구(10)로부터 기류가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송출된다.
좌우 폭 확대부(8)는 각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다시 좌우 방향으로 분할한 복수의 미세 통로로 이루어지는 좌우 분할 통로(8a)를 갖고 있다. 이온 발생 장치(17)의 전극(17a, 17b)은 각 좌우 분할 통로(8a)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극(17a)에 의해 발생한 플러스 이온은 1개의 좌우 분할 통로(8a)를 유통한다. 전극(17b)에 의해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은 상기 좌우 분할 통로(8a)에 인접하는 좌우 분할 통로(8a)를 유통한다. 이에 의해, 음양의 이온의 충돌에 의한 소멸을 저감시킬 수 있다.
좌벽(6L) 및 우벽(6R)은 만곡된 곡면부(6c, 6d)를 각각 갖고 있다. 좌우 분할 통로(8a)를 형성하는 각 벽면은 좌벽(6L) 및 우벽(6R)을 따라 만곡된다. 각 좌우 분할 통로(8a)는 좌우의 벽면에 의해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대되고, 유로 단면은 상하 폭 확대부(7)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진다. 이에 의해,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기류는 좌우 분할 통로(8a)의 좌우의 벽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좌우 분할 통로(8a)를 유통하는 기류를 좌우의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키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기류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곡면부(6c, 6d)의 중앙을 연결하는 선(C2)은 좌우 분할 통로(8a)의 벽면의 일단부(D2)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선(C2)보다 상류측에 좌우 분할 통로(8a)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기류를 좌우 분할 통로(8a)를 따라 확실하게 구부릴 수 있어, 기류의 박리에 의한 좌우 폭 확대부(8)의 기류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폭 확대부(8)를 상하 폭 확대부(7)의 상류측에 배치해도 좋다. 이때, 송풍 경로(6)는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좌우 분할 통로를 갖고, 좌우 분할 통로의 상류부에 좌우 폭 확대부(8)가 형성된다. 좌우 폭 확대부(8)는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대된다. 좌우 분할 통로의 하류부에 배치되는 상하 폭 확대부(7)에는 각 좌우 분할 통로를 상하 방향으로 다시 분할한 미세 통로에 의해 상하 분할 통로가 형성된다. 각 상하 분할 통로는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상하 방향으로 폭이 확대된다.
그러나 좌우 폭 확대부(8)를 상하 폭 확대부(7)의 하류측에 배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송풍 팬(5)의 하우징(5a)과 일체의 송풍 경로(6)를 상부 폭 확대부(7)의 빠짐 방향을 좌우로 하고 좌우 폭 확대부(8)의 빠짐 방향을 전후로 하여 성형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경로(6)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분할 통로(14)는 미립자 발생 장치(17)의 상류측에 조임부(14a)가 설치된다. 조임부(14a)는 높이 방향의 폭(d)이 상하 분할 통로(14)의 시작점의 높이 방향의 폭(D)보다 좁게 되어 있다. 조임부(14a)에 의해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풍속이 증가됨과 함께 기류가 정류된다. 그 후, 상하 폭 확대부(7)에 의해 유로가 확대된다.
미립자 발생 장치(17)의 전극(17a, 17b) 근방에서 이온의 농도가 높아 포화 상태로 되면 이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조임부(14a)에 의해 미립자 발생 장치(17)의 전극(17a, 17b)의 기류의 속도를 높게 하여 이온의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많은 이온을 발생하여 기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미립자 확산 장치(1)에 있어서, 송풍 팬(5) 및 미립자 발생 장치(17)가 구동되면, 거실 내의 공기가 흡입구(3)로부터 본체 하우징(2) 내에 도입된다. 본체 하우징(2) 내에 도입된 공기는 에어 필터(4)에 의해 진애가 포집되어, 흡기구(5b)로부터 송풍 팬(5)으로 유도된다.
송풍 팬(5)의 배기는 배기구(5c)를 통하여 송풍 경로(6)를 유통한다.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기류는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로 분기되어, 상부 폭 확대부(7)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로가 확대됨과 함께 좌우 폭 확대부(8)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유로가 확대된다. 이에 의해, 분출구(10)로부터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확대된 기류가 송출된다.
송풍 경로(6)의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를 유통하는 기류는 복수의 좌우 분할 통로(8a)로 분기된다. 각 좌우 분할 통로(8a)에는 이온 발생 장치(17)의 전극(17a, 17b)에 의해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의 한쪽이 포함된다. 이에 의해, 개구부(10d)(제2 분출구)로부터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포함하는 기류(제2 기류)가 송출된다.
또한, 개구부(10a, 10b, 10c)(제1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제1 기류)는 송풍 경로(6)의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 12, 13)를 유통하여, 풍속이 빠르다. 이로 인해, 개구부(10a, 10b, 10c)로부터 송출되는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이온의 상방으로의 확산이 방지된다. 따라서, 개구부(10d)로부터 거실 내의 거주 공간을 향하여 기류를 송출하고, 개구부(10a, 10b, 10c)로부터 거주 공간의 상방을 향하여 기류를 송출함으로써 거주 공간에 충분한 이온을 공급하여 높은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는 상방부터 순서대로 배치되고, 개구부(10a 내지 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는 상방부터 순서대로 풍속이 빠르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류의 흐트러짐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기류에 대하여 그 사이의 기류의 풍속이 느리면, 와류(F)가 발생하여 기류가 흐트러진다. 이에 대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의 속도가 순서대로 변화하면 와류가 발생하지 않아, 기류의 흐트러짐이 저감된다. 또한, 도 9, 도 10에 있어서 개구부(10b, 10c)가 공통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다.
도 11, 도 12,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1)에 의해 거실의 이온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거실(R)은 높이가 4800mm, 폭 6400mm, 깊이 6400mm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립자 확산 장치(1)는 한쪽의 측벽(W1)의 바닥면(F)에 설치하고, 측벽(W1)에 대향하는 측벽(W2)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기류를 송출하고 있다.
도 12는 이온 농도의 측정을 미립자 확산 장치(1)의 좌우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면(D)에 대하여 행하고 있다. 도 13은 이온 농도의 측정을 높이 1600mm의 수평면(E)에 대하여 행하고 있다. 또한, 살균에는 등량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필요하기 때문에,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적은 쪽의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도 15는 비교예 1을 나타내고, 송풍 경로(6) 내에 분할 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동일한 거실(R) 내에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기류를 분출한 경우의 연직면(D)의 이온의 분포를 조사하고 있다. 도 16, 도 17은 비교예 2를 나타내고, 송풍 경로(6) 내에 분할 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동일한 거실(R) 내에 연직 상방을 향하여 기류를 분출한 경우의 연직면(D)의 이온의 분포를 조사하고 있다.
도 18, 도 19는 비교예 3을 나타내고, 각 좌우 분할 통로(8a) 내에 대응하여 음양의 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극(17c)을 설치한 경우의 수평면(E)의 이온의 분포를 조사하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 각 좌우 분할 통로(8a) 내를 유통하는 기류에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포함된다. 도 20, 도 21은 비교예 4를 나타내고, 좌우 분할 통로(8a)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수평면(E)의 이온의 분포를 조사하고 있다.
도 15, 도 17에 의하면, 거실(R) 내의 천장면(S)까지 이온이 확산하여 거실(R) 상부의 이온 농도가 높고, 거실(R) 하부의 거주 공간(높이 약 1600mm 이하)의 이온 농도가 낮다. 이에 대해, 도 12에 도시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으로의 이온의 확산이 억제되어, 거실(R) 하부의 거주 공간의 이온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온의 소멸이 억제되어, 거실(R)의 중앙부의 이온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9에 의하면, 거실(R) 내의 중앙부의 이온 농도가 높은 부분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 1에 의하면, 거실(R) 내의 좌우 단부의 이온 농도가 낮은 부분이 확대되고, 중앙부의 이온 농도가 높은 부분이 더욱 좁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방에 기류(제1 기류)를 송출하는 개구부(10a 내지 10c)(제1 분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기류의 하방에 기류(제2 기류)를 송출하는 개구부(10d)(제2 분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에 이온을 포함하고,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에 이온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되는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개구부(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에 포함되는 이온이 거주 공간의 상방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거주 공간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거실의 천장이 높은 플로어 등에 있어서 이온의 확산을 방지하여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발생한 이온의 일부를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해도 좋다. 이때,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되는 이온의 농도를 개구부(10d)로부터 송출되는 이온의 농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많은 이온이 거주 공간의 상방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거주 공간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천장이 낮은 거실에서는 상방으로의 확산이 적기 때문에 유효해진다.
또한,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의 풍속이 개구부(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의 풍속보다 빠르므로, 확실하게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거주 공간에 풍속이 낮은 기류가 송출되기 때문에, 사람에게 바람을 느끼게 하지 않고 거주 공간에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송풍 팬에 의해 상이한 풍속의 기류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개구부(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가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에 인접하므로, 풍속이 빠른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를 따라 이온을 멀리까지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0a 내지 10c)가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로부터 분출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로부터 분출되는 기류의 풍속보다 빠르므로,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는 상방으로 갈수록 서서히 풍속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기류의 흐트러짐이 억제되어,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 폭 확대부(7)에 의해 개구부(10d)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확대되어 기류가 송출되므로, 이온을 거주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거주 공간에 이온을 더욱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폭 확대부(8)에 의해 개구부(10d)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기류가 송출되므로, 이온을 거주 공간의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거주 공간에 이온을 더욱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폭 확대부(8)에 의해 개구부(10a 내지 10c)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기류가 송출되므로, 에어 커튼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송풍 경로(6)가 분출구(10)를 상하로 분할하는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갖고,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3)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의 풍속보다 크므로,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3)로부터 거주 공간 상방으로 기류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의 확산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이온이 거주 공간의 상방으로 확산되지 않아, 거주 공간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에 미립자 발생 장치(17)를 배치했으므로, 분출구(10)의 하부로부터 송출되는 저속의 기류에 이온이 포함되어, 사람에게 바람을 느끼게 하지 않고 거주 공간에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송풍 경로(6)가 송풍 팬(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굴곡되고, 송풍 팬(5) 근방으로부터 분출구(10)로 연장되어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형성했으므로,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에 의해 유로 단면의 스침 테두리 길이가 커지기 때문에 기류가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벽면을 따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송풍 경로(6)의 상부의 풍속을 빠르게 함과 함께, 기류의 박리를 저감하여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송풍 경로(6)의 상벽(6U)의 곡면부(6a)의 중앙과 하벽(6D)의 곡면부(6b)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출구(10)로 연장되어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형성했으므로, 하벽(6D)으로부터 박리하는 기류를 저감하여,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를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3)보다 송풍 팬(5)의 배기구(5c)의 내주측에 배치했으므로,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3)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가 상하 폭 확대부(7)를 갖고, 상하 폭 확대부(7)의 기류에 수직인 단면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기류가 각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상하의 벽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이에 의해,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유통하는 기류를 상하의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키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거주 공간의 상하로 이온을 보다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의 폭을 확대하고 기류를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는 좌우 폭 확대부(8)를 상하 폭 확대부(7)의 하류측에 가지므로, 좌우 방향으로 기류를 확대하여 거주 공간의 좌우로 이온을 보다 확산시킬 수 있음과 함께, 에어 커튼을 넓게 형성하여 상방으로의 이온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형성이 좋아 용이하게 송풍 경로(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폭 확대부(8)는 각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좌우 방향으로 분할한 복수의 좌우 분할 통로(8a)를 갖고, 각 좌우 분할 통로(8a)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을 좌우로 폭을 확대하므로,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기류는 좌우 분할 통로(8a)의 좌우의 벽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이에 의해, 좌우 분할 통로(8a)를 유통하는 기류를 좌우의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키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 발생 장치(17)가 배치되는 상하 분할 통로(14)는 미립자 발생 장치(17)의 상류측에서 유로를 조이는 조임부(14a)가 설치되므로, 미립자 발생 장치(17)의 상류측에서 기류가 조여져 정류된다. 또한, 조임부(14a)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미립자 발생 장치(17) 근방의 이온의 농도가 저하한다. 이에 의해,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많은 이온을 발생하여 기류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립자 발생 장치(17)가 배치되는 위치에 조임부(14a)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송풍 경로(6)의 좌우로 확대되는 좌우 폭 확대부(8) 내에 좌우 분할 통로(8a)를 설치하고, 각 좌우 분할 통로(8a)에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하나를 유통시키므로, 송풍 경로(6) 내를 구부러뜨려 유통하는 기류에 의한 이온의 충돌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의 소멸을 저감하여 거실 내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하여,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좌우 분할 통로(8a)에는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의 한쪽이 주로 유통하고 있으면 다른 쪽이 소량 포함되어 있어도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좌우 분할 통로(8a)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전극(17a, 17b)(제1, 제2 이온 발생부)의 한쪽을 배치했으므로, 각 좌우 분할 통로(8a) 내에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한쪽을 용이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좌우 분할 통로(8a)의 내부에 전극(17a, 17b)(제1, 제2 이온 발생부)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인접하는 좌우 분할 통로(8a)의 한쪽에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쪽에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하므로, 거실 내의 각 위치에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부유균의 살균에는 등량의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균등하게 공급하여 살균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경로(6)의 좌벽(6L)의 곡면부(6c)의 중앙과 우벽(6R)의 곡면부(6d)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에 좌우 분할 통로(8a)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를 형성했으므로, 곡면부(6c, 6d)로부터 박리하는 기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이온의 충돌에 의한 소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 경로(6)를 상하로 분할하는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를 갖고, 좌우 분할 통로(8a)가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의 분출구(10)측을 좌우로 분할한 미세 통로로 이루어지므로,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4)에 의해 기류를 정류하여 좌우 분할 통로(8a)에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역류 영역(H)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류의 흐트러짐을 더욱 억제하여 이온의 충돌에 의한 소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 장치(17)를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에 배치하고,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3)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보다 크므로, 상부의 상하 분할 통로(11 내지 13)로부터 거주 공간 상방에 기류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하부의 상하 분할 통로(14)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의 확산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이온이 거주 공간의 상방으로 확산되지 않아, 거주 공간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송풍 팬에 의해 상이한 풍속의 기류를 형성해도 좋다.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상하 분할 통로(11, 14)가 상하로 설치된다. 이에 의해, 분출구(10)(도 2 참조)는 상하로 병설되는 2개의 개구부(10a, 10d)(도 2 참조)가 형성되고, 개구부(10a, 10d)로부터 거실 내에 기류가 송출된다. 미립자 발생 장치(17)는 상하 분할 통로(14)에 설치된다. 그 밖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22, 도 23은 본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1)에 의해 거실의 이온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도 11과 마찬가지로, 거실(R)은 높이가 4800mm, 폭 6400mm, 깊이 6400mm이다. 미립자 확산 장치(1)는 한쪽의 측벽(W1)의 바닥면(F)에 설치하고, 측벽(W1)에 대향하는 측벽(W2)을 향하여 기류를 송출하고 있다. 이온 농도의 측정은 미립자 확산 장치(1)의 좌우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면(D)에 대하여 행했다.
도 23에 의하면, 전술한 비교예 1, 2의 도 15, 도 17에 비하여 상방으로의 이온의 확산이 억제되어, 거실(R) 하부의 거주 공간의 이온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방에 기류(제1 기류)를 송출하는 개구부(10a)(제1 분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기류의 하방에 기류(제2 기류)를 송출하는 개구부(10d)(제2 분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에 이온을 포함하고, 개구부(10a)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에 이온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개구부(10a)로부터 송출되는 기류가 에어 커튼이 되어 개구부(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에 포함되는 이온이 거주 공간의 상방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거주 공간에 이온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온의 일부를 개구부(10d)보다 낮은 농도로 개구부(10a)로부터 송출해도 좋다.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3개의 분할 통로가 상하로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구(10)(도 2 참조)는 상하로 병설되는 3개의 개구부(10a, 10b, 10d)가 형성되고, 개구부(10a, 10b, 10d)로부터 실내에 기류가 송출된다. 미립자 발생 장치(17)는 개구부(10d)를 갖는 하부의 분할 통로에 설치된다. 그 밖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개구부(10a, 10b, 10d)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부터 순서대로 속도가 변화한다. 이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지 않아, 기류의 흐트러짐이 저감된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0a, 10b)로부터 이온을 포함하지 않은 기류가 거주 공간의 상방에 송출되고, 개구부(10d)로부터 이온을 포함하는 기류가 거주 공간에 송출된다. 이에 의해,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온의 일부를 개구부(10d)보다 낮은 농도로 개구부(10a, 10b)로부터 송출해도 좋다.
이어서, 도 25는 제4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1)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송풍 팬(5)이 축 방향으로 흡기하여 주위 방향으로 배기하는 시로코 팬 혹은 터보 팬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의 부분은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송풍 경로(6)는 송풍 팬(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굴곡되고, 상하로 분할된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11, 14)를 갖고 있다. 하방의 상하 분할 통로(14)에는 미립자 발생 장치(17)가 배치된다. 상하 분할 통로(14)는 미립자 발생 장치(17)가 배치되는 위치에 조임부(14a)가 설치된다.
시로코 팬이나 터보 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팬(5)은 원판(5g) 상에 복수의 날개(5h)가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흡기하여 주위 방향으로 배기한다. 이로 인해, 원판(5g)은 흡기구(5a)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흡기구(5a)측에 상하 분할 통로(14)가 배치되고 원판(5g)측에 상하 분할 통로(11)가 배치된다. 공기의 점성에 의해 배기구(5c)의 배기는 흡입구(5b)측의 풍속이 느리고, 원판(5g)측의 풍속이 빨라진다. 이로 인해, 원판(5g)측에 상방의 상하 분할 통로(11)를 설치함으로써, 개구부(10a)로부터 송출되는 기류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흡기구(5b)는 송풍 경로(6)가 구부러지는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온의 일부를 개구부(10d)보다 낮은 농도로 개구부(10a)로부터 송출해도 좋다.
이어서,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도 8에 도시된 전극(17a, 17b)이 모두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전환하여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의 부분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극(17a, 17b)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의 극성이 소정 기간마다 전환된다. 즉, 전술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극(17a)으로부터 플러스 이온을 발생하고 전극(17b)으로부터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한다.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7a)으로부터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고 전극(17b)으로부터 플러스 이온을 발생한다. 또한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을 발생한다.
이에 의해, 좌우 폭 확대부(8)를 좌우로 확대되어 송출되는 기류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교대로 송출된다. 따라서, 거실 내의 좌우 방향이 넓은 범위까지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높은 농도로 분포시킬 수 있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의 미립자 확산 장치(1)에 의해 거실의 이온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도 11과 마찬가지로, 거실(R)은 높이가 4800mm, 폭 6400mm, 깊이 6400mm이다. 미립자 확산 장치(1)는 한쪽의 측벽(W1)의 바닥면(F)에 설치하고, 측벽(W1)에 대향하는 측벽(W2)을 향하여 기류를 송출하고 있다. 이온 농도는 높이 1600mm의 수평면(E)에 대하여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적은 쪽의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동도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보다 더욱 좌우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서 이온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극(17a, 17b)(제1,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의 극성을 소정 기간마다 전환했으므로, 거실 내의 좌우의 넓은 범위까지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높은 농도로 분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경로(6) 내에 유통하는 이온의 극성이 교대로 교체되기 때문에, 송풍 경로(6)의 대전을 저감하여 진애 등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좌우 분할 통로(8a)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각각 전극(17a) 및 전극(17b)이 배치된다. 그 밖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좌우 분할 통로(8a)에 대응하는 전극(17a, 17b)은 교대로 구동되어, 도면 중, 상단의 전극(17a, 17b)을 구동한 후에 하단의 전극(17a, 17b)이 구동된다. 그 결과, 1개의 좌우 분할 통로(8a)에서 전극(17a)이 구동되어 플러스 이온이 발생할 때에 인접하는 좌우 분할 통로(8a)에서 전극(17b)이 구동되어 마이너스 이온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좌우 폭 확대부(8)를 좌우로 확대하여 송출되는 기류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교대로 송출된다. 따라서, 거실 내의 좌우 방향의 넓은 범위까지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높은 농도로 분포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경로(6) 내에 유통하는 이온의 극성이 교대로 교체되기 때문에, 송풍 경로(6)의 대전을 저감하여 진애 등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립자 확산 장치(1)는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여 분출구(10)로부터 송출하여 거실 내의 살균을 행하고 있다.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마이너스 이온만을 발생하여 거실 내의 릴랙세이션 효과를 얻는 미립자 확산 장치(1)이어도 좋다. 또한, 미립자 발생 장치(17)에 의해 방향제, 소취제, 살충제, 살균제 등을 발생하여 거실 내의 소취, 살충, 살균 등을 행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1)이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 방향제, 소취제, 살충제, 살균제 등의 미립자를 송출하여 실내로 확산시키는 미립자 확산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미립자 확산 장치
2: 본체 하우징
3: 흡입구
4: 에어 필터
5: 송풍 팬
6: 송풍 경로
6a, 6b: 곡면부
7: 상하 폭 확대부
8: 좌우 폭 확대부
8a: 좌우 분할 통로
10: 분출구
10a 내지 10d: 개구부
11 내지 14: 상하 분할 통로
17: 미립자 발생 장치
17a, 17b, 17c: 전극

Claims (28)

  1. 상방에 제1 기류를 송출하는 제1 분출구와, 제1 분출구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 기류의 하방으로 제2 기류를 송출하는 제2 분출구와, 미립자를 발생시키는 미립자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미립자를 송출함과 함께, 제1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가 제2 분출구로부터 송출되는 미립자의 농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분출구로부터 미립자가 송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류의 풍속을 제2 기류의 풍속보다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2 기류가 제1 기류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제1 분출구를 상하로 분할하고, 제1 분출구의 상부로부터 분출되는 제1 기류의 풍속을 하부로부터 분출되는 제1 기류의 풍속보다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 분출구로부터 제2 기류를 상하 방향으로 확대하여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2 분출구로부터 제2 기류를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여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분출구로부터 제1 기류를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여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분출구의 좌우의 폭이 제1 분출구의 높이에 대하여 충분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미립자가, 이온, 방향제, 소취제, 살충제, 살균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1. 미립자를 발생시키는 미립자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송풍 팬의 구동에 의해 분출구로부터 미립자를 송출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과 상기 분출구를 연결하는 송풍 경로가 상기 분출구를 상하로 분할하는 복수의 상하 분할 통로를 갖고, 상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보다 큰 것을 특징을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에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굴곡되고, 상기 송풍 팬 근방으로부터 상기 분출구로 연장되어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상벽 및 하벽이 곡면부를 갖고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굴곡되고, 상기 상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과 상기 하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분출구에 연장되어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이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상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보다 상기 송풍 팬의 내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분할 통로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의 폭을 확대하고 기류를 상하 방향으로 확대하는 상하 폭 확대부를 갖고, 상기 상하 폭 확대부의 기류에 수직인 단면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분할 통로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의 폭을 확대하고 기류를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는 좌우 폭 확대부를 상기 상하 폭 확대부의 하류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상기 상하 분할 통로는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위치 또는 그 상류측에서 유로를 조이는 조임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폭 확대부는 각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좌우 방향으로 분할한 복수의 미세 통로를 갖고, 각 상기미세 통로가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을 좌우로 폭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미립자가, 이온, 방향제, 소취제, 살충제, 살균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1.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의 한쪽을 발생시키는 제1 이온 발생부와 다른 쪽을 발생시키는 제2 이온 발생부를 갖는 이온 발생 장치와,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온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분출구에 유도하는 송풍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경로는 상류측에 대하여 하류측이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대됨과 함께 좌우로 분할되는 복수의 좌우 분할 통로를 갖고, 각각의 상기 좌우 분할 통로에는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하나를 유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내부 또는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제1, 제2 이온 발생부의 한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제2 이온 발생부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의 극성을 소정 기간마다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한쪽에 플러스 이온이 유통하고, 다른 쪽에 마이너스 이온이 유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내부 또는 각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 근방에 제1, 제2 이온 발생부를 설치하여, 제1, 제2 이온 발생부를 교대로 구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좌벽 및 우벽이 곡면부를 갖고 양측으로 확대되고, 상기 좌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과 상기 우벽의 상기 곡면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에 상기 좌우 분할 통로의 공기 유입측의 개구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를 상하로 분할하는 상하 분할 통로를 갖고, 상기 좌우 분할 통로가 상기 상하 분할 통로의 상기 분출구측을 좌우로 분할한 미세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장치를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에 배치함과 함께, 상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이 하부의 상기 상하 분할 통로를 유통하는 기류의 풍속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확산 장치.
KR1020117004552A 2008-08-26 2009-04-15 미립자 확산 장치 KR101165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7236A JP4368409B1 (ja) 2008-08-26 2008-08-26 イオン拡散装置
JP2008217205A JP4368408B1 (ja) 2008-08-26 2008-08-26 微小粒子拡散装置
JPJP-P-2008-217236 2008-08-26
JPJP-P-2008-217205 2008-08-26
PCT/JP2009/057563 WO2010023989A1 (ja) 2008-08-26 2009-04-15 微粒子拡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137A true KR20110036137A (ko) 2011-04-06
KR101165546B1 KR101165546B1 (ko) 2012-07-16

Family

ID=4172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552A KR101165546B1 (ko) 2008-08-26 2009-04-15 미립자 확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1084B2 (ko)
KR (1) KR101165546B1 (ko)
MY (1) MY159496A (ko)
RU (2) RU2477638C2 (ko)
SG (1) SG177227A1 (ko)
WO (1) WO2010023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0689B2 (en) 2008-06-18 2016-06-28 Illinois Tool Works Inc. Silicon based charge neutralization systems
US9682165B2 (en) 2008-08-26 2017-06-20 Sharp Kabushiki Kaisha Fine particle diffusion device
USD743017S1 (en) * 2012-02-06 2015-11-10 Illinois Tool Works Inc. Linear ionizing bar
US9918374B2 (en) 2012-02-06 2018-03-13 Illinois Tool Works Inc. Control system of a balanced micro-pulsed ionizer blower
US9125284B2 (en) 2012-02-06 2015-09-01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ally balanced micro-pulsed ionizing blower
US10378558B2 (en) 2013-09-13 2019-08-13 S.C. Johnson & Son, Inc. Air treatment chemical dispenser having angled dispersion of chemicals
US20160310628A1 (en) * 2013-12-17 2016-10-27 Luftmed Gmbh Ion-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and for Removing Smog
JP6141244B2 (ja) * 2014-09-16 2017-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および空気清浄機能を備えた空気調和機
FR3039407B1 (fr) * 2015-07-30 2021-04-30 Atelier Elio Sa Dispositif de diffusion
US9969569B2 (en) 2015-09-22 2018-05-15 Deere & Company Agricultural vehicle pneumatic distribution system
CN106322515B (zh) * 2016-08-11 2022-04-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US10926210B2 (en) 2018-04-04 2021-02-23 ACCO Brands Corporation Air purifier with dual exit paths
USD913467S1 (en) 2018-06-12 2021-03-16 ACCO Brands Corporation Air purifier
CN113203160B (zh) * 2021-06-07 2022-07-19 何育林 一种导流板空气流道组件
CN113776151B (zh) * 2021-10-20 2022-09-09 王培根 负氧离子增压抗疫空气净化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43546B1 (de) * 1979-05-21 1981-08-26 Otto Kreutz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aerosolen
RU2241492C2 (ru) * 2000-05-18 2004-12-1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ионообразующий прибор, ион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WO2002017978A1 (fr) * 2000-08-28 2002-03-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purification de l'air et generateur d'ions utilise pour ce dispositif
JP2004293893A (ja) 2003-03-26 2004-10-21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4063784B2 (ja) 2003-05-15 2008-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素子、イオン発生装置
WO2005026633A1 (ja) * 2003-09-08 2005-03-24 Sharp Kabushiki Kaisha イオン拡散装置
JP3797993B2 (ja) * 2003-09-08 2006-07-19 シャープ株式会社 微小粒子拡散装置
KR100683873B1 (ko) 2003-09-08 2007-02-2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미소입자 확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4311631B2 (ja) * 2003-09-25 2009-08-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拡散装置
JP4494870B2 (ja) 2004-05-27 2010-06-30 清水建設株式会社 空気イオン搬送システム
JP4353860B2 (ja) * 2004-06-24 2009-10-28 株式会社エヌテック 容器の検査方法及び装置
JP3763836B2 (ja) * 2004-06-25 2006-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金属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機器
JP3788623B1 (ja) * 2004-12-10 2006-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778289B2 (ja) 2005-09-30 2011-09-21 パナソニック電工Sunx株式会社 除電装置
JP4382100B2 (ja) * 2007-02-07 2009-12-09 ユーテック株式会社 イオン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3989A1 (ja) 2010-03-04
US9061084B2 (en) 2015-06-23
RU2519202C2 (ru) 2014-06-10
MY159496A (en) 2017-01-13
SG177227A1 (en) 2012-01-30
RU2011107241A (ru) 2012-10-10
US20110139889A1 (en) 2011-06-16
KR101165546B1 (ko) 2012-07-16
RU2477638C2 (ru) 2013-03-20
RU2012121193A (ru)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546B1 (ko) 미립자 확산 장치
KR101268175B1 (ko) 이온 발생 장치
JP4368408B1 (ja) 微小粒子拡散装置
WO2011083723A1 (ja) 送風ファン、サーキュレータ、微小粒子拡散装置及び空気循環方法
JP4813614B1 (ja) 車両
JP4995285B2 (ja) サーキュレータ、微小粒子拡散装置及び空気循環方法
US9682165B2 (en) Fine particle diffusion device
JP6133546B2 (ja) 送風装置
JP4866468B2 (ja) 送風ファン及びそれを用いたサーキュレータ、微小粒子拡散装置
JP4368409B1 (ja) イオン拡散装置
JP5150412B2 (ja) イオン拡散装置
KR20060070552A (ko) 이온 확산 장치
JP2005083652A (ja) 殺菌作用を呈する微小粒子を庫外に放出する冷蔵庫
JP2005083650A (ja) イオン拡散装置
WO2013038765A1 (ja) 微小粒子拡散装置
JP5809009B2 (ja) イオン発生機能付き送風装置
JP4468714B2 (ja) 分煙システム
JP5851796B2 (ja) イオン発生機
JP4311631B2 (ja) イオン拡散装置
JP5015272B2 (ja) サーキュレータ及び微小粒子拡散装置
JP4932916B2 (ja) サーキュレータ及び微小粒子拡散装置
WO2021024714A1 (ja) 送風装置
JP5919557B2 (ja) 送風装置
JP2012048867A (ja) イオン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