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326A -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326A
KR20110029326A KR1020090086954A KR20090086954A KR20110029326A KR 20110029326 A KR20110029326 A KR 20110029326A KR 1020090086954 A KR1020090086954 A KR 1020090086954A KR 20090086954 A KR20090086954 A KR 20090086954A KR 20110029326 A KR20110029326 A KR 2011002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ller
roller unit
transfer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806B1 (ko
Inventor
주정용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806B1/ko
Priority to US12/782,256 priority patent/US8374526B2/en
Publication of KR2011002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326A/ko
Priority to US13/737,293 priority patent/US87507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4Vibrations and positional disturbances when one member abuts or contacts another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프레임과;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와;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전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대응하여 중간전사벨트에 화상을 전사시키는 제1위치 및 이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유닛과; 전사롤러유닛을 제1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을 규제하여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며, 이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는 전사롤러유닛이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담지체 상의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와 마주하는 전사롤러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잉크 또는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에 형성하는 장치이며, 이 중에서 현상제를 적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각 색상별로 현상제가 적용되게 구성함으로써 컬러(color) 또는 블랙 모노톤(black mono-tone)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각 색상 별 현상제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각 현상 카트리지의 상담지체와 이에 대응하는 전사롤러에 의해 각 색상 별 가시 화상을 중첩시켜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 카트리지 중에서 블랙 색상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만 작동함으로써 흑백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흑백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블랙 색상 이외의 색상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상담지체는 작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 블랙 색상 이외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담지체는 회전시키지 않으며, 이러한 상담지체에 대응하는 전사롤러는 상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담지체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사롤러는 상담지체로부터 이격되었다가, 컬러 화상을 형성할 때 다시 상담지체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담지체와 전사롤러가 접촉할 때, 전사롤러의 운동량이 상담지체에 대한 충격량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전사롤러에 접촉하는 상담지체의 일 영역이 마모, 크랙 등과 같은 물리적인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인쇄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담지체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한 전사롤러에 있어서, 전사롤러가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에 상담지체에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대응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상기 화상을 전사시키는 제1위치 및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유닛과;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상기 제1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을 규제하여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을 규제하게 상기 슬라이더부재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위치가 가변되게 연장된 지지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이동시키는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부재와; 기 설정된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부재가 이동하게 상기 캠부재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유닛은,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여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상담지체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사롤러유닛은, 상기 전사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홀더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는, 상기 제1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로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가이드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3지지부 사이와, 상기 제3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는, 상기 제1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3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지지부에서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지지위치의 접선과 상기 전사롤러의 이동 경로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3지지부의 상기 지지위치가 상기 제1지지부에 가까울수록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은, 블랙 색상의 현상제에 대응하는 제1전사롤러유닛과;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과 병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컬러 색상의 현상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전사롤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부재는,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지지가이드가 형성된 제1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제2전사롤러유닛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지지가이드가 형성된 제2슬라이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와 동축상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제2캠부재와; 기 설정된 프린팅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가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캠부재 및 상기 제2캠부재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인쇄를 수행하지 않는 대기 모드 시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 및 상기 제2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 있고, 모노 화상의 프린트 모드 시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 상기 제2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 있고, 컬러 화상의 프린트 모드 시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 및 상기 제2전사롤 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1캠부재 및 상기 제2캠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대응하여 상기 전사벨트에 상기 화상을 전사시키는 제1위치 및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유닛과;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상기 제1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을 규제하여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롤러유닛에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에 전사롤러유닛으로부터 상담지체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적용함으로써, 상담지체 또는 전사롤러유닛에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인쇄매체 상에 최종 형성된 화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어셈블리는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전사롤러유닛이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블랙 현상제 및 이를 제외한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컬러 현상제 각각에 대응하는 전사롤러유닛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프린트 모드 별로 전사롤러유닛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상담지체의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 현상제 및 컬러 현상제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슬라이더부재 및 지지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각 전사롤러유닛에 대한 선택적인 이동 및 규제가 가능하다. 한편, 이들 슬라이더부재를 이동시키는 각각의 캠 부재를 동축상에 설치함으로써, 각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에 관한 구성을 별도로 적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지지가이드를 복수 개의 단차로 형성함으로써,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는, 지지가이드를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함으로써,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계적으로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경우에 비해,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컬러 및 흑백 화상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색상의 현상제에 대응하는 상담지체(23C, 23M, 23Y, 23K)를 포함하며, 상담지체(23C, 23M, 23Y, 23K) 상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직접 전사하지 않는 중간전사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M)가 적재되며 이 적재된 인쇄매체(M)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10)과, 각 색상 별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상담지체(23C, 23M, 23Y, 23K)를 가지는 현상 카트리지(20C, 20M, 20Y, 20K)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담지체(23C, 23M, 23Y, 23K)를 노광시키는 노광유닛(30)과, 상담지체(23C, 23M, 23Y, 23K)에 형성된 가시 화상을 중간전사 방식에 따라서 인쇄매체(M) 상에 전사하는 전사유닛(40)과, 인쇄매체(M) 상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50)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내측에 수용하는 본체하우징(60)을 더 포함한다. 본체하우징(60) 내측에는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본체프레임(미도시)이 결합된다.
이하, 화상형성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관해 설명한다.
매체공급유닛(10)은 본체하우징(60) 및 본체프레임(미도시)에 대해 착탈 가능한 적재카세트(11)와, 적재카세트(11)에 적재된 인쇄매체(M)를 하나씩 픽업하여 공급하는 제1픽업롤러(13)를 포함한다. 픽업된 인쇄매체(M)는 레지롤러(15)로 이송된다.
레지롤러(15)는 이송된 인쇄매체(M)의 선단을 정렬하며, 기 설정된 타이밍에 인쇄매체(M)를 전사유닛(40)으로 이송한다. 인쇄매체(M)는 전사유닛(40) 및 정착유닛(50)을 통과하면서, 일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듀플렉스롤러(17)는 인쇄매체(M)에 대한 양면 인쇄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일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를 레지롤러(15)로 역이송시킨다. 듀플렉스롤러(17)에 의해 역이송된 인쇄매체(M)는 다시 레지롤러(15)에 의해 적절한 타 이밍에 전사유닛(40)으로 이송됨으로써,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일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적재트레이(19)는 본체하우징(6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적재트레이(19)는 본체하우징(60)으로부터 이격되게 회동한 상태에서 인쇄매체(M)를 적재할 수 있다. 적재트레이(19)에 적재된 인쇄매체(M)는 제2픽업롤러(14)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롤러(15)로 이송된다. 여기서, 제2픽업롤러(14)에 의해 픽업되는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는 듀플렉스롤러(17)에 의한 역이송 경로의 일부를 공유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0C, 20M, 20Y, 20K)는 복수의 색상에 각각 대응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현상 카트리지(20C, 20M, 20Y, 20K)는 블랙(bl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현상제 각각에 대응하게 마련되며, 각 색상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20C, 20M, 20Y, 20K)는 교체 가능하게 본체하우징(6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0C, 20M, 20Y, 20K)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카트리지하우징(21C, 21M, 21Y, 21K)과, 저장된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23C, 23M, 23Y, 23K)와, 이 상담지체(23C, 23M, 23Y, 23K) 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25C, 25M, 25Y, 25K)를 포함한다.
상담지체(23C, 23M, 23Y, 23K)는 노광유닛(30)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표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현상롤러(25C, 25M, 25Y, 25K)가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함으로써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전사유닛(40)은 이 상담지체(23C, 23M, 23Y, 23K)의 가시 화상을 중간전사 방식으로 인쇄매체(M) 상에 전사시킨다. 이를 위하여, 전사유닛(40)은 상담지체(23C, 23M, 23Y, 23K)에 접하게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하며 가시 화상이 전사 및 중첩되는 중간전사벨트(110)와, 중간전사벨트(110)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120)와, 중간전사벨트(110) 상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전사하는 최종전사롤러(130)와, 최종전사롤러(130)를 백업하는 전사백업롤러(140)와, 중간전사벨트(110)에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롤러(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사유닛(40)은 중간전사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23C, 23M, 23Y, 23K)에 대응하게 배치된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포함한다.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각 상담지체(23C, 23M, 23Y, 23K)와 마주하며, 상담지체(23C, 23M, 23Y, 23K) 상의 가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110) 상에 전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블랙 현상제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사롤러유닛(500K)을 지칭한다. 그리고,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블랙 현상제를 제외한 컬러 현상제, 자세하게는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현상제에 각각 대응하는 세 개의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함께 지칭한다. 다만, 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지칭된 것이다.
이러한 구분은 모노 프린트 모드 및 컬러 프린트 모드 각각의 모드에서 전사를 수행하는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이 상이한 것에 따른 것이다. 모노 프린트 모드에서는 블랙 현상제에 의한 화상만이 형성되므로, 제1전사롤러유 닛(500K)에 의한 전사만이 수행된다. 컬러 프린트 모드에서는 컬러 화상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에 의한 전사가 함께 수행된다.
이하, 전사유닛(40)의 보다 자세한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전사유닛(4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유닛(40)은 구동롤러(120), 최종전사롤러(130) 및 텐션롤러(15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전사유닛프레임(200)과, 제1전사유닛프레임(200)에 결합되며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을 지지하는 제2전사유닛프레임(3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전사유닛(40)은 중간전사벨트(110)에서 화상이 전사되는 외측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블레이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사유닛프레임(200)은 본체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거나, 본체프레임(미도시)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전사유닛프레임(200)은 구동롤러(120), 최종전사롤러(130) 및 텐션롤러(150)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호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 한 쌍의 제1전사유닛프레임(200) 내측에는 한 쌍의 제2전사유닛프레임(300)이 각각 배치된다.
제2전사유닛프레임(300)은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의 양 단부를 지지한다. 제2전사유닛프레임(300)은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이 상담지체(23C, 23M, 23Y, 23K)에 대해, 또는 중간전사벨트(110)의 내측면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의 이동을 안내 한다.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기 설정된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이동한다. 기 설정된 프린트 모드는 예를 들면, 모노 프린트 모드, 컬러 프린트 모드 및 대기 모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이 상담지체(23C, 23M, 23Y, 23K) 및 중간전사벨트(110)에 접촉함으로써 전사를 수행 가능한 위치를 전사위치,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이 상담지체(23C, 23M, 23Y, 23K) 및 중간전사벨트(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전사를 수행하지 않는 위치를 대기위치로 지칭한다. 전사위치 및 대기위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모노 프린트 모드 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전사위치,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대기위치를 유지한다. 컬러 프린트 모드 시,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전사위치를 유지한다. 인쇄가 수행되지 않는 대기 모드 시,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대기위치를 유지한다.
전사유닛(40)은 이와 같은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의 이동을 제어하고 그 이동 위치를 유지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8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 및 가이드 어셈블리(800)에 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전사롤러유 닛(500C, 500M, 500Y, 500K) 및 가이드 어셈블리(8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전사위치에 있을 때 이격부재(530) 및 상담지체(23K)가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유닛(40)은 제1전사롤러유닛(500K)을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710)와,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720)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710) 및 제2탄성부재(720)는 제2전사유닛프레임(3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상담지체(23C, 23M, 23Y, 23K) 및 중간전사벨트(110)에 접촉하는 전사위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를 위한 제1탄성부재(710) 및 제2탄성부재(72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유체 스프링,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회전축(510)을 가지는 전사롤러(520)와, 회전축(510) 양 단부에 결합된 이격부재(530)와, 회전축(5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탄성부재(710)에 의해 가압되는 홀더(540)를 포함한다. 이하,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하위 구성에 관해 설명하며,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의 하위 구성에 관해서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사롤러(520)는 중간전사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23K)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전사위치에 위치할 때에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상담지 체(23K) 상의 가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110) 상에 전사시킨다. 전사롤러(520)는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스틸(steel) 제로 구현되며, 전사위치에 있을 때 상담지체(23K)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전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격부재(530)는 중간전사벨트(110)에 접하지 않도록 회전축(510) 단부에 설치된다. 이격부재(530)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전사위치에 있을 때, 상담지체(23K)와 접촉함으로써 전사롤러(520)와 상담지체(23K) 사이에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격부재(530)는 전사롤러(520)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이격부재(530)는 상담지체(23K)와의 접촉을 고려하여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격부재(530)는 대기위치에서 전사위치로 이동할 때, 제1탄성부재(71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이동한다. 따라서, 이격부재(530)는 전사위치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가속되며, 이 때문에 이격부재(530)가 전사위치에 도달하여 상담지체(23K)와 접촉하는 순간, 가속된 이격부재(530)는 상담지체(23K)에 충격을 가한다(도 4 참조).
즉, 이격부재(530)가 대기위치에서 전사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1탄성부재(710)의 탄성 가압력은 이격부재(530)의 운동량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격부재(530)가 상담지체(23K)에 접촉하는 순간, 이격부재(530)의 운동량은 상담지체(23K)에 대한 충격량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이격부재(530)가 상담지체(23K)에 대해 충격을 가하면, 상담지체(23K)의 충격받은 위치를 중심으로 마모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결과 적으로 인쇄매체(M) 상의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어셈블리(800)는 제1탄성부재(710) 및 제2탄성부재(720)의 탄성 가압력을 규제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각각 지지하며, 이격부재(530)가 상담지체(23C, 23M, 23Y, 23K)에 접촉하는 시점에서 발생하는 충격량을 상대적으로 저감시킨다.
가이드 어셈블리(800)는 이러한 충격량 저감을 위해, 예를 들면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대기위치에서 전사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 가압력에 의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킨다.
일반적인 물리 법칙에서, 충격량은 질량과 속도변화량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질량은 변하지 않는 값이라고 하면, 충격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속도변화량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즉, 가이드 어셈블리(800)는 이격부재(530)가 상담지체(23K)에 접촉하기 이전에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속도변화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상담지체(23K)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킨다.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의 경우 또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경우를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가이드 어셈블리(800)에 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가이드 어셈블리(800)를 각각 상이한 각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어셈블리(800)는 제1전사유닛프레 임(2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슬라이더부재(810)와,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을 규제하게 제1슬라이더부재(810) 상에 형성된 제1지지가이드(830)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어셈블리(800)는 제1슬라이더부재(810)와 동일하게 제1전사유닛프레임(2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슬라이더부재(820)와,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의 이동을 규제하게 제2슬라이더부재(820) 상에 형성된 제2지지가이드(84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 어셈블리(800)는 제1슬라이더부재(810) 및 제2슬라이더부재(82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850)을 더 포함한다.
이하, 제1슬라이더부재(810) 및 제1지지가이드(830)에 의해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성에 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1슬라이더부재(810)는 제1전사유닛프레임(200) 및 제2전사유닛프레임(300) 사이에 개재되며, 전사롤러(520)의 연장방향인 X 방향에 대해 직교한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슬라이더부재(810)는 제1전사유닛프레임(200)에 대해 Y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제1슬라이더부재(810)의 일단부에는 후술할 캠 회전축(851)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 홀에 인접하게 피가압부(811)가 형성된다.
피가압부(811)는 후술할 제1캠부재(853)의 캠 프로파일에 의해 가압되는 제1슬라이더부재(810)의 일 영역이다. 이 피가압부(811)는 제1캠부재(853)의 Y 방향 및 -Y 방향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제1슬라이더부재(810)가 제1캠부재(853)의 회전 에 따라서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지지가이드(830)는 제1슬라이더부재(810)에서 제1전사롤러유닛(500K)에 대향하는 판면, 도면에 따르면 X 방향을 향하는 판면 상에 설치된다. 제1지지가이드(830)는 제1탄성부재(71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을 규제하며, 제1슬라이더부재(8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즉, 제1지지가이드(830)는 제1슬라이더부재(81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 연장 방향을 따라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을 규제하는 높이가 각 위치 별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제1지지가이드(830)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일측, 자세하게는 후술할 홀더돌기부(550)를 지지함으로써,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제1지지가이드(830)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대기위치로부터 전사위치로 이동할 때, 이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이를 위한 제1지지가이드(830)의 구현 예는 한정되지 않는 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 속도를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저감시키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구현 예를 포함한 제1지지가이드(830)의 보다 자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슬라이더부재(820) 및 제2지지가이드(840)의 구성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슬라이더부재(810) 및 제1지지가이드(830)의 구성을 응용할 수 있다.
다만,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색상 별로 세 개가 있는 바, 제2지지가이드(840)는 각 색상 별로 마련되어 하나의 제2슬 라이더부재(82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하나의 제2슬라이더부재(820) 상에 복수 개의 제2지지가이드(840)가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컬러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색상이 모두 적용되어야 하며 어느 하나의 색상만을 적용하지 않는다. 즉, 블랙 색상을 제외한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색상에 대응하는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각각 별도로 그 위치를 제어할 필요 없이 세 가지 색상의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함께 제어하는 것이 편리하다.
구동유닛(850)은 제1슬라이더부재(810) 및 제2슬라이더부재(820)를 함께 관통하는 캠 회전축(851)과, 캠 회전축(851)에 결합되며 제1슬라이더부재(8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캠부재(853)와, 캠 회전축(851)에 결합되며 제2슬라이더부재(8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캠부재(855)와, 캠 회전축(851)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모터(857)와, 모터(857)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5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는 동축상에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모터(857)에 의해 제1슬라이더부재(810) 및 제2슬라이더부재(820)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설계에 따라서는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가 각각 독자적인 캠 회전축(851)을 가지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는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각각 제1슬라이더부재(810)의 피가압부(811)와 제2슬라이더부재(820)의 피가압부(821)를 가압하는 캠 프로파일(CAM profile)을 가진다. 이러한 캠 프로파일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모터(857)는 캠 회전축(851)을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며, 이러한 회전 각도는 컨트롤러(859)에 의해 제어된다.
컨트롤러(859)는 화상형성장치(1)가 기 설정된 프린트 모드로 진입하면, 해당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제1슬라이더부재(810) 및 제2슬라이더부재(820)가 이동하도록 모터(857)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여기서, 컨트롤러(859)는 모터(857)를 구동하기 이전에, 현재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의 캠 프로파일이 어느 각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59)는 센서(미도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캠 프로파일이 적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모터(857)의 구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기 설정된 프린트 모드는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대기 모드, 모노 프린트 모드 및 컬러 프린트 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컨트롤러(859)는 이러한 각각의 모드에 대응하여 제1슬라이더부재(810) 및 제2슬라이더부재(820)를 이동시키며, 이에 의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이 대기위치 또는 전사위치로 이동한다.
이하, 가이드 어셈블리(800)에 의해 규제되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단부 구성에 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단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회전축(510)에 전사롤 러(520) 및 이격부재(530)가 결합되며, 전사롤러(520) 및 이격부재(530) 사이의 회전축(510)을 홀더(540)가 지지하는 구성이다.
홀더(540)는 제1탄성부재(710)에 의해 탄성 가압됨으로써 제1전사롤러유닛(500K) 전체가 전사위치를 향해 가압된다. 홀더(540)의 일측에는 힌지(541)가 형성됨으로써 홀더(540)가 제2전사유닛프레임(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홀더(540)로부터 돌출된 홀더돌기부(550)를 더 포함한다. 홀더돌기부(550)는 제1지지가이드(830)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제1전사롤러유닛(500K) 전체가 제1지지가이드(83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전사유닛프레임(300)에는 홀더돌기부(55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슬라이더부재(810)의 이동에 따라서 제1지지가이드(830)가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구성에 관해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제1지지가이드(830)가 홀더돌기부(550)를 규제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부재(853)가 회전하면, 제1캠부재(853)의 캠 프로파일이 피가압부(811)를 가압함으로써 제1슬라이더부재(810)는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탄성부재(710)의 탄성 가압력은 홀더돌기부(550)가 Z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며, 제1지지가이드(830)가 이 탄성 가압력을 규제함으로써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전사위치 또는 대기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홀더돌기부(550)는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전사위치에 있을 때 A1 위치에,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A2 위치에 위치한다.
제1지지가이드(830)는 홀더돌기부(550)가 A1 위치에 있도록 규제하는 제1지지부(831)와, 홀더돌기부(550)가 A2 위치에 있도록 규제하는 제2지지부(8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지지가이드(830)는 제1지지부(831) 및 제2지지부(833)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차로 구현되는 제3지지부(835)를 더 포함한다. 제3지지부(835)는 제1슬라이더부재(810)의 이동에 따라서 홀더돌기부(550)가 A2 위치에서 A1 위치로 이동할 때, 홀더돌기부(550)의 가속 구간을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A1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에 홀더돌기부(550)의 속도를 저감시킨다. 결과적으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전사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상담지체(23K)에 전달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홀더돌기부(550)가 제2지지부(833)에 의해 A2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초기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제1캠부재(853)가 회전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제1캠부재(853)의 캠 프로파일이 피가압부(811)를 가압함에 따라서, 제1슬라이더부재(810)는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제1슬라이더부재(810) 상에 형성된 제1지지가이드(830) 또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지지가이드(830)에서 홀더돌기부(550)를 규제하는 영역은 제2지지부(833)에서 제3지지부(835)로 변화하며, 홀더돌기부(550)는 A2 위치에서 A3 위치로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 홀더돌기부(550)는 제3지지부(835)에 의해 규제되므 로, 이에 의하여 A3 위치에서 홀더돌기부(550)의 이동 속도는 A3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비해 저감된다.
제1슬라이더부재(810)가 -Y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제1지지가이드(830)도 -Y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서 홀더돌기부(550)는 A3 위치로부터 A1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홀더돌기부(550)의 이동 속도는 A3 위치에서 저감된 상태이므로, A1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홀더돌기부(550)의 이동 속도 또한 저감된다.
이 상태에서 제1캠부재(853)의 회전이 정지하면, 홀더돌기부(550)는 A1 위치를 유지하며,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전사위치를 유지한다.
만일, 제1지지가이드(830)에 제3지지부(835)가 없다면, 제1슬라이더부재(810)가 -Y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홀더돌기부(550)는 어떠한 간섭 없이 A2 위치에서 A1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탄성부재(71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홀더돌기부(550)가 가속되는 구간은 A2 위치 및 A1 위치 사이의 구간으로 형성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3지지부(835)가 존재하면, 홀더돌기부(550)가 가속되는 구간은 A3 위치 및 A1 위치 사이의 구간으로서, 제3지지부(835)가 없는 경우에 비해 가속 구간이 짧다. 가속 구간이 길수록 홀더돌기부(550)의 운동량은 증가하므로, A1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상담지체(23C, 23M, 23Y, 23K)에 전달되는 충격량 또한 커진다.
따라서, 제3지지부(835)에 의해 홀더돌기부(550)의 가속 구간을 줄임으로써 홀더돌기부(550)의 운동량을 단계적으로 저감시키고, 이에 따라서 충격량을 저감시 킬 수 있다.
한편, 홀더돌기부(550)가 A1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1지지부(83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제1캠부재(853)가 회전하여 제1슬라이더부재(810)가 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제1지지가이드(830)는 Y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서 홀더돌기부(550)는 A3 위치를 거쳐 A2 위치로 이동한다.
홀더돌기부(550)가 A2 위치에 도달하고 제1캠부재(853)의 회전이 정지하면, 홀더돌기부(550)는 A2 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대기위치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1지지부(831) 및 제3지지부(835) 사이와, 제3지지부(835) 및 제2지지부(833) 사이에는 홀더돌기부(5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837)가 형성된다. 제1지지가이드(830)가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홀더돌기부(550)는 이 경사부(837)에 의해 제1지지부(831)로부터 제3지지부(835)로, 제3지지부(835)로부터 제2지지부(833)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제3지지부(835)가 제1지지부(831) 및 제2지지부(833)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단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설계 방법에 따라서, 제3지지부(835)는 복수 개의 단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과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각 프린트 모드에서 가이드 어셈블리(8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2) 및 (3)은 각각 대기 모드, 모노 프린트 모드 및 컬러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는 가이드 어셈블리(8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의 대기 모드에서, 제1전사롤러유닛(500K)의 제1홀더돌기부(550a)와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의 제2홀더돌기부(550b)는 각각 제1지지가이드(830) 및 제2지지가이드(840)에 의해 A2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인쇄가 수행되지 않는 대기 모드 동안에 상담지체(23C, 23M, 23Y, 23K)로부터 이격된다.
(2)의 모노 프린트 모드에서, 캠 회전축(851)이 회전함에 따라서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가 회전한다. 여기서, 제1캠부재(853)의 캠 프로파일은 제1슬라이더부재(810)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 제2캠부재(855)의 캠 프로파일은 제2슬라이더부재(820)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제1홀더돌기부(550a)는 A2 위치로부터 A1 위치로 이동하며, 제2홀더돌기부(550b)는 A2 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의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은 블랙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전사할 수 있는 전사위치로 이동하고,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대기위치를 유지한다.
제1홀더돌기부(550a)가 A1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홀더돌기부(550a)의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제1전사롤러유닛(500K)이 상담지체(23K)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킨다.
(2)의 모노 프린트 모드에서 (3)의 컬러 프린트 모드로 이행되면, 제1캠부 재(853) 및 제2캠부재(855)가 회전한다. 이 때, 제1홀더돌기부(550a)는 이미 A1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1슬라이더부재(810)는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2캠부재(855)의 캠 프로파일은 제2슬라이더부재(820)가 Y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제2홀더돌기부(550b)는 A2 위치에서 A1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충격량 저감 구성이 적용된다.
제1홀더돌기부(550a) 및 제2홀더돌기부(550b)가 모두 A1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이 전사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전사유닛(40)은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화상을 전사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1)의 대기 모드에서 (3)의 컬러 프린트 모드로 이행되는 경우, 캠 회전축(851)의 회전에 따라서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 각각의 캠 프로파일은 제1슬라이더부재(810)를 -Y 방향으로, 제2슬라이더부재(820)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1홀더돌기부(550a) 및 제2홀더돌기부(550b)는 모두 A2 위치에서 A1 위치로 이동한다.
(3)의 컬러 프린트 모드에서 (1)의 대기 모드로 이행되는 경우, 제1캠부재(853) 및 제2캠부재(855) 각각의 캠 프로파일은 제1슬라이더부재(810)를 Y 방향으로, 제2슬라이더부재(820)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1홀더돌기부(550a) 및 제2홀더돌기부(550b)는 모두 A1 위치에서 A2 위치로 이동하며,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대기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제1전사롤러유닛(500K) 및 제2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각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각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의 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제어 과정에서, 블랙 전사롤러유닛(500K)은 블랙 색상의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롤러유닛(500K)이며, 컬러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색상의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세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통칭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는 인쇄가 수행되고 있지 않으므로 블랙 전사롤러유닛(500K) 및 컬러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은 모두 대기위치를 유지한다(S100).
프린트 과정이 개시되면(S110), 컨트롤러(859)는 현재 프린트 모드가 모노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지 판단한다(S120).
모노 화상의 프린트 모드로 판단하면, 컨트롤러(859)는 블랙 전사롤러유닛(500K)을 전사위치로 이동시키고, 컬러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대기위치로 유지한다(S130).
모노 화상의 프린트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컨트롤러(859)는 컬러 화상의 프린트 모드인지 판단한다(S140). 컬러 화상의 프린트 모드로 판단하면, 컨트롤러(859)는 블랙 전사롤러유닛(500K) 및 컬러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전사위치로 이동시킨다(S150).
S130 단계 또는 S150 단계가 완료되면, 전사유닛(40)은 상담지체(23C, 23M, 23Y, 23K)의 화상을 전사한다(S160). 여기서, 전 단계가 S130 단계인 경우, 블랙 전사롤러유닛(500K)에 의한 전사만이 수행되며, 블랙 색상의 현상제에 의한 모노 화상이 형성된다. 반면, 전 단계가 S150 단계인 경우, 블랙 전사롤러유닛(500K) 및 컬러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에 의한 전사가 수행되므로,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컨트롤러(859)는 프린트 과정이 종료하였는지 판단한다(S170). 프린트 과정이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컨트롤러(859)는 S120 단계로 되돌아가서 다음 프린트 시의 프린트 모드를 판단한다.
프린트 과정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면, 컨트롤러(859)는 블랙 전사롤러유닛(500K) 및 컬러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을 모두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S180).
한편,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제3지지부(835)가 적어도 하나의 단차로 형성됨으로써 홀더돌기부(550)의 속도를 단계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제3지지부(835)를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구성한 예를 제2실시예로 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가이드(860)가 홀더돌기부(550)를 규제하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가이드(860)는 A1 위치의 홀더돌기부(55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861)와, A2 위치의 홀더돌기부(55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863)와, 제1지지부(861) 및 제2지지부(863) 사이에 연장되며 홀더돌기부(550)의 이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3지지부(865)를 포함한다.
제3지지부(865)는 제1지지부(861) 및 제2지지부(863) 사이에 라운드지게 연장됨으로써, 제3지지부(865)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홀더돌기부(550)의 이동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3지지부(865)에서 홀더돌기부(550)를 지지하는 소정의 지지위치인 P1과 P2가 있고, P2는 P1에 비해 제1지지부(861)에 가깝게 위치한다고 한다. 그리고, P1의 접선을 T1, P2의 접선을 T2라고 하고, Z 방향으로 평행한 홀더돌기부(550)의 이동 축선을 L이라고 한다. 이에, L 및 T1 사이의 각도 D1과, L 및 T2 사이의 각도 D2의 관계는 D2>D1을 만족한다. 즉, 제3지지부(865)의 지지위치가 제1지지부(861)에 가까워질수록, 해당 지지위치에서의 접선과 홀더돌기부(550)의 이동 경로 사이의 각도는 커진다.
이는 두 가지를 의미하는데, 하나는 홀더돌기부(550)가 A2 위치에서 A1 위치로 이동할수록 홀더돌기부(550)의 이동에 대한 간섭이 증가한다는 것이며, 또 하나는 이와 같은 간섭이 단계적이 아닌 점진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즉,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해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과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어셈블리(800)는 탄성부재(710, 72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전사위치로 이동하는 전사롤러유닛(500C, 500M, 500Y, 500K)이 상담지체(23C, 23M, 23Y, 23K)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담지체(23C, 23M, 23Y, 23K)의 물리적 변형이 방지되어 화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전사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사유닛에 적용되는 전사롤러유닛 및 가이드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사롤러유닛이 전사위치에 있을 때 이격부재 및 상담지체가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각각 상이한 각도로 본 모습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가이드 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는 전사롤러유닛의 단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지지가이드가 홀더돌기부를 규제하여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5의 가이드 어셈블리가 각각의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각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각 전사롤러유닛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가이드가 홀더돌기부를 규제하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 : 매체공급유닛
20K, 20C, 20M, 20Y : 현상 카트리지
23K, 23C, 23M, 23Y : 상담지체
30 : 노광유닛 40 : 전사유닛
50 : 정착유닛 60 : 본체하우징
110 : 중간전사벨트 120 : 구동롤러
130 : 최종전사롤러 140 : 전사백업롤러
150 : 텐션롤러 200 : 제1전사유닛프레임
300 : 제2전사유닛프레임 400 : 클리닝 블레이드
500K : 제1전사롤러유닛
500C, 500M, 500Y : 제2전사롤러유닛
510 : 회전축 520 : 전사롤러
530 : 이격부재 540 : 홀더
550 : 홀더돌기부 710 : 제1탄성부재
720 : 제2탄성부재 800 : 가이드 어셈블리
810 : 제1슬라이더부재 820 : 제2슬라이더부재
830 : 제1지지가이드 831 : 제1지지부
833 : 제2지지부 835 : 제3지지부
837 : 경사부 840 : 제2지지가이드
850 : 구동유닛 851 : 캠 회전축
853 : 제1캠부재 855 : 제2캠부재
857 : 모터 859 : 컨트롤러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대응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상기 화상을 전사시키는 제1위치 및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유닛과;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상기 제1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을 규제하여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이동을 규제하게 상기 슬라이더부재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위치가 가변되게 연장된 지지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이동시키는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캠부재와;
    기 설정된 프린트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부재가 이동하게 상기 캠부재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유닛은,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여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상담지체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유닛은,
    상기 전사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홀더돌기부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는,
    상기 제1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로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3지지부 사이와, 상기 제3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는,
    상기 제1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위치의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에서 상기 전사롤러유닛의 지지위치의 접선과 상기 전사롤러의 이동 경로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3지지부의 상기 지지위치가 상기 제1지지부에 가까울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블랙 색상의 현상제에 대응하는 제1전사롤러유닛과;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과 병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컬러 색상의 현상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전사롤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부재는,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지지가이드가 형성된 제1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제2전사롤러유닛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지지가이드가 형성된 제2슬라이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와 동축상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제2캠부재와;
    기 설정된 프린팅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가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캠부재 및 상기 제2캠부재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인쇄를 수행하지 않는 대기 모드 시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 및 상기 제2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 있고,
    모노 화상의 프린트 모드 시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 상기 제2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 있고,
    컬러 화상의 프린트 모드 시 상기 제1전사롤러유닛 및 상기 제2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1캠부재 및 상기 제2캠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담지체에 대응하여 상기 전사벨트에 상기 화상을 전사시키는 제1위치 및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유닛과;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상기 제1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을 규제하여 상기 전사롤러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전사롤러유닛이 상기 상담지체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KR1020090086954A 2009-09-15 2009-09-15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163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54A KR101639806B1 (ko) 2009-09-15 2009-09-15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2/782,256 US8374526B2 (en) 2009-09-15 2010-05-18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3/737,293 US8750755B1 (en) 2009-09-15 2013-01-09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54A KR101639806B1 (ko) 2009-09-15 2009-09-15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26A true KR20110029326A (ko) 2011-03-23
KR101639806B1 KR101639806B1 (ko) 2016-07-14

Family

ID=4373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954A KR101639806B1 (ko) 2009-09-15 2009-09-15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74526B2 (ko)
KR (1) KR101639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806B1 (ko) * 2009-09-15 2016-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2012008514A (ja) * 2010-05-24 2012-01-12 Casio Electronics Co Ltd 画像記録装置
JP5338827B2 (ja) * 2011-02-28 2013-1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12781B2 (ja) * 2012-06-0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73258B2 (ja) * 2014-05-30 2017-08-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JP6415264B2 (ja) * 2014-11-19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39108B2 (ja) * 2015-05-28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06272B2 (ja) * 2016-01-28 2018-10-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7013771B2 (ja) * 2016-09-30 2022-02-01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搬送装置における回転体の位置制御方法、及び回転体の位置制御プログラム
JP7336272B2 (ja) 2019-06-19 2023-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944B2 (ja) * 1993-11-16 2000-12-2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365928A (ja) * 2001-06-06 2002-12-20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ユニット
JP2004163795A (ja) * 2002-11-15 2004-06-10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転写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8216969A (ja) * 2007-02-09 2008-09-18 Ricoh Co Ltd ベルト装置、転写ベルト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806B1 (ko) * 2009-09-15 2016-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944B2 (ja) * 1993-11-16 2000-12-2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365928A (ja) * 2001-06-06 2002-12-20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ユニット
JP2004163795A (ja) * 2002-11-15 2004-06-10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転写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8216969A (ja) * 2007-02-09 2008-09-18 Ricoh Co Ltd ベルト装置、転写ベルト装置、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806B1 (ko) 2016-07-14
US8750755B1 (en) 2014-06-10
US20110064464A1 (en) 2011-03-17
US8374526B2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9326A (ko)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6324374B1 (en) Belt device and unit device including bel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belt device and unit device
US8768209B2 (en)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84689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9277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073411A (ko) 화상 형성 장치
US8059989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mber supporting a plurality of cartridges
EP295016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754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osition adjusting member
US11493878B2 (en) Cartridge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developing roll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US72928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rotated developing roller
US20130107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4771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96979B2 (ja) 現像装置と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7494062B2 (ja) 画像形成装置
JP7471945B2 (ja) 画像形成装置
US11789401B2 (en) Cartridge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developing roll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JP7483540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34671B1 (ko) 화상형성장치
JP3870622B2 (ja) 現像装置
JP429010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941554B1 (ko) 화상형성장치
JP3982559B2 (ja) 現像装置と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7065480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