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951A - 방화 난간 구조 - Google Patents

방화 난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951A
KR20110026951A KR1020090084825A KR20090084825A KR20110026951A KR 20110026951 A KR20110026951 A KR 20110026951A KR 1020090084825 A KR1020090084825 A KR 1020090084825A KR 20090084825 A KR20090084825 A KR 20090084825A KR 20110026951 A KR20110026951 A KR 20110026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wall
handrail
railing
balcon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874B1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2009008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8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3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panels, and balustrad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보다 간편하게 발코니 확장 시공을 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외관미를 높일 수 있도록 방화벽과, 이 방화벽에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난간, 상기 방화벽과 난간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과 난간을 지지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방화벽과 난간이 일체화된 난간구조물과, 상기 난간 구조물을 발코니 상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방화 난간 구조를 제공한다.
난간, 방화벽, 프레임, 일체, 고정부, 블록

Description

방화 난간 구조{STRUCTURE FOR HANDRAIL WITH FIREWALL}
본 발명은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난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방화벽과 난간을 일체화한 방화 난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형태의 아파트나 빌라 등에는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다.
아파트의 발코니는 거실 또는 방과 구분된 공간으로서,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창살형태의 난간이 설치된다. 최근들어 발코니를 거실이나 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됨에 따라 발코니를 확장하여 기존의 용도는 물론이고 거실, 창고, 놀이방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추세이다. 현재,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집합 건물은 발코니 확장을 위해서는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몇 가지 안전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이러한 안전 조치 중 중요한 것은 화재의 확산 즉, 화재시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염이 위층의 발코니 창호를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과 거실 창호 사이에 방화판을 설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발코니 확장공사를 하는 경우 통상 아파트의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는 난간과 거실 창호 사이에 별도의 방화판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난간이나 방화판 등이 별개의 공정으로 시공됨으로써 공정이나 시간 및 시공비용이 이중으로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서로 별개의 공정에 따라 난간이나 샤시 또는 방화벽이 시공됨으로써 각 구조물들이 서로 일체화되지 못하여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시공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이에 보다 간편하게 발코니 확장 시공을 할 수 있도록 된 방화 난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시공 시간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방화 난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외관미가 우수한 방화 난간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방화 난간 구조는 방화벽과, 이 방화벽에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난간, 상기 방화벽과 난간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과 난간을 지지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방화벽과 난간이 일체로 설치된 난간구조물과, 상기 난간 구조물을 건물의 발코니 상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난간과 방화벽이 단일화된 하나의 구조물을 이룸으로써 한번의 시공으로 난간과 방화벽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화벽은 방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화유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된 복층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은 전면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문양은 시공사 또는 건설사 등의 로고와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난간은 건물의 바깥쪽을 향하고, 상기 방화벽은 난간에서 이격되어 건물의 안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난간은 상기 난간구조물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방화벽은 상기 난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상기 난간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난간과 단일 구조물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내주면에 상기 방화벽과 난간이 끼워지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화벽과 난간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수평부재와, 이 수평부재 선단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방화벽과 난간이 고정되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방화벽과 난간의 측단에 설치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평부재 사이 또는 수직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프레임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상단에 놓여져 발코니의 양측의 벽체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폭방향 양 선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프레임의 상단을 감싸는 하부플랜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양 선단부서 절곡되어 벽체에 접하고 전면에는 벽체와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 양 선단부 중 적어도 일측 선단부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간구조물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리된 블록으로 나뉘어져 발코니의 양 측벽 사이를 따라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각 블록은 난간구조물과 크 기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난간구조물이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적층된 구조일 경우 상기 고정부는 난간구조물의 각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고정부는 발코니 바닥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블록의 프레임 모서리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부재와, 이 전면부재에 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모서리 측면에 접하는 측면부재, 전면부재와 측면부재에 일체로 수평형성되어 발코니 바닥면에 접하고 전면에는 발코니 바닥면과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고정부 중 블록과 블록이 적층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블록고정부는 전면부재가 두 볼록의 프레임 모서리 전면 전체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되고, 이 전면부재 중간부에서 직각으로 측면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두 블록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난간과 방화벽이 일체화되어 있어 발코니 확장시 보다 간편하게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간이나 방화벽 등을 한번에 시공할 수 있게 되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중복 시공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간이나 방화벽 등의 구조물이 일체화되고, 난간의 무늬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 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발코니에 설치되는 방화난간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발코니(100)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양 쪽 벽체(110)와 바닥면(120)에 접하여 본 실시예의 난간구조물(10)이 설치된다. 그리고 난간구조물(10)의 상부에는 샷시 등의 상부구조물(200)이 설치된다. 본 난간구조물(10)은 난간과 방화벽이 일체로 설치된 구조로 난간의 역할과 방화벽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난간구조물(10)은 방화벽(12)과, 이 방화벽(12)에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난간(14), 상기 방화벽(12)과 난간(14)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12)과 난간(14)을 지지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방화벽(12)과 난간(14)은 프레임(20)에 의해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이에 한번의 시공으로 난간(14)과 방화벽(12)을 발코니(10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벽(12)은 방화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화유리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층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화판은 방화유리 외에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화벽(12)과 난간(14)은 난간구조물(10)의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된다. 상기 난간은 건물의 바깥쪽을 향하고, 상기 방화벽은 난간에서 이격되어 건물의 안 쪽을 향하여 설치된다. 난간구조물(10)이 발코니(100)에 설치되면 난간(14)이 발코니(100)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난간구조물(10)의 바깥쪽 면을 구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난간(14)은 철 재질 또는 질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난간(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다양한 문양(1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난간(14)은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사각틀에 문양(16)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문양(16)은 구조적으로 종래 난간(14)의 창살 역할을 함과 더불어 특정한 패턴이나 모양을 외부에 나타내는 장식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난간(14)의 문양(16)은 일예로, 곡선이나 직선이 정형화된 패턴이 될 수 있으며, 건설사나 시공사 또는 건물의 브랜드를 상징하는 로고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발코니(100)에 설치된 본 난간구조물(10)을 보았을 때 난간(14)의 다양한 문양(16)이 보이게 되어 외관미와 장식미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20)은 방화벽(12)과 난간(14)을 일체로 고정하면서 방화벽(12)과 난간(14)의 각 측단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은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틀 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의 각 내면에는 방화벽(12)과 난간(14)이 끼워져 결합되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화벽(12)이 끼워지는 홈은 방화벽홈(30)이라 칭하고, 난간(14)이 끼워지는 홈은 난간홈(32)이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는 각 홈이 형성되도록 홈을 기준으로 양쪽이 지지체(34)를 이룬다. 이 지지체(34)는 내부가 빈 사각단면의 중공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34)는 프레임의 형태나 크기 및 홈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화벽홈(30)과 난간홈(32)는 선단 모서리부분에 내측으로 플랜지(3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각 홈에 있어서 플랜지 사이의 간격은 난간 또는 방화벽의 두께와 대응된다. 이에 실질적으로 상기 난간 또는 방화벽은 상기 각 홈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벽홈(30) 또는 난간홈(32)은 플랜지(3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백업제(35)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백업제(35)는 난간(14)의 변형이나 방화벽(12) 팽창시 이를 완충하여 난간(14)이나 방화벽(12)인 방화유리로 변형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지지체(34)의 일 측면에는 내부 팽창 공기를 외부로 유통시키기 위한 에어홀(36)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재(22) 사이에 연결되어 프레임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간부재(26)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구조물(10)의 중간에는 두 개의 중간부재(26)가 설치된다. 상기 중간부재(26)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간부재(26)는 상,하 수평부재(도 4의 22 참조)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며, 수직부재(24)나 수평부재(22)와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간부재(26)는 중공 사각단면구조의 지지체(39)와 난간홈(38) 및 방화벽홈(37)이 양측면에 대칭 형성되어 난간(14)과 방화벽(12)의 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본 난간구조물(10)은 그 길이가 긴 경우에도 중간부재(26)에 의해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난간구조물(10)은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 및 중간부재(26)가 일체로 연결되어 내측에 난간(14)과 방화벽(12)이 설치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 이러한 본 난간구조물(10)은 발코니(100)의 벽체(110)와 벽체(110) 사이의 길이와 대략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발코니(100)의 벽체(110) 사이에 본 난간구조물(10)을 시공하는 것으로 난간(14)과 방화벽(12)을 한번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방화 난간구조는 상기한 난간구조물(10)의 상단에 고정부(40)가 설치되어 난간구조물(10)을 발코니(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프레임(20) 상단에 놓여져 발코니(100)의 양측의 벽체(110)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대(41)와, 이 지지대(41)의 폭방향 양 선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프레임(20)의 상단을 감싸는 하부플랜지(42), 상기 지지대(41)의 길이방향 양 선단부에서 절곡되어 벽체(110)에 접하고 전면에는 벽체(110)와의 고정을 위한 볼트(B)가 삽입되는 홀(44)이 형성된 고정대(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지지대(41)의 폭방향 양 선단부 중 적어도 일측 선단부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43)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플랜지(45)를 더 포함한다.
이와같이 상기 고정부(40)는 지지대(41)와 하부플랜지(42), 상부플랜지(45) 및 고정대(43)가 일체로 연결된 단일 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두 개의 하부플랜지(42) 사이의 간격은 대략 상기 난간구조물(10)의 상단의 상부프레임(20) 폭과 대응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40)의 하부플랜지(42) 사이로 난간구조물(10) 상단의 상부프레임(20)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하부플랜지(42)의 상하방향 길이는 대략 상기 프레임(20)의 수평부재(22) 상하방향 길이와 대응되어 하부플랜지(42)가 수평부재(22)를 덮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40)는 볼트(B)를 매개로 발코니(100)의 벽체(11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40)는 발코니(100)의 양 벽체(110) 사이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고정부(40)의 양 고정대(43)가 벽체(110)에 접하게 된다. 이에 고정대(43)에 형성된 홀(44)을 통해 볼트(B)를 벽체(110)에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부(40)를 벽체(1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40)의 상부플랜지(45)는 본 난간구조물(10)의 전면쪽, 다시 말해 발코니 바깥쪽의 지지대(41) 상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랜지(45)는 하단은 지지대(41)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 측단은 고정대(43)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랜지(45)는 수평인 지지대(4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로 지지대(41) 위에 놓여지는 상부 샷시 등의 상부구조물(200)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본 고정부(40) 상에 상부구조물이 설치되었을 때 상기 상부플랜지(45)에 의해 상부구조물(200)의 바깥쪽 면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도 6은 본 방화 난간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화 난간 구조는 난간구조물(10)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리된 블록(50)으로 나뉘어져 발코니의 양 벽체(110) 사이를 따라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난간구조물(10)이 3개의 서로 독립된 블록(50)으로 나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난간구조물(10)을 이루는 각 블록(50)은 크기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각 블록(50)은 방화벽(12)과, 이 방화벽(12)에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난간(14), 상기 방화벽(12)과 난간(14)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12)과 난간(14)을 지지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방화벽(12)과 난간(14)은 프레임(20)에 의해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방화벽(12)은 방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 블록(50)의 프레임(20) 역시 위에서 언급한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벽(12)과 난간(14)을 일체로 고정하면서 방화벽(12)과 난간(14)의 각 측단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수평부재(22)와 수직부재(24)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틀 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부재(22)의 내부 구조 역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사각단 면구조의 지지체(34)와 난간홈(32) 및 방화벽홈(30)이 성형되어 난간(14)과 방화벽(12)의 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각 홈에 형성되는 플랜지(33) 내측에는 백업제(35)가 충진되며, 지지체(34)의 일 측면에는 내부 팽창 공기를 외부로 유통시키기 위한 에어홀(36)이 더 형성된다. 수직부재(24)의 내부 구조 역시 이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각각의 블록(50)을 발코니(100)의 벽체(110) 사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분리되어 적층되는 블록(50)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발코니(100)에 난간구조물(10)의 각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고정부(60,70)가 더 설치된다.
도 7은 상기 블록고정부(60,70)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고정부(60,70)는 발코니(100) 바닥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블록(50)의 프레임(20) 모서리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부재(62,72)와, 이 전면부재에 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20) 모서리 측면에 접하는 측면부재(64,74), 전면부재와 측면부재에 일체로 수평형성되어 발코니(100) 바닥면에 접하고 전면에는 발코니(100) 바닥면과의 고정을 위한 볼트(B)가 삽입되는 홀(68,78)이 형성된 고정대(66,76)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고정부(60)는 상기 블록(5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블록고정부(60)는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로 블록(50)의 프레임 모서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각 블록고정부(60)는 블록의 폭 즉, 양쪽 수직부 재(24)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발코니(100) 바닥면에 설치되어 블록의 양 모서리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각 블록고정부(60)는 볼트(B)를 매개로 발코니(100)의 바닥에 고정된다. 고정대(43)에 형성된 홀을 통해 볼트(B)를 발코니(100) 바닥에 체결하는 것으로 블록고정부(60)를 벽체(1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고정부 중 블록과 블록이 적층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블록고정부(70)는 T 자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전면부재(72)가 두 블록의 프레임 모서리 전면 전체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되고, 이 전면부재(72) 중간부에서 직각으로 측면부재(74)가 일체로 형성되어 두 블록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블록고정부(70)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부재가 양쪽 블록의 모서리를 같이 지지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블록고정부(60,70)에 의해 블록이 지지된 상태로 적층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블록고정부(60,70)를 매개로 적층된 각 블록(50)은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부(40)에 의해 지지된다.
도 8과 도 9는 상기블록고정부에 지지된 난간구조물의 블록 상단에 고정부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블록(50)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는 위에서 언급한 고정부(40)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발코니(100)의 양측의 벽체(110) 사이로 연장되고 블록의 프레임(20) 상단에 놓여지는 지지대(41)와, 이 지지대(41)의 폭방향 양 선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프레임(20)의 상단을 감싸는 하부플랜지(42), 상기 지지대(41)의 길이 방향 양 선단부서 절곡되어 벽체(110)에 접하고 전면에는 벽체(110)와의 고정을 위한 볼트(B)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대(43) 및 상기 지지대(41)의 폭방향 양 선단부 중 적어도 일측 선단부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43)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플랜지(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플랜지(42) 사이의 간격은 블록의 수평부재(22) 폭과 블록고정부(60)의 전면부재 두께를 더한 길이에 대응된다. 이에 상기 하부플랜지(42) 사이로 난간구조물(10) 상단의 상부프레임(20)과 블록고정부(60,70)가 끼워져 결합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방화난간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방화난간구조는 방화벽(12)과, 이 방화벽에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난간(14), 상기 방화벽과 난간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과 난간을 지지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20)을 포함하여 방화벽과 난간이 일체화된 난간구조물(10)과, 상기 난간구조물(10)을 건물의 발코니(110) 상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40,60,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난간(14)은 상기 난간구조물(10)을 이루는 프레임(2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방화벽(12)은 상기 난간(14)을 사이에 두고 난간(14)의 양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벽(12)은 방화유리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방화유리가 난간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난간구조물의 프레임(20)은 물론 상기 난간(14)과 방화벽(12)이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방화벽홈(37)과 난간홈(38)이 형성된다.
상기 방화난간구조를 이루는 난간구조물(10)과 고정부(40,60,70)는 상기한 구조를 제외하고는 이미 언급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은 본 방화난간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방화난간구조는 방화벽(12)과, 이 방화벽에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난간(14), 상기 방화벽과 난간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과 난간을 지지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20)을 포함하여 방화벽과 난간이 일체화된 난간구조물(10)과, 상기 난간구조물(10)을 건물의 발코니(110) 상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벽(12)은 상기 난간(14)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난간과 방화벽의 적층체(80)를 이룬다. 상기 단일구조물을 이루는 난간과 방화벽 적층체(80)는 프레임(2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벽(12)은 방화유리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방화유리(12)가 난간(14)의 양측면에 적층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난간과 방화벽 적층체(8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홈(8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 역시 상기한 구조를 제외하고는 이미 언급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난간구조물의 시공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난간구조물(10)은 난간(14)과 방화벽(12)이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하나 의 몸체를 이룬다.
이에 발코니(100) 시공시, 작업자는 본 난간구조물(10)을 발코니(100)에 시공하는 것으로 난간(14)과 방화벽(12)을 한번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난간구조물은 발코니 상에 실리콘을 매개로 부착 시공될 수 있다.
난간구조물(10)이 복수개의 블록(50)으로 나눠져 있는 경우에는 먼저 발코니(100) 바닥면에 볼트(B)를 매개로 블록고정부(60,70)를 설치한다. 각 위치에 블록고정부(60,70)가 설치되면 블록고정부와 블록고정부 사이에 난간구조물(10)의 해당 블록(50)을 끼워 설치한다.
이와같이 단일 난간구조물(10) 또는 복수개의 블록(50)으로 구성된 난간구조물(10)이 발코니(100) 상에 설치되면 최종적으로 고정부(40)를 난간구조물(10) 상부에 설치하여 난간구조물(10)의 지지력을 보강한다.
즉, 상기 고정부(40)의 하부플랜지(42)를 난간구조물(10)의 상부프레임(20)에 끼워 지지대(41)가 상부프레임(20) 상단에 밀착되록 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대(43)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발코니(100)의 벽체(110)에 볼트(B)를 설치하여 고정부(40)를 벽체(110)에 고정시킨다.
이에 고정부(40)는 볼트(B)에 의해 벽체(110)에 고정되고, 상기 난간구조물(10)은 고정부(40)의 하부플랜지(42) 사이에 끼워져 고정부(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본 난간구조물(10)은 난간(14)과 방화벽(12)이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된 구조로, 프레임의 두께가 난간만 있는 구조물이나 방화벽만 설치된 구조물과 비교하 여 상대적으로 두껍다. 이에 본 난간구조물의 하단을 발코니 상에 실리콘으로 부착하고 상단을 상기와 같이 고정부로 고정하는 것으로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난간구조물(10)의 상단에 고정부(40)가 설치됨에 따라 난간구조물(10)의 상단에 지지대(41)를 바닥면으로 하여 샷시 등의 상부구조물(200)을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발코니에 설치된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의 난간구조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의 난간구조물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의 난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화난간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난간구조물 12 : 방화벽
14 : 난간 16 : 문양
20 : 프레임 22 : 수평부재
24 : 수직부재 26 : 중간부재
30,37 : 방화벽홈 32,38 : 난간홈
34,39 : 지지체 40 : 고정부
41 : 지지대 42 : 하부플랜지
43 : 고정대 45 : 상부플랜지
50 : 블록 60,70 : 블록고정부
62,72 : 전면부재 64,74 : 측면부재
66,76 : 고정대 80 : 적층체
82 : 홈

Claims (11)

  1. 방화벽과, 이 방화벽에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난간, 상기 방화벽과 난간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과 난간을 지지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방화벽과 난간이 결합된 난간구조물과,
    상기 난간 구조물을 발코니 상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
    를 포함하는 방화 난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전면에 문양이 형성된 구조의 방화 난간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은 시공사 또는 건설사의 로고와 대응되는 형태인 방화 난간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상기 난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배치된 구조의 방화 난간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상단에 놓여져 발코니의 양측의 벽체 사이로 연 장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폭방향 양 선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프레임의 상단을 감싸는 하부플랜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양 선단부서 절곡되어 벽체에 접하고 전면에는 벽체와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방화 난간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 양 선단부 중 적어도 일측 선단부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방화 난간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주면에 상기 방화벽과 난간이 고정되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화벽과 난간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수평부재와, 이 수평부재 선단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방화벽과 난간이 고정되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방화벽과 난간의 측단에 설치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방화 난간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평부재 사이 또는 수직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프레임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간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화 난간 구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구조물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리된 블록으로 나뉘어져 발코니의 양 측벽 사이를 따라 적층된 구조의 방화 난간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난간구조물의 각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고정부는 발코니 바닥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블록의 프레임 모서리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부재와, 이 전면부재에 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모서리 측면에 접하는 측면부재, 전면부재와 측면부재에 일체로 수평형성되어 발코니 바닥면에 접하고 전면에는 발코니 바닥면과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방화 난간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고정부 중 블록과 블록이 적층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블록고정부는 전면부재가 두 볼록의 프레임 모서리 전면 전체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되고, 측면부재는 상기 전면부재 중간부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두 블록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의 방화 난간 구조.
KR1020090084825A 2009-09-09 2009-09-09 방화 난간 구조 KR10115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25A KR101151874B1 (ko) 2009-09-09 2009-09-09 방화 난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25A KR101151874B1 (ko) 2009-09-09 2009-09-09 방화 난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51A true KR20110026951A (ko) 2011-03-16
KR101151874B1 KR101151874B1 (ko) 2012-05-31

Family

ID=4393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25A KR101151874B1 (ko) 2009-09-09 2009-09-09 방화 난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2282A1 (de) 2011-03-25 2012-09-27 Samsung Electro - Mechanic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olarzel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478B1 (ko) * 2004-08-31 2007-01-22 (주)대원시스템 복합형 난간의 고정구조
KR100668264B1 (ko) 2006-01-09 2007-01-16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200423968Y1 (ko) * 2006-04-13 2006-08-14 신용석 방화유리를 장착할 수 있는 방화벽 일체형 난간 구조물
KR200432912Y1 (ko) 2006-09-11 2006-12-07 민경진 발코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2282A1 (de) 2011-03-25 2012-09-27 Samsung Electro - Mechanic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olarz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874B1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648B1 (ko) 스틸커튼월의 결합구조
EP1690994B1 (en) Removable ceiling pan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465932B1 (ko) 조립식 철재 칸막이
KR20120052068A (ko)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내진구조 커튼월
KR102271453B1 (ko)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KR102486841B1 (ko) 내진 구조 및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춘 외벽 시공 방법
US9649831B2 (en) Perforated acoustic tiles
WO2010038920A1 (en) Roof ceiling panel combining soundproof and sound absorption function
KR20200134907A (ko)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KR102039324B1 (ko) 내화 칸막이 보강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5149372A1 (zh) 一种组合式墙体及其施工方法
KR101151874B1 (ko) 방화 난간 구조
JP2006214271A (ja) 簡易間仕切り構造
KR101835071B1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JP5736279B2 (ja) 手摺
KR102562436B1 (ko) 내구성과 품질안정성이 개선된 내화 칸막이 벽체
KR200427468Y1 (ko) 방화판이 구비된 난간
EP3561189B1 (en) A partition wall, especially for creation of a fire compartment in rooms of buildings
JP6672035B2 (ja) 手摺用支柱の支持構造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20100138526A (ko) 건축물 난간
JPH07229220A (ja) 間仕切り装置
KR102213029B1 (ko)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JPH08218485A (ja) アルミニウム製ベランダフェンス
KR100746810B1 (ko) 층간 방화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