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406A - 전자식 양변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406A
KR20140145406A KR20130067818A KR20130067818A KR20140145406A KR 20140145406 A KR20140145406 A KR 20140145406A KR 20130067818 A KR20130067818 A KR 20130067818A KR 20130067818 A KR20130067818 A KR 20130067818A KR 20140145406 A KR20140145406 A KR 20140145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intermediate storage
unit
wat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111B1 (ko
Inventor
박용태
Original Assignee
박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태 filed Critical 박용태
Priority to KR102013006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식 양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용변이 임시로 저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변기 본체를 구비하는 전자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모인 용변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 유닛; 상기 배출 유닛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변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유닛; 상기 변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용변과 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도록 상기 변기 본체의 하측에 매립되는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건물의 정화조로 통하는 배관과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만수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중간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저장된 용변과 물을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중간저장 유닛;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와 중간저장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용부에 임시 저장된 용변과 물을 상기 중간저장 유닛의 중간저장탱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을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양변기{Electronic toilet stool}
본 발명은 전자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 사용되는 물을 절수하고, 변기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의 물소비량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가 용변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변기의 물이다. 특히,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좌변기의 경우 변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1회 사용 때 마다 10 리터에서 15리터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람이 하루에 사용할 수 있는 변기의 사용 횟수가 대변은 1회 또는 2회, 소변은 5회 에서 10회 정도 이다.
이와 같이, 과다한 물의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물을 낭비하며, 특히 양변기는 대, 소변과 같은 용변을 처리해야 하므로 불가피하게 많은 물을 사용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09069호(2004.12.17.)에서 양변기에 가변식 사이폰 관을 채용함으로써, 가변 사이폰 방식과 자연배출 방식이 혼합된 수세식 양변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오작동으로 인하여 용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출관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고, 부품이 쉽게 마모되어 현실적으로 제출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기에 구비된 수조는 변기의 내부뿐만 아니라 주름관에도 물을 공급하게 되어 물의 사용이 이중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주름관과 연결호스 등은 밀폐되지 않아 악취가 역류하여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음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절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전자식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본 발명의 전자식 양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용변이 임시로 저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변기 본체를 구비하는 전자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모인 용변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 유닛; 상기 배출 유닛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변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유닛; 상기 변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용변과 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도록 상기 변기 본체의 하측에 매립되는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건물의 정화조로 통하는 배관과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만수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중간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저장된 용변과 물을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중간저장 유닛;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와 중간저장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용부에 임시 저장된 용변과 물을 상기 중간저장 유닛의 중간저장탱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을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양변기는, 변기 본체의 하측에 중간저장탱크를 매립하여 적은 양의 물로 변기 내의 용변을 배출하여 중간저장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 중간저장탱크에서 만수 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시 자중에 의한 자체 수압으로 한번에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의 방식에서 변기에 비해 물의 사용량을 약 1/10이하로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변의 배출과 물의 공급 및 악취의 배기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전자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양변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양변기(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양변기(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양변기(100)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변기 본체(10)를 구비한다. 변기 본체(10)는 수용부(11)와 배출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용부(11)는 내부에 사용자의 용변과 물을 임시로 저장하며, 배출구(12)는 수용부(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용변과 물을 배출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식 양변기(100)는 배출 유닛(110)과 물 공급유닛(120)과 중간저장 유닛(130)과 제어부(140) 및 조작 버튼(150)을 포함한다.
배출 유닛(110)은 수용부(11) 모인 용변이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2)에 설치된다. 배출 유닛(110)은, 덮개(111)와 구동부(112)를 포함한다. 덮개(111)는 배출구(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12)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덮개(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덮개(111)를 연결하며 덮개(111)가 배출구(12)를 개폐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2)와 힌지 사이를 밀폐하도록 밀폐커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커버(113)는, 덮개(111)가 배출구(12)를 개방 시 힌지 틈으로 용변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밀폐커버(113)는 고무재와 같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신축성이 있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 공급유닛(120)은 변기 본체(10)에 연결 설치되어 수용부(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물 공급유닛(120)은 배출 유닛(110)에 의해 배출구(12)가 개방되었을 때, 용변이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수용부(11) 내에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물 공급유닛(120)은, 유입구(121)와 급수 밸브(122)를 포함한다. 유입구(121)는 수용부(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변기 본체(10)에 설치된다. 특히, 유입구(121)는 수용부(11)의 내부의 배출구(12)를 향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배출구(12)에서 배출되는 용변을 물과 함께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급수 밸브(122)는 유입구(121)에 연결된다. 급수 밸브(12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도관 등의 급수관을 연결하여 유입구(121)에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급수 밸브(122)는, 유입구(121)에 유입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중간저장 유닛(130)은 배출 유닛(110)에 의해 배출구(12)에서 배출되는 물과 용변을 저장하도록 변기 본체(10)의 하측에 매립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간저장 유닛(130)은 건물 바닥면에 매립되어 변기 본체(10)에서 배출되는 물과 용변을 바로 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중간저장 유닛(130)은, 중간저장탱크(131)와 수위 센서(132)와 중간 배출구(133) 및 배출 밸브(134)를 포함한다.
중간저장탱크(131)는 변기 본체(10)의 하측 즉,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된다. 중간저장탱크(131)는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용변을 저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중간저장탱크(131)는, 내부의 용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각 연결부위는 기밀될 수 있다. 수위 센서(132)는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수위 센서(132)는 중간저장탱크(131) 내에 저장되는 용변의 수위가 만수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중간 배출구(133)는 중간저장탱크(131)의 하부에 형성된다. 중간 배출구(133)는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용변이 외부의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중간 배출구(133)에는 외부의 정화조를 연결하는 배관이 설치되며, 중간저장탱크(131)내의 용변은 배관을 통해 외부의 정화조로 배출된다. 배출 밸브(134)는 중간 배출구(133)에 설치되며 중간 배출구(133)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배출 밸브(134)는 수위 센서(132)에 의해 중간저장탱크(131)가 만수로 감지되면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중간 배출구(133)를 개방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중간저장 유닛(1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배출 유닛(110)을 통하여 배출구(12)에서 배출된 용변과 물은 중간저장탱크(131)에 저장된다. 중간저장탱크(131)내의 용변이 만수 상태로 되어 수위 센서(132)가 이를 감지하면 제어부(140)에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중간 배출구(133)가 개방되도록 배출 밸브(134)를 제어한다. 배출 밸브(134)가 개방되면 중간저장탱크(131)에 저장된 용변과 물이 중간 배출구(133)를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된다. 중간저장탱크(131)내의 용변과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중간 배출구(133)를 폐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배출 밸브(134)가 중간 배출구(133)를 폐쇄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방법이 제안된다. 즉, 제어부(140)는 배출 밸브(134)를 일정 시간 동안 중간 배출구(133)에서 개방시킨 후 자동으로 중간 배출구(133)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하부에 하부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중간저장탱크(131)내의 용변과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의해 배출 밸브(134)가 중간 배출구(133)를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저장 유닛(130)은 배기 파이프(135)와 배기 펌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 파이프(135)는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중간저장탱크(131)에 설치된다. 배기 펌프(136)는 배기 파이프(135)에 설치되어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악취를 배기 파이프(13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배기 펌프(136)는 배기 파이프(135)를 흡입하여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배출 유닛(110)과 물 공급유닛(120) 및 중간저장 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덮개(111)가 배출구(12)를 개폐 가능하도록 배출 유닛(110)의 구동부(112)를 제어한다. 즉, 수용부(11) 내부의 용변이 배출구(12)를 통하여 중간저장탱크(131)로 배출되도록 덮개(1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유입구(121)를 통하여 수용부(11)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 밸브(12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급수 밸브(122)의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용변이 만수 될 경우 이를 감지한 수위 센서(13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중간 배출구(133)를 개방하도록 배출 밸브(13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배출 유닛(110)과 물 공급유닛(120) 및 중간저장 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하며, 특히, 배출 유닛(110)과 물 공급유닛(120) 및 중간저장 유닛(130)의 작동을 한번에 제어할 수 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조작 버튼(150)은 수용부(11)에 임시 저장된 용변과 물을 중간저장탱크(131)로 배출하도록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작 버튼(150)을 조작하면 제어부(140)는 배출 유닛(110)의 덮개(111)가 배출구(12)를 개방하도록 구동부(112)를 작동시킨다. 이때, 수용부(11)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물 공급유닛(120)의 급수 밸브(122)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11) 내의 물과 용변은 배출구(12)를 통해 중간저장탱크(13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조작 버튼(150)은, 배출 유닛(110)과 물 공급유닛(120)을 한번의 조작으로 모두 이루어 지도록 명령할 수도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명령할 수 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기 본체(10)의 수용부(11)에 연결 설치되어 수용부(11) 내의 용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 유닛(160)이 더 구비된다. 악취제거 유닛(160)은 흡입관(161)과 송풍팬(162)을 포함한다. 흡입관(161)은 변기 본체(10)의 수용부(11)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송풍팬(162)은 흡입관(161)을 통하여 수용부(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관(16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 유닛(160)은, 사용자가 조작 버튼(150)을 조작하여 용변 중이거나 또는 용변을 마친 후 수용부(11)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식 양변기(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양변기(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수용부(11) 내부의 용변을 배출 유닛(110)을 통해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수용부(11) 내부에 임시 저장된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조작 버튼(150)을 누른다. 제어부(140)는 조작 버튼(150)의 배출 명령 신호를 전달받아 배출 유닛(110)의 덮개(111)가 배출구(12)를 개방한다. 구동부(112)는 덮개(111)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구(12)가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물 공급유닛(120)의 유입구(121)를 통해 수용부(11)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 밸브(122)를 개방한다. 이때, 수용부(11) 내부의 용변으로 인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악취제거 유닛(160)의 송풍팬(162)을 가동할 수 있다. 송풍팬(162)은 흡입관(161)을 통해 수용부(11) 내의 악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수용부(11) 내의 용변은 대략 1리터나 2리터의 적은 량의 물로 용변을 배출하여 물의 사용량을 절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방법에 비해 1/10 이하의 물만을 사용하여 용변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저장탱크(131)에 저장되는 용변은 배출 유닛(110)의 덮개(111)에 의해 밀폐되어 악취가 역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수용부(11) 내의 용변은 악취제거 유닛(1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다음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아 쾌적함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중간저장탱크(131) 내부의 공간에서 만수 된 용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용변이 만수 상태로 되면 수위 센서(132)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중간 배출구(12)가 개방되도록 배출 밸브(134)를 작동시킨다. 이때,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용변은 중간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중간저장탱크(131)에 저장된 용변은 만수 상태에서 배출 밸브(134)를 개방할 경우,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용변의 자중에 의해 자체 수압이 발생되어 용변을 효과적을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변기 본체(10)의 하측에 중간저장탱크(131)를 구비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변기가 정화조로 직접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던 것에 비해, 변기 본체(10)의 하측에서 중간저장탱크(131)를 설치함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 용변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중간저장탱크(131) 내에서 만수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 시 자중에 의한 자체 수압으로 물과 용변을 배출할 수 있어 물을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 버튼(150)에 의해 배출 유닛(110)과 물 공급유닛(120) 및 악취제거 유닛(160)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전자식 양변기(100)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배출구(133)를 개폐하는 배출 밸브(134)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연결 설치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 배출구(12)를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즉,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5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양변기(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로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배출 유닛(210)은 연결관(214)과 중간 밸브(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관(214)은 배출구(12)와 중간저장탱크(131)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관(214)은 파이프 형상으로 배출구(12)에서 배출되는 용변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중간 밸브(215)는 배출구(12)와 연결관(214)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구(12)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중간 밸브(215)는 배출구(12)를 폐쇄 시 중간저장탱크(131) 내의 악취가 변기 본체(10)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한다.
10: 변기 본체 11: 수용부
12: 배출구 100, 200: 전자식 양변기
110,210: 배출 유닛 111: 덮개
112: 구동부 113: 밀폐커버
120: 물 공급유닛 121: 유입구
122: 급수 밸브 130: 중간저장 유닛
131: 중간저장탱크 132: 수위 센서
133: 중간 배출구 134: 배출 밸브
135: 배기 파이프 136: 배기 펌프
140: 제어부 150: 조작 버튼
160: 악취제거 유닛 161: 흡입관
162: 송풍팬 214: 연결관
215: 중간 밸브

Claims (7)

  1.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용변이 임시로 저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변기 본체를 구비하는 전자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모인 용변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 유닛;
    상기 배출 유닛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변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유닛;
    상기 변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용변과 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도록 상기 변기 본체의 하측에 매립되는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건물의 정화조로 통하는 배관과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만수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중간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저장된 용변과 물을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중간저장 유닛;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와 중간저장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용부에 임시 저장된 용변과 물을 상기 중간저장 유닛의 중간저장탱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을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양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배출구와 상기 중간저장 유닛을 연통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중간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양변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저장 유닛은,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악취를 배기하기 위해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설치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악취를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양변기.
  5. 제1항에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유닛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변기 본체에 설치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결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급수관의 유량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절하는 급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양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수용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의 용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악취제거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양변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제거 유닛은,
    상기 변기 본체의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양변기.
KR1020130067818A 2013-06-13 2013-06-13 전자식 양변기 KR10147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18A KR101478111B1 (ko) 2013-06-13 2013-06-13 전자식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18A KR101478111B1 (ko) 2013-06-13 2013-06-13 전자식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406A true KR20140145406A (ko) 2014-12-23
KR101478111B1 KR101478111B1 (ko) 2014-12-31

Family

ID=5267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818A KR101478111B1 (ko) 2013-06-13 2013-06-13 전자식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699A (ko) * 2020-12-10 2022-06-17 유병수 절수형 친환경 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82A1 (ko) * 2015-06-02 2016-12-08 신해란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281A (en) * 1992-01-31 1994-02-01 Burton Mechanical Contractors, Inc. Portable vacuum toilet system
JP2000096658A (ja) * 1998-09-25 2000-04-04 Toto Ltd 汚水送出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便器装置
KR200421784Y1 (ko) * 2006-02-21 2006-07-19 안영남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699A (ko) * 2020-12-10 2022-06-17 유병수 절수형 친환경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111B1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WO2004029374A1 (ja) 便器装置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KR101706121B1 (ko) 개량된 세정 및 탈취구조를 갖는 절수형 좌변기시스템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6901121B2 (ja) 水洗トイレ、及び水洗トイレシステム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0776253B1 (ko) 맞춤형 변기 어댑터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GB2589304A (en) Toilet system
CN115461514A (zh) 马桶动态冲水法及动态冲水式防臭防溅水无水箱马桶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JP4920488B2 (ja) リザーブタンクに装着された収納袋への汚物吸引装置
KR102175283B1 (ko)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CN107923171B (zh) 便器除臭装置
KR100815206B1 (ko) 남성용 순환식 변기 세정장치
CN201180301Y (zh) 一种座便器自动排水、除臭装置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1438644B1 (ko)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