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107A -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107A
KR20110035107A KR1020090092670A KR20090092670A KR20110035107A KR 20110035107 A KR20110035107 A KR 20110035107A KR 1020090092670 A KR1020090092670 A KR 1020090092670A KR 20090092670 A KR20090092670 A KR 20090092670A KR 20110035107 A KR20110035107 A KR 2011003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wheel
motor
wheel assembly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418B1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4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모터와 감속기어의 회전축 중심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조향축을 결정짓는 볼조인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3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기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경량화시켜 스프링 하부 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력 전달계 구조를 간략화시킴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부 볼조인트를 하중점에 가깝게 설계함으로써 고사양 설계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의 외경을 크게 함에 따라 캘리퍼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 중심과 서로 다른 회전축 중심을 갖는 감속기어를 갖는 감속기와, 비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고정체와, 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회전체와, 상기한 회전체의 회전을 중지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한 회전체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 감속기, 고정체, 회전체, 브레이크, 휠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Wheel assmbly for an electric vehicle}
이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모터와 감속기어의 회전축 중심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조향축을 결정짓는 볼조인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3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기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경량화시켜 스프링 하부 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력 전달계 구조를 간략화시킴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부 볼조인트를 하중점에 가깝게 설계함으로써 고사양 설계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의 외경을 크게 함에 따라 캘리퍼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가 고갈되어 감에 따라 휘발유, 경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 대신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전기 자동차는, 충전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만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순수 전기 차량, 광전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태양전지 차량, 수소연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연료전지 차량, 화 석연료를 이용하여 엔진을 구동하고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엔진과 모터를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인휠 모터는 상기한 전기 자동차와 같이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기술로서, 가솔린 또는 디젤 자동차에서의 엔진-미션-구동축을 통한 동력 전달에 의해 바퀴가 회전 구동하는 방식과는 달리, 휠 림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동력이 휠에 직접 전달도록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상기 인휠 모터를 적용하는 경우 엔진, 변속기나 차동기어와 같은 구동 및 동력전달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력전달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B)가 중앙에 설치되고, 감속기(C)가 전면부에 내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모터(B)와 감속기(C)는 동일 선상에 중심을 두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감속기(C)는 연구 개발 차종마다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모터(B)와 감속기(C)가 서로 동축선(O)상에 위치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한 감속기(C)의 전면에는 허브(A)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 전면에는 브레이크 디스크(D)가 부착되어 바퀴(T) 및 휠(W)에 구동 및 제동력을 일으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장착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는, 모터(B)의 상부의 볼조인트(E)와 하부의 볼조인트(F)에 의한 조향축(h)을 기준으로 조향기어박스로부터 연결된 타이로드엔드에 의해 조향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기 동력원은 모터(B)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모터(B)의 전면부에 위치한 감속기(C)가 높은 RPM을 적절한 속도로의 감속과 부족한 토크를 보충하는 이중역할을 한다.
상기한 감속기(C)의 전면부에는 브레이크 디스크(D)가 위치하며, 감속기(C)로부터 허브(A)를 통해 전해진 회전력은 디스크면과 감속기(C)에 위치한 볼트를 통해 휠(W)로 전해진다. 그리고, 제동력은 캘리퍼(P)를 통해 발생되며, 이 또한 디스크(D)를 통해 휠(W)로 전달된다.
조향은 모터(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볼조인트(E, F)를 축으로 기어박스에 연결된 타이로드엔드를 통해 전해지는 모멘트로 바퀴 정렬을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는, 중심에 위치한 모터(B) 및 감속기(C), 디스크(D)의 부피 영향으로 조향축(h)을 결정짓는 볼조인트(E, F)의 설계 자유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는, 휠(W)의 하중점(G)과 각종 링크의 관절이 멀어지는 경향을 가져오게 되어 지렛대 원리로 인해 증가되는 외부 하중을 견디기 위한 고 사양설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는, 다량의 평기어가 사용된 감속기(C)로 인해 스프링 하부 질량이 증가함으로써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와 감속기어의 회전축 중심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조향축을 결정짓는 볼조인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기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경량화시켜 스프링 하부 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력 전달계 구조를 간략화시킴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볼조인트를 하중점에 가깝게 설계함으로써 고사양 설계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의 외경을 크게 함에 따라 캘리퍼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회전력을 발생 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 중심과 서로 다른 회전축 중심을 갖는 감속기어를 갖는 감속기와, 비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고정체와, 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회전체와, 상기한 회전체의 회전을 중지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한 회전체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감속기는 제1 기어와, 감속기어와, 상기한 제1 기어와 감속기어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고정체는, 모터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 고정체 마운트와, 캘리퍼를 고정하기 위한 캘리퍼 고정체 마운트와, 하부 볼조인트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와, 상부 볼조인트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하부 볼조인트는 고정체 마운트 볼트로 고정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고정체는, 동력축을 지지하고 기어를 보호하기 위한 고정체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회전체는, 감속기어를 마운트할 수 있는 좌면을 가지고, 감속기어를 고정을 할 수 있는 탭홀을 가지며, 베어링을 각각 안착시킬 수 있는 좌면을 가지며, 베어링을 고정할 수 있는 턱을 가지며, 도넛형 브레이크 디스크를 고정할 수 있는 디스크 회전체 마운트가 위치하고 있으며, 휠을 고정할 수 있는 휠 회전체 마운트를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모터는 모터 마운트와 볼트를 이용하여 모터 고정 체 마운트에 고정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브레이크 장치는 도넛형의 디스크를 가지고 있고, 홀에 볼트를 사용해 고정체에 고정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어퍼암은 상부 볼조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에 고정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회전축을 이루기 위한 2개의 베어링이 양측에 배열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휠은 감속기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를 가지며, 타이어를 안착하기 위한 좌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모터와 감속기어의 회전축 중심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조향축을 결정짓는 볼조인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3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기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경량화시켜 스프링 하부 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력 전달계 구조를 간략화시킴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부 볼조인트를 하중점에 가깝게 설계함으로써 고사양 설계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의 외경을 크게 함에 따라 캘리퍼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후면 정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구성은,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10)와, 상기한 모터(10)의 회전축 중심과 서로 다른 회전축 중심을 갖는 감속기어(22)를 갖는 감속기와, 비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고정체(30)와, 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회전체(40)와, 상기한 회전체(40)의 회전을 중지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50)와, 상기한 회전체(40)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휠(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모터(10)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으로 회전력을 일으키며, 모터(10) 의 회전축과 연결된 동력축(11)에는 제1 기어(12)가 고정된다. 상기한 모터(10)를 지지하기 위한 모터 마운트(13)는 볼트(14)를 이용하여 모터 고정체 마운트(31)에 고정된다. 특별히 고정체 케이스(32)가 동력축(11)을 지지하고 기어(1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감속기는 제1 기어(12)와, 중간기어(21)와, 감속기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중간기어(21)는 상기한 제1 기어(12)와 감속기어(2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한 감속기어(22)는 회전체(40)의 안쪽에 볼트(23)로 고정되며, 상기한 중간기어(21)에서 전해진 동력의 RPM을 낮추고 토크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고정체(30)는 모든 비회전물의 마운트가 되는 것으로서, 모터(10)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 고정체 마운트(31)와, 캘리퍼(55)를 고정하기 위한 캘리퍼 고정체 마운트(33)와, 하부 볼조인트(71)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34)와, 상부 볼조인트(83)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35)와, 조향 타이로드엔드를 고정하기 위한 타이로드엔드 고정체 마운트(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고정체(30)는 양측의 베어링(91, 92)이 안착되는 좌면(36, 37)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베어링(91, 92)의 이탈을 막는 핀이 고정되는 홈(38) 및 이탈 방지턱(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체(40)는 모든 회전물의 마운트가 되는 것으로서, 감속기어(22)를 마운트할 수 있는 좌면(41)을 가지고, 또한 감속기어(22)를 고정을 할 수 있는 탭홀(42)을 가진다. 또한, 양쪽에 베어링(91, 92)을 각각 안착시킬 수 있는 좌면(43, 44)을 가지며, 또한 베어링(91, 92)을 고정할 수 있는 턱(45, 46)도 가진다. 그리고, 도넛형 브레이크 디스크(51)를 고정할 수 있는 디스크 회전체 마운트(47)가 위치하고 있으며, 휠(60)을 고정할 수 있는 휠 회전체 마운트(48)를 가진다.
브레이크 장치(50)는 도넛형의 디스크(51)를 가지고 있고, 홀(52)에 볼트(53)를 사용해 고정체(30)에 고정된다. 상기한 디스크(51)는 일반 디스크와 달리 내측이 마찰면이 되고, 고정체(30)에 볼트(54)로 고정된 캘리퍼(55)로 인해 제동력을 일으킨다. 디스크(51)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캘리퍼(55)의 크기가 작다.
하부 볼조인트(71)는 고정체 마운트 볼트(72)로 고정되며, 조향축의 한 요소가 된다. 위에서 설명한 상부 볼조인트(83)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35)처럼 홀로 대신한 구조를 취하게 된다면, 하부 볼조인트(71)는 로워암(81)에 위치하게 된다.
로워암(81)은 볼조인트의 스터드를 고정하여 차체와 본 발명을 고정하는 구조물 하부 볼조인트(71)가 부착될 경우 어퍼암(82)의 구조와 같다.
어퍼암(82)은 상부 볼조인트(83)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35)에 고정된다. 차체와 본 발명을 고정하는 구조물로서, 로워암(81)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면, 상부 볼조인트(83)는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35)를 대신해 고정체(30)에 위치하게 된다.
회전축을 이루기 위한 2개의 베어링(91, 92)이 양측에 배열되며, 이때 특별히 베어링(91, 92)의 내부 구조는 도 9(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 b를 축으 로 내 하중 방향을 달리 가진다. 이는 축 방향 회전의 베어링 본래의 역할과, 축방향 좌우 하중과 축에 수직된 하중을 함께 견디기 위한 구조로 a, b 축방향은 도 9(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교환 가능하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휠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휠(60)은 감속기어(22)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61)를 가지며, 타이어(63)를 안착하기 위한 좌면(62)을 가진다. 휠스프크가 없으며, 하중 축에 일치하게 마운트를 가짐으로써 하중점이 일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모터(10)에서 회전력이 발생되면, 제1 기어(12)를 통해 두번째 기어인 중간 기어(21)로 전달된다. 그리고, 중간기어(21)로부터 세번째 기어인 감속기어(22)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감속기어(22)는 높은 RPM을 적정 속도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출력토크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감속기어(22)는 양측 베어링(91, 92)을 축으로 회전하게 함과 동시에 구동력을 휠(60)로 전달한다.
고정되어 있는 캘리퍼(55)는 회전체와 같이 회전하는 도넛형의 디스크(51)를 압착하여 마찰력을 일으키며, 이와 같이 생성된 마찰력은 디스크(51), 회전체(40), 휠(60)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전중의 조향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볼조인트(83)와 하부 볼조인트(71)에 의해 생기는 조향축(z)을 이용하여 바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하부 볼조인트(71)를 기준으로 한 조향축(z)은 내측과 외측으로 아무런 구조물이 없어서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조향축(z)의 기울기 설정을 위해 상부 볼조인트(83)의 위치를 옮기고자 할 때, 조항축(z)을 기준으로 좌측영역(M)과 우측영역(N)에 간섭 부품이 없어서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높은 설계 자유도로 인하여 자동차의 동성능에 큰 역할을 하는 하드 포인트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하중점(G)에 최대한 가깝게 설정함으로 과대설계를 피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장착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후면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휠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의 조향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터 22 : 감속기어
30 : 고정체 40 : 회전체
50 : 브레이크 장치 60 : 휠

Claims (11)

  1.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 중심과 서로 다른 회전축 중심을 갖는 감속기어를 갖는 감속기와,
    비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고정체와,
    회전물의 마운트를 위한 회전체와,
    상기한 회전체의 회전을 중지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한 회전체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감속기는 제1 기어와, 감속기어와, 상기한 제1 기어와 감속기어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는, 모터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 고정체 마운트와, 캘리퍼를 고정하기 위한 캘리퍼 고정체 마운트와, 하부 볼조인트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와, 상부 볼조인트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볼조인트는 고정체 마운트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체는, 동력축을 지지하고 기어를 보호하기 위한 고정체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체는, 감속기어를 마운트할 수 있는 좌면을 가지고, 감속기어를 고정을 할 수 있는 탭홀을 가지며, 베어링을 각각 안착시킬 수 있는 좌면을 가지며, 베어링을 고정할 수 있는 턱을 가지며, 도넛형 브레이크 디스크를 고정할 수 있는 디스크 회전체 마운트가 위치하고 있으며, 휠을 고정할 수 있는 휠 회전체 마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터는 모터 마운트와 볼트를 이용하여 모터 고정체 마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크 장치는 도넛형의 디스크를 가지고 있고, 홀에 볼트를 사용해 고정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어퍼암은 상부 볼조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 볼조인트 고정체 마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축을 이루기 위한 2개의 베어링이 양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휠은 감속기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를 가지며, 타이어를 안착하기 위한 좌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KR1020090092670A 2009-09-29 2009-09-29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KR10104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70A KR101042418B1 (ko) 2009-09-29 2009-09-29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70A KR101042418B1 (ko) 2009-09-29 2009-09-29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107A true KR20110035107A (ko) 2011-04-06
KR101042418B1 KR101042418B1 (ko) 2011-06-16

Family

ID=4404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70A KR101042418B1 (ko) 2009-09-29 2009-09-29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4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33A1 (ko) * 2011-12-07 2013-06-13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용 인휠구동 시스템
US9306430B2 (en) 2012-08-17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wheel actuator and in-whee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108749557A (zh) * 2018-07-03 2018-11-06 王玉琨 电动车轮总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001B1 (ko) * 2018-05-24 2019-03-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r 유체를 사용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인휠 타입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028A (ko) * 1996-09-20 1998-06-25 김영귀 전기 자동차의 모터와 트랜스미션 마운팅 장치
JP4396259B2 (ja) 2003-12-19 2010-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用車輪構造
JP4567491B2 (ja) * 2005-03-08 2010-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駆動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33A1 (ko) * 2011-12-07 2013-06-13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용 인휠구동 시스템
KR101332349B1 (ko) * 2011-12-07 2013-11-22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용 인휠구동 시스템
US9306430B2 (en) 2012-08-17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wheel actuator and in-whee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108749557A (zh) * 2018-07-03 2018-11-06 王玉琨 电动车轮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418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0266B (zh) 用于车辆的接地结构
JP5285722B2 (ja) 電気アクスルを有する自動車用シャーシ
JP5330468B2 (ja) インホイール駆動装置
KR101707160B1 (ko) 인휠 구동장치
JP6312392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US10259317B2 (en) In-wheel working device
CN103879275B (zh) 轮内马达总成
KR20160050742A (ko) 인휠 구동장치
CN107128162A (zh) 一种重载车辆用电动轮总成装置及汽车
US9188195B2 (en) Planetary gear device for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CN210502248U (zh) 一种低速大扭矩电动轮装置及电动车
KR101060081B1 (ko) 전기 자동차용 인휠 모터가 설치된 휠어셈블리 장치
KR101042418B1 (ko) 전기 자동차용 휠어셈블리 장치
KR20140014847A (ko) 모터 수리가 간편한 인휠 구동장치
KR20140132619A (ko) 전기 자동차용 인휠 모터가 설치된 휠 어셈블리 장치
KR101197005B1 (ko) 전기자동차용 인휠모터 구동장치
US20230249544A1 (en) Vehicle drive device with variable transmission
KR20100085647A (ko) 전기 자동차용 인휠모터 구조
EP2684726A2 (en) Suspension and drive device for electrically driving a spring-mounted wheel of a road vehicle
JP2008273406A (ja) 車輪駆動装置
KR20190063700A (ko) 인휠 구동장치
CN205423737U (zh) 电动汽车后桥减速机差速器总成
KR101254391B1 (ko) 전기 자동차용 인휠 모터가 설치된 액슬축 장치
CN115388163A (zh) 一种带单级减速器的轮毂电机
CN103057398B (zh) 一种轮边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