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115A -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115A
KR20110027115A KR1020090085065A KR20090085065A KR20110027115A KR 20110027115 A KR20110027115 A KR 20110027115A KR 1020090085065 A KR1020090085065 A KR 1020090085065A KR 20090085065 A KR20090085065 A KR 20090085065A KR 20110027115 A KR20110027115 A KR 2011002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aling member
light emitting
sealing
sea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801B1 (ko
Inventor
전희철
김지은
윤정이
홍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801B1/ko
Priority to US12/699,468 priority patent/US8247826B2/en
Publication of KR2011002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는 제1밀봉재;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중 편평한 변 사이의 제1영역;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중 모서리 사이의 제2영역;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밀봉재; 및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3밀봉재;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 밀봉재로 밀봉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젼(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산소나 수분의 침투에 의해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손상될 수 있어, 내충격성이 높아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는 제1밀봉재;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중 편평한 변 사이의 제1영역;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중 모서리 사이의 제2영역;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밀봉재; 및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3밀봉재;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밀봉재는 무기물일 수 있고, 상기 무기물은 글라스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밀봉재 또는 제3밀봉재는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밀봉재 또는 제3밀봉재는 유기물일 수 있다.
상기 제2밀봉재 또는 제3밀봉재는 상기 제1밀봉재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밀봉재 및 제3밀봉재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밀봉재 내지 제3밀봉재와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고 무기물로 구비된 제1 밀봉재;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고 유기물로 구비되며, 제1너비를 갖는 제2밀봉재; 및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고 유기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너비와 다른 제2너비를 갖는 제3밀봉재;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3밀봉재는 상기 제2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밀봉재 및 제3밀봉재는 상기 제1밀봉재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밀봉재 내지 제3밀봉재와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밀봉재 및 제3밀봉재로 인하여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접합 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제1밀봉재가 모서리 부분에서 돌출된 구조를 취하게 되고, 편평한 변 부분에서 모서리로부터 인입된 구조를 취하게 되어, 제1밀봉재의 편평한 변 부분과 기판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 공간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이 넓은 공간에 더 넓은 영역으로 제2밀봉재가 형성될 수 있어, 제2밀봉재로 인한 강도 보강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기판 상에, 또는 제2기판의 하면에 절연막들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1 기판과 절연막들, 제2기판과 절연막들, 절연막들과 제1밀봉재 간의 박리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된 제1기판(10) 및 제2기판(20)과,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30)는 제1기판(10)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기판(20)의 제1기판(10)을 향한 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기판(10) 및/또는 제2기판(20)은 글라스재 기판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비된 기판일 수도 있다.
한편, 제2기판(20)은 제1기판(10)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기판(10)의 일부가 노출된다. 제1기판(10)의 노출된 부분에는 패드부(23) 및 IC(24)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의 사이에는 제1밀봉재(40)가 구비되어 상기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을 접합한다.
상기 제1밀봉재(4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발광부(30)를 둘러싸도록 장방형의 폐루프를 이루는 데, 각 모서리 부분에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제1밀봉재(40)는 편평한 직선부인 제1부분(41)과 모서리의 돌출된 곡선 모양인 제2부분(42)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제1밀봉재(40)의 형상으로 인해, 제2기판(20)의 가장자리와 제1밀봉재(40)의 사이의 간격은 제1영역(51)과 제2영역(52)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 제1밀봉재(40)의 제1부분(41)의 외측면과 제2기판(20)의 가장자리 사이에 제1영역(51)이 위치하고, 상기 제1밀봉재(40)의 제2부분(42)의 외측면과 제2기판(20)의 가장자리 사이에 제2영역(52)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밀봉재(40)에 의해 상기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의 사이 공간은 밀봉되며, 제1밀봉재(40) 내측의 발광부(30)도 외기와 차단된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밀봉재(40)에 의해 밀봉된 상기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의 사이 공간에는 충진재(35)가 충진될 수 있다.
충진재(35)는 제1밀봉재(40)에 의해 정의된 영역 내측에서 발광부(30)를 덮는다. 이 때 충진재(35)는 제1밀봉재(40)와 제2기판(20)과 접촉될 수 있다. 충진재(35)로는 30㎛ 이내의 두께에서 95%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무색의 고상 또는 액상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상의 물질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류(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타입 에폭시, 싸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 레진, 페닐 실리콘 레진 또는 고무, 아크릴릭 에폭시 레진,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 계열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으로 충 진한 후 열, 전자빔 또는 자외선(UV)으로 경화시키거나 필름 형태 등으로 성형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물질로는 -4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상(phase) 변화가 없고 5% 이내의 부피 변화율을 갖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 오일류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록산(Hexamethyldisiloxane), 옥타메틸트리실록산(Octamethyltrisiloxane),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Decamethyltetrasiloxane),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Dodecamethylpentasiloxane) 및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밀봉재(40)에 의해 밀봉된 상기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의 사이 공간에는 반드시 상기와 같은 충진재(35)가 채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거나, 에어 갭(Air-Gap)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밀봉재(40)는 무기물로 형성되어 외기의 침투를 더욱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물로는 글라스 프릿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프릿을 사용하거나, 레이저 빔의 동작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철, 구리, 바나듐, 또는 네오디뮴 등의 흡수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제1 기판(10) 및/또는 제2기판(20)과의 열팽창 계수의 조화를 위한 필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글라스 프릿재로는 이 외에도 공지의 글라스 프릿재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무기물로 형성되는 제1밀봉재(40)는 형성 과정에서 제1기판(10) 및/또는 제2기판(20)과의 사이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실링 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기판(10) 및/또는 제2기판(20)의 표면에 한 층 이 상의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제1밀봉재(40)가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절연막의 박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밀봉재(40)의 외측면에 제2밀봉재(60) 및 제3밀봉재(70)를 더 형성하였다.
상기 제2밀봉재(60)는 상기 제1밀봉재(40)의 제1부분(41)의 외측면과 제2기판(20)의 가장자리 사이 공간인 상기 제1영역(51)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밀봉재(70)는 상기 제1밀봉재(40)의 제2부분(42)의 외측면과 제2기판(20)의 가장자리 사이 공간인 제2영역(52)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2밀봉재(60)는 제1너비(W1)를 갖는 균일한 직선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밀봉재(70)는 제1밀봉재(30)의 제2부분(42)의 돌출된 부분과 제2기판(20)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된다. 제1밀봉재(30)의 제2부분(42)의 돌출된 부분과 제2기판(20)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인 영역에서 상기 제3밀봉재(70)는 제2너비(W2)를 갖고, 이 제2너비(W2)는 상기 제1너비(W1)보다 얇다. 따라서, 상기 제1부분(41)은 상기 제2부분(42)으로부터 발광부(30)의 방향으로 보다 인입된 구조를 취하게 되어, 이에 따라 상기 제1부분(41)이 제2부분(42)의 최대 돌출 부분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었을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공간인 제1영역(51)이 형성된다. 이 넓은 제1영역(51)에 제2밀봉재(60)가 형성되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2밀봉재(60)의 제1너비(W1)가 보다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밀봉재(60)와 제3밀봉재(70)는 유기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물로는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류(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타입 에폭시, 싸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 레진, 페닐 실리콘 레진 또는 고무, 아크릴릭 에폭시 레진 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밀봉재(60) 및 제3밀봉재(70)로 인하여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의 접합 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30)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기판(10) 상에 형성되어 발광 소자(3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발광부(3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기판(10)의 상면에는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버퍼층과 같은 절연층(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연층(11) 상에 TFT(19)의 활성층(12)이 반도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13)이 형성된다. 활성층(12)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재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소스 영역(12a), 드레인 영역(12b)과 이들 사이에 채널 영역(12c)을 갖는다.
게이트 절연막(13) 상에는 게이트 전극(14)이 구비되고, 이를 덮도록 층간 절연막(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5) 상에는 소스 전극(16a) 및 드레인 전극(16b)이 구비되며, 이를 덮도록 평탄화막(17) 및 화소 정의막(18)이 순차로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3), 층간 절연막(15), 평탄화막(17), 및 화소 정의막(18)은 절연체로 구비될 수 있는 데, 단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TFT(19)의 적층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의 TFT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평탄화막(17)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34)의 한 전극인 화소전극(31)이 형성되고, 그 상부로 화소정의막(18)이 형성되며, 이 화소정의막(18)에 소정의 개구부를 형성해 화소전극(31)을 노출시킨 후, 유기 발광 소자(34)의 유기 발광막(32)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34)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TFT(19)의 드레인 전극(16b)에 콘택 홀을 통해 콘택된 화소 전극(31)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된 대향 전극(33), 및 이들 화소 전극(31)과 대향 전극(33)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막(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31)과 대향 전극(33)은 상기 유기 발광막(3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막(3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막(32)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상기 유기 발광막(32)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은 공통층으로서, 적, 녹, 청색의 픽셀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는 달리, 이들 공통층들은 대향전극(33)과 같이, 전체 픽셀들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31)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대향 전극(3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31)과 대향 전극(3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제1기판(10)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31)은 투명 전극이 되고, 대향 전극(33)은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31)은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형성되고, 대향 전극(33)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 전극(33)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31)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대향 전극(33)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31)이 되는 반사 전극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33)이 되는 투명 전극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도전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양면 발광형의 경우, 상기 화소 전극(31)과 대향 전극(33) 모두를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31) 및 대향 전극(33)은 반드시 전술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유기물이나, Ag, Mg, Cu 등 도전입자들이 포함된 전도성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경우,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프린팅할 수 있으며, 프린팅 후에는 소성하여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발광부(30)의 대향 전극(33)의 상면에는 이 발광부(30)를 덮도록 무기물, 유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 적층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는 대향전극(33)과 제2기판(20)의 사이 공간에 전술한 바와 같은 충진재(35)가 채워진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제1기판(10) 상에 형성된 절연막들, 예컨대 절연층(11), 게이트 절연막(13), 층간 절연막(15), 및 평탄화막(17)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기판(1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화소 정의막(18)은 제1기 판(1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지 않은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 정의막(18)도 제1기판(1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기판(10) 상에 절연막들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1밀봉재(40)는 이 절연막들 상에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제1밀봉재(40)가 무기물로 형성되면 절연막들 상호간에, 혹은 제1밀봉재(40)와 절연막들간에, 혹은 절연막들과 제1기판(10) 간에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제2밀봉재(60) 및 제3밀봉재(70)를 제1밀봉재(40)의 외측에 형성함으로써 접합 강도의 보강과 더불어 상기 박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발광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Ⅱ-Ⅱ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Claims (12)

  1.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는 제1밀봉재; 및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중 편평한 변 사이의 제1영역;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중 모서리 사이의 제2영역;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밀봉재; 및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3밀봉재;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재는 무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글라스 프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재 또는 제3밀봉재는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재 또는 제3밀봉재는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재 또는 제3밀봉재는 상기 제1밀봉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재 및 제3밀봉재는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재 내지 제3밀봉재와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9.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2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고 무기물로 구비된 제1 밀봉재;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고 유기물로 구비되며, 제1너비를 갖는 제2밀봉재; 및
    상기 제1밀봉재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합시키고 유기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너비와 다른 제2너비를 갖는 제3밀봉재;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밀봉재는 상기 제2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재 및 제3밀봉재는 상기 제1밀봉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발광 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재 내지 제3밀봉재와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KR1020090085065A 2009-09-09 2009-09-09 발광 표시 장치 KR10107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65A KR101074801B1 (ko) 2009-09-09 2009-09-09 발광 표시 장치
US12/699,468 US8247826B2 (en) 2009-09-09 2010-02-03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65A KR101074801B1 (ko) 2009-09-09 2009-09-09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15A true KR20110027115A (ko) 2011-03-16
KR101074801B1 KR101074801B1 (ko) 2011-10-19

Family

ID=4364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065A KR101074801B1 (ko) 2009-09-09 2009-09-09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47826B2 (ko)
KR (1) KR1010748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6054B2 (en) 2014-02-19 2016-03-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818975B2 (en) 2015-04-03 2017-1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US9832858B2 (en) 2014-10-31 2017-11-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057829A (ko) * 2017-11-21 2019-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391B1 (ko) 2015-04-16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156444B1 (ko) * 2010-05-11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89123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84994B1 (ko) * 2011-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1168B1 (ko) * 2011-09-20 2014-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3076901A (ja) * 2011-09-30 2013-04-25 Shibaura Mechatronics Corp 貼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2351B1 (ko) * 2013-11-27 2017-0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5138088A (ja) * 2014-01-21 2015-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2282997B1 (ko) * 2014-09-05 2021-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644937B (zh) * 2016-07-22 2021-06-15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组件封装体
CN106229298B (zh) * 2016-08-17 2018-12-1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KR102316563B1 (ko) * 2017-05-22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으로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0554B2 (en) * 2001-04-18 2003-08-26 Hyung Se Kim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6936131B2 (en) 2002-01-31 2005-08-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apsul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ing adsorbent loaded adhesives
JP3778176B2 (ja) * 2002-05-28 2006-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40276B2 (ja) * 2002-07-05 2009-03-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KR101172467B1 (ko) * 2003-08-29 2012-08-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100591548B1 (ko) * 2003-12-30 2006-06-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JP2006252885A (ja) * 2005-03-09 2006-09-2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露光ヘッド、画像形成装置、電子機器
US20060278965A1 (en) 2005-06-10 2006-12-14 Foust Donald F Hermetically sealed packag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863612B2 (en) * 2006-07-21 2011-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US8493658B2 (en) * 2007-07-06 2013-07-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er
CN102450097A (zh) * 2009-06-29 2012-05-09 夏普株式会社 有机el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6054B2 (en) 2014-02-19 2016-03-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780328B2 (en) 2014-02-19 2017-10-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381593B2 (en) 2014-02-19 2019-08-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018317B2 (en) 2014-02-19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832858B2 (en) 2014-10-31 2017-11-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818975B2 (en) 2015-04-03 2017-1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US10069105B2 (en) 2015-04-03 2018-09-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US10374192B2 (en) 2015-04-03 2019-08-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US10734603B2 (en) 2015-04-03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US10998520B2 (en) 2015-04-03 2021-05-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US11600798B2 (en) 2015-04-03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KR20190057829A (ko) * 2017-11-21 2019-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7208A1 (en) 2011-03-10
KR101074801B1 (ko) 2011-10-19
US8247826B2 (en)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801B1 (ko) 발광 표시 장치
US1160079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US84411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substrate spacers of differing heigh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405094B2 (en) Encapsulation substrate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69014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818850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918402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815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890582B2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US2015002156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5995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9732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2426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magnetic substance dispersed in fill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8417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봉지 방법
US2014011733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080090945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905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76011A (ko) 표시 장치
KR10067036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649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09058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9951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56308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