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12Y1 - 발코니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코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12Y1
KR200432912Y1 KR2020060024386U KR20060024386U KR200432912Y1 KR 200432912 Y1 KR200432912 Y1 KR 200432912Y1 KR 2020060024386 U KR2020060024386 U KR 2020060024386U KR 20060024386 U KR20060024386 U KR 20060024386U KR 200432912 Y1 KR200432912 Y1 KR 200432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
balcony
balcony system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진
경배선
Original Assignee
민경진
경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진, 경배선 filed Critical 민경진
Priority to KR2020060024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putty, cement, or adhesive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7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omprising ligh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유리 성능이 있는 제 1 지지부, 제 2 지지부 및 상부 유리창으로 이루어진 발코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적층된 수 개의 블럭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제 1 지지부, 상기 블럭 유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 유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제 2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와 하부 제 2 지지부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리창부으로 이루어지는 발코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발코니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아파트 철재 난간을 이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파트 공간의 활용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블럭 유리 및 복층 유리를 이용함으로써, 방화성능이 강화되고 외부의 압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가 구비되며, 발코니 확장으로 아파트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파트 등의 외관의 아름다움과 견고함까지 구비된 발코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난간대, 발코니, 방화유리

Description

발코니 시스템{BALCONY SYSTEM}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 시스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 시스템의 후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 시스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블럭 유리의 적층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블럭 유리의 적층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지지부 110: 블럭유리
120: 시멘트몰타르 200: 제2지지부
300: 우리창부 400: 상부프레임
500: 하부프레임
본 고안은 방화유리 성능이 있는 제 1 지지부, 제 2 지지부 및 상부 유리창으로 이루어진 발코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적층된 수 개의 블럭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제 1 지지부, 상기 블럭 유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 유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제 2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와 하부 제 2 지지부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리창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동주택 형태의 아파트나 빌라 등에는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정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발코니에 알루미늄 섀시(chassis) 등을 설치하여 기존의 용도는 물론이고 거실, 창고, 놀이방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추세이다.
근래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외관의 미려함 및 공간 확보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발코니를 확장하여 이용하는 아파트 등의 공급자 및 입주자가 급증하고 있다. 발코니는 건축법상 폭 길이가 1.5m까지 확장 가능하였으나, 최근 건축법규가 완화되면서 발코니 폭 확장이 가능하게 되어, 최근 신축되는 건축물의 대부분은 종래 건물보다 발코니 폭을 확장하여 건축하고 있으며 기존의 건축물 거주자들도 리모델링을 통해 발코니 폭을 제한된 범위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건축물의 발코니를 확장하는 방법으로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는 개보수가 난이하여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공동주택의 경우, 기능적인 목적으로 인하여 발코니 외부에 발코니 난간이 설치되는데, 이는 외관상 볼품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방화 성능을 충분히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코니를 주거 공간으로 확장하는 경우 방화판이나 방화 유리창을 설치하여야 하고, 방화판으로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차열 30분을 법규상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방화유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난간대에 방화유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방화유리 일체형 난간대가 이용되고 있으나, 풍압 및 충격에 의해 방화유리가 파손될 경우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코니를 확장하여 넓은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방화기능을 보강하고, 외관의 미려함까지 구비한 발코니 시스템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난간대 및 방화유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파트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발코니 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적층된 수 개의 블럭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제 1 지지부, 상기 블럭 유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 유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제 2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와 하부 제 2 지지부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리창부으로 이루어지는 발코니 창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2 지지부의 유리 플레이트는 복층 유리 또는 단판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 제 2 지지부 또는 유리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곡선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LED 조명을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인테리어 부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의 블럭 유리는 몰타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연속적으로 적층된 수 개의 블럭 유리(110)로 이루어진 하부 제 1 지지부(100), 상기 블럭 유리(11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 유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제 2 지지부(200), 및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100)와 하부 제 2 지지부(200)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리창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의 발코니 난간대를 없애고 상기 발코니 난간대 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 방화 성능을 구비한 블럭 유리(110)를 발코니 시스템의 하부 제 1 지지부(100)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이용되는 상기 블럭 유리(110)란, 일반적으로 창문 등에 이용되는 투명하고 두께가 얇은 유리가 아니라, 복층 구조의 두꺼운 유리로써 사각형의 블럭 형상을 이룬 유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형상이 포함된 두 장의 "ㄷ“자 단면형상의 유리의 양단부를 상호 접합시켜 제조한다.
상기 블럭 유리(110)는 빛을 투과, 굴절. 반사하는 채광효과가 있으며, 폐쇄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차음성이 높은 방음효과를 갖고, 블럭 유리의 내부는 진공에 가까운 0.3기압의 상태로 복층유리보다 높은 단열성을 갖기 때문에 단열효과도 매우 뛰어나다. 또한, 방화 성능을 실험해 본 결과, 방화 내화성능도 갖춘 것으로 나타난다. 투과지향성 실험에 의하면, 입사각 30˚의 경우 입사량이 최대로 되며, 15~40˚ 범위 내에서 지향성과 확산이 현저하다. 상기 블럭 유리는 투과성 차음 재료로서 채광 재료 중에서는 차음 성능이 가장 우수한데, 예를 들면 거리의 소음이 저주파영역(125hz)에서는 조용한 사무실 정도의 수준으로, 고주파영역(2000hz)에서는 한밤의 주택가 수준으로 조절되므로, 주변 환경이 소음이 심한 건물 또는 공동주택에 발코니 시스템의 일부로 이용하기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블럭 유리의 높은 단열성으로 인하여 결로방지에 뛰어난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면 실내온도 20˚c, 습도 60%의 경우 외부기온이 영하 24˚c가 되어도 표면 결로가 생기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블럭 유리(110)는 풍부한 채광 및 빛의 확산 효과를 가지며, 복층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뛰어난 방음 효과와 우수한 강도, 내구성, 및 방화성을 갖는다. 또한 건물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를 줄여주기 때문에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에서 이용되는 블럭 유리(110)는 한국건설기술 연구원에서 내화성능시험(KSF2845)을 완료한 제품으로써, 6mm 균열 게이지 관통 후 150mm가 이동되지 않을 것, 25mm 균열 게이지가 관통되지 않을 것, 10초 이상 지속되는 화염 발생이 없을 것 등의 성능기준을 만족하였다.
상기 블럭 유리(110)의 형상은 물결무늬, 울퉁불퉁한 기하학적 형상 등으로 이용될 수 있고, 색채도 청색, 적색, 노란색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데, 공통주택의 특징 및 외부 경관과의 조화 등을 모두 고려하여 블럭 유리 각각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제 2 지지부(200)는 방화 기능이 보강된 유리 플레이트, 즉 복층 유리 또는 단판유리로서,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1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100) 및 하부 제 2 지지부(200) 사이의 최단 거리는 130 내지 1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100)도 복층 구조를 갖는 블럭유리(11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코니의 단열 및 방음 기능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유리 플레이트는 전체적인 방화 성능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두께가 상기 블럭 유리(110)보다 얇기 때문에 발코니의 확장 이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하부 제 2 지지부(200)는 복층 유리 또는 단판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창부(300)는 상기의 하부 제 1 지지부(100) 및 하부 제 2 지지부(200)가 폐쇄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유리창부(300)는 복층 유리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창부(300)는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100) 및 하부 제 2 지지부(200)를 체결하는 하부 프레임(500) 접촉된 상부 프레임(400)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500)은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100) 및 하부 제 2 지지부(200)의 두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400)은 상기 유리창부(3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400) 및 하부 프레임(500)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등의 재질로 제작되는데,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의 형상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 시스템의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로서, 상기 블럭 유리(110)로 이루어진 제 1 지지부(100)는 발코니 시스템의 내측 혹은 외측에 모두 이용될 수 있으나, 공동 주택 등의 외관을 위하여 발코니 시스템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블럭 유리(110)의 적층방법을 살펴보면, 벽돌 건물 시공시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 몰타르(cement mortar)를 주입하여 적층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상기 블럭 유리(110) 각각의 사이에는 시멘트 몰타르(120)를 발라 블럭 유리를 접착시키며, 블럭 유리(110) 3*3 마다 가로, 세로로 보강근을 설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한 블럭 유리(110)간의 접착력은 이미 실험에 의하여 충분히 견고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상기 블럭 유리(110)는 건물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하여 블럭 유리 자체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블럭 유리의 개수를 조절하여 적층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 시스템이 설치된 구조를 볼 수 있는데, 우선, 발코니 시스템 전체의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삽입한 후 전체 프레임을 고정시킨다. 그리고나서, 상기 전체 프레임 외측의 ㄷ자 홈에 시멘트 몰타르를 이용하여 블럭 유리(110)를 결합시켜 줄눈을 넣어 마감하고, 제 2 지지부(200)의 복층유리를 내부측 보강부재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제 1 지지부(100) 및 제 2 지지부(200) 사이의 최대 거리는 200 내지 300mm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설명의 발코니시스템에 대하여 결로시험, 기밀시험, 수밀시험, 구조시험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로시험의 경우 커튼월 주시험매뉴월 AAMA 501.5에 따라 내부가 22˚c, 50%RH이고 외부가 영하 15˚c인 상태에서도 결로발생및 결로수가 흐르지 않았다. 기밀시험의 경우 미국 재료시험학회 ASTM E-283기준에 따라 시험한 결과 0.0043m3/min,m2이 나옴으로써 기준치인 0.0183m3/min,m2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밀시험은 ASTM E-331의 경우에는 누수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구조시험인 ASTM E-330의 기준으로 시험한 결과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5층에 해당되는 124kgf/m2, 25층에 해당되는 155kgf/m2, 35층에 해당되는 180kgf/m2로 가압하여도 그 변위량이 각각 0.3mm, 0.5mm, 0.7mm로써 모두 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의 구조로 발코니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본 고안의 목적을 모두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코니 시스템은 직선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공동주택 등의 발코니 형상 및 외관의 형상을 고려하여 상기 발코니 시스템 전체를 곡선형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블럭 유리(110)를 곡선형으로 적층하여 하부 제 1 지지부(100) 및 하부 제 2 지지부(200)만 곡선형으로 설치하고, 상기 유리창부(300)는 창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직선형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100) 및 하부 제 2 지지부(20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LED 조명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의 양측 상단 또는 하단에 LED 조명을 설치하는 경우, 조명상 효율성 및 장식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인테리어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의 내부에 장식성을 부가할 수 있는 장식품을 고정 또는 삽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발코니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발코니를 확장하여 넓은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외관의 미려함뿐만 아니라 사생활 보호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며, 난간대 및 방화유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난간대 기능 및 방화 기능을 구비하고 채광 및 환기에 유리한 발코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연속적으로 적층된 수 개의 블럭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제 1 지지부;
    상기 블럭 유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 유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제 2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제 1 지지부와 하부 제 2 지지부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리창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의 유리 플레이트는 복층 유리 또는 단판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제 2 지지부 또는 유리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곡선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LED 조명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인테리어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의 블럭유리는 몰타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시스템.
KR2020060024386U 2006-09-11 2006-09-11 발코니 시스템 KR200432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86U KR200432912Y1 (ko) 2006-09-11 2006-09-11 발코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86U KR200432912Y1 (ko) 2006-09-11 2006-09-11 발코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12Y1 true KR200432912Y1 (ko) 2006-12-07

Family

ID=4178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386U KR200432912Y1 (ko) 2006-09-11 2006-09-11 발코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12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74B1 (ko) 2009-09-09 2012-05-31 이성민 방화 난간 구조
KR102026355B1 (ko) 2019-05-14 2019-09-27 주식회사 건일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026629B1 (ko) 2019-06-07 2019-09-30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126189B1 (ko) 2019-12-20 2020-06-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201472B1 (ko) 2020-07-16 2021-01-12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252565B1 (ko) 2021-01-22 2021-05-17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방지 외벽구조
KR102280788B1 (ko) 2021-02-05 2021-07-22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360326B1 (ko) 2021-05-20 2022-02-09 (주)제이알씨엠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404030B1 (ko) 2021-09-29 2022-06-02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소방용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403316B1 (ko) 2022-04-04 2022-06-07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74B1 (ko) 2009-09-09 2012-05-31 이성민 방화 난간 구조
KR102026355B1 (ko) 2019-05-14 2019-09-27 주식회사 건일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026629B1 (ko) 2019-06-07 2019-09-30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126189B1 (ko) 2019-12-20 2020-06-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201472B1 (ko) 2020-07-16 2021-01-12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252565B1 (ko) 2021-01-22 2021-05-17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방지 외벽구조
KR102280788B1 (ko) 2021-02-05 2021-07-22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360326B1 (ko) 2021-05-20 2022-02-09 (주)제이알씨엠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404030B1 (ko) 2021-09-29 2022-06-02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소방용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2403316B1 (ko) 2022-04-04 2022-06-07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912Y1 (ko) 발코니 시스템
US10227773B2 (en) NP-EIFS non-permissive exterior insulation and finish systems concept technology and details
CA3024973A1 (en)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US9499971B2 (en) High thermal resistance and permeance insulation material
US20060194026A1 (en) Insulated roofing systems
JP2006177136A (ja) 放射熱伝達および日射熱取得を低減させた通気層を有する外壁・屋根構造
LV13963B (lv) Fasāžu siltināšanas panelis, tā izgatavošanas paņēmiens un sienu siltināšanas process
JP2002364104A (ja) 耐火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CN102146705B (zh) 通风预制组合墙板结构
EP2256265B1 (en) Insulated multilayer sandwich panel
RU191078U1 (ru) Навесная тёпло-холодная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WO2013097121A1 (en) Water management apparatus for exterior thermal insulation system
EP2358948A1 (en) Peripheral load-bearing wall for low-energy buildings
CA2806189A1 (en) Air seal assembly
GB2363404A (en) Wall cladding: thermal insulation
JP4630866B2 (ja) 外断熱壁構築用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外断熱壁施工方法
EP3059354B1 (en) Structural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structural modules
KR20040058223A (ko) 벽체 건축 방법
CN212802318U (zh) 木瓦饰面天窗
CN213653854U (zh) 双层外墙
Marriage et al. Façades and cladding: Façades and cladding
Straube et al. Building Enclosure Fundamentals
CN101565971A (zh) 具有低辐射率空气保温结构的维护构件及相关建材
JP6284347B2 (ja) 軒天井部材及び軒裏天井構造
Derinoz Wood frame house construction process and performance invest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