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164A -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164A
KR20110031164A KR1020107029466A KR20107029466A KR20110031164A KR 20110031164 A KR20110031164 A KR 20110031164A KR 1020107029466 A KR1020107029466 A KR 1020107029466A KR 20107029466 A KR20107029466 A KR 20107029466A KR 20110031164 A KR20110031164 A KR 2011003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opentyl glycol
hydrogenation
oxide
weight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107B1 (ko
Inventor
쿠르트 샬랍스키
토니아 베버
토르슈텐 크라이크만
페터 하이만즈
라이너 루카스
롤프-페터 슐츠
Original Assignee
옥세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세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옥세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13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 C07C29/13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 C07C29/1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a —CHO group
    • C07C29/14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a —CHO group with hydrogen or hydrogen-containing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로서 3급 알킬아민의 존재하에 이소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부가하여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생성한 다음, 이를 니켈 촉매의 존재하에 80 내지 180℃의 온도 및 6 내지 18MPa의 압력에서 지방족 알코올 및 물의 존재하에 액체 상 수소화시켜 네오펜틸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neopentyl glycol}
본 발명은, 출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 초과의 물의 존재하에 니켈 함유 촉매 위에서 액체 상 중의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수소화시켜 네오펜틸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가 알코올 또는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테란, 합성 수지 도료, 윤활제 및 가소제를 형성하기 위한 축합 성분으로서 상당한 경제적 중요성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목적하는 다가 알코올은 특히 포름알데히드와 이소- 또는 n-부티르알데히드와의 혼합 알돌 부가에 의하여 수득한 것이다. 포름알데히드와 적합한 부티르알데히드 사이의 알돌 부가로 우선 알데히드 중간체가 형성되고, 이는 이어서 다가 알코올로 환원되어야 한다. 당해 공정에 의하여 수득 가능한 이러한 다가 알코올의 산업적으로 중요한 예는 네오펜틸 글리콜[NPG, 2,2-디메틸프로판-1,3-디올]이며, 이는 포름알데히드와 이소부티르알데히드의 혼합 알돌화로 수득된다. 알돌 부가 반응은 염기성 촉매,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지방족 아민의 존재하에 등몰량으로 수행되어, 우선 분리 가능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HPA) 중간체가 수득된다. 당해 중간체는 후속적으로 카니차로(Cannizzaro) 반응에 따라 과량의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네오펜틸 글리콜로 전환되어 포르메이트 염 1당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 단계의 이러한 구성(configuration)에서, 포르메이트 염은 공생성물로서 수득된다. 그러나, 금속 촉매 상에서 기체 및 액체 상 중의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촉매적 수소화가 또한 산업적으로 수행되기도 한다. EP 제0 278 106 A1호에 따라, 적합한 수소화 촉매가 추가의 활성 금속, 예를 들면, 크롬 또는 구리 및 추가로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는 니켈 촉매인 것으로 밝혀졌다. 조 알돌화 혼합물은 후속적으로 이의 성분들로의 분리를 진행하거나 개별적인 성분을 제거하지 않고 촉매적으로 수소화시킨다. 포름알데히드는 통상적으로 수용액으로서, 예를 들면, 37중량% 용액으로서 사용되므로, 수소화되는 알돌화 혼합물에 물이 존재한다. 수득한 조 수소화 생성물은 이어서 EP 제0 278 106 A1호의 교시에 따라 증류시켜 후처리할 수 있다.
니켈 촉매의 존재하에 액체 상 중에서 하이드로피발알데히드를 네오펜틸 글리콜로 되도록 수소화시키는 추가의 방법은 제WO 99/035112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수소화 공정 동안 니켈 촉매의 안정성에 있어서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이 유해한 영향을 미침이 특히 언급되어 있다. 물의 존재로 인한 촉매 손상 및 네오펜틸 글리콜의 손실에서의 선택성 감소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제WO 99/035112 A1호에는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에서 네오펜틸 글리콜로의 수소화에서 물의 양을 15중량% 미만으로 제한함이 제안되어 있다. 100℃의 수소화 온도는 또한 공지된 방법에서는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니켈 촉매의 존재하의 보다 높은 수소화 온도를 사용하면 증가된 부산물 형성, 예를 들면, 네오펜틸 글리콜 모노이소부티레이트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모노하이드록시피발레이트의 형성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제WO 98/17614 A1호에는 또한 니켈 촉매의 존재하에 액체 상 공정에 의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네오펜틸 글리콜로의 수소화가 고려되어 있다. 공지된 방법에서, 이소부티르알데히드는 우선 3급 알킬아민의 존재하에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 반응시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조 혼합물을 생성하고, 그 다음 이를 지방족 알코올로 추출한다. 저비점 성분들을 유기 상으로부터 증류시키고,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포함하는 고비점 성분들을 수소화시킨다. 후처리를 위하여, 수소화 생성물을 물로 추출하며, 이는 네오펜틸 글리콜을 수성 상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네오펜틸 글리콜을 증류시켜 수성 상으로부터 분리한다. 추출 및 증류 단계 연결된 수소화 스테이지의 상부스트림은 수소화 스테이지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킨다. 공지된 공정에서, 수소화 스테이지는 120 내지 18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미국 특허공보 제6,268,539 B1호에 따르면, 트리에틸아민 촉매하의 이소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의 반응으로부터 수득한 알돌화 생성물을 우선 증류시킨다. 수득한 수 함유 증류 잔사를 후속적으로 촉진제로서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라니 니켈의 존재하에 70 내지 120℃에서 수소화시킨다. 공지된 액체 상 공정은 액체 상과 기체 상 사이의 집중적 혼합을 보장하는 특정 자체 흡인기 교반기의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반응기 구성의 결과, 0.55 내지 12.4MPa 범위의 낮은 수소화 압력만이 필요하다.
EP 제0 395 681 B1호로부터 공지된 반응 체제는 또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액체 상 수소화가 수소 기체가 액체 반응 혼합물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통과되는 특정 반응기 디자인을 사용하여 라니 니켈의 존재하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립핑 효과로 수소화 스테이지에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알돌화 촉매로서 사용된 미량의 3급 아민 및 이의 화합물이 제거된다. EP 제0 395 681 B1호의 교시에 따르면, 고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수소화 스테이지에 사용된 조 혼합물은 물을 10 내지 35중량% 함유한다.
니켈 촉매의 존재하의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네오펜틸 글리콜로의 액체 상 수소화를 위해서는,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높은 전환율에서 높은 선택도로 네오펜틸 글리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특수한 반응기 디자인이 요구되거나, 수소화를 위한 용도를 위해 조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중의 오직 낮은 수분 함량만이 허용된다. 일부 경우에서, 조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먼저 추가로 추출 및 증류시켜 수소화되는 생성물 중의 수분 함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소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의 알킬아민 촉매된 알돌 부가로부터의 반응 생성물을 직접 그리고 정제 단계 없이 액체 상 중의 공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통상의 니켈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적 측면에서 수행하기에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허용되는 수단으로 네오펜틸 글리콜을 알킬아민 촉매된 알돌 부가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촉매로서 3급 알킬아민의 존재하에 이소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가하여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생성시킨 다음 이를 수소화시켜 네오펜틸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소화가, 지방족 알코올을, 출발 혼합물 중의 유기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27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물을 총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 초과 25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균질한 액체 상 중에서 80 내지 180℃의 온도 및 6 내지 18MPa의 압력에서 니켈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에 있다.
놀랍게도, 물은 총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 초과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중량% 범위로 함유하며, 8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0℃의 수소화 온도가 달성되는 경우,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네오펜틸 글리콜로 되도록 선택적으로 수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소부티르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 동안 형성된 고비점 화합물(high boiler)을 매우 선택적으로 개열시켜 네오펜틸 글리콜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비점 화합물은 네오펜틸 글리콜의 동등물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산소 함유 화합물, 예를 들면, 에스테르 또는 사이클릭 아세탈이다. 고비점 화합물에서, 네오펜틸 글리콜의 모노- 및 디이소부티르산 에스테르 및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로부터의 티쉬첸코(Tishchenko)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불균화 반응(disproportionation) 생성물 네오펜틸 글리콜 모노하이드록시피발레이트의 비율은 특히 높다. 출발 물질 중의 수분 함량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수소화 단계의 조절 및 수소화 온도의 정확한 선택으로, 수분 함량이 15중량% 미만인 출발 물질이 사용되거나 80℃ 미만의 수소화 온도가 사용되는 작동 방식과 비교하여, 출발 물질에 이미 존재하는 고비점 화합물이 네오펜틸 글리콜로 되도록 효과적으로 개열되도록 하고 수소화 반응 동안의 이의 형성이 억제되도록 한다.
출발 물질 중의 수분 함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고비점 화합물 함량의 감소에 대하여 더이상 유리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고, 수소화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가 불완전하게만 수소화된다. 과도하게 높은 수 함량에서, 귀중한 반응기 용적이 불필요하게 점유되어, 이용되지 않는다. 과도하게 높은 수소와 온도에서는, 알돌화 촉매로서 사용되는 3급 알킬아민의 분해가 또한 발생하며, 이는 제거하기 곤란하고 따라서 원치않는 전환 생성물을 유도한다.
이소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의 알돌 부가는 알돌 부가 촉매로서 3급 알킬아민의 존재하에, 예를 들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메틸디에틸아민, 메틸디이소프로필아민 또는 트리부틸아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특히 적합한 촉매는 트리에틸아민 및 트리-n-프로필아민인 것으로 밝혀졌다.
알데히드는 몰 비로 반응될 수 있지만, 또한 과량의 두 반응물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름알데히드는 수용액으로서 사용하고; 알데히드 함량은 통상적으로 20 내지 50중량%이다. 반응은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80 내지 95℃에서 작업하는 것이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표준 압력에서 수행되지만, 또한 승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돌 부가 촉매로서 사용되는 3급 알킬아민은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0mol%,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mol%의 양으로 반응 혼합물 중에 존재한다.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으로부터의 물 및 상기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에 존재할 수도 있는 적은 비율의 메탄올 이외에, 이소부탄올을 임의로 또한 희석제로서 반응 혼합물에 가한다. 이소부탄올 부가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이소부탄올이 부가되는 경우, 반응 혼합물 중의 이의 함량은 전체 반응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0중량%의 범위이다. 추가의 용매 및 희석제는 필요하지 않다.
실질적인 측면에서, 부가 반응은 반응물들의 보다 우수한 혼합을 위하여 랜덤 팩킹을 갖춘 교반 탱크 또는 반응 관에서 수행된다. 반응은 발열적으로 진행되며; 가열시켜 가속화시킬 수 있다.
알돌 부가 후에 수득된 조 혼합물은 이의 성분으로의 분리 또는 개별적인 성분의 제거를 진행하지 않고 촉매적으로 수소화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함유 반응 혼합물의 수소화에 대해서 필수적인 것은 소정의 수분 함량, 소정의 수소화 온도 및 특정 반응 압력과의 순응성(compliance)이다.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의 사용을 통하여 도입된 수분의 양이 필요한 수분 함량을 보장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물을 수소화 반응기에서 사용하기 전에 조 생성물에 가하여야 한다.
수소화는 또한 조 알돌화 생성물과 혼화성인 지방족 알코올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적합한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부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한데, 이는 잔량의 이소부티르알데히드가 이소부탄올로 수소화되기 때문이다. 이소부탄올이 알돌 부가 스테이지에서 희석제로서 이미 사용되는 경우, 용매는 수소화 단계에 이미 존재한다.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통하여 도입된 소량의 메탄올 또한 존재한다. 유기 용매 또는 희석제로서의 지방족 알코올의 비율은 출발 혼합물 중의 유기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27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중량%이다. 희석제 또는 용매의 부가로 수소화 스테이지 동안 액체 상 중의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충분한 용해도가 보장되고, 또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침전이 방지되면서 액체 상의 균질성이 보장된다.
수소화에 사용되는 전체 출발 혼합물은 균질하며, 따라서 물을 15 내지 25중량% 함유하고 100중량%까지의 잔여량은 결국 지방족 알코올을 15 내지 27중량% 함유하는 유기 성분이다.
수득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함유 조 혼합물을 추가의 후처리 및 정제 단계 없이 수소화시킨다.
조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수소화는 니켈 촉매의 존재하에 액체 상 중에서 8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반응 압력은 6 내지 18MPa,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MPa이다. 낮은 반응 압력에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만족스러운 수소화는 더이상 관찰되지 않는다.
촉매적으로 활성인 금속으로서의 니켈은 각각의 경우 촉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65중량%, 특히 약 20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지지체에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촉매 지지체는 모든 통상적인 지지체 물질,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 다양한 형태의 산화알루미늄 수화물, 이산화규소, 키젤거(kieselguhr)를 포함하는 폴리규산(실리카 겔), 실리카 크세로겔,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활성탄이다. 주요 니켈 및 지지 물질 성분 이외에, 촉매는 또한 예를 들면, 이의 수소화 활성 및/또는 이의 유효 수명 및/또는 이의 선택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는, 소량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로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 아연, 알루미늄, 지르코늄 및 크롬의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는 니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1 내지 50중량부의 전체 비율로 촉매에 가한다.
그러나, 지지체 부재 촉매로서 라니 니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소화는 예를 들면, 트리클(trickle) 방식 또는 액체 상 방식에 의하여 고정 상 촉매 위에서 액체 상 중에서 연속식으로 또는 배치식으로, 또한 현탁 수소화 후 교반시켜 수행한다.
연속식 방식에서, 촉매는 단위 촉매 용적 및 시간당 처리량 용적으로 나타내는 촉매 시간당 공간 속도(catalyst hourly space velocity) V/Vh가 0.3 내지 2.0h-1,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h-1인 것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배치식 공정에서는, 용매 함유 출발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니켈 촉매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가 사용된다.
니켈 촉매에 대한 더 높은 공간 속도는 피하여야 하는데, 이는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출발 화합물이 더이상 완전히 수소화되지 않고 증가된 부산물 형성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관상(tubular) 반응기 속에서 고정 상 촉매 상에서 액체 상 중에서 연속적으로 수소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상 반응기는 또한 병렬로 근접하게 연결된 한 묶음의 복수의 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용된 관상 반응기는 또한 랜덤 패킹 또는 내장(internals), 예를 들면, 라시히링(Raschig ring), 새들(saddle), 배플링(baffle ring), 필터 플레이트 또는 컬럼 트레이 및 임의로 교반기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의 수소화는 내장 및 교반기 장치 없이 관상 반응기에서 수행한다.
수소화는 바람직하게는 순수한 수소로 수행한다. 그러나, 유리 수소 및 수소화 조건하에 불활성인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순수한 네오펜틸 글리콜은 통상적인 증류 공정에 의하여 수소화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득한다. 제거된 용매 또는 희석제는 알돌 부가 스테이지 및/또는 수소화 스테이지로 다시 재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소화 공정에서,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는 높은 전환율과 높은 선택도로 네오펜틸 글리콜로 전환된다. 주목할 만한 것은 수소화 후 고비점 화합물의 비율이 낮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소화 공정은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출발 화합물을 높은 전환율로 네오펜틸 글리콜로 되도록 매우 선택적으로 수소화시키고, 선행 알돌 부가 스테이지에서 형성된 고비점 화합물은 효과적으로 개열되고 수소화 스테이지에서의 이의 형성은 지속적 방식으로 억제된다. 3급 알킬아민이, 원치않는 불순물을 유도하고, 후속적인 증류적 후처리에서 어렵게 제거될 수 있으며, 네오펜틸 글리콜의 추가의 처리에서 분열되는 휘발성 질소 함유 화합물로 개열되는 것도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상세히 예시하지만, 기재된 양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험 준비
액체 상 수소화를 액체 상 방식으로 관상 반응기에서 상업용의 지지된 니켈 촉매 위에서 수행하였다. 촉매 용적은 1.8ℓ였다.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함유 조 알돌 부가 생성물 및 수소를 관상 반응기의 기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수소화된 물질을 관상 반응기의 상부를 통하여 회수하여, 고압 분리기로 통과시키고, 레벨 조절에 의하여 고압 분리기 밖으로 유도하여 주위 압력 저장소 내로 유도했다. 수소화 온도, 수소압 및 촉매 시간당 공간 속도를 후속하는 표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였다. 수소화 시험에 사용된 조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함유 알돌 부가 생성물은 다음의 대표적인 조성을 가졌다.
유기 성분(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됨, % 데이터)
Figure pct00001
HPA =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
NPG = 네오펜틸 글리콜
TE = 티쉬첸코 에스테르/NPG 디이소부티레이트
출발 스트림에 대하여 아래에 제시된 분석 데이터에서, 희석제로서 작용하는 지방족 알코올에 대한 임계 함량 및 수분 함량이 보고되었다. 수소화 산출물의 분석에서, HPA 및 에스테르 화합물의 잔여 함량 및 NPG 함량이 기술되었다.
130℃의 수소화 온도에서의 HPA의 액체 상 수소화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 전체 출발 혼합물 중의 유기 성분을 기준으로 함
**) 전체 출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한, 물 중량%
시험 데이터의 비교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소화 산출물 중의 목적하는 NPG의 비율 또한, 출발 혼합물 중의 수분 함량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한다. 예를 들면, 시험 3으로부터 시작하면, 수분 함량이 15중량%의 한계 기준 미만으로 확립되는 경우(비교예 5), 수소화 산출물 중의 NPG 함량은 저하된다. 이러한 경향의 발생은 또한 시험 6, 7 및 8(비교예)에서 나타나며, 여기서 수소화 산출물 중의 NPG의 함량은 또한, 출발 물질 중의 수분 함량이 저하됨에 따라 감소한다. 비교예 9에서 선택된 압력은 만족스러운 HPA 전환율에 더이상 충분하지 않다.

Claims (9)

  1. 촉매로서 3급 알킬아민의 존재하에 이소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가하여 하이드록시피발알데히드를 생성한 다음, 이를 수소화시켜 네오펜틸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소화가, 지방족 알코올을, 출발 혼합물 중의 유기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27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물을 총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 초과 25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균질한 액체 상 중에서 80 내지 180℃의 온도 및 6 내지 18MPa의 압력에서 니켈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가 110 내지 140℃의 온도 및 8 내지 15MPa의 압력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균질한 액체 상이 물을 총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18 내지 22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3급 알킬아민이 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n-프로필아민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지방족 알코올이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촉매가 지지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촉매가 첨가제로서 나트륨의 산화물, 칼륨의 산화물, 마그네슘의 산화물, 칼슘의 산화물, 바륨의 산화물, 아연의 산화물, 알루미늄의 산화물, 지르코늄의 산화물, 크롬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가 내장(internals) 및 교반기 장치의 부재하에 관상(tubular) 반응기 속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KR1020107029466A 2008-07-02 2009-06-12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KR101582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1338A DE102008031338B4 (de) 2008-07-02 2008-07-02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opentylglykol
DE102008031338.6 2008-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164A true KR20110031164A (ko) 2011-03-24
KR101582107B1 KR101582107B1 (ko) 2016-01-04

Family

ID=4126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466A KR101582107B1 (ko) 2008-07-02 2009-06-12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94998B2 (ko)
EP (1) EP2318342B1 (ko)
JP (1) JP5396470B2 (ko)
KR (1) KR101582107B1 (ko)
CN (1) CN102083776B (ko)
BR (1) BRPI0913920A2 (ko)
DE (1) DE102008031338B4 (ko)
HK (1) HK1154233A1 (ko)
PL (1) PL2318342T3 (ko)
TW (1) TWI367876B (ko)
WO (1) WO201000038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876A (ko) * 2013-04-23 2014-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네오펜틸글리콜의 제조방법
WO2015160114A1 (ko) * 2014-04-15 2015-10-22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하이드록시피브알데히드의 제조방법
WO2016182189A1 (ko) * 2015-05-13 2016-11-1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하이드록시피브알데하이드의 연속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9271B1 (de) * 2010-05-12 2014-05-14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opentylglykol
DE102012021276A1 (de) * 2012-10-29 2014-04-30 Oxea Gmbh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opentylglykol
US9056824B2 (en) 2013-01-31 2015-06-16 Eastman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hydroxy aldehydes
US8710278B1 (en) 2013-01-31 2014-04-29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polyols
DE102014100996B4 (de) * 2014-01-28 2018-11-15 Oxe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opentylglykol
CN105085212A (zh) * 2014-05-14 2015-11-2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2,2-二甲基-3-羟基丙醛的制备方法
US10336672B2 (en) * 2014-08-04 2019-07-02 ClearWaterBay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neopentyl glycol
KR101757053B1 (ko) * 2014-09-25 2017-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효율의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WO2016047957A1 (ko) * 2014-09-25 2016-03-31 (주) 엘지화학 고효율의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N105175228B (zh) * 2015-09-01 2018-06-26 保定市国秀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钙法新戊二醇制备工艺
KR101900490B1 (ko) 2017-09-27 2018-09-19 (주)엔나노텍 탄화수소계 발포제와의 혼합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폴리올의 제조방법
DE102019209233A1 (de) 2018-07-06 2020-01-0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β-Hydroxyketons
EP3747855B1 (de) * 2019-06-04 2024-01-10 OQ Chemicals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diolen aus aldehyden mittels raney-cobalt katalyse
JP2021063019A (ja) * 2019-10-10 2021-04-22 昭和電工株式会社 1,3−ブタンジオールの製造方法
KR20220050486A (ko)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116B2 (en) * 2006-06-06 2008-06-17 Basf Aktiengesellschaft Hydrogenation of methylolalkana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4675A1 (de) 1986-12-30 1988-07-14 Ruhr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2-dimethylpropandiol-(1,3)
US4851592A (en) 1987-10-27 1989-07-25 Eastman Kodak Company Triethylamine catalyzed neopentyl glycol production utilizing a gas sparged reactor
CN1083413C (zh) 1996-10-22 2002-04-24 株式会社Lg化学 新戊二醇的连续生产方法
FI108029B (fi) * 1997-12-30 2001-11-15 Neste Oy Menetelmä neopentyyliglykolin valmistamiseksi
US6268539B1 (en) 1999-10-07 2001-07-31 Nan Ya Plastics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neopentyl glycol
DE10317543A1 (de) * 2003-04-16 2004-11-04 Basf Ag Verfahren zur Hydrierung von Methylolalkanal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116B2 (en) * 2006-06-06 2008-06-17 Basf Aktiengesellschaft Hydrogenation of methylolalkan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876A (ko) * 2013-04-23 2014-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네오펜틸글리콜의 제조방법
WO2015160114A1 (ko) * 2014-04-15 2015-10-22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하이드록시피브알데히드의 제조방법
WO2016182189A1 (ko) * 2015-05-13 2016-11-1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하이드록시피브알데하이드의 연속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0382A3 (de) 2010-03-18
CN102083776B (zh) 2013-11-13
EP2318342B1 (de) 2012-08-29
HK1154233A1 (en) 2012-04-13
KR101582107B1 (ko) 2016-01-04
TWI367876B (en) 2012-07-11
PL2318342T3 (pl) 2013-01-31
DE102008031338B4 (de) 2012-09-13
US8394998B2 (en) 2013-03-12
JP2011526261A (ja) 2011-10-06
DE102008031338A1 (de) 2010-01-07
TW201002656A (en) 2010-01-16
EP2318342A2 (de) 2011-05-11
CN102083776A (zh) 2011-06-01
US20110098515A1 (en) 2011-04-28
WO2010000382A2 (de) 2010-01-07
JP5396470B2 (ja) 2014-01-22
BRPI0913920A2 (pt)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164A (ko)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KR102110117B1 (ko)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 방법
JP5858784B2 (ja) 製造時に生じる高沸点成分の分解によるネオペンチルグリコールの生成方法
JP2667696B2 (ja) ガス分散反応器を用いたトリエチルアミン触媒作用によるネオペンチルグリコールの製造
CN104684878B (zh) 新戊二醇的连续生产方法
JP2001507668A (ja) ポリアルコールの製法
EP32196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glycol
KR20060132860A (ko) 1,3-부틸렌 글라이콜의 제조 방법
JP2006523644A (ja) メチロールアルカナールを水素化する方法
JP5969047B2 (ja) トリメチロールプロパン製造の副流からトリメチロールプロパンが富化された生成物流を得る方法
JPH11228467A (ja) 飽和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CN113906005B (zh) 一种通过雷尼tm钴催化由醛连续生产二醇的方法
JP6102547B2 (ja) 新規エチルアダマンタンジオ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07617B1 (en) Process for preparing 1,5-pentanediol derivative
US20020022749A1 (en) Process for making butyraldehyde from butadiene
JP6216638B2 (ja) α−メチル−γ−ブチロラクト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