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021A -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021A
KR20110033021A KR1020100079877A KR20100079877A KR20110033021A KR 20110033021 A KR20110033021 A KR 20110033021A KR 1020100079877 A KR1020100079877 A KR 1020100079877A KR 20100079877 A KR20100079877 A KR 20100079877A KR 20110033021 A KR20110033021 A KR 2011003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capacitive touch
conductive
conductive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604B1 (ko
Inventor
풔양 첸
붜썽 스
쇈린 판
타이쑨 료우
Original Assignee
치메이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메이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치메이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3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저항 이방성을 갖는 제1도전막과; 복수개의 도전구조를 구비하는 제2도전막 및; 상기 제1도전막과 상기 제2도전막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도전막의 상기 도전구조의 도전방향이 상기 제1도전막의 최소 저항 방향에 수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용량식 터치패널{CAPACITIVE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생산능력, 높은 접촉 감도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touch panel)은 개인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휴대폰과 같은 전자장치에 널리 응용된다. 전통적인 터치패널로서는 저항식 터치패널,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적외선식 터치패널 및 표면음파식 터치패널 등이 있다. 종래의 저항식 터치패널은 2개의 산화 인듐 주석(Indiumu Tin Oxide, ITO) 필름 및 상기 2개의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을 격리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있다. 손가락으로 상기 저항식 터치패널을 누르면, 상기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이 변형되고, 상기 2개의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의 상기 접촉점에 대응하는 곳이 서로 접촉된다. 상기 접촉점의 전압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접촉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저항식 터치패널은 터치패널의 변형에 의해 접촉점의 위치를 판단하므로, 접촉 마손(磨損)을 초래하고 터치패널의 사용 내구성이 하강된다는 결점이 있다.
종래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2개의 산화 인듐 주석 필름 및 하나의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을 누르면, 상기 2개의 산화 인듐 주석 필름 사이의 전기장을 방해하므로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구동회로 및 리드(read)회로에 의해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접촉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정전 용량식 터치패널의 패턴화된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위층에 위치하는 산화 인듐 주석 필름(10A)의 마름모 패턴과 아래층에 위치하는 산화 인듐 주석 필름(10B)의 마름모 패턴은 서로 교차된다.
도 1a에 도시된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산화 인듐 주석 필름(10A) 및 상기 산화 인듐 주석 필름(10B)를 따로따로 구동하지 않으면 접촉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패널의 두곳을 동시에 눌렀을 때, 동시에 2개의 접촉점을 형성하며, 모든 접촉점의 위치를 확정할 수 없게 된다.
도 1b는 종래의 다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패턴화된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위층에 위치하는 산화 인듐 주석 필름(12A)의 스트립 모양의 패턴이 아래층에 위치하는 산화 인듐 주석 필름(12B)의 스트립 모양의 패턴 위에 수직으로 되도록 중첩되어 복수개의 측정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되는 터치패널에 있어서, 그 중의 하나의 산화 인듐 주석 필름만을 구동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접촉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모두 노광, 현상, 에칭 등의 반도체 제조기술을 사용하여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을 패턴화한다. 상기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복수의 스텝을 되풀이하기 때문에, 터치패널의 제조 양품율을 높일 수 없고,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도 절약할 수 없다. 또한, 제조공정에 따른 해상도(解像度)에 제한을 받게 되어 종래의 터치패널의 터치 정확도(精確度)를 더욱 향상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필름으로 종래의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을 대체한다.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은 저항 이방성을 갖는 도전막으로, 즉 어느 한 방향에서 가장 작은 저항을 소유하고, 상기 방향에 수직으로 되는 다른 한 방향에서 가장 큰 저항을 소유한다. 도 1c는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을 채용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터치패널은 위층에 위치하는 카본 나노 튜브 필름(14A), 아래층에 위치하는 카본 나노 튜브 필름(14B) 및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도시되지 않았음)을 구비한다.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14A)의 최소 저항 방향은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14B)의 최소 저항 방향에 수직으로 된다. 도 1c에 도시된 카본 나노 튜브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생산능력(Throughput)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산화 인듐 주석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생산능력보다 크지만, 손가락으로 카본 나노 튜브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할 때,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14A)과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14B) 사이의 전기장은 방해를 받기 어렵고, 따라서 정전용량의 변화도 크지 않으므로, 접촉 감도(Sensitivity)를 높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접촉 감도가 높은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저항 이방성을 갖는 제1도전막과; 복수개의 도전구조를 구비하는 제2도전막 및; 상기 제1도전막과 상기 제2도전막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도전막의 상기 도전구조의 도전방향이, 상기 제1도전막의 최소 저항 방향에 수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카본 나노 튜브 필름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서로 평행되게 설치되는 패턴화된 복수개의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를 구비하는 도전막 및;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과 상기 도전막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전막의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의 도전 방향이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의 최소 저항 방향에 수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있어서, 제1도전막, 절연층 및 제2도전막이 콘덴서 구조를 형성하고, 손가락으로 상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할 때, 상기 제1도전막과 상기 제2도전막 사이의 전기장을 방해하므로 상기 콘덴서 구조의 정전용량을 개변하고, 상기 제2도전막의 복수개의 도전구조 사이에 틈이 있기 때문에, 전기장 방해 정도가 커지며, 따라서 접촉 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패턴화된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다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패턴화된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을 채용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조감도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분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2c-2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제1도전막과 제2도전막을 각각 구동회로와 리드회로에 커플링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터치패널의 단일변 제조 공정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상의 접촉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실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스캔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하지 않았을 때의 일반적 리드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했을 때의 리드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조감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분해도이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제1도전막(20) 및 제2도전막(22)을 구비한다. 상기 제1도전막(20)은 저항 이방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제1도전막(20)은 그 종축방향에서는 가장 작은 저항을 갖지만, 그 횡축방향에서는 가장 큰 저항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막(20)은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이지만, 물론 저항 이방성을 갖는 여타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의 제조방법은, 우선 카본 나노 튜브 어레이를 제조하고 나서, 카본 나노 튜브를 하나하나 끌어당기게 되는데, 이러한 카본 나노 튜브는 반데르 왈스 힘(Van der Waals Force)의 작용에 의해 끝과 끝이 연접하여 연속한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을 형성한다.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은 저항 이방성을 갖게 되는 바, 다시 말하면 카본 나노 튜브의 연신(延伸)방향에서는 가장 작은 저항을 소유하지만, 카본 나노 튜브의 연신방향에 수직으로 되는 방향에서는 가장 큰 저항을 소유한다.
상기 제2도전막(22)은 패턴화된 복수개의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도전구조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서로 평행된다. 상기 제2도전막(22)의 도전구조의 도전방향은 상기 제1도전막(20)의 최소 저항 방향에 수직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막(22)은 패턴화된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이지만, 물론 다른 도전재료 또는 카본 나노 튜브 필름과 같은 저항 이방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막(22)의 도전구조의 폭과 서로 인접한 2개의 도전구조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약 5%∼50%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2도전막(22)의 서로 인접되는 2개의 도전구조 사이의 거리가 5mm일 때, 상기 도전구조의 폭은 약 0.25∼2.5mm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전막(20)과 상기 제2도전막(22) 사이에 절연층(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도전막(20), 상기 절연층(21) 및 상기 제2도전막(22)이 콘덴서 구조를 형성하고, 그 정전용량은 Cm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1도전막(20)의 외측에 제1보호층(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도전막(22)의 외측에 제2보호층(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층(21), 상기 제1보호층(23) 및 상기 제2보호층(24)은,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나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박막화(薄膜化)된 유리와 같은 전통적인 투명절연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1)은 산화물 또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UV접착제)을 채용할 수 있고, 상기 제1보호층(23) 및 상기 제2보호층(24)은 산화물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1), 상기 제1보호층(23) 및 상기 제2보호층(24)은, OCA(Optical Clear Adhesibve) 광학접착제와 같은 광학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양쪽변 제조 공정 기술, 단일변 제조 공정 기술 또는 다른 여타의 제조 공정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양쪽변 제조 공정 기술은 상기 절연층(21)을 기판으로 하고, 상기 절연층(21)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제1도전막(20) 및 상기 제2도전막(22)을 형성한 다음에 상기 제1도전막(20) 및 상기 제2도전막(22)의 외측에 각각 상기 제1보호층(23) 및 상기 제2보호층(24)을 형성한다. 단일변 제조 공정 기술은, 상기 제1보호층(23)을 기판으로 하고, 상기 제1보호층(23) 위에 상기 제1도전막(20), 상기 절연층(21), 상기 제2도전막(22) 및 상기 제2보호층(24)을 차례로 형성한다.
도 3은 다른 터치패널의 단일변 제조 공정 기술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제2보호층(24)을 기판으로 하고, 상기 제2보호층(24) 위에 상기 제2도전막(22)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상기 절연층(21) 및 상기 제1도전막(20)을 차례로 덮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1도전막(20) 위에 상기 제1보호층(23)을 형성한다.
도 2c에 도시된 콘덴서 구조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터치패널에 접촉하면, 즉 상기 제2도전막(22)의 위쪽에 접촉하면, 상기 제1도전막(20)과 상기 제2도전막(22) 사이의 전기장을 방해하고, 상기 콘덴서 구조의 정전용량(Cm)을 개변한다. 상기 제2도전막(22)의 복수개의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 사이에 틈이 있기 때문에, 전기장 방해 정도가 커지고, 도 1c에 도시된 종래의 카본 나노 튜브 터치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접촉 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 사이의 거리는 가장 큰 전기장 방해를 근거로 하여 결정하고, 동시에 제조 공정의 양품율, 생산능력 등 요소도 고려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전막(20) 및 상기 제2도전막(22)은 각각 구동회로(30) 및 리드회로(32)에 커플링되고,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접촉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d에 있어서, C1은 상기 제2도전막(22)으로부터 지면까지의 정전용량을 표시하고, C2는 상기 제1도전막(20)로부터 지면까지의 정전용량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도전막(20)을 상기 구동회로(30)에 커플링하고, 상기 제2도전막(22)을 상기 리드회로(32)에 커플링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도전막(20)을 상기 리드회로(32)에 커플링하고, 상기 제2도전막(22)을 상기 구동회로(30)에 커플링 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위의 접촉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실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막(20)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m개의 제1금속전극(200)은 상기 구동회로(30)에 커플링되어 스캔단(scan end)으로 하고, 상기 제2도전막(22)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n개의 제2금속전극(220)은 상기 리드회로(32)에 커플링되어 리드단(read end)으로 한다. 상기 스캔단은 스캐닝선(1∼m)을 구비하고, 상기 리드단은 리드선(1∼n)을 구비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스캔도면이다. 기간 T1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30)는 스캐닝선(1)에 의해 구형파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리드회로(32)는 상기 리드선(1∼n)에 의해 n개의 제2금속전극(220)의 전압을 읽어낸다. 같은 원리로, 기간 T2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30)는 스캐닝선(2)에 의해 구형파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리드회로(32)는 상기 리드선(1∼n)에 의해 n개의 제2금속전극(220)의 전압을 읽어낸다. 이와 같이 반복하여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회로(30)는 스캐닝선(m)에 의해 구형파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리드회로(32)는 상기 리드선(1∼n)에 의해 n개의 제2금속전극(220)의 전압을 읽어내면, 하나의 스캔 주기를 끝낸다. 하나의 스캔 주기 후에 m×n개의 전압값을 얻을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하지 않았을 때의 일반적 리드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했을 때의 리드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으로,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했을 때의 리드신호의 전압폭은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접촉하지 않았을 때의 일반적 리드신호의 전압폭과 다르다. 상기 m×n개의 전압값을 통계하고 비교하여 보면, 도 5c에 도시된 전압값 곡선도를 얻을 수 있고, 전압폭이 가장 작은 위치는 접촉점의 위치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구조 및 스캔 위치결정방법은 동시에 발생하는 복수개의 접촉점(Multi-Touch)의 위치을 측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조감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분해도이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제1도전막(20), 예컨대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을 그 최소 저항 방향(제1도전막(20)의 종축방향)에 따라 절단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는 복수개의 영역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단면구조, 재료, 제조 공정 방법 및 스캔 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A, 10B, 12A, 12B --- 산화 인듐 주석 필름
14A,14B --- 카본 나노 튜브 필름 20 --- 제1도전막
21 --- 절연층 22 --- 제2도전막
23 --- 제1보호층 24 --- 제2보호층
30 --- 구동회로 32 --- 리드회로
200 --- 제1금속전극 220 --- 제2금속전극

Claims (24)

  1. 저항 이방성을 갖는 제1도전막과;
    복수개의 도전구조를 구비하는 제2도전막 및;
    상기 제1도전막과 상기 제2도전막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도전막의 상기 도전구조의 도전방향이 상기 제1도전막의 최소 저항 방향에 수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막이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막의 복수개의 도전구조가 모두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이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서로 평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막이 산화 인듐 주석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막이 저항 이방성을 갖는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막이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7. 제3항에 있어서,
    각 도전구조의 폭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도전구조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상기 제1도전막의 상기 절연층에 대향하고 있는 쪽에 위치하는 제1보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상기 제2도전막의 상기 절연층에 대향하고 있는 쪽에 위치하는 제2보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이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나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박막화된 유리, 산화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및 광학 접착제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 및 상기 제2보호층이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나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박막화된 유리, 산화물 및 광학 접착제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구동회로 및 리드회로를 더 구비하고, 그 중 하나는 상기 제1도전막에 커플링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도전막에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막이 상기 구동회로 또는 상기 리드회로에 커플링되는 복수개의 제1금속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막이 상기 구동회로 또는 상기 리드회로에 커플링되는 복수개의 제2금속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막을 그 최소 저항 방향에 따라 절단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는 복수개의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6. 카본 나노 튜브 필름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 서로 평행되게 설치되는 패턴화된 복수개의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를 구비하는 도전막 및;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과 상기 도전막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전막의 스트립 모양의 도전구조의 도전 방향이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의 최소 저항 방향에 수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이 산화 인듐 주석 필름 또는 저항 이방성을 갖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8. 제16항에 있어서,
    각 도전구조의 폭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도전구조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의 상기 절연층에 대향하고 있는 쪽에 위치하는 제1보호층 및 상기 도전막의 상기 절연층에 대향하고 있는 쪽에 위치하는 제2보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이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나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박막화된 유리, 산화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및 광학 접착제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 및 상기 제2보호층이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나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박막화된 유리, 산화물 및 광학 접착제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구동회로 및 리드회로를 더 구비하고, 그 중 하나는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에 커플링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도전막에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회로 또는 상기 리드회로에 커플링되는 복수개의 제1금속전극 및, 상기 도전막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회로 또는 상기 리드회로에 커플링되는 복수개의 제2금속전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 필름을 그 최소 저항 방향에 따라 절단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는 복수개의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KR1020100079877A 2009-09-24 2010-08-18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KR101729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3076209A CN102033669B (zh) 2009-09-24 2009-09-24 电容式触控面板
CN200910307620.9 200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021A true KR20110033021A (ko) 2011-03-30
KR101729604B1 KR101729604B1 (ko) 2017-04-24

Family

ID=4324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877A KR101729604B1 (ko) 2009-09-24 2010-08-18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9513B2 (ko)
EP (1) EP2306283A3 (ko)
JP (1) JP5711916B2 (ko)
KR (1) KR101729604B1 (ko)
CN (1) CN102033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5050B2 (en) * 2007-08-21 2013-12-10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Conductor pattern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JP5829206B2 (ja) 2009-03-20 2015-12-09 宸鴻科技(廈門)有限公司TPK Touch Solutions(Xiamen)Inc. 容量型タッチ回路パタ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2515217A1 (en) * 2011-04-21 2012-10-24 Innovation & Infinity Global Corp. Transparent conductive structure applied to a touch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301408B1 (ko) * 2011-04-21 2013-08-28 주식회사 코아리버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EP2518598A1 (en) * 2011-04-27 2012-10-31 Innovation & Infinity Global Corp. Transparent conductive structure applied to a touch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518600A1 (en) * 2011-04-27 2012-10-31 Innovation & Infinity Global Corp. Transparent conductive structure applied to a touch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I585658B (zh) 2011-06-03 2017-06-01 識驊科技股份有限公司 觸摸屏觸摸點之檢測方法
CN102289314B (zh) * 2011-06-07 2014-01-29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屏触摸点的检测方法
KR101175684B1 (ko) 2011-06-10 2012-08-21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101174710B1 (ko) 2011-06-10 2012-08-17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CN102866794A (zh) 2011-06-15 2013-01-09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感测层及其制造方法
CN102955602B (zh) * 2011-08-31 2016-05-18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以及使用该透明导电膜的触控面板
CN102956284A (zh) * 2011-08-31 2013-03-06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以及使用该透明导电膜的触控面板
JP5440747B2 (ja) * 2011-11-07 2014-03-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KR20130067730A (ko) * 2011-12-14 2013-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101859515B1 (ko) * 2012-02-14 2018-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2707856B (zh) * 2012-05-04 2015-03-2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及终端
CN103455184A (zh) * 2012-05-30 2013-12-18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面板
KR102012417B1 (ko) * 2012-07-24 2019-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2395A (ko) 2013-04-10 2014-10-2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US20140354896A1 (en) * 2013-05-28 2014-12-04 Tianjin Funayuanchuang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CN104951155B (zh) * 2014-03-31 2019-05-17 宸盛光电有限公司 电容式触控装置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9392A1 (en) * 2003-12-17 2005-09-22 Jiazhong Luo Polymer binders for flexible and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JP2007287375A (ja) * 2006-04-13 2007-11-01 Toyo Tire & Rubber Co Ltd 異方導電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802057A (en) * 2006-06-20 2008-01-01 Egalax Inc Compens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JP2008009054A (ja) * 2006-06-28 2008-01-17 Optrex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93281B2 (ja) * 2007-02-21 2011-10-1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080218487A1 (en) * 2007-03-07 2008-09-11 Chun-Chung Huang Capacitive-type touch pad having special arrangement of capacitance sensor
EP2053495A3 (en) * 2007-10-23 2011-04-27 Tsinghua University Touch panel,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adopting the same
CN101464757A (zh) * 2007-12-21 2009-06-2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601B (zh) * 2007-12-14 2012-03-1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EP2071438A3 (en) * 2007-12-14 2011-04-27 Tsing Hua University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1464765B (zh) * 2007-12-21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70565B (zh) * 2007-12-27 2011-08-2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WO2009108765A2 (en) * 2008-02-28 2009-09-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creen sensor having varying sheet resistance
KR101717033B1 (ko) * 2008-02-28 2017-03-1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터치 스크린 센서
US8119937B2 (en) * 2008-03-10 2012-02-21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Ltd. Capacitive touch panel
CN102160020B (zh) * 2008-08-01 2014-02-05 3M创新有限公司 具有复合电极的触敏装置
US20100045610A1 (en) * 2008-08-20 2010-02-25 Snu R&Db Foundation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JP5181093B2 (ja) * 2008-12-08 2013-04-10 韓國電子通信研究院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その動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6283A3 (en) 2012-09-05
JP5711916B2 (ja) 2015-05-07
JP2011070659A (ja) 2011-04-07
EP2306283A2 (en) 2011-04-06
CN102033669A (zh) 2011-04-27
KR101729604B1 (ko) 2017-04-24
US20110069035A1 (en) 2011-03-24
CN102033669B (zh) 2013-08-14
US8749513B2 (en)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3021A (ko)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CN108415634B (zh) 一种触控装置
US10732740B2 (en) Pressure sensing pattern layer comprising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and pressure sensing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549790B (zh) 一种压力感测触控模组
KR101452042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TWI412819B (zh) 電容式觸控面板
US20160005352A1 (en) Touch sensing device
US9389735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screen device
KR20140076957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101805773B1 (ko) 감압 터치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감압 터치스크린 패널 및 감압 터치센서의 제조방법
US9134870B2 (en) Capacitive touch-sensitive pane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452097B1 (ko) 터치스크린 장치
KR101525674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00019810A (ko)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101349703B1 (ko)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6477A (ko) 터치 감지 장치
KR101182401B1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정보 파악 방법
US20220147187A1 (en) Touch Panel
TWI585658B (zh) 觸摸屏觸摸點之檢測方法
KR101047161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힘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키와 터치패널
KR101444533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336252B1 (ko) 접촉위치와 누름힘 측정용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TWI451317B (zh) 觸摸屏
KR20160022583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50006328A (ko) 터치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