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000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000A
KR20110029000A KR1020090086665A KR20090086665A KR20110029000A KR 20110029000 A KR20110029000 A KR 20110029000A KR 1020090086665 A KR1020090086665 A KR 1020090086665A KR 20090086665 A KR20090086665 A KR 20090086665A KR 20110029000 A KR20110029000 A KR 2011002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otection area
area
touch prote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218B1 (ko
Inventor
김혜진
최준호
최나리
은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18B1/ko
Priority to US12/838,552 priority patent/US8441567B2/en
Priority to CN201010280442.8A priority patent/CN102025913B/zh
Publication of KR2011002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면에 대형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아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실행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 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터치 스크린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보호 영역을 구비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를 파지(把指)할 때 터치 오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는 배면에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부가 설치되고 촬영 전 프리뷰 화상이나 촬영 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촬영 장치는 급속히 소형화 되고 있는 반면, 표시부는 보다 생동감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대형화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와 조작부의 단순화를 위하여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디지털 촬영 장치에 대(大) 화면의 터치 스크린을 탑재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본체 사이즈에 비하여 표시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질수록 촬영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쥘 수 있는 부분(그립(grip)부)가 작아지고 기기를 지지하지 어려워 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파지(把指)하는 손으로 터치 스 크린을 덮어 버리므로 터치 스크린의 아이콘을 눌러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보호 영역을 구비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를 파지(把指)할 때 터치 오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면에 대형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아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실행하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내의 임의의 영역에 설정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 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스크린 상에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며,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영역 내에 복수개의 지점을 입력하고, 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내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크기 또는 위치를 임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될 때, 종래 터치 영역 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변경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콘의 크기 또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상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터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 정보를 통하여 터치 보호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터치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입력 받은 터치를 블로킹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한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개의 지점을 입력하고, 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영역의 내부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크기 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될 때, 종래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변경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 콘의 크기 또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실행할 때 활성화되며, 터치 스크린상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터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상기 좌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인지 판단하는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입력 받은 상기 터치를 블로킹 처리하는 터치 보호 실행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하는 터치 보호 영역 활성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영역 내에 복수개의 지점을 입력하고, 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내부 영역을 상기 터치 보호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될 때, 종래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변경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 콘의 크기 또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영역 내에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복수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대 화면 터치 스크린에 터치 보호영역을 둠으로써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사용자의 파지에 의하여 터치의 오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위치한 아이콘도 자동으로 재 배열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디지털 촬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며 디지털 촬영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디지털 카메라는 전원 버튼(1), 셔터 릴리즈 버튼(3), 터치 스크린(20) 외에 각종 버튼을 구비한다.
전원 버튼(1)은 디지털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 다.
셔터 릴리즈 버튼(3)은 스틸 컷 촬영시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L: 이미지 센서)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w)이 입력되면, 줌 아웃(zoom out)되면서 피사체가 멀리 떨어져 보인다. 즉, 화각이 넓어져 넓은 각도의 피사체 촬영에 유리한 상태가 되며,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진다. 망원-줌 버튼(t)이 입력되면, 줌 인(zoom in)되면서 피사체가 가깝게 보인다. 즉 화각이 좁아지고 좁은 각도의 피사체 촬영에 유리한 상태가 되며,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M, S)은 입력에 따라 촬영 모드에서 재생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거나, 각종 터치 보호 영역 설정 메뉴를 포함하여 각종 메뉴 항목을 실행하고자 할 때 상기 버튼들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버튼들(M, S)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버튼들(M, S)에 의하여 실행되는 동작은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20)은 디스플레이부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디지털 카메라의 각종 기능을 터치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의 전면을 차지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의 자세한 구조 및 구동 방법은 도 3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그립(grip)한 경우 터치 보호 영역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의 그립(grip)부를 오른손(41)으로 파지(把指)하고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렌즈가 있는 앞면을 피사체로 향하게 된다. 이 때 대(大)화면의 디스플레이부 때문에 필연적으로 터치 스크린(20)의 일부에 촬영자의 손이 접촉하게 된다. 도 4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20)의 우측 상단 면에 촬영자의 엄지 손가락(41)이 접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자의 손이 접촉한 터치 스크린(20)영역에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아이콘이 위치해 있다면, 원하지 않은 동작이 실행되는 터치 오류를 일으키게 된다. 이렇게 아이콘을 터치하지 않기 위하여 손의 위치를 바꾼다면 디지털 촬영 장치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20)은 터치 영역(20_1)과 터치 보호 영역(20_2)로 구성된다.
터치 영역(20_1)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면에 대형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아이콘이 배치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터치 보호 영역(20_2)은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상기 터치 영역(20_1) 내에 사 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아 감지하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터치 보호 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터치 보호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더라도 보호 영역에 포함된 아이콘이 실행되지 않는다. 그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예를 들어 터치 보호 영역(20_2)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에서 터치에 대응하는 좌표를 읽고 터치 보호 영역인지 판단한 후 터치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제어부에서 이와 같은 동작이 일어나는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디스플레이(터치 스크린)에서 보면 터치가 감지되어도 터치에 대응한 동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터치가 활성화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x1, y1), (x2, y2), (x3, y3) 및 (x4, y4)를 꼭지점으로 하는 닫힌 영역 내부가 터치 보호 영역(20_2) 에 해당한다. 그러나 터치 보호 영역(20_2)의 위치, 모양 및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우측 하단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그립되는 부위에는 어디든지 다양한 모양 및 크기를 가지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보호 영역(20_2)의 구체적인 설정 및 구동 방법은 도 3 내지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20)에 터치 보호 영역(20_2)를 구비함으로써 촬영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그립(grip)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종래 그립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터치의 오작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터치 보호 영역(20_2)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촬상부(2), CCD(4), 입력신호 처리부(10), 터치 스크린(20), 조작부(30),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 처리부)(40), 메모리(5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촬상부(2)는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터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CCD(4)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촬상부(2)는 렌즈, 조리개, 셔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모터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DSP(4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렌즈, 조리개, 셔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CCD(4)는 촬상부(2)로부터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CCD(4) 외에도 이미지 센서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신호 처리부(10)는 CCD로부터 공급된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이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CCD(4)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에 대해 게인(gain) 조정이나 파형을 정형화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은 디스플레이부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숫자, 문자 및 각종 데이터를 터치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은 액정 표시부(21) 와 터치 입력부(22)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부(21)는 입력 신호 처리부(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복원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터치 입력부(22)에서 입력된 터치 신호에 의하여 동작을 실행하게 만드는 각종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2)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특수 처리된 전극 유리(ITO GLASS)와 전극 필름(ITO FILM)을 포함한 여러 층으로 구성되고, 손 또는 펜으로 화면을 접촉하면 터치 스크린(20)상에서 접촉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 위치인식 센서(미도시)가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터치 입력부(22)과 액정 표시부(21)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20)은 투명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자이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1)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21)에 필요한 화면이 인쇄되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액정 표시부(21)에 표시되는 데이 터가 없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한다.
조작부(30)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들(W, T, M, S), 키,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DSP(4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 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DSP(8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DSP(40)에서는 액정 표시부(21)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 다. 상기 DSP(4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50)는 입력 영상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결과 등을 임시 저장하는 부분,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부분,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부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기 터치 스크린(20)을 통해 들어온 입력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하거나, 조작부(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입력 및 제어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 설정 데이터 등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 동작에 관하여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2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201), 터치 보호 영역 활성화부(202), 좌표 검출부(203),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204), 터치 보호 실행부(205)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201)는 터치 스크린(20) 내에 존재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 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2)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감지되더라도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실행하지 않는다. 아래 설명할 제어부의 동작으로 인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디스플레이(터치 스크린)에서 보면 터치가 감지되어도 터치에 대응한 동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터치가 활성화 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터치 보호 영역의 자세한 동작은 좌표 검출부(203),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204), 터치 보호 실행부(205)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기술한다.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201)는 사용자가 터치 영역(도 2의 20_1) 내에 복수개의 지점을 터치로 입력하면, 메모리에 기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를 연결한 닫힌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영역의 내부를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x1, y1), (x2, y2), (x3, y3) 및 (x4, y4) 지점을 입력함에 따라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201)는 각 지점을 연결하는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설정된 영역의 내부를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으로 설정한 것이다.
그러나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드로잉을 통하여 터치 보호 영역을 직접 입력하거나, 내장된 프로그램에 이미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을 불러와 설정할 수도 있다.
터치 보호 영역 활성화부(20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한다.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201)를 통해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활성화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고, 비활성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숨김 상태로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등의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하는 조작을 실행하면, 터치 보호 영역 활성화부(202)가 터치 보호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활성화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표시되거나, 음영 표시된다. 상기 터치 보호 영역 활성화부(202)의 동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활성화된 터치 보호 영역을 다시 비활성화시켜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숨김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은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좌표 검출부(203)는 터치 스크린(20)의 터치 입력부(22)에 의하여 입력받은 터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임의의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거나, 수평축 및 수직축을 가진 좌표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좌표 검출부(203)는 입력 받은 터치를 (x, y) 와 같은 2차원의 평면 좌표값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한 점 (x, y)가 아니라 임의로 분할된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 (예를 들어 A1 또는 A12)등으로 터치의 좌표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204)는 상기 좌표 검출부(203)에 의하여 검출된 좌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터치가 입력된 좌표가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메모리(도 3의 50)에는 좌표 정보와 상기 좌표 정보에 대한 영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204)는 메모리(도 3의 50)를 검색하여 좌표 정보가 터치 영역(도 2의 20_1)에 있는지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에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204)의 판단 결과 입력된 터치의 좌표값이 터치 영역(도 2의 20_1)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적인 경우와 동일하게 해당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입력할 때,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좌표에 휴지통 아이콘이 있었다면 제어부는 표시된 이미지 파일을 휴지통으로 옮기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보호 실행부(205)는 상기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204)의 판단 결과 입력된 터치의 좌표값이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에 해당하는 경우 입력 받은 터치를 블로킹(blocking) 처리한다. 일 실시예로 터치가 감지된 좌표값을 읽어 터치 보호 영역인지 판단하고 상기 터치 보호 영역 실행부에서 상기 좌표값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의 생성을 막는 처리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좌표값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가 생성되더라도 이를 무시하는 처리를 할 수 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아예 좌표값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터치 보호 영역에서 감지된 터치 자체를 무시하는 처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터치 보호 실행부(205)를 통하여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에 터치가 입력되더라도 이를 무시(블로킹 또는 브레이크(break) 처리)하게 되므로,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 내의 아이콘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은 사용자의 파지(把指)가 가능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 보호 영역(도 2의 20_2)의 다양한 설정 방법 및 그 제 어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메뉴를 실행한 다음, 상술한대로 터치 보호 영역(20-2)을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20_2)은 사용자가 임의로 그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보호 영역의 한쪽 모서리 또는 꼭지점을 드래그하여 그 넓이를 넓힐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설정은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메뉴를 실행한 다음 수행하여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터치 보호 영역(20_2) 내의 터치로 인식되어 실행되지 않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터치 보호 영역(20_2)을 확대하더라도 아이콘(20_i)의 배열 위치나 크기가 달라지지 않고, 대신 터치 보호 영역(20_2)이 아이콘(20_i)을 덮는 다른 레이어(layer)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터치 보호 영역(20_2)에 포함된 아이콘(20_i)은 아이콘 상에 터치가 입력되더라도 아이콘이 비활성화된다.
도 7을 참고하면, 기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20_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메뉴를 실행한 다음,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20_2)의 내부 지점을 터치 및 드래그 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의하면, 터치 보호 영역(20_2)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 됨에 따라 이웃하는 아이콘(20_i)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모습을 설명하였다.
도 8을 참고하면, 터치 보호 영역(20_2)을 터치 영역(20_1)상에 있는 아이콘(20_i)이 위치한 방향으로 확대하는 경우, 변경된 터치 보호 영역(20_3)과 아이콘이 오버랩(overlap)되지 않도록 아이콘(20_i)이 축소된다.
도 9를 참고하면, 터치 보호 영역(20_2)이 보다 크게 확대됨에 따라, 아이콘(20_i)이 변경된 터치 보호 영역(20_2)과 겹치지 않도록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를 참고하면, 터치 보호 영역(20_2)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아이콘(20_i)의 배열 위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즉 터치 보호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기존에 위치하던 아이콘이 터치 보호 영역이 설정되지 않은 인근 영역으로 이동하여 재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콘(20_i)이 변경되는 위치 및 축소되는 정도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조절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 8 내지 10은 터치 보호 영역(20_2)이 조절되더라도, 디지털 카메라의 각종 동작(예를 들어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를 넘기는 기능, 이미지를 휴지통으로 옮기는 동작, 재생 모드를 실시 또는 종료하는 동작,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를 회전, 확대, 축소하는 동작 등 다양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신호를 출력하는 아이콘(20_i)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핵심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터치 보호 영역 실행 메뉴를 실행한 다음, 터치 보호 영 역(20_2)를 설정할 때 복수개를 설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2, 3의 터치 보호 영역(20_2)은 종래 터치 보호 영역(20_2) 복사하기로 설정하거나, 새로운 터치 보호 영역(20_2)을 다시 설정하는 방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치 보호 영역(20_2)의 크기, 위치 및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왼손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를 파지(把指)하거나 양손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를 파지하더라도 다양한 위치에 알맞은 크기의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원치 않는 터치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이콘(20_i)이 터치 보호 영역(20_2)에 맞춰 이동 또는 모양이 변환됨으로써 터치 보호 영역을 사용함과 동시에 아이콘도 실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각 구성과 연관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원을 켜고, 조작부의 버튼을 이용하거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터치 보호 영역 설정 메뉴를 시작한다.(S101)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 영역(20_1) 내에 터치 보호 영역(20_2)을 설정한다. 여기서 터치 보호 영역(20_2)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4의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201)에서 설명하였으며, 터치 보호 영역(20_2)을 변경하는 내용은 도 5 내지 도 11에서 설명하였다.(S102)
이렇게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이 포함된 터치 영역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입력되면 (S103), 제어부에서 입력 받은 터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한다.(S104) 이렇게 검출된 좌표 정보가 터치 보호 영역 내의 것인지 메모리를 검색하여 확인한다.(S105)
만약 상기 좌표 정보가 터치 보호 영역 내의 것이라면 제어부는 입력 받은 상기 터치를 블로킹 처리한다. 즉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의 발생을 막거나, 발생된 제어 신호를 무시한다. (S106) 이로써 사용자의 파지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터치 보호 영역 내라면 터치의 오작동으로 불필요한 기능이 실행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없다.
만약 상기 좌표 정보가 터치 보호 영역의 것이 아니라 터치 영역에 포함된 것이라면, 제어부는 싱글(single) 좌표 정보가 검출되었는지 확인한다. (S107) 싱글 좌표 정보라 검출되었다면 입력 받은 터치(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고(S108), 싱글 좌표 정보가 아니라면, 오류 처리 또는 멀티플(multiple) 터치 처리를 한다.(S109)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와 도 13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도 13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기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가 추가되었다.
먼저 사용자는 촬영 모드에 진입한다.(S201) 사용자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한 손으로 그립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하여 재생 모드 등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한 손으로 그립하기 보다 양손으로 그립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모드에서는 대화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그립한 손이 잘못된 터치 입력을 하여 터치 오류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촬영 모드에서 한정되지 않고 촬영 모드 외에 재생 모드 등 타 모드에서도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선택에 의하여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한다. (S202) 본 단계의 이전에 도 12의 S101 및 S10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상에 터치 보호 영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여 S202 단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4의 (a)와 같이 촬영 모드 진입 초기에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터치 스크린(20) 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즉, 촬영 모드에 진압하면,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 할 것인지 터치 보호 영역을 비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하지 않을 할 것인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의 (b)와 같이 터치 보호 영역이 설정된 위치에 터치 보호 영역이 숨겨져 있다는 표시를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 보호 영역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하겠습니까?" 라는 팝업 창을 띄울 수 있다.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도 14 (c)와 같이 숨겨져 있던 터치 보호 영역(20_2)을 활성화 할 수 있다. 터치 보호 영역(20_2)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상의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조작부의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된 터치 보호 영역(20_2)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테두리가 실선으로 표시된다거나, 터치 보호 영역의 내부가 색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c)상태의 활성화된 터치 보호 영역(20_2)을 도 14(b)와 같이 숨겨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터치 보호 영역(20_2)을 활성화할 때와 마찬가지로 터치 스크린 상의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조작부의 버튼을 눌러 실시할 수 있다.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 한 경우, 터치 스크린 상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고(S203) 입력 받은 터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한 다음(S204) 상기 검출된 좌표가 터치 보호 영역 내의 입력인지 판단한다.(S205) 터치 보호 영역 내의 입력인 경우 입력 받은 터치는 블로킹 처리된다.(S206) 또한 터치 보호 영역 내의 입력이 아니라 터치 영역 내의 입력인 경우 싱글 좌표 정보인지 멀티플 좌표 정보인지 확인하여 싱글 좌표 정보인 경우 입력 받은 터치에 대한 동작이 실행된다.
결국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터치 보호 영역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편의에 맞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그립한 경우 터치 보호 영역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 버튼 3 : 셔터-릴리즈 버튼
20 : 터치 스크린 20_1 : 터치 영역
20_2 : 터치 보호 영역 20_i : 아이콘

Claims (15)

  1.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받아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실행하는 터치 영역;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될 수 있고, 활성화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표시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며,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영역 내에 복수개의 지점을 입력하고, 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영역의 내부로 설정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크기 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될 때,
    종래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변경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콘의 크기 또는 위치가 조절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를 입력 받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 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터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터치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입력 받은 상기 터치를 블로킹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개의 지점을 입력하고, 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영역의 내부로 설정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크기 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될 때,
    종래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변경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콘의 크기 또는 위치가 조절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개 설정할 수 있는 디지 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를 입력 받더라도 상기 터치를 활성화하지 않는 터치 보호 영역을 설정하는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설정된 터치 보호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활성화하는 터치 보호 영역 활성화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
    입력받은 상기 터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상기 좌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인지 판단하는 터치 보호 영역 판단부; 및
    판단 결과 상기 터치 보호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입력 받은 상기 터치를 블로킹 처리하는 터치 보호 실행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개의 지점을 입력하고, 이를 연결하여 형성된 영역의 내부를 상기 터치 보호 영역으로 설정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될 때,
    종래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변경된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콘의 크기 또는 위치가 조절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보호 영역 설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터치 보호 영역을 복수개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90086665A 2009-09-14 2009-09-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65A KR101624218B1 (ko) 2009-09-14 2009-09-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838,552 US8441567B2 (en) 2009-09-14 2010-07-19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010280442.8A CN102025913B (zh) 2009-09-14 2010-09-08 数字摄影设备及控制该数字摄影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65A KR101624218B1 (ko) 2009-09-14 2009-09-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000A true KR20110029000A (ko) 2011-03-22
KR101624218B1 KR101624218B1 (ko) 2016-05-25

Family

ID=4373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665A KR101624218B1 (ko) 2009-09-14 2009-09-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41567B2 (ko)
KR (1) KR101624218B1 (ko)
CN (1) CN1020259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6783A (zh) * 2011-03-29 2012-10-17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便携式终端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9419B (zh) * 2011-09-20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触控区域调节方法
CN103186334B (zh) * 2011-12-28 2016-08-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
CN103207754B (zh) * 2012-01-13 2016-12-14 阿尔派株式会社 电子机器及电子机器的操作控制方法
US8866770B2 (en) * 2012-03-19 2014-10-21 Mediatek Inc.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hanging size of touch permissible region of touch screen
US20140304649A1 (en) * 2012-04-16 2014-10-09 Vinay Phegade Trusted user interaction
JP5995607B2 (ja) * 2012-08-22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343591B1 (ko) * 2012-09-03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6125811B2 (ja) * 2012-11-22 2017-05-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4123756A1 (en) * 2013-02-05 2014-08-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er interface element
EP2960771A4 (en) * 2013-02-19 2016-10-05 Nec Corp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AND SCREEN CONTROL PROGRAM
CN103235695B (zh) * 2013-04-11 2016-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设备中防止误操作的方法及其装置
KR102137240B1 (ko) 2013-04-16 202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4238793B (zh) * 2013-06-21 2019-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触摸屏移动设备误操作的方法及装置
KR101641091B1 (ko) * 2013-09-23 201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션 인식방법
KR102138516B1 (ko) * 2013-10-1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55911B2 (en) * 2014-01-15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CN104808825B (zh) * 2014-01-28 2018-08-03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触控事件隔离方法及其装置
CN103995668B (zh) * 2014-05-14 2023-05-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JP6541690B2 (ja) * 2014-12-25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898126B2 (en) * 2015-03-31 2018-02-20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User defined active zones for touch screen displays on hand held device
JPWO2017022031A1 (ja) * 2015-07-31 2018-02-22 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6701033B2 (ja) * 2016-08-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8989675B (zh) * 2018-07-26 2020-09-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焦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969A (ja) * 1995-12-14 1997-06-24 Sony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エンタテイメントシステム
JP4178484B2 (ja) * 1998-04-06 2008-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モニタ付きカメラ
JP4127982B2 (ja) * 2001-05-28 2008-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7495659B2 (en) *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20100265209A1 (en) * 2007-12-06 2010-10-21 Nokia Corporatio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CN201191355Y (zh) * 2008-02-25 2009-02-04 陈伟山 多点及物体触摸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6783A (zh) * 2011-03-29 2012-10-17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便携式终端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41567B2 (en) 2013-05-14
CN102025913A (zh) 2011-04-20
CN102025913B (zh) 2015-01-21
US20110063491A1 (en) 2011-03-17
KR101624218B1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21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64174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effecting control based on a detected touch operation and its control method
US1005748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42164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71571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21165A1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2030678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5956836B2 (ja)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80133207A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98689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04442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improved user operability when performing an enlarged display of a live view image and control method of image sensing apparatus
CN106961545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US2021016556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125802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89945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55752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169684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es, control methods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08876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46630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100055945A (ko) 사용자 설정 제스처를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2286425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109016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708410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