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945A -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945A
KR20110033945A KR1020117004158A KR20117004158A KR20110033945A KR 20110033945 A KR20110033945 A KR 20110033945A KR 1020117004158 A KR1020117004158 A KR 1020117004158A KR 20117004158 A KR20117004158 A KR 20117004158A KR 20110033945 A KR20110033945 A KR 20110033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door
car
plat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417B1 (ko
Inventor
다츠히사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폐색판을 지지하는 폐색판 지지부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마련되어 있다. 도어포켓커버에는 도어닫음동작시에 폐색판에 맞물려 커버 전면부에 대한 폐색판의 도어닫음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폐색판 맞물림부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CAGE DOOR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장 기기와 맞물리는 도어맞물림부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승강장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승강장 기기와 맞물리는 도어맞물림부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승강장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도어포켓커버에는 도어열림동작시에 도어맞물림부를 도피시키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도어포켓 측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폐(全閉)시에 절개부를 폐색(閉塞)하는 고무제의 폐색판이 장착되어 있다. 폐색판은, 도어열림동작시에는 도어포켓커버의 내측에 설치된 안내판에 안내되어 만곡(탄성변형)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2-187683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동작마다 폐색판이 만곡되거나 신전(伸展)되거나 하기 때문에, 폐색판이 굽힘피로에 의해 경시적(經時的)으로 열화하여 절개부를 차폐할 수 없게 되어 차음성(遮音性)이 저하한다. 이것에 대해서, 단순히 만곡되지 않는 강체(剛體)의 폐색판을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도어포켓 측 단부에 고정하면,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개(全開)시에 폐색판을 퇴피시키기 위해서 도어포켓커버를 외측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어, 승강로의 폭치수가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폭치수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굽힘피로에 의한 폐색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는, 승강장 도어에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을 가지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승강장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승강장 기기와 맞물리는 도어맞물림부,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개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대향하는 커버 전면부(前面部)와, 커버 전면부로부터 승강장 반대 측으로 연장하는 커버 측면부를 가지고, 도어열림동작시에 도어맞물림부를 도피시키는 절개부가 커버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포켓커버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폐시에 절개부를 폐색하는 폐색판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폐색판을 지지하는 폐색판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포켓커버에는 도어닫음동작시에 폐색판에 맞물려 커버 전면부에 대한 폐색판의 도어닫음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폐색판 맞물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폐색판은, 도어열림동작시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함께 도어열림방향으로 변위되고, 커버 측면부의 내면에 맞닿아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해서 도어닫음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되며, 도어닫음동작시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함께 도어닫음방향으로 변위되고, 폐색판 맞물림부에 맞물려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해서 도어열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는, 승강장 도어에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을 가지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승강장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승강장 기기와 맞물리는 도어맞물림부,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개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대향하는 커버 전면부와, 커버 전면부로부터 승강장 반대 측으로 연장하는 커버 측면부를 가지고, 도어열림동작시에 도어맞물림부를 도피시키는 절개부가 커버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포켓커버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폐시에 절개부를 폐색하는 폐색판을 구비하고, 커버 전면부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폐색판을 지지하는 폐색판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의 도어포켓 측 단부에는 도어닫음동작시에 폐색판에 맞물리는 폐색판 맞물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폐색판은, 도어열림동작시에는 도어맞물림부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열림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도어닫음동작시에는 폐색판 맞물림부에 맞물려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함께 도어닫음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의 폭치수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굽힘피로에 의한 폐색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얻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칸(1)의 전면(前面)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칸(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를 구동하는 도어개폐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2)는 도어개폐장치(3)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폭방향(도 2의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개폐동작된다.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2)는 승강장 도어(도시생략)에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과, 전폐시에 엘리베이터칸 실내에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배면(2b)을 가지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의 대략 중앙부에는 승강장 기기(도시생략)와 맞물리는 도어맞물림부(4)가 승강장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도어스탑 측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2) 사이의 틈새를 폐색하는 도어스탑고무(5)가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양측에는 도어포켓 스페이스(7)을 형성하는 단면 직사각형의 도어포켓커버(6)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포켓커버(6)는 커버 전면부(6a), 커버 측면부(6b), 커버 배면부(6c) 및 인입구(引入口) 형성부(6d)를 가지고 있다.
커버 전면부(6a)의 내면은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개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에 대향한다. 커버 측면부(6b)는 커버 전면부(6a)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와는 반대 측의 단부를 승강장 반대 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버 배면부(6c)의 내면은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개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배면(2b)에 대향한다. 인입구 형성부(6d)는 커버 배면부(6c)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 측의 단부를 승강장 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인입구 형성부(6d)의 승강장 측의 단부와 커버 전면부(6a)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 측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도어포켓 스페이스(7)로의 출입구가 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전면부(6a)에는 도어열림동작시에 도어맞물림부(4)를 도피시키는 직사각형의 절개부(6e)가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배면(2b)의 도어포켓 측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인입구 형성부(6d)와 엘리베이터칸 도어배면(2b)와의 사이의 틈새를 폐색하는 차음부재(8)가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에는 폐색판 지지부(9)가 고정되어 있다. 폐색판 지지부(9)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절개부(6e)를 폐색하는 평판 모양의 폐색판(10)이 지지되어 있다. 폐색판(10)은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폐색판 지지부(9)에 지지되어 있다. 또, 폐색판(10)은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에 수반하여, 절개부(6e)를 폐색하는 폐쇄위치(도 2)와 폐쇄위치로부터 도어열림 측으로 퇴피한 퇴피위치(도 3)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또한, 폐색판(10)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판이 이용되고 있다.
폐색판(10)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 측의 단부에는 폐색판 지지부(9)에 대한 도어열림방향으로의 폐색판(10)의 변위를 규제하는 플랜지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폐색판(10)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와는 반대 측의 단부에는 승강장 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0b)는 폐색판(10)의 상하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버 전면부(6a)에는 도어닫음동작시에 절곡부(10b)에 맞물려 커버 전면부(6a)에 대한 폐색판(10)의 도어닫음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폐색판 맞물림부(6f)가 형성되어 있다. 폐색판 맞물림부(6f)는 절개부(6e)의 상하방향에 따른 가장자리부를 승강장 반대 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폐색판 맞물림부(6f)는 커버 전면부(6a)로부터 승강장 반대 측으로 돌출해 있다. 또, 폐색판 맞물림부(6f)는 절개부(6e)의 상하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폐색판 맞물림부(6f)에는 고무 등의 완충재(11)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판(10)에 의해 절개부(6e)가 폐색되어 있다. 이 때, 절곡부(10b)는 완충재(11)를 통하여 폐색판 맞물림부(6f)에 맞물려 있다. 또, 인입구 형성부(6d)와 엘리베이터칸 도어배면(2b)와의 사이의 틈새는 차음부재(8)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도어(2) 사이의 틈새는 도어스탑고무(5)끼리가 맞닿음으로써 폐색되어 있다.
도어열림동작시에는, 폐색판(10)은 커버 측면부(6b)의 내면에 맞닿을 때까지 엘리베이터칸 도어(2)와 함께 도어열림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절곡부(10b)가 커버 측면부(6b)의 내면에 맞닿으면, 폐색판(10)의 도어열림방향으로의 변위는 정지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2)만이 전개위치까지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폐색판(10)은 폐색판 지지부(9)로 안내되어, 엘리베이터칸 도어(2)에 대해서 도어닫음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또, 도어맞물림부(4)는 절개부(6e) 내에서 도어열림방향으로 변위된다.
도어닫음동작시에는, 폐색판(10)은 절곡부(10b)가 폐색판 맞물림부(6f)에 맞물릴 때까지 엘리베이터칸 도어(2)와 함께 도어닫음방향으로 변위된다. 또, 도어맞물림부(4)는 절개부(6e) 내에서 도어닫음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절곡부(10b)가 폐색판 맞물림부(6f)에 맞물리면, 폐색판(10)의 도어닫음방향으로의 변위는 정지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2)만이 전폐위치까지 도어닫음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폐색판(10)은 폐색판 맞물림부(6f)로 안내되어, 엘리베이터칸 도어(2)에 대해서 도어열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폐색판(10)이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폐색판 지지부(9)에 지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되므로, 폐색판(10)을 만곡시키지 않고 폐쇄위치와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도어포켓커버(6)를 외측으로 확대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 폭치수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굽힘피로에 의한 폐색판(1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주위의 차음성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승강로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엘리베이터칸(1) 내에 전파되는 것이 억제되어 승차감이 향상한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칸(1)의 외관은 도 1과 동일하고, 도 4, 5에 나타내는 단면은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에 상당한다.
이 예에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폐색판 지지부(9)가 커버 전면부(6a)의 내면, 즉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폐색판(10)은 실시형태 1과는 역방향으로 폐색판 지지부(9)에 지지되어 있다. 즉, 플랜지부(10a)는 폐색판(10)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와는 반대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폐색판 지지부(9)에 대한 도어닫음방향으로의 폐색판(10)의 변위를 규제한다. 또, 절곡부(10b)는 폐색판(10)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승강장 반대 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폐색판(10)은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에 수반하여, 절개부(6e)를 폐색하는 폐쇄위치(도 4)와 폐쇄위치로부터 도어열림 측으로 퇴피한 퇴피위치(도 5)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의 도어포켓 측 단부에는 도어닫음동작시에 폐색판(10)에 맞물리는 폐색판 맞물림부(2c)가 형성되어 있다. 폐색판 맞물림부(2c)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으로부터 승강장 측으로 돌출해 있다. 또, 폐색판 맞물림부(2c)는 절개부(6e)의 상하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폐색판 맞물림부(2c)에는 고무 등의 완충재(11)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판(10)에 의해 절개부(6e)가 폐색되어 있다. 이 때, 절곡부(10b)는 완충재(11)를 통하여 폐색판 맞물림부(2c)에 맞물려 있다. 또, 인입구 형성부(6d)와 엘리베이터칸 도어배면(2b)와의 사이의 틈새는 차음부재(8)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도어(2)간의 틈새는 도어스탑고무(5)끼리가 맞닿음으로써 폐색되어 있다.
도어열림동작시에는, 폐색판(10)은 도어맞물림부(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폐색판 지지부(9)에 안내되어 도어열림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즉, 폐색판(10)은 도어맞물림부(4)가 절곡부(10b)에 맞닿을 때까지는 폐쇄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고, 도어맞물림부(4)가 절곡부(10b)에 맞닿고 나서 엘리베이터칸 도어(2)와 함께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 도어(2)가 전개위치까지 이동되면, 폐색판(10)도 퇴피위치에 이른다.
도어닫음동작시에는, 폐색판(10)은 폐색판 맞물림부(2c)가 절곡부(10b)에 맞물림으로써, 엘리베이터칸 도어(2)와 함께 도어닫음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즉, 폐색판(10)은 폐색판 맞물림부(2c)가 절곡부(10b)에 맞물릴 때까지 퇴피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고, 폐색판 맞물림부(2c)가 절곡부(10b)에 맞물리고 나서 엘리베이터칸 도어(2)와 함께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 도어(2)가 전폐위치까지 이동되면, 폐색판(10)도 폐쇄위치에 이른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폐색판(10)이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폐색판 지지부(9)에 지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동작의 일부 구간에서만 엘리베이터칸 도어(2)와 함께 슬라이드되므로, 폐색판(10)을 만곡시키지 않고 폐쇄위치와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도어포켓커버(6)를 외측으로 확대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승강로의 폭치수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굽힘피로에 의한 폐색판(1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주위의 차음성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승강로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엘리베이터칸(1) 내에 전파되는 것이 억제되어 승차감이 향상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인장스프링(12)이 폐색판(10)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 측의 단부와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2a)의 도어맞물림부(4)의 근방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인장스프링(12)은 폐색판 맞물림부(6f)에 맞물리는 방향(도어닫음방향)으로 폐색판(10)을 가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인장스프링(12)의 스프링력에 의해 절곡부(10b)가 폐색판 맞물림부(6f)에 밀어 붙여지므로, 절곡부(10b)와 폐색판 맞물림부(6f)와의 사이의 기밀성이 높아져,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인장스프링(12)이 폐색판(10)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와는 반대 측의 단부와 커버 측면부(6b)의 내면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인장스프링(12)은 폐색판 맞물림부(2c)에 맞물리는 방향(도어열림방향)으로 폐색판(10)을 가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인장스프링(12)의 스프링력에 의해 절곡부(10b)가 폐색판 맞물림부(2c)에 밀어 붙여지므로, 절곡부(10b)와 폐색판 맞물림부(2c)와의 사이의 기밀성이 높아져,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폐색판 맞물림부(6f)에는 자석(13)이 마련되어 있다. 또, 폐색판(10)은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절곡부(10b)가 폐색판 맞물림부(6f)의 자석(13)에 자력에 의해 흡착되므로, 절곡부(10b)와 폐색판 맞물림부(6f)와의 사이의 기밀성이 높아져,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5에서는 폐색판(10)의 전체를 자성체로 구성했지만, 자석(13)에 맞닿는 부분만을 자성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5에서는 폐색판 맞물림부(6f)에 자석(13)을 마련했지만, 폐색판(10)의 폐색판 맞물림부(6f)에 맞닿는 부분, 즉 절곡부(10b)에 자석(13)을 마련하고, 폐색판 맞물림부(6f)를 자성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폐색판 맞물림부(6f) 및 절곡부(10b)의 양쪽에 자석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서로 반대의 자극을 맞닿게 하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 6.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폐색판 맞물림부(2c)에는 자석(13)이 마련되어 있다. 또, 폐색판(10)은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폐시에 절곡부(10b)가 폐색판 맞물림부(2c)의 자석(13)에 자력에 의해 흡착되므로, 절곡부(10b)와 폐색판 맞물림부(2c)와의 사이의 기밀성이 높아져,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6에서는 폐색판(10)의 전체를 자성체로 구성했지만, 자석(13)에 맞닿는 부분만을 자성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6에서는 폐색판 맞물림부(2c)에 자석(13)을 마련했지만, 폐색판(10)의 폐색판 맞물림부(2c)에 맞닿는 부분, 즉 절곡부(10b)에 자석(13)을 마련하고, 폐색판 맞물림부(2c)를 자성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폐색판 맞물림부(2c) 및 절곡부(10b)의 양쪽에 자석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서로 반대의 자극을 맞닿게 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4)

  1. 승강장 도어에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을 가지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상기 승강장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승강장 기기와 맞물리는 도어맞물림부,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개(全開)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대향하는 커버 전면부(前面部)와, 상기 커버 전면부로부터 승강장 반대 측으로 연장하는 커버 측면부를 가지고, 도어열림동작시에 상기 도어맞물림부를 도피시키는 절개부가 상기 커버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포켓커버,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폐(全閉)시에 상기 절개부를 폐색하는 폐색판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폐색판을 지지하는 폐색판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포켓커버에는 도어닫음동작시에 상기 폐색판에 맞물려 상기 커버 전면부에 대한 상기 폐색판의 도어닫음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폐색판 맞물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폐색판은, 도어열림동작시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함께 도어열림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커버 측면부의 내면에 맞닿아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해서 도어닫음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되며, 도어닫음동작시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함께 도어닫음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폐색판 맞물림부에 맞물려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대해서 도어열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2. 승강장 도어에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을 가지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상기 승강장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승강장 기기와 맞물리는 도어맞물림부,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개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대향하는 커버 전면부와, 상기 커버 전면부로부터 승강장 반대 측으로 연장하는 커버 측면부를 가지며, 도어열림동작시에 상기 도어맞물림부를 도피시키는 절개부가 상기 커버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포켓커버,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폐시에 상기 절개부를 폐색하는 폐색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전면부의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폐색판을 지지하는 폐색판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정면의 도어포켓 측 단부에는 도어닫음동작시에 상기 폐색판에 맞물리는 폐색판 맞물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폐색판은, 도어열림동작시에는 상기 도어맞물림부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열림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도어닫음동작시에는 상기 폐색판 맞물림부에 맞물려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함께 도어닫음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폐색판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폐색판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폐색판은 상기 폐색판 맞물림부에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KR1020117004158A 2008-09-25 2008-09-25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KR101179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7278 WO2010035322A1 (ja) 2008-09-25 2008-09-25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945A true KR20110033945A (ko) 2011-04-01
KR101179417B1 KR101179417B1 (ko) 2012-09-03

Family

ID=4205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158A KR101179417B1 (ko) 2008-09-25 2008-09-25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64839B2 (ko)
EP (1) EP2327650B1 (ko)
JP (1) JP5208217B2 (ko)
KR (1) KR101179417B1 (ko)
CN (1) CN102149623B (ko)
WO (1) WO2010035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8093A1 (en) 2004-03-22 2005-09-22 Thierry Glauser Phosphoryl choline coating compositions
CN103043517B (zh) * 2011-10-11 2015-03-25 通用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门装置
JP6476107B2 (ja) * 2015-10-30 2019-0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4751A (en) * 1959-07-17 1961-03-14 Dover Corp Door clutch mechanism
US3738454A (en) * 1971-07-12 1973-06-12 Dover Corp Jam proof door clutch
US4926974A (en) * 1989-02-13 1990-05-22 Inventio Ag Elevator car with improved car door clutch
JP2896260B2 (ja) * 1992-01-08 1999-05-3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5377785A (en) * 1993-07-12 1995-01-03 Inventio Ag Door closing system
SG48858A1 (en) * 1993-07-30 1998-05-18 Hitachi Ltd A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system incorporation such an elevator car
US5636714A (en) * 1994-12-19 1997-06-10 Viola; Barry J. Bi-parting elevator door actuator apparatus
KR100303010B1 (ko) * 1998-12-07 2002-05-09 장병우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KR100286356B1 (ko) * 1998-12-15 2001-05-02 장병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계합장치
US6220396B1 (en) * 2000-03-10 2001-04-24 Thyssen Dover Elevator Door restrictor apparatus for elevators
JP4540176B2 (ja) * 2000-04-14 2010-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US6508332B2 (en) * 2000-11-15 2003-01-21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car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JP4577981B2 (ja) 2000-12-22 2010-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のドアー装置
US6591946B2 (en) * 2001-10-11 2003-07-15 Inventio Ag Adjustable door restrictor cable for an elevator car
JP2005119878A (ja) * 2003-10-14 2005-05-1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かごのかご扉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階床扉に結合させるためのクラッチ
JP2006016161A (ja) * 2004-07-02 2006-01-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US7424935B1 (en) * 2005-12-07 2008-09-16 Columbia Elevator Solutions, Inc. Elevator do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5512A1 (en) 2011-06-30
US8464839B2 (en) 2013-06-18
EP2327650B1 (en) 2015-08-05
JPWO2010035322A1 (ja) 2012-02-16
WO2010035322A1 (ja) 2010-04-01
EP2327650A4 (en) 2014-07-09
CN102149623A (zh) 2011-08-10
KR101179417B1 (ko) 2012-09-03
CN102149623B (zh) 2013-07-24
JP5208217B2 (ja) 2013-06-12
EP2327650A1 (en)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179417B1 (ko)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KR101790028B1 (ko) 차폐문의 방음가능한 차폐장치
JP201708836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0205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487289B2 (ja) 引戸の気密構造
JP2018083672A (ja) エレベータ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WO2016006018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6400901B2 (ja) 鉄道車両の引戸構造
JP2008100799A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KR101466451B1 (ko)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JPWO200410621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344428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07254097A (ja) エレベータ用扉
JP6722892B2 (ja) 引戸装置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816431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JP200626487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周囲の隙間部分閉塞構造
JP201708837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23069956A (ja) 遮煙構造を有する横開き扉、及びこれを用いた機械式駐車装置
JP3967082B2 (ja) 収納ボックスのスライド扉取付装置
JP580692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315107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ー装置
JP2008044740A (ja)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下側閉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