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911A - Rf 동축 컨넥터 - Google Patents

Rf 동축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911A
KR20110031911A KR1020107027522A KR20107027522A KR20110031911A KR 20110031911 A KR20110031911 A KR 20110031911A KR 1020107027522 A KR1020107027522 A KR 1020107027522A KR 20107027522 A KR20107027522 A KR 20107027522A KR 20110031911 A KR20110031911 A KR 2011003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ocket
conductor
adap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478B1 (ko
Inventor
구앙롱 지
클로드 브로체톤
Original Assignee
라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디알 filed Critical 라디알
Publication of KR2011003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과 어댑터를 포함하는 RF 동축 컨넥터를 개시한다. 소켓은 외부 전도체와 중앙 전도체를 포함한다. 어댑터는 소켓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는 소켓의 외부 전도체 및 중앙 전도체와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외부 전도체 및 중앙 전도체를 더 포함한다. 덤벨형 제1 절연체는 어댑터의 플러그 안에 배치되고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 및 중앙 전도체 사이에 채워진다. 제1 절연체의 중간부와 어댑터의 외부 커넥터 사이에 환형 갭이 형성되도록 제1 절연체는 2개의 단부들 보다 좁은 중간부를 포함함으로써 플러그와 소켓의 연결 구역들에서 상이한 임피던스 구역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컨넥터 성능에 대한 높은 임피던스 구역의 역효과를 감소시키고 제품의 전기 및 RF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높은 임피던스 구역과 낮은 임피던스 구역은 서로 보상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컨넥터는 더 큰 축방향 오프셋을 허용한다.

Description

RF 동축 컨넥터{RF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RF 동축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RF 동축 컨넥터는 회로기판들 사이, RF 모듈들 사이, 또는 회로기판과 RF 모듈 사이의 상호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응용에 있어서, 요소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경감하기 위하여, 연결된 2개의 요소들의 상대적인 위치 사이에 허용가능한 공차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회로기판들 사이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 오프셋을 허용하는 몇몇의 회로기판 상호연결 기술들이 있다. 가장 오래된 기술은 회로기판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소켓과 플러그를 구비하는 SMB 및 MCX 컨넥터와 같은 표준 스냅-온(snap-on) 컨넥터에 기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컨넥터에서, 내부 전도체들과 외부 전도체들은 제한된 축방향 오프셋을 허용하는 지그재그형(staggered) 핀 및 삽입 구멍 배열을 갖는다. 내부 전도체와 외부 전도체의 탄성적인 삽입 구멍들은 극도로 작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 오프셋만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컨넥터들의 수가 3쌍을 넘지 않는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른 회로기판 연결 기술은 중간 연결 요소로 시중의 MMBX 및 SMP 시리즈와 같은 어댑터를 사용한다. 어댑터는 회로기판에 고정된 소켓에 대해 약간의 회전을 가질 수 있으므로, Lsin(α)의 반경방향 오프셋을 허용한다. 여기서, "L"은 어댑터의 길이이고, "α"는 어댑터의 회전 각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사이의(board-to-board) 최대 거리(H)를 갖는 SMP 컨넥터의 축방향 오프셋 및 반경방향 오프셋 각도는 각각 ±0.3 mm 및 ±4°이고, MMBX 컨넥터의 축방향 오프셋 및 반경방향 오프셋 각도는 각각 ±0.70 mm 및 ±4.5°이다. 상기 컨넥터들의 RF 전기적 성능은 컨넥터들의 상호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임피던스 정합(match)의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에어 갭은 그 구역의 높은 임피던스의 원인이 된다.
또한, 축방향 거리(H)에 따른 공차가 최소인 경우 충분히 큰 오프셋 각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중앙 컨넥터들이 각도 오프셋을 가질 때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앙 컨넥터들의 핀과 삽입 구멍 사이의 결합 거리는 가능하면 작아야 하지만, 이는 기판 사이의 거리(H)를 갖는 컨넥터들의 축방향 오프셋의 증가를 제한한다.
상기 단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 큰 축방향 오프셋을 허용하고 우수한 RF 전기성능을 달성하는 RF 동축 컨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켓과 어댑터를 포함하는 RF 동축 컨넥터를 제공한다. 소켓은 외부 전도체와 중앙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소켓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소켓의 외부 전도체 및 중앙 전도체와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전도체 및 중앙 전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덤벨형 제1 절연체는 어댑터의 플러그 안에 배치되고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 및 중앙 전도체 사이에 채워질 수 있으며, 제1 절연체는 2개의 단부들 및 2개의 단부들 보다 좁은 중간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절연체의 중간부와 어댑터의 외부 커넥터 사이에 환형 갭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덤벨형 제1 절연부는 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에어 갭이 변할 때 임피던스 보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하며, 에어 갭의 변화량은, 예를 들면, 0 내지 2 mm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절연체와 관련된 임피던스는 50Ω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제1 절연체는 세로축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세로축에 수직인 미드플레인(midplane)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될 때 제1 절연체의 제1 단부는 소켓을 향하고, 50Ω보다 작은 임피던스, 예를 들면 40Ω 내지 49Ω, 특히 48Ω 내지 49Ω의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체의 중간부의 임피던스 값은 50Ω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절연체의 제1 단부는 50Ω보다 작은, 예를 들면, 48Ω 내지 49Ω의 임피던스를 갖고, 제1 절연체의 중간부, 및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삽입될 때 소켓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절연체의 제2 단부는 약 50Ω의 임피던스 값을 갖는다. 상기 제2 단부는 외부 전도체 및/또는 중앙 전도체의 직경의 함수를 기준으로 50Ω로부터 약간 변화하는 임피던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체의 각각의 단부는 선택적으로 제1 절연체의 세로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제1 절연체의 중간부의 길이와 상기 제1 절연체의 단부, 예를 들면, 제1 단부의 길이 사이의 비율은 2 내지 10, 특히 3 내지 7이다.
제1 절연체의 제1 단부 및 중간부는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체의 제2 단부는 중간부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2 단부가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중앙 전도체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제1 절연체는 플러그의 외부 전도체를 넘어 축방향으로 연장할 수 없으며, 이는 제1 절연체가 소켓의 표면과 접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제1 절연체를 보호한다.
제1 절연체의 제2 단부는 전체적으로 플러그의 외부 전도체 안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과도한 반경방향 힘(radial force)에 대해서 중앙 전도체를 보호할 수 있다.
플러그의 중앙 전도체는 제1 절연체의 양쪽 단부들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1 절연체의 중간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중앙 전도체는 소켓을 향해 제1 절연체를 넘어 연장할 수 없다.
소켓의 외부 전도체는 내부 구멍을 구획하는 관형 위치(posi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쇼울더부는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 안에 배치되고 내부 구멍의 중앙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체는 소켓의 후단에 배치되고 소켓의 외부 전도체와 중앙 전도체 사이에 채워질 수 있으며, 제2 절연체의 전단 표면은 쇼울더부의 전단 표면과 동일 평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직경(B)은 3.65 mm 내지 4.05 mm이고,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깊이(I)는 2.3 mm 내지 3.3 mm이며, 쇼울더부의 내부 구멍의 직경(G)은 2.3 mm 내지 2.7 mm이고, 쇼울더부의 너비(E)는 0.2 mm 내지 0.6 mm이며, 소켓의 중앙 전도체의 직경(A)은 0.66 mm 내지 1.06 mm이고,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의 내경(D)은 3.0 mm 내지 3.4 mm이고, 어댑터의 내부 전도체의 외경(C)은 1.07 mm 내지 1.47 mm이며, 제1 절연체의 단부들의 너비(F)는 0.6 mm 내지 1.0 mm이고, 제1 절연체의 중간부의 외경(J)은 1.6 mm 내지 2.0 mm이다.
특히,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직경(B)은 3.85 mm이고,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깊이(I)는 2.8 mm이며, 쇼울더부의 내부 구멍의 직경(G)은 2.5 mm이고, 쇼울더부의 너비(E)는 0.4 mm이며, 소켓의 중앙 전도체의 직경(A)은 0.86 mm이고,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의 내경(D)은 3.2 mm이고, 어댑터의 내부 전도체의 외경(C)은 1.27 mm이며, 제1 절연체의 단부들의 너비(F)는 0.8 mm이고, 제1 절연체의 중간부의 외경(J)은 1.8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유리한 효과들을 달성할 수 있다. 덤벨형 제1 절연체가 어댑터의 플러그 안에 배치될 때, 플러그와 소켓의 연결 구역들에서 상이한 임피던스 구역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요소들 사이에 커다란 축방향 오프셋 거리가 존재할 때, 연결 인터페이스에 더 큰 에어 갭이 나타남으로써 높은 임피던스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절연체의 단부는 낮은 임피던스 구역을 형성하고, 제1 절연체의 중간부와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 사이의 환형 갭은 정상 임피던스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높은 임피던스 구역과 낮은 임피던스 구역은 서로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컨넥터 성능에 대한 높은 임피던스 구역의 역효과가 경감되고 제품의 전기 및 RF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RF 동축 컨넥터는 더 큰 축방향 오프셋(> 1 mm)을 허용하고, 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에어 갭으로 인한 임피던스 부정합(mismatch)을 감소시키며, 0 내지 6 GHz의 주파수 범위에 걸쳐 바람직한 RF 전기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쇼울더부 구역에 낮은 임피던스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임피던스 구역의 양측에 낮은 임피던스 구역이 형성됨으로써 보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냅-온 동축 컨넥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어댑터를 구비한 종래의 동축 컨넥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컨넥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절연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컨넥터에서 상이한 임피던스의 구역별 분포를 나타낸다.
도 6은 종래 컨넥터의 VSWR(전압 정재파 비) 곡선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VSWR 곡선(매개변수 최적화 전)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VSWR 곡선(매개변수 최적화 후)을 나타낸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 명세서의 내용을 읽어 본 후 여기의 장점 및 효과 뿐만 아니라 기타 장점 및 효과들도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컨넥터는 소켓(1) 및 어댑터(2)를 포함한다. 소켓(1)은 외부 전도체(11) 및 중앙 전도체(12)를 포함한다. 어댑터(2)는 어댑터(2)의 하나의 끝단에 위치되며 소켓(1)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20)를 포함한다. 어댑터(2)는 외부 전도체(21) 및 중앙 전도체(22)를 더 포함한다. 플러그(20)가 소켓(1)에 삽입될 때, 어댑터(2)의 외부 전도체(21) 및 중앙 전도체(22)는 소켓(1)의 외부 전도체(11) 및 중앙 전도체(12)와 각각 접촉한다.
세로축(X)을 따라 연장하는 덤벨형 제1 절연체(4)는 어댑터의 플러그(20) 안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체(4)는 제1 단부(41a), 제2 단부(41b), 및 2개의 단부들(41a)(41b) 보다 좁은 중간부(42)를 포함한다. 제1 절연체의 중간부와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 사이에 환형 갭(5)이 형성되도록 제1 절연체(4)는 소켓의 외부 전도체(11)와 중앙 전도체(12) 사이에 채워지며, 환형 갭(5)은 정상 임피던스 구역(도 5의 V 구역)을 형성한다.
쇼울더부(13)는 소켓의 외부 전도체(11)의 내부 구멍 안에 배치되고 내부 구멍의 중앙을 향해 연장한다. 플러그(20)가 소켓(1)에 삽입될 때, 외부 전도체(21)의 끝단 표면이 쇼울더부(13)의 전단 표면에 밀접하게 부착되지 않으면, 쇼울더부(13)와 플러그의 끝단 표면(제1 절연체(4)의 끝단 표면 포함)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고, 에어 갭은 컨넥터 성능에 악영향을 끼치는 높은 임피던스 구역(도 5의 T구역)을 형성하는 반면, 제1 절연체의 단부가 위치되는 구역은 낮은 임피던스 구역(도 5의 U구역)을 형성한다. 높은 임피던스 구역(T)과 낮은 임피던스 구역(U)이 서로 인접하므로, 임피던스 부정합을 감소시키고 연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들 구역들은 서로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체(3)는 소켓의 후단에 배치되고 소켓의 외부 전도체(11)와 중앙 전도체(12) 사이에 채워진다. 이때, 제2 절연체(3)의 전단 표면은 쇼울더부(13)의 전단 표면과 동일 평면이다. 따라서, 소켓의 단부에 외부 전도체(11)와 중앙 전도체(12) 사이에 정상 임피던스 구역(도 5의 R구역)이 형성되고, 쇼울더부(13)의 내부 구멍과 중앙 전도체(12) 사이에 낮은 임피던스 구역(도 5의 S구역)이 형성된다. 또한, 낮은 임피던스 구역(S구역)은 높은 임피던스 구역(T구역)과 인접하므로, 연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들 구역들은 서로 보상할 수 있다. 즉, 상호연결 요소들 사이에 더 큰 축방향 오프셋이 존재하면, 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에어 갭에 의해 형성된 높은 임피던스 구역(T)이 그에 인접한 낮은 임피던스 구역들(S)(U)에 의해 보상되거나 오프셋될 수 있으므로, 축방향 오프셋이 더 큰 경우 임피던스 정합 및 컨넥터의 연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R, S, T, U 및 V는 상이한 임피던스 구역들의 축방향 범위를 나타낸다. 임피던스 구역의 반경 방향 범위는 외부 전도체들과 내부 전도체들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임피던스 정합 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켓의 중앙 전도체의 외경(A),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직경(B), 어댑터의 중앙 전도체의 삽입 구멍의 외경(C),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직경(D), 쇼울더부의 너비(E), 제1 절연체의 단부들의 너비(F), 및 쇼울더부의 내부 구멍의 직경(G) 및 너비(H)와 같은 매개변수는 최적화될 수 있다.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직경(B) 및 소켓의 내부 전도체의 외경(A)이 결정된 후, 높은 임피던스 구역의 임피던스 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높은 임피던스 구역은 유도(inductive)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최적화된 매개변수들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직경(B)은 3.65 mm 내지 4.05 mm이고,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깊이(I)는 2.3 mm 내지 3.3 mm이며, 쇼울더부의 내부 구멍의 직경(G)은 2.3 mm 내지 2.7 mm이고, 쇼울더부의 너비(E)는 0.2 mm 내지 0.6 mm이며, 소켓의 중앙 전도체의 직경(A)은 0.66 mm 내지 1.06 mm이고,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의 내경(D)은 3.0 mm 내지 3.4 mm이고, 어댑터의 내부 전도체의 외경(C)은 1.07 mm 내지 1.47 mm이며, 제1 절연체의 단부들의 너비(F)는 0.6 mm 내지 1.0 mm이고, 제1 절연체의 중간부의 외경(J)은 1.6 mm 내지 2.0 mm이다. 높은 임피던스 구역과 낮은 임피던스 구역이 상이한 길이와 형상을 갖고, 2개의 낮은 임피던스 구역들(용량(capacitive) 임피던스를 나타냄)이 상이한 임피던스 값을 가질 때, 3개의 임피던스 구역들의 용량 임피던스 및 유도 임피던스의 보상 뿐만 아니라 지연의 보상이 계산된다. 따라서, 최적의 보상이 도달될 때, 임피던스 구역들의 해당 길이와 형상으로부터 최적화된 매개변수들이 얻어질 수 있다.
매개변수 최적화 후, 컨넥터의 성능은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 컨넥터의 VSWR(전압 정재파 비) 곡선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에어 갭이 증가할 때, 컨넥터의 VSWR도 증가하고 컨넥터의 연결 성능은 상당히 감소한다. 도 7은, 매개변수 최적화 전, 본 발명의 컨넥터의 VSWR 곡선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갭이 0일 때, 컨넥터의 VSWR은 증가한다. 도 8은, 예를 들면,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직경(B)이 3.85 mm이고, 소켓의 외부 전도체의 내부 구멍의 깊이(I)가 2.8 mm이며, 쇼울더부의 내부 구멍의 직경(G)이 2.5 mm이고, 쇼울더부의 너비(E)가 0.4 mm이며, 소켓의 중앙 전도체의 직경(A)이 0.86 mm이고, 어댑터의 외부 전도체의 내경(D)이 3.2 mm이고, 어댑터의 내부 전도체의 외경(C)이 1.27 mm이며, 제1 절연체의 너비(F)가 0.8 mm이고, 제1 절연체의 중간부의 외경(J)이 1.8 mm로 매개변수의 최적화 후, 본 발명의 컨넥터의 VSWR 곡선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에어 갭 및 주파수에서 컨넥터의 VSWR은 전체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연결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 2개의 극단적인 위치(에어 갭이 0이고 최대일 때)에서의 VSWR은 서로 가깝고 다른 위치에서의 VSWR 보다 크며, 이는 바람직한 연결 성능이 대부분의 연결 상태에서 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상세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을 설명하고자 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에 의한 모든 개량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5)

  1. RF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소켓(1), 및 어댑터(2)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1)은 외부 전도체(11) 및 중앙 전도체(12)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2)는 상기 소켓(1)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20)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2)는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전도체(11) 및 상기 중앙 전도체(12)와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된 외부 전도체(21) 및 중앙 전도체(22)를 더 포함하고,
    덤벨형 제1 절연체(4)는 상기 어댑터의 상기 플러그(20) 안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상기 외부 전도체(21)와 상기 중앙 전도체(22) 사이에 채워지며, 상기 제1 절연체(4)는 2개의 단부들(41a)(41b) 및 상기 2개의 단부들(41a)(41b) 보다 좁은 중간부(4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중간부(42)와 상기 어댑터의 상기 외부 커넥터(21) 사이에 환형 갭(5)을 형성하고, 50Ω보다 작은 임피던스를 갖는 상기 제1 절연체(4)의 상기 제1 단부(41a)는 상기 플러그(20)가 상기 소켓(1)에 삽입될 때 상기 소켓(1)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쇼울더부(13)는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전도체(11)의 내부 구멍 안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구멍의 중앙을 향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절연체(3)는 상기 소켓(1)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전도체(11)와 상기 중앙 전도체(12) 사이에 채워지고, 상기 제2 절연체의 전단 표면은 상기 쇼울더부(13)의 전단 표면과 동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전도체의 상기 내부 구멍의 직경(B)은 3.65 mm 내지 4.05 mm이고,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전도체의 상기 내부 구멍의 깊이(I)는 2.3 mm 내지 3.3 mm이며, 상기 쇼울더부의 상기 내부 구멍의 직경(G)은 2.3 mm 내지 2.7 mm이고, 상기 쇼울더부의 너비(E)는 0.2 mm 내지 0.6 mm이며, 상기 소켓의 상기 중앙 전도체의 직경(A)은 0.66 mm 내지 1.06 mm이고, 상기 어댑터의 상기 외부 전도체의 내경(D)은 3.0 mm 내지 3.4 mm이고, 상기 어댑터의 상기 내부 전도체의 외경(C)은 1.07 mm 내지 1.47 mm이며,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단부들의 너비(F)는 0.6 mm 내지 1.0 mm이고,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중간부의 외경(J)은 1.6 mm 내지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전도체의 상기 내부 구멍의 직경(B)은 3.85 mm이고,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전도체의 상기 내부 구멍의 깊이(I)는 2.8 mm이며, 상기 쇼울더부의 상기 내부 구멍의 직경(G)은 2.5 mm이고, 상기 쇼울더부의 너비(E)는 0.4 mm이며, 상기 소켓의 상기 중앙 전도체의 직경(A)은 0.86 mm이고, 상기 어댑터의 상기 외부 전도체의 내경(D)은 3.2 mm이고, 상기 어댑터의 상기 내부 전도체의 외경(C)은 1.27 mm이며,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단부들의 너비(F)는 0.8 mm이고,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중간부의 외경(J)은 1.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6.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세로축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세로축에 수직인 미드플레인(midplan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7.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세로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8.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중간부의 길이와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단부의 길이 사이의 비율은 2 내지 10, 특히 3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9.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중간부는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10.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삽입될 때,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중간부의 내경 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11.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외부 전도체를 넘어 축방향으로 연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12.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외부 전도체 내부에 전체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13.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상기 중앙 전도체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양쪽 단부들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중간부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14.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의 상기 중간부의 임피던스 값은 50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15.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도체는 상기 소켓을 향해 상기 제1 절연체를 넘어 연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
KR1020107027522A 2008-07-22 2009-07-22 Rf 동축 컨넥터 KR101604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040848.1 2008-07-22
CN2008100408481A CN101330181B (zh) 2008-07-22 2008-07-22 射频同轴连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911A true KR20110031911A (ko) 2011-03-29
KR101604478B1 KR101604478B1 (ko) 2016-03-17

Family

ID=4020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22A KR101604478B1 (ko) 2008-07-22 2009-07-22 Rf 동축 컨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16614B2 (ko)
EP (1) EP2304852B1 (ko)
KR (1) KR101604478B1 (ko)
CN (1) CN101330181B (ko)
WO (1) WO2010010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6383B (zh) * 2009-08-03 2012-11-21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弹簧加载连接器
CN101783470A (zh) * 2010-02-10 2010-07-21 安费诺科耐特(西安)科技有限公司 一种多排插射频同轴连接器
CN101814679B (zh) * 2010-04-13 2012-05-09 昆山安胜达微波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替换式射频同轴连接器
CN102255193A (zh) * 2011-05-10 2011-11-23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浮动结构的射频同轴连接器
CN102571225B (zh) * 2011-06-30 2014-04-30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射频功率自检测试装置及测试方法
US8771011B2 (en) 2011-07-19 2014-07-08 David J Ball Broadband interface connection system
DE202012000487U1 (de) * 2012-01-19 2012-02-27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bindungselement
FR2990069B1 (fr) * 2012-04-26 2015-07-31 Radiall Sa Ensemble de connexion destine a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raccord de connexion, embases, module de connexion associes.
US8888519B2 (en) * 2012-05-31 2014-11-18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CN102683929B (zh) * 2012-06-06 2015-06-10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射频连接器
CN102694322B (zh) * 2012-06-15 2014-04-02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异型耐高压转接连接器
CN103337733B (zh) * 2013-06-05 2016-02-10 四川华丰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
US9716345B2 (en) 2013-12-20 2017-07-25 Ppc Broadband, Inc. Radio frequency (RF) shield for microcoaxial (MCX) cable connectors
CN104143719A (zh) * 2014-07-24 2014-11-12 西安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推入式、超小型射频同轴连接器
CN104466348A (zh) * 2014-12-10 2015-03-25 安徽蓝麦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低互调天馈线连接器
EP3043425B1 (en) * 2015-01-12 2020-12-16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6159560B (zh) * 2015-03-30 2019-09-17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一种盲插射频同轴连接器
CN104852232A (zh) * 2015-04-24 2015-08-19 陕西益华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
CN108475872B (zh) 2015-09-28 2021-01-26 雷迪埃 单式rf连接器和包括多个这种单式连接器的成组连接器
CN106654760A (zh) * 2015-10-30 2017-05-10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一种浮动盲配射频同轴转接器
JP6366622B2 (ja) * 2016-02-24 2018-08-01 株式会社フジクラ 端子接続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US10573993B2 (en) * 2016-05-10 2020-02-25 Micro-Mode Products, Inc. Coaxial connector calibration devices
CN106998021B (zh) * 2017-05-22 2023-01-24 江苏正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
JP6882941B2 (ja) * 2017-06-16 2021-06-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組立体
CN108023245A (zh) * 2017-12-15 2018-05-11 谈振新 适合盲配容许插偏的射频同轴连接器组件
CN108631092A (zh) * 2018-03-09 2018-10-09 苏州瑞可达连接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板对板射频同轴连接器
CN110600952A (zh) * 2018-06-12 2019-12-20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大功率容差盲插同轴连接器
CN109103628A (zh) * 2018-08-31 2018-12-28 深圳金信诺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板对板射频连接器
CN109244770B (zh) * 2018-10-30 2024-04-09 广东国昌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
CN110212358A (zh) * 2018-12-29 2019-09-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射频转接组件及具有其的射频连接器
JP7357912B2 (ja) * 2019-09-24 2023-10-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N112913087A (zh) 2019-10-02 2021-06-04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具有冠状布置的接地触片的一体式rf连接器及包括多个该一体式连接器的联合连接器
CN210326256U (zh) 2019-10-14 2020-04-14 罗森伯格亚太电子有限公司 板到板射频同轴连接器
CN112787121A (zh) * 2019-11-11 2021-05-1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CN114361891B (zh) * 2022-01-29 2023-06-16 西安雷航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射频传输或电信号传输的电连接器及电路结构
CN115149316A (zh) * 2022-07-28 2022-10-04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Fakra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470A (en) * 1994-03-30 1995-12-12 Itt Corporation Compensated interface coaxial connector apparatus
US5879188A (en) * 1996-10-11 1999-03-09 Elco U.S.A. Inc. Coaxi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0181B (zh) 2010-07-14
US8016614B2 (en) 2011-09-13
WO2010010524A1 (en) 2010-01-28
EP2304852B1 (en) 2012-09-26
CN101330181A (zh) 2008-12-24
US20110117778A1 (en) 2011-05-19
EP2304852A1 (en) 2011-04-06
KR101604478B1 (ko)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478B1 (ko) Rf 동축 컨넥터
US9209569B2 (en) Communications connectors including transmission lines having impedance discontinuities that improve return loss and/or insertion loss performance and related methods
CN110011105B (zh) 高频电连接器
CN104409906B (zh) 一种轻插拔力高速传输电连接器
CN102074812B (zh) 多端口的连接器系统
JP3987493B2 (ja) 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コネクタ
US9660386B2 (en) High frequency RJ45 plug with non-continuous ground planes for cross talk control
JP2003505826A (ja) インピーダンスが調整されたコネクタ
KR101166431B1 (ko) 알에프 동축 커넥터
CN103597671A (zh) 同轴插入式连接器
US10535962B2 (en) Receptacle connector
CN104836089A (zh) 提高了阻抗特性的同轴连接器
US7724106B2 (en) Coaxial connecting part
CN109038130A (zh) 一种射频同轴连接器
EP1459414B1 (en) Impedance-tuned terminal contact arrangement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EP2675023B1 (en) A variable impedance coaxial connector interface device
US11916340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connecting element, and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ment
US9472873B1 (en) Reversible receptacle connector
US9391405B1 (en) Pin structure of modular jack
CN113056846A (zh) 插拔连接器
CN208571146U (zh) 射频同轴连接器
TWI548161B (zh) Connector socket structure
JP7000816B2 (ja) 信号伝送システム
TWI616038B (zh) 使用串音控制的非連續接地面之高頻rj45插頭
JPH03273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