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44A - 양변기 좌대 - Google Patents

양변기 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944A
KR20110034944A KR1020090092448A KR20090092448A KR20110034944A KR 20110034944 A KR20110034944 A KR 20110034944A KR 1020090092448 A KR1020090092448 A KR 1020090092448A KR 20090092448 A KR20090092448 A KR 20090092448A KR 20110034944 A KR20110034944 A KR 20110034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oll
pedestal
toilet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127B1 (ko
Inventor
박훈
Original Assignee
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 filed Critical 박훈
Priority to KR102009009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1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시트에 소변의 튐방지수단을 갖추며, 조작에 있어서의 편리함과 위생적인 사후처리가 가능한 소변기 겸용 양변기 좌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은, 양변기에 착탈 및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링형상 또는 C자형의 양변기 좌대로서, 상기 좌대의 안둘레(內周)를 따라 복수로 장착되되, 직경을 달리하는 닮은 꼴의 긴 관형상 부재가 서로에 대해 끼워져 복수 겹을 이루며 좌대에 내장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그 연장방향으로 접히고 펴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장착되는 로드(rod)부와, 상기 복수의 로드부의 승강하는 끝단에 로드부와 교차하도록 각각 부착되고 상기 로드부가 하강하여 접혔을 때 서로 연속되게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좌가능한 좌대의 안둘레로 복귀하는 복수의 횡부재와, 상기 횡부재의 내부에 그 연장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개구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 롤수납부와, 상기 롤수납부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롤형태로 수납되고, 상기 롤의 감김중심을 이루는 롤축부재가 상기 롤수납부의 연장방향 양단 내벽이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롤이 풀리는 방향의 끝단이 상기 좌대 저부의 내향 둘레단을 따라 고정되는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양변기, 좌변기, 좌대, 소변기, 위생

Description

양변기 좌대{SEAT BODY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소변의 튐방지수단 및 세정수단을 갖춘 양변기 좌대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이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된 경우에 남성용 화장실에는 대변기와 별도로 소변기가 구비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이 없는 경우에는 대체로 좌변식 대변기(이하, '양변기'라 함)만 설치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주거용 건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따라서, 양변기가 소변기를 겸하게 되고, 특히 남성 사용자의 경우 개인차는 있으나, 일반적인 배뇨습관에 의해 소변이 양변기 주위로 튐으로써 배뇨후에 악취나 위생상 문제가 상시 파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지금까지 다양한 수단이 강구되고 있으나, 배뇨전의 조작성의 문제, 그리고 배뇨후의 위생적 처리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찾아볼 수 없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양변기의 시트에 소변의 튐방지수단을 갖추며, 조작에 있어서의 편리함과 위생적인 사후처리가 가능한 소변기 겸용 양변기 좌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변기에 착탈 및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링형상 또는 C자형의 양변기 좌대로서, 상기 좌대의 안둘레(內周)를 따라 복수로 장착되되, 직경을 달리하는 닮은 꼴의 긴 관형상 부재가 서로에 대해 끼워져 복수 겹을 이루며 좌대에 내장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그 연장방향으로 접히고 펴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장착되는 로드(rod)부와, 상기 복수의 로드부의 승강하는 끝단에 로드부와 교차하도록 각각 부착되고 상기 로드부가 하강하여 접혔을 때 서로 연속되게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좌가능한 좌대의 안둘레로 복귀하는 복수의 횡부재와, 상기 횡부재의 내부에 그 연장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개구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 롤수납부와, 상기 롤수납부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롤형태로 수납되고, 상기 롤의 감김중심을 이루는 롤축부재가 상기 롤수납부의 연장방향 양단 내벽이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롤이 풀리는 방향의 끝단이 상기 좌대 저부의 내향 둘레단을 따라 고정되는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대에는, 좌대 안둘레의 상부 모서리가 연속해서 깎여나가 벌어진 형태로 절입부(切入部)가 형성되는데, 상기 접입부는 상기 좌대의 저면과 간격 을 두고 나란하게 좌대의 안둘레를 따라 형성된 평면영역과, 상기 평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좌대의 바깥둘레 쪽으로 연속된 상향 경사면으로서 상기 평면영역에 수직인 각보다 큰 각으로 기울어져 좌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사면(斜面)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횡부재는 그 내부에 내향 둘레를 따라 개구가 형성된 공동(空洞)을 이루고, 상기 개구가 상기 롤수납부에 의해 내향둘레쪽이 막혀, 상기 횡부재 연장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되어 소관로(小管路)가 형성되며, 상기 좌대에 외부의 세정액 공급부가 연결되고, 상기 좌대에 그 내부를 따라 세정액이 통과하는 대관로(大管路)가 형성되며, 상기 대관로에 상기 로드부를 거쳐 상기 소관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관로에 유입된 세정액은 상기 로드부로 분기되어 상기 소관로로 유입된 후, 상기 롤수납부의 내향 바깥상단을 지나, 상기 횡부재의 안둘레 쪽에 그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 방수공(放水孔)을 통해 상기 롤스크린 상으로 방수된다.
또한, 상기 좌대의 바깥 둘레가장자리에 작동스위치를 설치하되, 평균적인 무릎높이가 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여 작동시키는 이외에 무릎으로 작동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대의 전방 좌우측면에 센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좌대 앞에 마주보고 서서 양변기를 사용한 뒤 양변기로부터 이탈시 상기 센서가 상기 작용범위에서 일단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후 존재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에 이르면, 상기 세정액 공급부로부터 세정액이 상기 롤스크린으로 흘러내리고 이어서, 상기 로드부가 수축하여 상기 횡부재가 상기 절입부의 상기 평면 영역 및 사면영역에 맞대어져, 통상의 좌대의 형태로 원상복귀하도록 하는 세정액 공급제어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 좌대는, 남성 소변의 튐방지수단 및 세정수단이 부가됨으로써 양변기의 청결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간단조작으로 작동을 가능케하여 사용을 적극 유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는 통상적인 양변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양변기의 외부구성은 일정 양의 세정수가 배수가능하게 담기고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開口)를 갖는 보올(bowl)부(10)와, 상기 보올부(10)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급수관 형태 또는 급수탱크 형태를 갖는 세정수 공급부(도시 생략)와, 상기 세정수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올부(10)로의 세정수 공급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 조작부(도시 생략)와, 상기 보올부(10) 상부 일측에 착탈 및 개폐가능하게 부착되고 보올부 상측의 개구단부를 따라 도넛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좌자세를 지지하는 좌대(1)와, 상기 보올부(10)의 상부 일측에 착탈 및 개폐가능하게 부착되 고 좌대(1)의 상부를 덮는 판형상을 이루는 덮개체(11)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좌대(1)가 확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좌대(1)가 원형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좌대(1)는 닫힌 링형상을 이루고, 그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하였다.
제1 실시예의 좌대(1)는 안둘레로부터 일정 폭의 부분이 좌대(1)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조각의 좌우횡부재(2, 2)와 전후횡부재(3, 3)로 분할되어 확대되는 동시에 일정 높이 상승한 뒤 정지하고, 이와 동시에 감긴 상태로 상기 각 횡부재(2, 3)에 수납되어 있던 롤스크린(4)이 펴지며, 사용 후에 상기 각 횡부재(2, 3)가 하강하면서 각 횡부재(2, 3)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하강작동의 종료와 동시에 상기 좌대(1)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서, 도 6과 같이 좌대(1)의 바깥둘레(7)의 상면과 횡부재(2, 3)의 상면이 동일면으로 되고, 또한 상기 롤스크린(4)의 감김중심에 구비된 스프링수단(도시 생략)의 작용으로 롤스크린(4)이 감겨 상기 각 횡부재(2, 3)내에 수납된다.
이상의 작동은 좌대(1) 상에 형성된 절입부(切入部, 22) 상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절입부(22)는 좌대(1)의 안둘레의 상부 모서리가 연속해서 깎여나가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접입부(22)는 상기 좌대(1)의 저면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좌대(1)의 안둘레를 따라 형성된 평면영역(20)과, 상기 평면영역(20)으로부터 상기 좌대(1)의 바깥둘레 쪽으로 연속된 상향 경사면으로서 상기 평면영역(20)에 수직인 각보다 큰 각으로 기울어져 좌대(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사면(斜面)영역(2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횡부재(2, 3)에 연결되어 횡부재(2, 3)를 승강과 동시에 확대시키고, 또한 하강과 동시에 축소시키는 작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 상기 좌대(1)의 바깥둘레 쪽으로, 특히 상기 사면영역(21)의 경사면과 나란하도록 비스듬히 기울어져서 고정되어 길어지고 줄어드는 작용을 반복하는 것이 로드(rod)부(5)이다.
제1 실시예의 상기 로드부(5)는 종래의 비데노즐을 적절하게 변형하여 적용한 것으로, 상기 로드부(5)도 모터(17) 구동에 의해 접히고 펴지면서 직경이 상이한 관형상 부재가 여러겹으로 겹쳐지고, 자동 안테나처럼 길게 연장될 때 개별 관형상 부재의 상단과 이웃하여 연결된 관형상부재의 하단이 이음연결로 서로 걸려서 멈추는 형태로서, 그 연장방향으로는 관통된 관로를 따라 세정액의 유동이 가능한 형태이다.
그리고, 제1 실시예의 상기 로드부(5)는 상기 절입부(22)의 상기 평면영역(20)과 상기 좌대(1)의 저부 사이에 내장되며, 또한 상기 로드부(5)는 상기 평면영역(20)의 아래에 전후좌우로 4개소에 설치되지만, 이로써 설치개수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상기 좌대(1)는 외부의 세정액 공급부(도시 생략) 즉, 정화조 또는 상수관으로부터의 세정액이, 수압 및 회당 공급량,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온을 제어하는 세정액 공급제어부(도시 생략)를 거쳐, 좌대(1) 내부를 따라 공동(空洞)형태로 형성된 대관로(大管路, 16)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대관로(16)와 상기 로드부(5)는 공간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로드부(5)와 상기 횡부재(2, 3)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횡부재(2, 3)의 내부에는 각각 소관로(18)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관로(18)이 상기 횡부재(2, 3)의 안둘레를 따라 내향으로 외기와 통하는 방수공(放水孔, 19)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세정액 공급부으로부터 상기 대관로(16), 상기 로드부(5), 상기 소관로(18), 그리고 상기 방수공(19)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세정액 유동경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횡부재(2, 3)의 내부에는 상기 소관로(18)와 함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의 롤수납부(9)가 내부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롤수납부(9)는 상기 횡부재(2, 3)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롤스크린(4)의 감김작용을 가능케 하도록 롤스크린(4)이 감기는 중심에 위치하는 스프링수단이 판스프링일 경우, 판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롤수납부(9)의 연장방향 양단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횡부재(2, 3)는 상기 롤스크린(4)의 방출방향으로 연장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있는데, 상기 롤수납부(9)가 이 개구를 내부에서 폐쇄하는 형태로 부착됨으로써 횡부재(2, 3) 내에서 소관로(18)가 형성되도록 하고 소관로(18)로 유동하는 세정액에 일정 이상의 수압이 유지되게 하며,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부재(2, 3)의 상부벽면과 상기 롤수납부(9)의 상단 모서리 사이에 형성된 방수공(放水孔, 19)을 통해 방수되고, 이어서, 상기 롤수납부(9)로부터 풀려나온 상기 롤스크린(4) 위로 상기 세정액이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롤스크린(4)은 두께가 얇으면서 내구성과 내화학성을 갖춘 비닐 또는 고무 등의 유연성의 재질이 적합이다.
한편, 도 2에는 좌우측 횡부재(2)와 전후측 횡부재(3)의 각각의 롤스크린(4) 사이에 역삼각형상의 연결스크린(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각 횡부재(2, 3)가 상승할 때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승하여 이웃하는 롤스크린(4)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간막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스크린(4)은 상기 롤스크린(4)보다 더 얇으면서 높은 신축성과 내화학성을 갖춘 고무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횡부재(2)의 하강하고 상기 롤스크린(4)이 상기 롤수납부(9)로 감겨들어갈 때 상기 연결스크린(4)도 동시에 수축하여 이웃하는 롤스크린(4)과 더불어 롤수납부(9)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좌대(1)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스위치(도시 생략)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스위치는 시판되는 비데와 같이 좌대 후방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된 컨트롤박스 상에 구비될 수 있고, 혹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좌대(1)의 전방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은 물론 무릎을 이용하여 작동스위치에 접촉할 수 있도록 평균적인 성인의 무릎 높이에 상기 작동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스위치에 의해 덮개체(11)의 개폐가 선행되고 나서 상기 횡부제(2, 3) 및 롤스크린(4)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좌대(1)에 센서(12)의 위치 및 작용범위(15)를 도시하였다.
시판되는 비데 중에는 사용자가 주로 좌대(1)에 부착된 세정수단을 사용한 후 좌대(1)로부터 이탈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세정수단의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 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도 있는데, 제1 실시예에서도 이를 응용해서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양변기 앞에 마주보고 서서 사용한 뒤 양변기로부터 이탈시 상기 센서(12)가 상기 작용범위(15)에서 일단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후 존재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에 이르면, 상기 세정액 공급제어부가 상기 세정액 공급부로부터 세정액이 상기 롤스크린(4)으로 흘러내기게 하고 이어서, 상기 로드부(5)가 수축하여 상기 횡부재(2, 3)가 상기 절입부(22)의 상기 평면영역(20) 및 사면영역(21)에 맞대어짐으로써, 통상의 좌대(1)의 형태로 원상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 관해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좌대가 확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좌대(1)가 C자 형상으로 정면쪽이 열린 형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좌대가 원상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C자형 좌대(1)에 맞춰서 좌우측의 횡부재(2)와 후측의 횡부재(3)의 3부분으로 나뉜 경우이며, 특히 상기 좌측과 우측의 각각의 횡부재(2)에는 로드부(5)가 2개씩 배치되어 횡부재(2)에 대한 로드부(5)의 지지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좌대가 확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대가 원형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좌대가 확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좌대가 원상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변기의 좌대가 확개되는 작동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 및 상세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변기의 좌대가 원상복귀된 후의 작동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 및 상세단면도이다.

Claims (5)

  1. 양변기에 착탈 및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링형상 또는 C자형의 양변기 좌대(1)로서,
    상기 좌대(1)의 안둘레(內周)를 따라 복수로 장착되되, 직경을 달리하는 닮은 꼴의 긴 관형상 부재가 서로에 대해 끼워져 복수 겹을 이루며 좌대에 내장된 모터(17)의 동력에 의해 그 연장방향으로 접히고 펴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장착되는 로드(rod)부(5)와,
    상기 복수의 로드부(5)의 승강하는 끝단에 로드부(5)와 교차하도록 각각 부착되고 상기 로드부(5)가 하강하여 접혔을 때 서로 연속되게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좌가능한 좌대(1)의 안둘레로 복귀하는 복수의 횡부재(2, 3)와,
    상기 횡부재(2, 3)의 내부에 그 연장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개구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 롤수납부(9)와,
    상기 롤수납부(9)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롤형태로 수납되고, 상기 롤의 감김중심을 이루는 롤축부재가 상기 롤수납부(9)의 연장방향 양단 내벽이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롤이 풀리는 방향의 끝단이 상기 좌대(1) 저부의 내향 둘레단을 따라 고정되는 롤스크린(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1)에는, 좌대(1) 안둘레의 상부 모서리가 연속해서 깎여나가 벌어 진 형태로 절입부(切入部, 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접입부(22)는 상기 좌대(1)의 저면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좌대(1)의 안둘레를 따라 형성된 평면영역(20)과, 상기 평면영역(20)으로부터 상기 좌대(1)의 바깥둘레 쪽으로 연속된 상향 경사면으로서 상기 평면영역(20)에 수직인 각보다 큰 각으로 기울어져 좌대(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사면(斜面)영역(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2, 3)는 그 내부에 내향 둘레를 따라 개구가 형성된 공동(空洞)을 이루고, 상기 개구가 상기 롤수납부(9)에 의해 내향둘레쪽이 막혀, 상기 횡부재(2, 3) 연장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되어 소관로(小管路, 18)가 형성되며,
    상기 좌대(1)에 외부의 세정액 공급부가 연결되고, 상기 좌대(1)에 그 내부를 따라 세정액이 통과하는 대관로(大管路, 16)가 형성되며, 상기 대관로(16)에 상기 로드부(5)를 거쳐 상기 소관로(18)가 연결되고, 상기 대관로(16)에 유입된 세정액은 상기 로드부(5)로 분기되어 상기 소관로(18)로 유입된 후, 상기 롤수납부(9)의 내향 바깥상단을 지나, 상기 횡부재(2, 3)의 안둘레 쪽에 그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 방수공(放水孔, 19)을 통해 상기 롤스크린(4) 상으로 방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1)의 바깥 둘레가장자리에 작동스위치를 설치하되, 평균적인 무릎 높이가 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여 작동시키는 이외에 무릎으로 작동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전방 좌우측면에 센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좌대 앞에 마주보고 서서 양변기를 사용한 뒤 양변기로부터 이탈시 상기 센서(12)가 상기 작용범위(15)에서 일단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후 존재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에 이르면, 상기 세정액 공급부로부터 세정액이 상기 롤스크린(4)으로 흘러내리고 이어서, 상기 로드부(5)가 수축하여 상기 횡부재(2, 3)가 상기 절입부(22)의 상기 평면영역(20) 및 사면영역(21)에 맞대어져, 통상의 좌대(1)의 형태로 원상복귀하도록 하는 세정액 공급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대.
KR1020090092448A 2009-09-29 2009-09-29 양변기 좌대 KR10106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448A KR101067127B1 (ko) 2009-09-29 2009-09-29 양변기 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448A KR101067127B1 (ko) 2009-09-29 2009-09-29 양변기 좌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44A true KR20110034944A (ko) 2011-04-06
KR101067127B1 KR101067127B1 (ko) 2011-09-26

Family

ID=4404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448A KR101067127B1 (ko) 2009-09-29 2009-09-29 양변기 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31B1 (ko) * 2011-12-09 2013-09-03 육동우 변기장치
KR102248021B1 (ko) * 2020-11-27 2021-05-03 고창일 좌변기용 보조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760A (en) 1992-05-14 1993-06-08 Brown J Devon Splash and overspray guard
US5815851A (en) 1996-12-02 1998-10-06 Perry; Reginald S. Collapsible urinal splash shield
DE102004038642A1 (de) 2004-08-09 2006-02-23 Daniel Saller Toilettenanlage und Anordnung aus Toilettendeckel und Klobril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31B1 (ko) * 2011-12-09 2013-09-03 육동우 변기장치
KR102248021B1 (ko) * 2020-11-27 2021-05-03 고창일 좌변기용 보조커버
JP2022085824A (ja) * 2020-11-27 2022-06-08 コ、チャンイル 座便器用補助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127B1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07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101299122B1 (ko)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KR20210020948A (ko) 비데 샤워기를 갖는 변기
KR101067127B1 (ko) 양변기 좌대
KR100869762B1 (ko) 대소변 겸용 변기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KR20140045757A (ko) 다기능 위생비데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JP5303821B2 (ja) 洋式便器
JP2018115481A (ja) 男性用小便装置
JP5804416B2 (ja) 格納型小便器
JP6229103B1 (ja) 男子の尿の飛沫で便器と、トイレの床や壁を汚さない洗浄便座
KR20190002981U (ko) 탈부착이 가능한 소변 튐 방지 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KR200437903Y1 (ko) 좌변기의 덮개
JP7415313B2 (ja) トイレユニット
JP3191931U (ja) 便座ガ一ドカバ一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KR20140145406A (ko) 전자식 양변기
KR20130014667A (ko) 페달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형 소변기
KR20220141439A (ko)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JP3136339U (ja) 便座一体型洋式便器の便器本体の前頭の上層部の一部に特殊膨らみを設けた便座一体型洋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