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31B1 -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31B1
KR101816431B1 KR1020160107788A KR20160107788A KR101816431B1 KR 101816431 B1 KR101816431 B1 KR 101816431B1 KR 1020160107788 A KR1020160107788 A KR 1020160107788A KR 20160107788 A KR20160107788 A KR 20160107788A KR 101816431 B1 KR101816431 B1 KR 101816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door
guider
stop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단은 자동차의 바디와 연결되고, 타 측단은 자동차의 도어에 수용되며,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된 체커 암,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체커 암이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체커 슬라이더 및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체커 암이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범위를 제한시키는 체커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체커 스토퍼는 상기 도어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커 암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가 소정의 각도만큼 열려 있도록 하고,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도어체커의 기능과 함께 도어가 과하게 열릴 경우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DOOR CHECKER APPARATUS FOR VEHICLE AND CHECKER STOPPER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체커장치의 열리는 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터퍼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출입구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도어를 개폐 및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어힌지와 도어체커가 이용된다.
도어힌지는 도어와 자동차 바디 사이의 상,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자중을 견딤과 함께 힌지핀을 매개로 도어의 개폐 기능을 담당하고, 도어체커는 상, 하부에 설치되는 도어힌지 사이에 중간정도에 배치되어 도어가 소정의 각도만큼 열려 있도록 하는 홀드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톱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어 체커는 도어가 개폐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보통 2~3 단계의 개폐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갑자기 닫히는 도어에 의해 인체가 피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체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좌측에 도시된 것은 도어가 과하게 열리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우측에 도시된 것은 도어가 과하게 열려서 스토퍼가 체커슬라이드에 충격된 이후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체커는 다수의 굴곡부를 가지는 체커암(1)이 길다란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체커암(1)의 일측단은 자동차의 바디에 설치되고, 타측단은 스토퍼(2)가 설치되어 도어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도어에는 체커암(1)과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체커슬라이더(40)가 도어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체커슬라이더(40)에는 체커암(1)과 접촉되어 체커암(1)이 슬라이딩되게 하는 롤러(41)가 마련되고, 롤러(41)가 체커암(1)을 일정한 탄성력으로 누를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42)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가 여닫힐 때, 탄성스프링(42)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롤러(41)가 체커암(1)의 굴곡부를 따라 구르게 되고, 이때 롤러(41)는 굴곡부와 탄성스프링(42)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어 회동되는 도어의 속도는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굴곡부의 오목한 곳에 롤러(41)가 위치하게 되면 도어는 그 위치에 홀딩된다.
한편, 도어가 설정된 최대 열림각 위치에서는 체커암(1)의 끝단에 마련된 스토퍼(2)가 체커슬라이더(40)에 걸림으로써 도어는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되며, 스토퍼(2)가 체커슬라이더(40)와 강하게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2)에는 충격흡수부재(3)가 설치된다.
그런데, 충격흡수부재(3)에 의해 도어가 최대로 열릴 때 스토퍼가 부딪히는 충격이 흡수됨과 함께, 도어를 그보다 과하게 열게 되는 경우에는 우측의 도시와 같이 충격흡수부재(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오히려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체커암(1)이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는 이와 같은 상황을 예견하지 못한 운전자 등이 상해를 입을 수 있게 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97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소정의 각도만큼 열려 있도록 하고,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도어체커의 기능과 함께 도어가 과하게 열릴 경우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하는 도어체커와 그것을 구성하는 체커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는 일 측단은 자동차의 바디와 연결되고, 타 측단은 자동차의 도어에 수용되며,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된 체커 암,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체커 암이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체커 슬라이더 및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체커 암이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범위를 제한시키는 체커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체커 스토퍼는 상기 도어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커 암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커 암의 타 측단에는 암 핀이 구비되어, 상기 체커 스토퍼는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암 핀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저지시키고, 상기 도어의 과도 개방시에는 상기 암 핀이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커 스토퍼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체커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스토퍼 케이스, 상기 스토퍼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상기 체커 암의 슬라이딩을 저지시키는 가이드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스토퍼 케이스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내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암 핀의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암 핀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 가이더 및 상기 제1 가이더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암 핀은 상기 제2 가이더와 저지선에서 접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가이더는 하향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저지선은 상기 하향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하향 경사면과 마주보는 평행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하향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가이더 사이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더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홈면과, 상기 제1 홈면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홈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암 핀은 상기 제1 홈면과 상기 제2 홈면에 접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더에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암 핀을 후퇴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더의 상기 제2 홈면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면은 상기 하향 경사면보다 작은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제2 가이더의 상면과 마주보는 평행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가이더 사이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는 상향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체커 암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암 핀이 상기 제2 홈면의 최고점보다 높이 위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의 체커 암의 슬라이딩을 저지시켜 자동차 도어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도어에 내장되는 가이드 스토퍼 부재 및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체커 암의 끝단에 구비되는 암 핀의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암 핀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 가이더 및 상기 제1 가이더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가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더는 하향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암 핀은 상기 제2 가이더와 상기 하향 경사면 상의 저지선에서 접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더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홈면과, 상기 제1 홈면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홈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암 핀은 상기 제1 홈면과 상기 제2 홈면에 접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더에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암 핀을 후퇴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는 상향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체커 암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암 핀이 상기 제2 홈면의 최고점보다 높이 위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더의 상기 제2 홈면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면은 상기 하향 경사면보다 작은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의 체커 암이 체커 슬라이더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체커 암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의 슬라이딩을 저지시킴으로써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제한시키고, 상기 체커 암이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벗어나도록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커 암이 자력으로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체커 스토퍼에 의하면, 도어가 열릴 때 일정 각도로 홀드될 수 있게 하고, 도어가 완전 개방되는 경우에 스토퍼로서 기능을 수행함과 함께, 도어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경우에 반발에 의해 도어가 오히려 닫히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경우에 예기치 못한 인적 피해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체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체커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체커스 토퍼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커 암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체커장치 및 체커 스토퍼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체커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체커 스토퍼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사시도면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커암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체커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체커 스토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는 체커 암(20), 체커 슬라이더(30) 및 체커 스토퍼(10)를 포함한다.
체커 암(20)은 다수의 굴곡부를 가지는 길다란 형태로 마련되어, 일 측단이 자동차의 바디와 연결이 되고, 타 측단이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수용이 된다.
도어가 개폐될 때 체커 암(20)의 굴곡부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도어가 개폐되고 또 홀딩될 수 있게 하고, 도어 힌지에 의해서 도어가 최대로 개방될 때 체커 암(20)의 자동차 도어 측 끝단에 구비되는 스톱 수단에 의해서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시킨다.
이러한 체커 암(20)은 도어 측에 마련되는 체커 슬라이더(30)에 접하면서 슬라이딩 동작하게 된다.
체커 슬라이더(30)는 슬라이더 케이스(31) 내에 체커 암(20)과 접촉되어 체커 암(20)이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는 롤러(33)를 구비하고, 롤러(33)가 체커 암(20)을 일정한 탄성력으로 누를 수 있도록 탄성체(32)를 구비한다.
그래서, 도어가 여닫힐 때, 탄성체(33)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롤러(32)가 체커 암(20)의 굴곡부에 다라 구르게 되고, 이때 롤러(32)는 굴곡부와 탄성체(33)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어 회동되는 도어의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 위한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에 구성되는 체커 스토퍼(10)는 도어가 설정된 최대 열림각 위치에서는 체커 암(20)이 걸리게 하여 도어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하고, 도어가 최대 열림각 이상으로 과도하게 개방되는 경우에도 체커 암(20)이 반대방향으로 걸리게 하여 도어가 반발에 의해서 닫히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체커 암(20)의 타 측단에는 암 핀(21)이 구비되어 암 핀(21)이 체커 스토퍼(1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체커 스토퍼(10)는 스토퍼 케이스(100)와 가이드 스토퍼 부재 및 스토퍼 스프링(300)으로 구성된다.
스토퍼 케이스(100)는 체커 슬라이더(3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커 암(20)의 슬라이딩을 위해 체커 슬라이더(30)에 마련되는 출입구와 대응되도록 양 측면에 출입구가 마련된다.
스토퍼 스프링(300)은 스토퍼 케이스(100) 내면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결합되어 가이드 스토퍼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 케이스(100)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바디(210)와 가이더부로 구성된다.
바디(210)는 스토퍼 스프링(300)에 끼워져서 탄성 지지되는 형태이고, 가이더부는 도시와 같이 일 방향으로 뚤려 있는 측부와 상부, 하부로 구성된 바디(210)에 일체로 결합되어 바디(210)와 함께 스토퍼 스프링(300)의 탄성력을 받게 되고, 도시와 같이 암 핀(21)이 체커 암(20)의 끝단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더부는 암 핀(21)에 대응되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암 핀(21)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양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더부는 암 핀(21)이 출입하는 출입구의 폭보다는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출입구를 통해서 인입하는 암 핀(21)이 가이더부와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더부는 도어의 최대 열림각에서 암 핀(21) 내지 체커 암(20)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것은 물론, 체커 암(20)이 도어의 최대 열림각 이상으로 슬라이딩될 때 암 핀(21)의 경로를 강제하여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더부는 제1 가이더(220)와 제2 가이더(230)를 포함한다.
제1 가이더(220)는 암 핀(21)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 측, 즉 출입구 측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바디(210)에 결합되고, 제2 가이더(230)는 제1 가이더(220)와 이격되어 바디(210)에 결합되고, 그 높이는 출입하는 암 핀(21)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되어 암 핀(21)을 저지하게 된다.
제2 가이더(230)는 암 핀(21)이 인입하는 방향에 대해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231)을 가짐으로써, 도어의 최대 열림각에서 암 핀(21)은 하향 경사면(231) 상의 저지선과 맞닿음으로써 더 이상의 전진 슬라이딩이 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가 최대 열림각 이상으로 과도 개방이 되게 되면, 암 핀(21)은 하향 경사면(231)을 따라 하향하게 되고, 그러할 경우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상향 이동되고, 상측의 스토퍼 스프링(30)이 수축되게 된다.
그래서, 상측의 스토퍼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암 핀(21)은 더 이상 전진 슬라이딩이 어렵고 후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하향 경사면(231)의 저점(L)을 넘어서는 과도 개방이 발생하게 되면 암 핀(21)은 후퇴하지 못하고 제1 홈면(232)과 제2 홈면(233)이 형성하는 홈에 안착되도록 유도된다.
도 4(a)의 화살표가 이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제1 홈면(232)은 하향 경사면(231)의 저점(L)으로부터 하향 경사면(231)과 동일한 경사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홈면(233)은 제1 홈면(232)과 반대 방향의 경사 방향으로 상향 형성됨으로써, 제1 홈면(232)과 제2 홈면(233)이 형성하는 홈으로 암 핀(21)이 유도되어 과도 개방시 암 핀(21)이 안착되고, 제2 가이더(230)에 의해서 도어 반발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저지되는 것이다.
제1 홈면(232)과 제2 홈면(233)이 접할 수도 있을 것이나 도시와 같이 두 홈면 사이에 제3의 홈면이 형성되어 암 핀(21)의 안착이 보다 자연스럽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도를 위해서 제1 가이더(220)에는 제2 가이더(230)의 하향 경사면(231)과 마주보는 평행면이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공간을 통해서 암 핀(21)이 잘 유도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2 가이더(230)의 저점(L)을 넘어 슬라이딩된 암 핀(21)이 제1 홈면(232)과 제2 홈면(233)에 안착되는 것을 돕기 위해 제1 가이더(230)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221)가 마련된다.
저점(L)을 지난 암 핀(21)은 이 같은 돌출부(221)에 의해 더 이상 전진되지 못하고 후퇴하여 제1 홈면(232)과 제2 홈면(233) 사이에 안착이 유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돌출부(221)의 최대 돌출부위의 높이는 제1 홈면(232)과 제2 홈면(233) 사이, 즉 제3의 홈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안착이 보다 잘 유도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가이더(230)에는 상면(234)이 형성되고, 상면(234)을 통해서 암 핀(21)이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상면(234)의 경사는 하향 경사면(231)보다 경사가 크지 않고, 대체로 평탄하다.
암 핀(21)이 제2 가이더(230)에 안착되어 후퇴될 수 없을 때,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도어를 보다 개방하는 방향으로 동작시켜 암 핀(21)이 제2 가이더(230)의 홈을 벗어나게 하면 암 핀(21)은 상면(234)을 통해 유도되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암 핀(21)이 슬라이딩된다.
도어를 보다 개방하는 경우에 암 핀(21)을 제2 홈면(233)을 벗어나 상면(234)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1 가이더(220)에는 돌출부(221)로부터 연장되는 상향 경사면(222)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도어를 보다 개방할 경우 암 핀(21)이 쉽게 제2 홈면(233)의 최고점(H)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가 있게 한다.
아울러, 제1 가이더(220)는 제2 가이더(230)의 상면(234)에 대응되는 평행면을 가짐으로써 그 사이공간으로 암 핀(21)이 원활하게 후퇴할 수 있게 한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체커장치 및 체커스토퍼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5 내지 도 8은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 관한 것이며, 도어가 과도하게 열리더라도 도어 반발에 의한 닫힘을 방지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암 핀(21)이 가이드 스토퍼 부재의 제2 가이더(230)에 접근하게 된다.
더 접근하게 되어 도 6(a)와 같이 암 핀(21)이 제2 가이더(230)에 접하여 지지되면, 도어가 최대 열림각으로 오픈된 후 정지가 된다.
여기서 열리는 방향으로 도어가 더 동작하게 되면, 도 6(b)와 같이 암 핀(21)이 제2 가이더(230)의 하향 경사면(231)을 따라 유도가 되고, 이럴 경우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상승하며 상측의 스토퍼 스프링(300)도 압축되게 된다.
이 상태는 도어가 과도 개방되더라도 충격이 흡수되게 되고, 더 이상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암 핀(21)이 다시 도 6(a)의 위치로 후퇴하게 된다.
도 7은 도 6(b)보다 더 개방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로서, 도 7(a)와 같이 하향 경사면(231)을 따라 최대한 전진되고, 도 7(b)와 같이 저점(L)을 지나게 되면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다시 하향되게 된다.
그리하여, 도 8과 같이 암 핀(21)이 제2 가이더(230)에 형성된 홈에 안착됨으로써 체커 암(20)이 후퇴하는 방향,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저지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는 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과 같이 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 닫기 위해서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보다 개방시켜야 한다.
그러한 외력에 의해 도 9(a)와 같이 하측의 스토퍼 스프링(300)이 압축되면서 더 힘을 가하게 되면 도 9(b)와 같이 암 핀(21)은 제1 가이더(220)의 돌출부(221)와 상향 경사면(222)의 도움을 받아 제2 가이더(230)의 제2 홈면(233)을 따라 유도되고, 도 10(a)와 같이 최고점(H)을 벗어나 후퇴할 공간이 마련되며, 도 10(b)와 같이 상면(234)을 따라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암 핀()이 완전히 빠져나가게 되면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완전히 정위치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체커장치와 체커 스토퍼는 도어가 과도 개방되면 도어가 반발하여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저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체커 스토퍼
100 : 스토퍼 케이스
210 : 바디
220 : 제1 가이더
221 : 돌출부 222 : 상향 경사면
230 : 제2 가이더
231 : 하향 경사면 L : 저점
232 : 제1 홈면 233 : 제2 홈면 H : 최고점
234 : 상면
300 : 스토퍼 스프링
20 : 체커 암
21 : 암 핀
30 : 체커 슬라이더
31 : 슬라이더 케이스
32 : 탄성체
33 : 롤러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일 측단은 자동차의 바디와 연결되고, 타 측단은 자동차의 도어에 수용되며,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된 체커 암;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체커 암이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체커 슬라이더; 및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체커 암이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범위를 제한시키는 체커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체커 스토퍼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체커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스토퍼 케이스;
    상기 스토퍼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상기 체커 암의 슬라이딩을 저지시키는 가이드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스토퍼 케이스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체커 스토퍼가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암 핀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저지시키고, 상기 도어의 과도 개방시에는 상기 암 핀이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내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암 핀의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암 핀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 가이더; 및
    상기 제1 가이더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암 핀은 상기 제2 가이더와 저지선에서 접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더는 하향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저지선은 상기 하향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하향 경사면과 마주보는 평행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하향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가이더 사이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더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홈면과, 상기 제1 홈면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홈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암 핀은 상기 제1 홈면과 상기 제2 홈면에 접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에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암 핀을 후퇴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더의 상기 제2 홈면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면은 상기 하향 경사면보다 작은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제2 가이더의 상면과 마주보는 평행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가이더 사이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는 상향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체커 암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암 핀이 상기 제2 홈면의 최고점보다 높이 위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14.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의 체커 암의 슬라이딩을 저지시켜 자동차 도어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도어에 내장되는 가이드 스토퍼 부재; 및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체커 암의 끝단에 구비되는 암 핀의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암 핀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 가이더; 및
    상기 제1 가이더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가이더를 포함하는,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더는 하향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암 핀은 상기 제2 가이더와 상기 하향 경사면 상의 저지선에서 접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더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홈면과, 상기 제1 홈면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홈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암 핀이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암 핀은 상기 제1 홈면과 상기 제2 홈면에 접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에는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점을 넘어 슬라이딩되는 암 핀을 후퇴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는 상향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체커 암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암 핀이 상기 제2 홈면의 최고점보다 높이 위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더의 상기 제2 홈면으로부터 연결되는 상면은 상기 하향 경사면보다 작은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커장치의 체커스토퍼.
  20. 삭제
KR1020160107788A 2016-08-24 2016-08-24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KR101816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788A KR101816431B1 (ko) 2016-08-24 2016-08-24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788A KR101816431B1 (ko) 2016-08-24 2016-08-24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431B1 true KR101816431B1 (ko) 2018-01-30

Family

ID=6107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788A KR101816431B1 (ko) 2016-08-24 2016-08-24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4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96Y1 (ko) * 2004-01-10 2004-06-10 평화정공 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체커
JP2010174533A (ja) 2009-01-30 2010-08-12 Nifco Inc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JP2010281194A (ja) * 2009-05-07 2010-12-16 Nakao Seisakusho:Kk ドアストッ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96Y1 (ko) * 2004-01-10 2004-06-10 평화정공 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체커
JP2010174533A (ja) 2009-01-30 2010-08-12 Nifco Inc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JP2010281194A (ja) * 2009-05-07 2010-12-16 Nakao Seisakusho:Kk ドアストッ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525B1 (en) Self-closing buffer and automatic rebound mechanism for slide rail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968031B1 (ko) 차량 루프용 커버를 구비하는 장치
CN107923206B (zh) 用于对两个滑动门进行定位的装置和家具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20200120943A (ko) 문과 옷장 문을 슬라이딩으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
CN106829705B (zh) 电梯装置
KR101816431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및 그것의 체커 스토퍼
CN107995897B (zh) 用于机动车窗的遮蔽装置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KR101179417B1 (ko)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CN214145145U (zh) 阻尼缓冲装置及推拉门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20180036511A (ko) 개폐 장치
KR101987486B1 (ko) 차량용 스텝 시스템
KR101778606B1 (ko)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H1029784A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KR101571671B1 (ko) 선루프용 메커니즘커버
KR20050054257A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KR102557463B1 (ko)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 장착되는 댐퍼조립체
KR100716847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2382839B1 (ko)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EP4283083A1 (en) Damping device for a leaf of a lift-and-slide window or door, damping kit for a leaf of a lift-and-slide window or door and lift-and-slide window 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