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425A - 폐기물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425A
KR20110031425A KR1020107028577A KR20107028577A KR20110031425A KR 20110031425 A KR20110031425 A KR 20110031425A KR 1020107028577 A KR1020107028577 A KR 1020107028577A KR 20107028577 A KR20107028577 A KR 20107028577A KR 20110031425 A KR20110031425 A KR 20110031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waste storage
waste
chamber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972B1 (ko
Inventor
니콜라스 커드월스
Original Assignee
산제닉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809074A external-priority patent/GB0809074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820493A external-priority patent/GB0820493D0/en
Application filed by 산제닉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제닉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13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preformed tubular webs being supplied in a flatten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66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 B65B67/1277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for dispensing flexible tubular material gathered up in the shape of a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65F2210/1675Sealing means by twisting, e.g. of a flexibl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32Di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저장 장치는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한다. 이 챔버는 장치의 고정부(604)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602)을 포함하고, 이 회전 가능한 부분(602)은 카세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고정부(604) 상에 장착되어 카세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비변형 위치와 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변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부분(601)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저장 장치{WASTE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폐기물 저장장치 및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폐기물 저장장치의 하나가 영국특허 제2206094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폐기물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 장치는 유아용 기저귀 또는 기타 개인적 폐기물과 같은 폐기물을 후속 처리를 위해 저장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플라스틱 용기(21)에는 그로부터 실린더(23)가 위쪽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22)가 형성된다. 원주방향으로 수많이 주름진 일정 길이의 가요성 튜브(2) 내에 있는 튜브형 코어(1)로 구성된 팩(pack)이, 상기 코어(1)가 플랜지(22) 상에 정착되어 실린더(23)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상태로 용기(21) 내에 위치된다. 팩을 사용하여 본 특정의 예에서 유아용 1회용 기저귀라고 간주할 물체들의 일련의 꾸러미를 형성하기 시작하기 위해, 가요성 튜브(2)의 상단을 위쪽으로 잡아당겨 매듭(24)으로 묶는다. 이와 같이 봉해진 단부는 이어서 일정 길이의 튜브 부분을 따라 형성될 꾸러미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봉함된 단부를 포장할 물체들에 의해 아래쪽으로 코어(1)와 실린더(23)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이뤄진다. 이와 같이 이뤄짐에 따라, 일정 길이의 주름진 부분으로부터 나오는 가요성 튜브(2)가 코어(1)의 상부 에지(25: 도 1 참조)를 타고넘어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이 상부 에지(25)는 가요성 튜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매끄럽게 되어 있다. 코어(1)는 지름 약 4인치(10.16cm)로 되는데, 물론 가요성 튜브(2)의 지름은 대략 그보다 더 크다.
물체를 동심상 코어(1)와 실린더(23) 내로 밀어넣었을 때에, 도면 부호 "30"(도 1)에서와 같이 물체의 위쪽에서 가요성 튜브(2)를 비틀어 맴으로써 꾸러미가 봉함된다. 이는 그 위에 주름진 튜브가 남아있는 코어(1)를 코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뤄진다. 그를 위해, 코어(1)의 상단의 원추대형 내면(51)에 끼워 맞춰지는 테이퍼인 외면이 형성된 환형 플랜지(31)가 매달려 있는 유닛(31)이 형성된다. 그와 같이 수작업으로 비틀어 매는 동작 동안, 용기(21)에 고정되고 반경 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꾸러미와 맞물리는 스프링들(52)에 의해 꾸러미가 코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스프링들은 용기(21) 둘레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원추대형 내면(51) 상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리지(ridge)들을 분할하는 얕은 홈들이 형성되어 비틀어 매는 동작 동안 가요성 튜브의 미끄러짐을 저지한다.
전술된 수단에 의하여, 일련의 연결된 봉함 꾸러미들(35)이 형성되고, 이는 주름진 튜브(2)가 소진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도 1의 장치에서, 꾸러미들은 적절한 타입의 수동식 캐치에 의하여 통상 닫힌 채 유지되는 힌지식 베이스(53)에 의해 바닥이 폐쇄된 용기의 저장통 부분(36)에 모인다. 폐기물 처리시설로의 운반을 위하여 저장통 부위(36)로부터 꾸러미들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최상단 꾸러미를 그 상부 비틀어 매진 봉함부(30) 위에서 절단하고, 저장통 부분의 단부를 통해 꾸러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힌지식 베이스(53)를 개방한다. 꾸러미들 사이의 비틀어 매진 봉함부들이 헐거워지더라도, 뚜껑과 새롭게 형성되는 최상단의 비틀어 매진 봉함부가 악취나 증기 및 가스가 주변 공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튜브(2)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경우, 비틀어 매진 이음부들이 현저하게 단단하게 매진 상태로 남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장치를 발전시킨 것이 영국특허 제2292725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입구 에지(15)를 갖는 바깥으로 벌어진 깔대기(12)가 테이퍼 조인트(16)에 의하여 코어(1)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깔대기는 장치의 위생상태를 한층더 개선하는데, 왜냐하면 물체를 내리누름에 따라 튜브(2)가 팩으로부터 깔대기(12)의 입구 에지(15)를 타고넘어 인출되어 깔대기의 벌어진 부위에 새로운 위생적인 튜브의 층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깔대기(12)를 비틀어서 비틀어 매진 봉함부(30)를 얻는다. 대안적인 스프링 장치(14)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영국특허 제2292725호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상기 영국특허 제2206094호와 제2292725호 모두는 처분을 위하여 꾸러미들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러한 절단 수단은 코어(1) 또는 깔대기(12)의 상단 내에 록킹(locking)e된 플랜지(50)가 형성된 외부 링(55)과, 이 링(55) 내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디스크(56)를 포함하는 2부품 유닛인 유닛(31)에 통합되어 있다. 디스크(56)는 원형의 투명 시트(57)로 이뤄져서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고정된 플랜지(50) 내의 좁은 플랜지들 사이에 위치된 수평 플랜지(58)와 수직 플랜지(59)(도 1)를 갖 는 앵글 섹션 링에 세팅된 비틀어진 가요성 튜브를 볼 수 있다. 링(58, 59)의 앵글 내에는, 투명 시트(57) 위에 3개의 핑거 편들(60)이 120°각도로 떨어져서 고정된다. 플랜지(58) 아래에는 커터 유닛(61)이 고정된다. 이 유닛은 상부 작동부(62)와 하부 테이퍼 슈우(shoe)(63)를 갖는데, 이들 사이에는 그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틈새가 남는다. 이 틈새의 폐쇄된 끝 부분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된 플랜지(50)에 최대한으로 가깝게 금속 커터날(64)이 고정되는데, 이 커터날은 뚜껑(31)을 제거할 때에 사람의 손가락들에 어떠한 부상을 가하지 않도록 차폐되어 있다. 뚜껑의 주재료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이다.
커터 유닛(61)을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크(56)를 핑거 편들(60) 또는 다른 적절한 핑거 편들에 의하여 완전한 1회전에 걸쳐 회전시킨다. 이러한 이동에 있어서, 테이퍼 슈우(63)는 최상단의 비틀어 매진 봉함부(30)로부터 코어(1) 쪽으로 바깥으로 벌어진 가요성 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주름진 팽팽한 부분(65)을 관통한다. 디스크(56)를 더 회전시키면, 커터날(64)이 튜브 재료의 둘레에서 코어(1) 상에 남아있는 가요성 튜브로부터 최상단 꾸러미를 깨끗하게 분리 절단하게 된다. 커터 유닛은 120°간격으로 작동 가능하고 손가락으로 해제 가능한 디텐트(detent)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개선으로, WO99/3995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하나, 폐기물 저장용기용 힌지식 뚜껑이 일체로 형성된 커터를 기재하고 있다. 힌지식 뚜껑은 아래로 회동하여 용기를 폐쇄하고, 그 결과 커터가 튜브와 자동으로 맞물려 단순화된 절단 장치를 가능케 한다.
기저귀 폐기물의 저장을 위하여 설계된 또 하나의 공지의 장치가 WO2005/042381(Sangenic International Limited)에 기재되어 있다. WO2005/042381에 따르면, 폐기물 용기는 전술된 바와 같은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수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폐기물 용기는 카세트가 폐기물 꾸러미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폐기물 꾸러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파지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폐기물 꾸러미의 상단에 비틀어 매진 봉함부를 형성하는데, 이 비틀어 매진 봉함부도 역시 처리할 다음 폐기물을 포장하기 위한 긴 튜브의 베이스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공지의 타입의 장치의 부분절개 측면도이고;
도 2는 공지의 타입의 다른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며;
도 3은 공지의 타입의 절단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대안적 폐기물 저장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뚜껑이 개방된 형태의 도 4의 폐기물 저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폐기물 저장장치의 커버의 상단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 내지 도 6의 폐기물 저장커버용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 내지 도 7의 폐기물 저장장치의 폐기물 카세트 수납 챔버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4 내지 도 8의 폐기물 저장장치용 폐기물 저장카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뚜껑이 개방되고 폐기물 저장카세트가 그 안에 수납된 형태의 도 4 내지 도 9의 폐기물 저장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대안적 폐기물 저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장치에서 카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가능한 디스크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카세트를 탑재한 도 12의 회전가능한 디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장치용 커터와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뚜껑 및 커터 조립체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1의 장치에 사용되는 상부 파지 막의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11의 장치의 하부 가이드 막의 평면도이고;
도 18a는 본 발명의 양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8b는 도 18a의 양태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이며;
도 19b는 막이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도 19a에 상응하는 또 다른 사시도이ㄱ고;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카세트의 단면도이며;
도 21a는 공지의 방안에 따른 회전 링의 단면도이고;
도 2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회전 링의 단면도이며;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대안적 회전 링의 단면도이고;
도 22a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플랜지의 사시도이며;
도 22b는 도 22a의 플랜지의 측면도이고;
도 22c는 도 22a와 도 22b의 플랜지용 수납 슬롯의 개략도이며;
도 22d는 도 22c의 슬롯에 수납된 플랜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3a는 본 발명의 대안적 막을 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3b는 도 23a의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23c는 대안적 장치의 절개도이며;
도 23d는 꾸러미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폐쇄된 형태의 도 23a 및 도 23b의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23e는 꾸러미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부분적으로 폐쇄된 형태의 도 23a 및 도 23b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4b는 개방된 형태의 도 24의 뚜껑의 사시도이며;
도 24c는 도 24a의 뚜껑 장치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통기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폐기물 저장장치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알아볼 수 있다. 폐기물 저장장치(100)는 제거가능한 커버(104)를 갖춘 폐기물 저장 챔버(10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커버(104)는 폐기물들을 봉함하기 위한 가요성 튜브를 갖는 폐기물 저장카세트를 수납하기 위한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를 포함하고, 가요성 튜브에 봉함된 폐기물 꾸러미를 생성하기 위하여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에 대하여 폐기물 저장카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폐기물 저장챔버(102)와 제거가능한 커버(104)는 탭 및 이와 연동하는 리세스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하여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제거가능한 커버(104)는 뚜껑(106)을 포함한다. 뚜껑(106)은 사용자에게 커버(104)의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커버(104)에 힌지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뚜껑(106)이 개방위치에 있는 폐기물 저장장치(10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뚜껑(106)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플런저(108)가 연장된다. 플런저는 뚜껑의 이동이 플런저의 이동을 제공하도록 뚜껑에 대하여 고정된다. 플런저(108)와 뚜껑(106)은 플런저(108)의 연장방향을 따라 공통의 중심축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108)는 뚜껑(106)에 의하여 덮여진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갖는 중공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108)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고, 그 하단을 향하여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테이퍼진다. 이러한 테이퍼는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106)이 닫힐 때에 제거가능한 커버(104) 내에 형성되는 목구멍 부분(throat) 또는 기타 폐기물 구멍 내로 플런저(108)를 삽입하기 위한 틈새를 제공한다. 플런저(108)는 뚜껑(106)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나사결합 또는 스냅 결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상호 맞물림 수단에 의하여 뚜껑(106)에 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런저(108)의 상단을 덮는 뚜껑(106)의 부분이 제거가능할 수 있다.
플런저(108)를 지지하고, 뚜껑(106)이 자중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106)의 하면 상에 다수의 지지 리브들(107)이 구비된다. 지지 리브들(107)이 플런저(108)의 상단의 원주 둘레로 서로 이격되고, 각 지지 리브(107)가 그로부터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뚜껑(106)은 그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환형 플랜지(109)를 포함하는데, 이 환형 플랜지 (109)는 부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말단 쪽으로 지지 리브들(107)과 교차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거가능한 커버(104)를 좀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폐기물 저장용기의 커버(104) 내에는, 폐기물 저장카세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가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는 각기 커버(104)의 하면 아래로 연장되는 원통형 내벽(134)과 외벽(139)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을 포함한다.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내벽(14)은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기물이 폐기물 저장챔버(102) 내로 통과될 수 있는 통로 또는 목구멍 부분을 내부에 형성한다.
커버(104)는 돔(dome) 형상이고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가 커버(104)내의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기에 충분한 깊이의 벽들을 가지며,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는 상기 벽들 아래로 상당히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104)가 폐기물 저장챔버(102)에 부착될 때에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와 폐기물 카세트(172)가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 내에서 불필요하게 공간을 점유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최대로 가능한 개수의 폐기물 꾸러미들이 폐기물 저장챔버(102) 내에 효과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외벽(138)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커버(104)의 상면 상에는, 제1 및 제2 파지부들(105)이 구비된다. 파지부들은 뚜껑(106)과 커버 사이의 힌지 부착부의 어느 한쪽에 위치되어 커버(104)의 상면에 있는 곡선형 오목부들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 사용자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듯이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에서 카세트를 회전시키는 동안 한쪽 손으로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105)를 붙잡을 수 있다. 파지부(105)들은 사용자의 손에 인체공학적으로 잘 들어맞고, 사용자가 폐기물 저장장치(100)를 수동 조작하는 동안 장치(100)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내벽(134)과 외벽(138)은 챔버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의 횡단면을 제공하는 단일 편(piece)으로 성형된다. 대안적으로,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외벽(138)만이 커버(104)와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104)의 하부로부터 아래로 매달리고, 바람직하게는 그 베이스(base)에 환형 플랜지를 구비하는데, 이 플랜지(140)는 대략 외벽(138)과 수직하게 그 안쪽으로 연장된다. 외벽(138) 내에는 별개의 크라운(crown)(142)이 삽입될 수 있는데, 이 크라운(142)은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내벽(134)을 한정하고, 플랜지(140)의 가장 안쪽 둘레와 대략 일치하는 둘레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142)은 내벽(134)을 형성하는 원통형 벽(160a)과 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환형 플랜지(160b)를 포함한다. 크라운(142)은 예컨대 커버(104)의 대응 슬롯들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 벽(160a)의 외면 상의 클립들 또는 돌기들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연동 맞물림 수단에 의하여 외벽(138)에 또는 베이스 외벽(138)의 환형 플랜지에 스냅 장착되거나 기타의 방식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에는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가 구비된다.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는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벽들과 대략 동심상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벽(150), 그 벽(150)에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어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내벽(134)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끝나는 림(rim) 또는 환형 베이스(152), 및 커버(104)의 상면 상에 정착되도록 벽(150)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환형 림(15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림(154)은 뚜껑 (106)의 하면 상의 맞물림 리브들(113)과 연동하는 2개의 리세스들(135)을 그 둘레에 포함한다. 특히, 리세스들(135)은 맞물림 리브들(113)을 수납하도록 배치되고, 그에 따라 사용시에 뚜껑(106)을 완전히 닫아서 커버(104)에 로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맞물림 리브들(113)을 리세스들(135) 내로 삽입하도록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를 정렬하여야 한다. 이러한 정렬은 폐기물 저장장치(100)를 다음에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를 작동하기 위한 출발 위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는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에서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를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핸들(156)을 그 환형 림(154) 상에 더 포함한다.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기물 저장카세트(172)를 지지 및 수납하고,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카세트(172)를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배치된다.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는 환형 림(154)의 안쪽 둘레를 따라 2개의 초승달 형상의 중공부들(137)을 더 포함한다. 이 중공부들(137)은 바람직하게는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 상에 지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사용시에 사용자가 회전자(136)로부터 카세트(172)를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자(136)에 수납된 카세트(172)를 손으로 파지할 공간을 제공한다.
도 9는 폐기물 저장장치 내에 사용하기 위한 폐기물 저장카세트(172)를 도시하고 있다. 폐기물 저장카세트(172)는 하단에서 베이스에 의하여 연결되어 대략 U형 횡단면을 형성하는 환형 내벽(174)과 외벽(176)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카세트(172)의 내벽(174)과 외벽(176) 사이의 카세트 하우징에는 가요성 튜브가 수납될 수 있다. 가요성 튜브는 카세트 하우징 내의 공간 사용을 최적화하고 가능한 한 많은 튜브를 카세트(172)에 제공하기 위하여 카세트 하우징 내에 적층되거나 또는 주름 잡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176)의 상부 에지로부터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플랜지(178)가 연장된다. 플랜지(178)는 카세트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인 커버를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튜브에 하향 압력을 가하여 가요성 튜브를 하우징에 가능한 한 촘촘하게 채워진 상태로 유지한다. 플랜지(178)의 외부 림과 내벽(17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주 갭(gap)(177)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벽(174)을 타고넘어 가요성 튜브를 잡아당기기 위하여 가용성 튜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내벽(174)은 최소의 마찰을 제공하도록 그 상부 에지들에 둥그스름한 프로파일을 갖고, 그에 따라 상부 에지들을 타고넘는 가요성 튜브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178)는 카세트(172)의 외벽(176)으로부터 내벽(174) 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내향 돌기들 또는 돌출부들(179)을 포함하는데, 그 돌기들 또는 돌출부들 사이에 있는 다수의 갭들(177)은 가요성 튜브가 카세트 하우징 아래로부터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178)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외벽(176)에 클립 결합, 스냅 결합, 또는 맞물릴 수 있다. 플랜지(178)의 외부 에지는 가요성 튜브가 그 위를 타고넘을 때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폐기물 저장카세트(172)가 폐기물 저장장치(100)의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에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카세트(172)는 바람직하게는 그 외면상에서 돌출부(173)을 매개로 하여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의 림 또는 환형 베이스(152)로부터 매달리도록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카세트(172)는 그 베이스에서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의 림 또는 환형 베이스(152)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폐기물 저장장치(100)에 카세트(172)를 사용하기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카세트(172)에 수납된 가요성 튜브에 접근하여 그로부터 일정 길이의 튜브를 잡아당기고, 튜브의 단부에서 매듭을 묶는다. 그 결과, 폐기물 저장장치(100)의 목구멍 부분에서 카세트(172)의 내벽(174)의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봉함된 튜브 중공체가 형성된다. 이때, 폐기물 저장장치(100)와 카세트(172)는 튜브의 중공체 내에 폐기물품을 삽입할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일단 사용자가 튜브의 중공체에 폐기물품을 위치시키면, 이어서 사용자는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 상의 핸들(156)을 작동시킨다.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의 회전은 그 위에 위치된 카세트(172)의 회전을 일으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 저장카세트(172)와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는 폐기물 저장카세트(172)가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와 동기로 회전하는 것을 확보하는, 러그(lug)와 리세스 장치와 같은 연동하는 상호 맞물림 수단을 포함한다. 상호 맞물림 수단은 돌출부(173)의 하면과 같은 카세트(172)의 바닥 외면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호 맞물림 수단은 카세트(172)의 내벽(134)의 외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폐기물 저장카세트(172)는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에 의하여 지지 및/또는 수납되기 때문에 간단히 폐기물 카세트 회전자(136)와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튜브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파지기구가 환형 내벽(134)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플런저의 작동
뚜껑(106)이 닫히면, 폐기물 저장장치(100)와 카세트(172)의 다음 사용을 준비하도록 플런저(108)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런저(108)가 폐기물 카세트 수납챔버(132)의 내벽(134)과 개방된 파지조립체에 의하여 형성된 목구멍 영역에 있는 개구부를 통하여 집어 넣어지기 때문에, 플런저가 앞서 형성된 폐기물 꾸러미(들)를 목구멍 부분을 통하여 폐기물 저장챔버(102) 쪽으로 아래로 밀어 내린다. 동시에, 이에 의해 추가의 가요성 튜브가 폐기물 저장카세트(172)로부터 계량적으로 분배되게 된다. 그 결과, 플런저(108)는 앞서 형성된 폐기물 꾸러미(들) 위에 가요성 튜브의 중공체를 생성하는데, 이 중공체의 베이스는 앞서 봉함된 폐기물품 위에서 비틀어 매지는 튜브에 의하여 형성된다. 사용자가 다음에 폐기물 저장장치(100)의 뚜껑(106)을 개방하면, 플런저(108)가 형성한 중공체에 바로 폐기물품을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속 폐기물품의 저장을 위하여 카세트(172)를 준비할 어떠한 추가적 조치도 취할 필요가 없고, 일단 뚜껑(106)이 재개방되면, 사용자가 앞서 형성된 폐기물 꾸러미(들)를 수작업으로 폐기물 저장챔버(102) 속으로 밀어 내릴 필요도 없게 된다.
플런저(108)는 추가의 튜브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일이 전혀 없이 폐기물 기저귀를 포함하는 폐기물품을 수납하고 기저귀 위에 비틀어 매진 봉함부를 형성할 수 있기 충분한 크기의 튜브의 새로운 영역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단일의 폐기물 저장카세트(172) 내에 저장된 가요성 튜브로부터 최대로 가능한 개수의 폐기물 꾸러미들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여 카세트를 보다 경제적이자 환경 친화적으로 만든다.
예컨대,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폐기물 저장장치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폐기물 저장 장치는 핸들(202)을 갖춘 회전식 스피너(spinner) 또는 디스크(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크(200)는 용기(221) 상의 구성물의 환형 림(204) 상에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카세트(201)는 쇼울더(204) 상에 정착된 그 외벽 둘레에 환형 플랜지(206)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디스크(200)의 회전이 카세트를 회전시켜 튜브(202)에 비틀어 매진 부분을 제공한다. 대안적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카세트 상의 환형 플랜지(206)는 용기 자체의 구성물 상에 정착되고, 디스크(200)는 카세트의 노치(notch)들과 같은 연동 구성물들과 맞물리는 러그들과 같은 구성물을 포함한다. 어느 경우에서나, 적은 회전저항으로 카세트를 회전시키는 더욱 간단한 수단이 제공된다.
용기(221) 상에는 힌지식 뚜껑(270)이 더 구비된다. 힌지식 뚜껑(270)은 뚜껑(270)을 닫아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방식으로 튜브를 절단할 수 있도록 했을 때에 깔대기(212)에 맞대어 튜브(202)를 맞물리는 일체형 커터(25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터의 특정의 구성에 대해서는 좀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용기는 카세트 아래에서 용기(221)의 목구멍 부분에 구비된 용기 상의 적절한 구성물들 상에 장착되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파지막(gripping disphragm)(220)과 하부 가이드막(222)을 포함한다. 상부 파지막(220)은 예컨대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원형이거나 돌출부가 달린 원형일 수 있는 중심 개구부를 갖고, 회전 디스크(200)에 의한 카세트의 회전에 맞서 꾸러미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하부 가이드막(222)은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꾸러미(235)를 밀어 통과시킬 때에 그 꾸러미가 용기(221)의 측면 쪽으로 유도되어 그 측면에 맞물림으로써 꾸러미의 회전 및 그에 따른 비틀어 매어지지 않음을 방지하는 V형 슬릿을 구비한다. 하부 가이드막(222)이 꾸러미(235)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가로 끼워 넣은 내벽 또는 세로홈이 파인 부분(221a)을 갖는 측면 쪽으로 꾸러미(235)를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힌지식 뚜껑과, 회전 디스크, 카세트, 및 상부와 하부 막들은 모두 용기(22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데, 이 상단부는 용기(221)에 저장된 폐기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용기(221)의 하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2개의 부분들은 적절한 캐치 수단에 의하여 한데 유지되고, 선택적으로 캐치는 용기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일체형 핸들도 또한 제공한다.
회전식 디스크와 카세트 조립체를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식 디스크(200)는 사용자가 디스크(200)를 쉽게 회전시키도록 그 위에 핸들(202)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 포스트를 탑재한 상부 링(210)을 포함한다. 상부 링(210)으로부터 원통형 외벽(212)이 매달리는데, 그 외벽의 하면은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의 지지면 상에 지지된다. 상부 링(210)의 내부 에지로부터 원통형 내벽(214)이 매달리는데, 그 내벽은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201)를 지지하는 쇼울더(204)를 그 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안쪽으로 돌출한 환형 지지플랜지(215)를 구비한다. 카세트(201)는 지지플랜지(215) 상에 정착되는 바깥쪽으로 돌출한 환형 지지플랜지 또는 립(lip)(216)을 그 외벽에 구비한다. 또한, 원통형 외벽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러그(218)는 카세트(201)의 구멍 또는 리세스(219)와 맞물려 완전한 회전 맞물림을 보장한다. 리세스(219)는 예컨대 제조 과정 동안 튜브가 카세트 내에 삽입될 때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통기공(vent)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대안적으로, 카세트는 회전식 디스크(200) 상의 연동 러그 또는 다른 구성물과 맞물리는 축방향으로 향한 다수의 리브들을 그 외부 둘레에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링(210)은 사용자가 튜브에 접근하여 그 튜브를 카세트의 중앙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도 또한 거의 소진되었을 때를 이를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재고 소진 지시자로서의 채색 또는 다른 지시자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힌지식 뚜껑(37)이 바깥 아래쪽으로 굽어진 외주 립(352)과, 위쪽으로 돌출하는 내부 원통형 가이드 립(304)이 달린 대략 수평한 내부 환형 플랜지(302)를 갖는 중앙 원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향 돔 형상의 내주 부분(354)을 구비하는 디스크형 림 부분(350)을 포함하는 것을 상세히 알 수 있다. 커터(357)는 힌지식 뚜껑 가이드 립(304)에 맞대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절한 파지부분들(도시도지 않음)을 갖는 대략 원형의 몸체와, 가이드 립(304)에 맞대어 맞물리는 연동 내부 립(308)으로 이뤄지는 핸들부(306)를 구비한다. 핸들부(306)로부터 매달리는 커터부(310)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커터날(도시되지 않음)을 탑재한 슈우(314)가 그로부터 돌출하는 원통형 디스크(312)를 포함한다. 핸들부(306)의 회전에 의해 커터부(310)가 튜브에 대하여 회전하여 슈우(314)가 커터날까지 올라온 튜브(2)를 붙들게 되고, 커터의 계속된 회전에 의하여 튜브(20가 절단되게 된다. 가장 적합한 것은 2개의 커터날들과 각각의 슈우들이 커터의 둘레에 180°간격으로 구비되어 커터의 1회전으로 튜브 필름이 전 범위에 걸쳐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뚜껑의 아래쪽으로부터 바라본, 힌지식 뚜껑(370)에 구비된 오조작 방지 탭(tamper proof tab)(320)을 더욱 상세히 알아볼 수 있다. 이 오조작 방지 탭(320)은 예컨대 뚜껑 재료의 탄성에 의존하여 뚜껑에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하향 손가락 압력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편향되어 있다. 오조작 방지 탭(320)은, 커터 핸들부(306)의 하단 하면(303) 상의 대응 돌출부(324)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텅(tongue)(322)을 포함한다. 탭을 누르면, 돌출부(324)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이 돌출부(324)가 360°둘레를 회전하여 탭 텅(322)에 맞대어 멈출 때까지 탭이 해제된 상태로 커터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360°1회전이 허용되어 사용자가 완전한 절단이 이루어진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파지막이 중앙 개구부(402)를 갖는 본체(400)를 포함하는 것을 상세히 알아볼 수 있다. 중앙 개구부(402)는 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프로파일의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원형 개구부(402)가 다수의 로브들(304)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본체(400)가 개구부(402) 내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 핑거들(406)을 구비하여 연속적인 맞물림 면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면서도 부가의 가요성을 제공하는 것을 알아볼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파지막(420)은 꾸러미가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에 유지될 때 확연한 맞물림 느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장치가 파지된 꾸러미 위에서 튜브를 비틀어 맬 준비가 되어 있음을 촉각에 의한 피드백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핑거들과 같은 개구부 외주에 의하여 제공되는 효과적으로 연속된 맞물림은 절단동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커터가 튜브의 헐거운 부분들을 덜 만나도록 튜브가 그 둘레에 걸쳐 일관되게 파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 가이드막(522)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V형 개구부(502)를 포함하는 본체(500)로 이뤄지는데, V형 개구부는 중심을 벗어나 구비되어 그 선단이 본체(500)의 둘레에 인접하는 삼각형 플랩(504)를 형성한다. 그 결과, 개구부(502)를 통해 아래로 눌려지는 꾸러미들이 플랩에 의해 전체적으로 그 아래의 용기의 벽을 향해 플랩의 선단 쪽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꾸러미는 용기에 매달려 있는 동안 비틀어 매어지지 않는 일이 없도록 용기 벽에 맞대어 유지된다. 개구부(502)가 장치의 가요성을 향상시켜 막을 통해 눌려지는 꾸러미에 부가의 안내를 제공하는 다수의 핑거들(506)들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아볼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폐기물 저장장치들과 전술된 타입의 카세트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적절한 임의의 폐기물 저장장치들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8a와 18b를 참조하면, 폐기물 저장장치는, 하우징(604)의 고정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링(602)을 구비한 회전부를 포함한다. 폐기물 저장카세트는 회전링(602)에 수납 및 장착되어 전술된 방식으로 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탭 또는 돌출 스트립(601)을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부분이 하우징(604) 상에 장착되어 회전링(602)의 회전을 방지하는 비변형 위치(도시된 바와 같은)와 회전링(602) 및 그에 따른 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변형 위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변형가능한 부분은 회전링(602)의 개구부(603)를 통하여 돌출한다. 특히, 돌출 스트립(601)은 필름 카세트를 수납하는 공간(604) 내로 아래쪽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돌출 스트립(601)은 회전링(602)의 슬롯(603)을 통하여 돌출하고, 슬롯의 폭 보다도 작은 폭을 갖는다. 슬롯은 돌출 스트립이 비변형 위치에서 챔버(604) 내로 돌출할 정도로 충분히 높다. 돌출 스트립(601)이 슬롯(603)을 통하여 연장되면, 회전링(602)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는 사용자 친화적인 작동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컨대 카세트와 회전링의 회전에 의해 파지 장치가 부가적으로 제공 및 작동되는 미리 정해진 출발위치에 회전링이 있는 상태로 필름 카세트가 회전링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돌출 스트립은 그 비변형 위치에서 회전링을 위치시키고 그 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전링이 회전할 염려 없이 매번 동일한 출발위치에서 카세트를 회전링 내에 설치할 수 있고, 이는 다시 장치의 최적의 작동과 예컨대 임의의 해당 파지장치가 방해를 받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카세트가 설치되면, 카세트의 외벽이 돌출 스트립(601)을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돌출 스트립이 더 이상 슬롯(603)을 통하여 돌출하지 않는 위치로 돌출 스트립을 변형시킨다. 그 결과, 회전링과 카세트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카세트가 파지장치와 같은 다른 특징적 요소들과 연동하도록 배치된 특징적 작동 요소들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는 작동 요소들이 항상 동일한 원주위치에서 출발하도록 회전링의 잘못된 회전 없이 카세트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폐기물 저장장치 수납챔버(612)는 카세트와 연동하는, 예컨대 카세트의 외벽의 하단의 외주와 연동하도록 배치된 핀 또는 리브의 형태의 가이드 구성물(611) 또는 회전경로 상에서 카세트를 안내하는, 카세트 베이스 상의 가이드채널과 같은 가이드 구성물을 갖는 베이스 면(613)을 포함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핀들(611) 또는 리브들(614)은 필름 튜브의 카세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공동(612) 내에서 베이스 면(613)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핀들 또는 리브들은 카세트가 회전할 때에 카세트를 위치시키고 안내할 수 있다. 핀들은 환형 카세트 베이스의 내벽 또는 외벽을 위한 외주 또는 내주 경로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핀들 또는 리브들은 카세트의 내벽 또는 외벽의 중간에 원주방향 경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핀들 또는 리브들은 카세트 경로의 베이스에 있는 환형 홈 또는 홈들 내에 위치하여 카세트의 회전 시에 카세트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면은 비틀어 매진 봉함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필름 튜브 내의 폐기물 꾸러미를 회전하지 않게 유지하는 도 16에 도시된 타입의 파지장치를 포함하는 막(615)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 필름을 비틀어 매기 위하여 카세트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때, 카세트의 비원형(noncircular) 이동이 최소화되게 된다. 그와 같이 하지 않는다면, 회전 중의 그러한 비원형 이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카세트를 회전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는데, 이는 제조 공차 및 사출 성형수단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벽들에 구배(draft angle)를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이 곧 비원형 이동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요동과 같은 불필요한 비원형 이동을 최소화하도록 공동 내에서의 카세트의 회전이 제어되고, 카세트의 회전이 보다 쉬워지게 된다.
도 20에 도시된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폐기물 저장장치는, 카세트(648)가 수납되는 폐기물 저장카세트 수납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640)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카세트는 그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장착부를 예컨대 상단(644)에 포함하는데, 이 장착부는 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고정부 상에 장착된다.
카세트(648)는 전술된 바와 같이 튜브형 필름 저장 공동(649)을 한정하는 외벽(642)과 내벽(647) 및 베이스를 포함한다. 플랜지(646)는 내벽(647)의 상단에 고정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카세트 내에 필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동(649) 위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플랜지는 외벽(642)의 상단에 고정되어 공동 위로 안쪽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카세트의 외벽의 상단 섹션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640)와 같은 고정부 상에 놓여 카세트가 하우징 내에서 다시 회전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대략 환형 형상의 외부 플랜지(644)는 카세트 외벽(642)의 상부 림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고 고정부(640)의 상면(650) 상에 정착된다. 이 고정부의 상면(650)은 단순히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형 지지 면일 수 있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듯이 추가로 아래쪽으로 매달린 벽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면(650)은 그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환형 링 또는 리브를 갖고, 그 위에 플랜지(644)가 정착되어 카세트와 하우징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회전을 제공한다.
고정부가 상면(650)의 내부 에지로부터 아래로 매달린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원통형 부분은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쇼울더에서 끝나는 각진 상면을 갖는 안쪽으로 연장된 환형 리브(641)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648)는 카세트의 외벽(64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환형 리브(643)의 형태의 연동 구성물을 포함한다. 환형 리브(643)는 위쪽으로 향하는 수평부를 갖는 쇼울더를 형성하는 각진 또는 굴곡진 하면을 포함한다.
작동 시, 카세트는 하우징 내로 밀어 넣어지고, 카세트의 외벽(642) 상의 안쪽으로 향한 환형 리브(643)는 하우징 본체의 고정부 상의 안쪽으로 연장된 환형 리브(641)를 타고 넘어가 그 환형 리브(641)에 의해 속박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리브들은 카세트를 설치할 때에는 서로 지나쳐 슬라이딩할 수 있으나 다른 방향으로는 하우징으로부터 카세트가 쉽게 제거되는 것이 수평면들의 접촉에 의하여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의 결과, 회전링을 필요로 하는 도 5에 나타낸 타입의 장치들이 없어도 무방하게 된다. 그러한 공지의 구성에서는, 공급해야 할 부품이 2개이다. 즉, 카세트 자체와 이 카세트가 장착되는 회전링을 공급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구성에서는, 교체 부품들이 요구되는 경우에 하우징을 구비한 회전링이 카세트와 함께 버려질 우려가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에 따르면, 부품들이 더 적고, 그에 따라 제조 및 조립이 덜 복잡하고 하우징의 제조에 재료가 덜 든다. 또한, 회전링이 카세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우발적으로 회전링이 버려질 우려가 없다.
도 21a 내지 도 2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1과 유사한 방식으로, 폐기물 카세트 저장챔버(635)는 전체적으로 회전가능 부분 또는 회전링(62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러면, 카세트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카세트 장착벽 또는 베이스 플랜지(630) 상에서 회전링(620) 상에 지지된다.
도 21a에 도시된 공지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링(620)은 고정부 상에 정착된 상부 플랜지(625)를 상단에 갖고 안쪽으로 돌출하되 바깥으로 연장된 외부 리브(629)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랜지(630)을 하단에 갖는 수직 환형 벽(621)을 포함하는데, 외부 리브(629)는 유효하게 베이스 플랜지(630)의 연장선을 이루는 동일한 깊이의 평탄한 상면(622)을 갖는다. 회전링은 카세트가 베이스 플랜지(630)의 내부 에지 상에 정착되어 회전링에 유지될 수 있도록 폐기물 저장통(tub)(635)에 설치된다. 회전링은 외부 리브(629)가 저장통 벽(635)의 내부 리브(623)를 넘어 슬라이딩하도록 회전링을 아래로 밀어 넣음으로써 설치된다. 안쪽으로 연장된 리브(623)는 외부 리브가 내부 리브를 통과함에 따라 통과된 외부 리브를 편향시켜 디텐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각진 하면을 갖는다. 안쪽으로 연장된 리브(623)는 회전링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평탄한 하면(628)을 갖는다. 회전링(620)의 플랜지(625)가 정착되는 저장통 벽(635)의 상면에 좁은 원주 링(627)을 구비함으로써 회전링(620)의 회전이 개선된다.
도 21a에 도시된 공지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링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회전링을 위쪽으로 잡아당겨 외부 리브(629)가 변형되어 저장통 본체의 내부 리브(623)를 넘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대체로 쉽게 회전링이 제거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회전링을 우발적으로 또는 실수로 제거하여 처분할 수도 있고, 이는 교체를 요한다.
도 21b에 도시된 개선된 제1 양태에 따르면, 회전링(620) 상의 외부 리브(629)가 분리력의 인가 시에 그 변형을 막기에 충분한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회전링의 우발적인 제거가 방지된다. 특히, 변형이 더 어렵게 되도록 외부 리브의 평탄면을 위로 올려 외부 리브를 강화한다. 예컨대, 외부 리브(629)의 깊이가 회전링의 플랜지(630)의 깊이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1b에 도시된 구성과는 별도로 또는 그와 연계하여 제공될 수 있는 도 21c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외부 리브(629)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노우즈(nose) 부분(633)를 갖는 한편, 저장통 벽(635) 상의 내부 리브(623)는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돌출 노우즈 부분(633)의 반경 방향의 안쪽으로 구비되는 노우즈 부분(632)을 갖는다. 예컨대, 이 돌출 부분들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분리저항을 제공하도록 연동하는 구성물들을 제공하는 각 부품들 상의 환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내부 및 외부 리브들의 각각의 평탄면(622, 628)을 상보적인 티텐트 면들(632, 633)을 제공하도록 변경함으로써, 외부 리브(629)의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노우즈 부분(632)의 수직면은 위쪽 바깥쪽으로 각지고 이와 마주보는 노우즈 부분(633)은 상보적으로 반경방향의 안쪽 아래쪽으로 각지게 되어 분리력의 인가 시에 회전링의 외부 리브(629)를 밀어내도록 작용하며, 그에 따라 회전링의 어떠한 상향 이동도 회전링을 저장통 본체에 보다 더 견고하게 걸어 매도록 작용하게 되어 회전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2a 내지 도 22d를 참조하면,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타입의 카세트를 위한 상단 벽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세트는 예컨대 환형 형상의 베이스부와 함께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측벽들을 형성하는 그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내벽 및 외벽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플랜지(670)의 상단 부분은 내벽 및 외벽 중의 하나에 있는 대응 리세스들과 베이어닛 피팅(bayonet fitting)을 형성하는 돌기들(peg)(672)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플랜지(670)는 전체적으로 베이스부와 대향하고, 남는 틈새를 통해 튜브를 통과시키면서 튜브를 수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세트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670)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그 외부 에지(671)로부터 돌출하는 핀들 또는 돌기들(672)들을 구비한다. 예컨대, 3개 또는 4개 이상의 핀들이 구비된다. 핀들은 핀을 카세트의 외벽(673)에 있는 베이어닛 타입의 결합 슬롯(674)에 위치시킴으로써 플랜지가 카세트의 외벽(673)에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한다. 슬롯(674)은 대략 J자 형상으로서, 수직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단부 섹션을 원주방향으로 가져서 슬롯이 돌출 섹션(675)에 의하여 그 중심에서 유효하게 좁아지게 된다. 물론, 카세트의 외벽에 플랜지를 부착하는 것을 향상시키도록 적절히 구성된 다수의 슬롯들이 동시에 여러 위치들에 있을 수도 있다.
플랜지는 모든 핀(672)들이 아래로 슬롯(674)을 통과하도록 플랜지를 내리누름으로써 설치된다. 이어서, 핀들이 돌출 섹션(675)에 의하여 제공된 좁은 섹션을 통과하도록 플랜지 또는 카세트를 약간 회전시킨다. 이어서, 플랜지를 들어올려 좁아진 섹션(675)과 접한 슬롯의 단부(676)에 유지되도록 하여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와 같이 들어올리는 동작은 예컨대 플랜지를 해제하여 카세트 본체 내의 압축된 필름이 플랜지를 위쪽으로 누르도록 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물론, 그 대신에 핀들(672)이 플랜지(67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카세트의 내벽 상의 J형 연동 슬롯들에 장착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카세트 벽 둘레에 있는 슬롯의 방향은 카세트의 회전 및 필름과 플랜지에 작용하는 비틀림 힘이 분리력을 제공하기보다는 오히려 핀들을 슬롯 내로 밀어넣는 성향이 가지는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그 결과, 디텐트 타입의 탭들을 카세트의 벽에 있는 구멍들에 위치시킨 후에 플랜지를 용접하거나 압입 끼워 맞춤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들에 비해 좀더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부착방법이 제공된다. 예컨대, 필름은 용접 부분에 걸리는 한편 탭들과 구멍들에도 마찬가지로 필름이 걸려 잠재적으로 필름이 찢어질 수 있음이 밝혀졌다. 베이어닛 피팅을 제공함으로써, 부착 구성물이 완전히 필름의 밖에 있어 필름이 그에 걸리지 않으므로, 필름을 찢거나 뜯을 수 있는 어떠한 날카로운 에지들을 필름에 노출된 채 남지 않게 된다.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여, 대안적 막 구성을 예컨대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과 대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3a와 도 23b를 참조하면, 폐기물 저장카세트 수납챔버 또는 공동은 폐기물을 덮어싼 튜브가 통과될 수 있는 외부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 개구부는 예컨대 중앙 오리피스가 달린 대략 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아래쪽 안쪽으로 연장된 핑거들을 갖는 튜브 맞물림 기구(652)를 포함한다. 이러한 막(652)은 사이사이에 틈새들을 형성하고 막의 중심에 약간 못 미쳐 끝나서 대략 원형의 중심 개구부를 남기는 이격된 핑거들(653)이 그로부터 안쪽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천공도지 않은 또는 연속적인 반경방향 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막들 또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공지의 방법들과 그에 대응하는 재료들은 일정한 굽힘력(flexing forces)으로부터 유발되는 파손 문제들을 겪고 있다. 마찬가지로, 공지 구성들의 평탄한 정향(orientation)은 밀치고 나가는 것(pushing through)에 대한 저항이 불충분하여 덮어싸진 폐기물이 곧바로 밀쳐 나갈 수 있어 회전 중에 정확하게 유지될 수 없음을 의미하고, 이는 다시 다수의 막들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제조비용 및 복잡성에 추가하여 비효율적인 필름 사용을 수반하고 있다.
아래쪽으로 각진 안쪽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핑거들(653)을 사용함으로써, 최적으로 꾸러미가 유지되게 된다. 핑거들(653)은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PE) 또는 각 재료의 물성들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합한 플라스틱과 TPE 재료들의 혼합물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아래쪽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더불어 재료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핑거(653)들이 임의의 크기의 꾸러미를 붙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필름 카세트가 회전하여 비틀림 봉함부를 부여하는 동안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에서, 핑거들은 필름 자원이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회전하면서 필수적인 비틀림 봉함부들 또한 부여는 막 또는 파지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안쪽 아래쪽으로 돔 형상으로 된 가요성 또는 굽힘성 재료의 핑거들을 제공함으로써, 본 구성은 전술된 플런저 구성(108)과 연계하여 사용될 경우에 특별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도 23d 및 도 23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꾸러미(35)가 장치 내에 삽입되어 핑거(653)들에 의하여 유지될 때, 뚜껑(106)을 닫으면 플런저가 핑거들과 아주 근접하게 옮겨져 꾸러미를 아래의 저장공간 내로 밀쳐 낸다. 플런저의 외면과 테이퍼진 핑거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필름 봉투는 플런저가 핑거들의 상부 부분들 사이의 틈새에 끼워 맞춰지되 그 폐쇄 위치에서 핑거들의 단부들과 맞물리도록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플런저는 내부에 폐기물품을 둘 가요성 튜브의 중공체를 생성함으로써 폐기물 저장장치와 카세트가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채비를 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에게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주고, 사용자가 추가의 가요성 튜브를 불필요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해준다.
폐기물 저장장치의 작동은 위생적인데, 왜냐하면 일단 폐기물품을 폐기물 통로 위에 형성된 가요성 튜브의 중공체 내에 두고 나면 사용자가 폐기물품과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사용자는 폐기물품을 폐기물 저장챔버 내로 유도하기 위하여 클램핑 수단을 통해 또는 이전 폐기물 통로 위의 필름의 비틀어 매진 부분 위로 폐기물품 또는 폐기물 꾸러미를 밀어넣을 필요가 없다. 그 대신에, 각 폐기물 꾸러미는 플런저에 의하여 폐기물 통로 내로 유도되는데, 플런저는 사용 후 장치의 뚜껑을 재위치시킬 때에 폐기물 꾸러미 위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비틀어 매진 부분 위를 누르게 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핑거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컨대 위치 설정 핀(653) 상에 초음파로 접합되거나 아교로 접착됨으로써 저장통에 고정되는 별개의 막(652)으로서 성형된다. 대안적으로, 핑거들은 저장통 조립체의 일부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핑거들은 완전히 가요성 재료로 될 수 있거나, 부가의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핑거들 내로 연장되는 플라스틱 골격과 같은 강성 지지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강성 지지 구조물은 그 상단에 핑거들이 고정되는 별개의 막 또는 저장통 몸체의 일부일 수 있거나, 핑거들과 강성 지지 구조물이 단일 편으로 공동 성형(co-moulding)될 수도 있다.
깊고 테이퍼진 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훨씬 더 양호한 제어가 제공되어 필름 사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되고 핑거들에 가해지는 응력이 덜하게 된다. 핑거 재료 물성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 TPE와 플라스틱 재료들을 혼합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핑거들(653)은 모든 크기의 꾸러미들, 예컨대 작은 기저귀들이 장치의 최적의 작동을 위하여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테이퍼진 핑거들은 막이 변하는 지름을 갖는 폐기물 꾸러미와 맞물릴 수 있게 한다. 좁고 깊은 중심 개구부(680)는 작은 꾸러미들이 돌출 핑거(653)들의 선단에 의하여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핑거들이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입구 오리피스로부터 상대적 작은 지름의 출구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를 향하여 안쪽 아래쪽으로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보다 큰 꾸러미들이 핑거들의 외부 단부에 더 가깝게 그들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핑거(653)들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핑거들의 구성과 그들의 가요 특성은 필름이 폐기물 꾸러미 위에서 비틀어 매어져 봉함되기 전 및 그와 같이 봉함되는 동안 폐기물 꾸러미들이 지지되는 한편(이에 의해 폐기물 꾸러미가 폐기물 저장챔버 내로 떨어져 카세트로부터 과잉의 필름이 분배되는 것이 방지됨), 핑거들이 새롭게 형성된 비틀어 매진 부분 상에 가해지는 플런저의 하향 압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어 폐기물 꾸러미가 폐기물 저장챔버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세트 수납챔버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내벽(655)과 외벽(656)을 포함하는 도 23c에 도시된 대안적 구성에서, 다수의 선택가능한 핑거(657)들, 예컨대 적어도 3개의 그러한 핑거들이 폐기물 저장카세트 수납챔버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환형 돌출부(658)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핑거들은 더 큰 각도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선단 부분과 함께 대략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예컨대 수직방향에 대해 5도의 각도로)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들이 예컨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플런저 구성과 연계하여 사용될 경우, 핑거들은 대략 플런저의 프로파일을 따를 수 있다.
핑거들이 상단 또는 입구 단부에 구비되든 하단 또는 출구 단부에 구비되든, 설명되는 방안은 여기에서 논하고 있는 개선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어느 경우에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뚜껑 로킹 구성과 예컨대 도 11 내지 도 1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구성의 개선책을 도시하고 있다. 폐기물 저장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카세트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카세트 수납챔버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고정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 또는 회전링를 포함한다. 폐기물 저장장치는 힌지 연결되고 챔버 위를 덮을 수 있는 뚜껑(660)을 포함하고, 예컨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튜브 절단용 커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뚜껑(660)과 회전링 (662)은 뚜껑(660)이 힌지를 매개로 닫힐 때에 맞물리거나 접촉하여 회전링(662)의 회전을 방지하는 리브들 또는 상호 맞물리는 테이퍼 표면들과 같은 연동 구성물들을 구비한다.
특히, 뚜껑은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이고, 수직으로 매달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닫힌 위치에서) 원통형 벽(661)을 그 원통형 외벽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그 하면 상에 포함한다. 뚜껑이 닫힌 위치에서, 원통형 벽(661)은 회전링(662)과 접촉하거나 맞닿는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원통형 벽(661)은 그 말단 표면상에 돌출 리브들 또는 돌출부(663a)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회전링(662)의 노치들 또는 오목부들(663b)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뚜껑이 내려올 때에 회전링이 움직일 수 없도록 한다. 물론, 리브들과 노치들의 위치는 반대로 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촉 또는 상호 맞물림 구성물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 구성에 따르면, 원통형 벽(661)과 회전링 사이의 간섭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원통형 벽(661)은 약간 안쪽으로 테이퍼져서 역시 적절히 테이퍼진 회전링의 원통형 내면 내에 쐐기 결합됨으로써 간섭 끼워 맞춤을 이룰 수 있다. 역시 대안적으로, 회전링(662)의 상면에 리브들이 구비될 수 있고, 원통형 벽(661)의 말단이 리브들과의 사이에 간섭을 이루게 된다.
회전링과 원통형 벽 사이에 끼워 맞춤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원통형 벽은 상기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적절히 카세트 플랜지, 외벽 또는 내벽과 맞닿아 상호 맞물리는 테이퍼진 벽들 또는 리브들과 노치들과의 간섭 끼워 맞춤을 제공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작동시, 뚜껑이 닫히고, 카세트가 완전히 비틀어 매진 부분이 형성되는 "정착 위치"를 갖는 경우, 리브들과 노치들(663a, 663b)이 자동으로 위치되게 된다. 어느 위치에서든, 회전링의 벽 또는 카세트와의 간섭 끼워 맞춤이 일어난다. 그러면, 커터가 회전하여 필름을 절단할 때, 카세트의 부가적인 회전 이동이 없게 되고, 이는 절단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고, 필름을 완전히 절단하기 위해 절단동작을 반복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양태로 개선된 카세트 구성이 제공된다. 도 25의 카세트는 기본적인 형태에 있어 도 9 또는 도 13의 것에 상응하고, 비록 실제로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측벽이 생략될 수 있기는 하지만, 베이스부(676)와, 내부 측벽(674) 및 외부 측벽(675)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와 측벽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예컨대, 카세트 몸체(671)는 필름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동안에 카세트로부터 공기를 통기시키는 구멍들(672) 또는 슬롯들(673)의 형태의 개구부들을 가질 수 있다. 충전과정 동안 완전한 공기를 빼냄이 없이 임의의 개수와 레이아웃의 개구부들이 카세트 몸체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부들은 내부 측벽 및 외부 측벽과 베이스부 중의 하나 이상에 적절히 있을 수 있다.
슬롯들(673)과 같은 긴 슬롯들이 구비된 경우, 이들은 벽들의 강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그에 따라 벽들의 두꺼워진 부분들을 포함하는 보강 리브(677, 678)들이 벽의 완결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슬롯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경우, 보강 리브(677, 678)들이 슬롯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그 양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비록 부가의 재료를 수반하지만, 슬롯 또는 개구부를 형성할 때 제거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재료가 부가되므로, 카세트 몸체 둘레에 보강 리브들이 사용될 때 다수의 개구부들마다 전체적으로 재료절감이 증진되게 된다.
그리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내벽과 외벽 사이의 개구부 내로 필름을 고속 충전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필름의 주름들 내에 포집된 공기에 의하여 고속 충전이 방해를 받아 생산성이 저하되고, 뚜껑 또는 플랜지를 카세트 몸체에 끼워 맞추기에 앞서 필름 팩을 압축할 때에 잠재적으로 필름이 손상될 수 있다. 이는 포집된 공기가 압축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여 뚜껑 또는 플랜지를 끼워 맞출 때에 필름이 뚜껑 또는 플랜지에 맞대어 눌러지게 함으로써 필름이 뚜껑 또는 플랜지와 카세트 몸체 사이에 끼워 물리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세트 몸체에 다수의 절개부들 또는 개구부들을 제공함으로써, 재료가 절감되고, 중량을 상당히 감소시켜 카세트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를 감소시킨다.
제작
폐기물 저장장치와 카세트의 여러 구성 요소들은 경량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고,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성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의 표면들은 깨끗하게 닦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설명된 여러 실시예들은 적절히 서로 교체하거나 병행될 수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예컨대, 카세트 실시예들 중의 임의의 것을 임의의 저장용기 실시예들 중의 임의의 것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기재된 여러 저장용기 구성들 중의 임의의 것에서 또는 적절한 다른 저장용기 구성들에서 임의의 특정한 개선들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55)

  1.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수납 챔버는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고정부 상에 장착되어 카세트의 회전을 막는 비변형 위치와 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변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부분은 개구부를 통하여 회전 가능한 부분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의 삽입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 선행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부분은 변형 가능한 부분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5.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수납 챔버는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고정부 상에 장착되어 카세트의 회전을 막는 비변형 위치와 카세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변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부분을 더 포함하고,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 내에 수납된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6.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수납 챔버는 카세트와 연동하여 회전 경로 상에서 카세트를 안내하도록 배치된 가이드 구성물을 갖는 베이스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가이드 구성물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 구성물은 다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챔버의 베이스 면에 배치된, 튜브와 맞물리는 막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구성물은 카세트 외벽을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구성물은 카세트 베이스에 있는 가이드 채널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2.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수납 챔버는 카세트와 연동하여 회전 경로 상에서 카세트를 안내하도록 배치된 가이드 구성물을 갖는 베이스 면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 내에 수납된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폐기물 저장 카세트는 그 카세트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구성물과 연동하도록 배치된 가이드 채널을 그 베이스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4. 폐기물 저장 장치용 폐기물 저장 카세트로서,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는 베이스부와, 그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측벽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내부의 카세트의 회전을 안내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상의 가이드 구성물을 수납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15.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폐기물 저장 장치 카세트 수납 챔버와, 그 챔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장치의 회전 가능한 고정부 상에 장착되어 그 고정부 상에서 카세트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외벽을 더 포함하고, 장착부는 그 외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카세트의 베이스와 대향된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고정부의 내면 상의 디텐트부와 연동하여 카세트를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유지하도록 배치된 디텐트부가 그로부터 연장되는 외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0.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저장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용 폐기물 저장 카세트로서,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는 베이스와, 폐기물 저장 장치의 고정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고정부 상에서 카세트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21.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는 폐기물 저장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고정부 내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디텐트로서 작용하는, 고정부의 내부 리브를 타고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외부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브는 분리력의 인가 시에 그 변형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를 장착하기 위한 내부 돌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리브는 그 플랜지보다 더 큰 두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브는 상향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 리브는 하향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향 돌출부는 추가의 분리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향 돌출부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4.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는 폐기물 저장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고정부 내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디텐트로서 작용하는, 고정부의 내부 리브를 타고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외부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브는 상향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리브는 하향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 돌출부는 추가의 분리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향 돌출부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향 및 하향 돌출부들은 각진 연동 면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6.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는 폐기물 저장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고정부 내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디텐트로서 작용하는, 고정부의 내부 리브를 타고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외부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브는 분리력의 인가 시에 그 변형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크기를 기지며,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 내에 수납된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7.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는 폐기물 저장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카세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고정부 내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디텐트로서 작용하는, 고정부의 내부 리브를 타고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외부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브는 상향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리브는 하향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 돌출부는 추가의 분리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향 돌출부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구비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 내에 수납된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28.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저장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용 폐기물 저장카세트로서,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는 베이스부, 그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측벽들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베이스 벽과 대향된 상단 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벽은 베이어닛 피팅(bayonet fitting)에 의하여 측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단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어닛 피팅은 제1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에 로킹되도록 구성된 비틀림 피팅(twist fitt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31.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와, 제28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2.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는 튜브로 덮어싼 폐기물이 통과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형성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아래쪽 안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핑거들로 이뤄진 튜브 맞물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출구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핑거들은 돔형 또는 원추형 형태 중의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입구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기단부(proximal end)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되, 말단부에 내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가요성 재료에 코팅된 강성 재료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7.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는 튜브로 덮어싼 폐기물이 통과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형성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아래쪽 안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핑거들로 이뤄진 튜브 맞물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 내에 수납된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8.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는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 회전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챔버 위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과 회전 조립체는 뚜껑이 닫힌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회전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연동 구성물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연동 구성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을 갖는 회전 조립체를 형성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는 연동 구성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고정부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2. 제38항 내지 제4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구성물들은 각각의 부분 상에 있는 연동하는 돌출부와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3. 제38항 내지 제4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구성물들은 뚜껑이 닫힌 위치에서 간섭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구성물들은 상호 테이퍼 끼워 맞춤(taper fit)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5. 제38항 내지 제4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 조립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6. 폐기물 저장 장치로서,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담고 있는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수납 챔버는 장치의 고정부 상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 회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챔버 위를 덮을 수 있는 뚜껑 및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과 회전 조립체는 뚜껑이 닫힌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회전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연동 구성물들을 갖고, 상기 카세트는 챔버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47. 폐기물을 덮어싸기 위한 튜브를 저장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용 폐기물 저장카세트로서,
    상기 폐기물 저장 카세트는 베이스부와 그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측벽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구멍과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에 인접한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51. 폐기물 저장 카세트 수납 챔버에 수납된 제42항 내지 제5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52. 제32항 내지 제3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플런저를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오리피스 내로 연장되도록 상기 커버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는 핑거들과 플런저는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장치.
  54. 베이스부와 그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베이스부와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에 통기공이 형성된 폐기물 저장 카세트를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필름을 상기 카세트 내로 삽입하여 치환 공기를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배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저장 카세트 충전 방법.
  55.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폐기물 저장장치, 카세트, 또는 방법.
KR1020107028577A 2008-05-19 2009-05-15 폐기물 저장 장치 KR101353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809074.8 2008-05-19
GB0809074A GB0809074D0 (en) 2008-05-19 2008-05-19 Waste storage device and cassette
GB0820493A GB0820493D0 (en) 2008-11-07 2008-11-07 Waste storage device and cassette
GB0820493.5 2008-11-07
PCT/GB2009/001219 WO2009141583A1 (en) 2008-05-19 2009-05-15 Waste stor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425A true KR20110031425A (ko) 2011-03-28
KR101353972B1 KR101353972B1 (ko) 2014-01-22

Family

ID=4093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577A KR101353972B1 (ko) 2008-05-19 2009-05-15 폐기물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9108796B2 (ko)
EP (1) EP2303724A1 (ko)
JP (2) JP2011520731A (ko)
KR (1) KR101353972B1 (ko)
CN (1) CN102083715B (ko)
CA (1) CA2724805C (ko)
NZ (1) NZ589324A (ko)
WO (1) WO2009141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8430B1 (en) 2007-10-05 2020-05-06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imited Cassette for dispensing bags from an elongated tubing
GB0902471D0 (en) * 2009-02-13 2009-04-01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US8573426B2 (en) 2010-04-27 2013-11-05 Cactus, Llc Pharmaceutical waste disposal assembly
US9044377B2 (en) 2010-04-27 2015-06-02 Cactus, Llc Pharmaceutical waste disposal assembly
US8616397B2 (en) * 2010-04-27 2013-12-31 Cactus, Llc Pharmaceutical waste disposal assembly including waste diverter
US8534459B2 (en) 2010-12-29 2013-09-17 Cactus, Llc Cancellation feature for pharmaceutical waste disposal assembly
GB201103429D0 (en) 2011-02-28 2011-04-13 Sangenic International Ltd Improved waste storage device and cassette
USD695541S1 (en) * 2012-10-24 2013-12-17 Munchkin, Inc. Cassette
ES2695171T3 (es) * 2013-06-04 2019-01-02 Butler Concepts Ltd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contenedores sanitarios
CN107207111B (zh) * 2014-11-12 2020-03-03 满趣健公司 用于分配褶皱管的盒
WO2016090335A1 (en) * 2014-12-04 2016-06-09 Munchkin, Inc.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US10086996B2 (en) * 2014-12-11 2018-10-02 Munchkin, Inc. Container for receiving multiple flexible bag assemblies
CA3074060C (en) 2015-06-15 2021-07-13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Cassette and apparatus for use in disposing waste materials into an elongated flexible tube
GB201516048D0 (en) * 2015-09-10 2015-10-28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USD799136S1 (en) 2015-12-21 2017-10-03 Sangenic International Limited Waste storage device
USD795606S1 (en) 2015-12-21 2017-08-29 Sangenic International Limited Cassette for a waste storage device
JP2019503318A (ja) * 2016-01-28 2019-02-07 エッジウェル パーソナル ケア ブラ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不均一ライナー空洞を有するカセット
EP3231738B1 (en) * 2016-04-12 2018-11-07 Global Mark Plastic Limited Waste storage device with smell protection
JP2019519447A (ja) * 2016-07-08 2019-07-11 エッジウェル パーソナル ケア ブラ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廃棄物の回収及び保管のためのカセット
CN106976669B (zh) * 2017-04-28 2018-01-02 何雪飞 一种容积可变的垃圾桶
TWD205030S (zh) * 2019-09-23 2020-06-01 黃昱鈞 膠膜使用器
USD904067S1 (en) * 2020-01-15 2020-12-08 Weihong Yang Packing box for trash bag
KR102134243B1 (ko) * 2020-02-11 2020-07-15 주식회사 위스 의료폐기물 밀봉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4312D0 (en) * 2001-06-12 2001-08-01 Sangenic International Ltd Spool for a waste storage device
JPS577391Y2 (ko) * 1978-09-01 1982-02-12
GB8705120D0 (en) 1987-03-05 1987-04-08 Process Improvements Ltd Packs of flexible tubing
JPH01226557A (ja) * 1988-02-23 1989-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嵌合型容器
JPH0728104A (ja) 1993-07-13 1995-01-31 Oki Electric Ind Co Ltd 光変調素子
JP2586224Y2 (ja) * 1993-11-01 1998-12-0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パッケージング装置
GB2292725B (en) * 1994-08-26 1998-04-15 Process Improvements 1989 Ltd Apparatus for using packs of flexible tubing in packaging
GB9802738D0 (en) * 1998-02-09 1998-04-08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JP2000247401A (ja) * 1999-02-25 2000-09-12 Biotech Research:Kk 使用済み紙おむつ等貯留容器
US20050044819A1 (en) * 2003-09-02 2005-03-03 Chomik Richard S. Waste storage device
CA2443680C (en) * 2001-04-10 2009-08-25 Playtex Products, Inc. Waste storage device
US7146785B2 (en) * 2001-05-02 2006-12-12 Stravitz David M Waste disposal devices
EP1390162A4 (en) * 2001-05-02 2005-09-14 Saniquest Ind Corp WASTE DISPOSAL DEVICE
CA2387183C (en) * 2001-12-31 2009-05-12 Moniteurs Angelcare Inc.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AU2003276843A1 (en) * 2002-07-31 2004-02-16 David M. Stravitz Waste disposal device
GB0324764D0 (en) * 2003-10-23 2003-11-26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CA2574533C (en) * 2004-07-30 2013-04-23 Poly-Clip System Corp. Continuous roll stock netting machine
JP4616019B2 (ja) * 2005-01-26 2011-01-19 株式会社サンラヴィアン ケーキ包装容器
US20080272140A1 (en) * 2007-05-04 2008-11-06 Playtex Products, Inc. Cassette for dispensing flexible tubing therefrom
US8266870B1 (en) * 2010-07-07 2012-09-18 David M Stravitz Waste disposal devices with manua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4805C (en) 2017-05-02
NZ589324A (en) 2013-04-26
US20190135537A1 (en) 2019-05-09
JP2011520731A (ja) 2011-07-21
KR101353972B1 (ko) 2014-01-22
WO2009141583A1 (en) 2009-11-26
JP5801444B2 (ja) 2015-10-28
EP2303724A1 (en) 2011-04-06
CA2724805A1 (en) 2009-11-26
CN102083715B (zh) 2013-12-25
CN102083715A (zh) 2011-06-01
US20160031640A1 (en) 2016-02-04
US20110099954A1 (en) 2011-05-05
JP2014193776A (ja) 2014-10-09
US9108796B2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972B1 (ko) 폐기물 저장 장치
KR101122345B1 (ko) 쓰레기 저장 장치
JP4132668B2 (ja) 廃棄物貯蔵装置
US9745127B1 (en) Waste containers with unitary insert
US20110232240A1 (en) Waste Storage Device
JP5628837B2 (ja) 廃棄物貯蔵装置
US9573757B1 (en) Waste treatment components
CN108349647B (zh) 废物存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