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483A -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483A
KR20110024483A KR1020090082499A KR20090082499A KR20110024483A KR 20110024483 A KR20110024483 A KR 20110024483A KR 1020090082499 A KR1020090082499 A KR 1020090082499A KR 20090082499 A KR20090082499 A KR 20090082499A KR 20110024483 A KR20110024483 A KR 2011002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refrigerator
flow path
pattern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283B1 (ko
Inventor
정석재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283B1/ko
Priority to PCT/KR2010/000388 priority patent/WO2011027952A2/en
Priority to EP10813862.9A priority patent/EP2473799B1/en
Priority to CN201080037257.4A priority patent/CN102549363B/zh
Priority to JP2012526615A priority patent/JP5406372B2/ja
Priority to US13/390,296 priority patent/US8984900B2/en
Priority to BR112012004329A priority patent/BR112012004329A2/pt
Publication of KR2011002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장식부재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장실의 저장함에 포함되어 있는 습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저장실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함과;
상기 저장함에 마련되어 빛의 굴절을 야기시키는 한편 상기 저장함에 형성된 응결된 응결수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이동현상에 의하여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표시할 수 있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식부재, 유로부, 수용부

Description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A refrigerator having a decorating member capable of displaying humidity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decorating member for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탁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면서 저장실의 습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매싸이클을 이용하여 저장물을 냉장 및 냉동보관할 수 있는 가전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의 구성을 보면,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 및 서랍형태의 저장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저장실로 냉기를 배출하는 증발기와 냉기팬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상기 증발기에 냉매가 유입되고 냉기팬이 회전을 하게 되면, 저장실로 냉기가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냉기는 선반과 저장함에 보 관된 저장물을 냉장 또는 냉동보관하는데 도움을 준다.
최근에 들어서 가전제품의 디자인 제고화 경향에 따라서 가전제품의 외면 및 그 부속물에 대하여 소정의 문양이나 형상을 도입하는 경향이 두드러 졌고, 이를 위하여 그 외면에 의도적으로 소정의 형상이나 문양형태로 스크래치를 내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한 스크래치 발생을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물에 가는굵기의 모래를 분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일명 Sand Blasting 공법), 이러한 방법은 균일한 탁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저장실 중 냉장실에 마련되는 서랍형태의 저장함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야채나 과일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기존의 냉장고에서는 저장실 내부의 습도가 어느정도 인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없어서, 사용자는 현재의 저장함 내부의 습도가 어느 정도 인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냉장고 내부의 습도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판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디자인 개선을 위하여 소정의 탁도를 구비한 구성요소가 필요할 경우, 그러한 탁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함과;
상기 저장함에 마련되어 빛의 굴절을 야기시키는 한편 상기 저장함에 형성된 응결된 응결수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이동현상에 의하여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표시할 수 있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장식부재는 빛의 굴절 및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물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는 유로부를 구비하는 표시판과;상기 표시판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부의 후방을 구획하는 구획판과;상기 표시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함의 습기가 응결되어 형성되는 응결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병렬적으로 상호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표시판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단면은 반원형태로 마련되어 소정의 곡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세관 현상 및 빛의 굴절 현상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의 각 직경은 1~100μm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는 습기가 응결되어 형성되는 물방울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며 물방울이 수용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방지하는 테두리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부재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상기 유로부를 따라 상승이동하는 응결수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함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함 내부의 수분을 수용하거나 수용된 수분을 방출하여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도조절부는 상기 저장함의 측벽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응결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외부에서 투과되는 빛의 굴절을 발생시키는 한편 냉장고 저장함 내부의 습도가 물의 삼투압작용에 의한 이동에 의하여 표시되는 장식부재의 유 로부의 패턴을 구비한 마스터스탬프를 제작하는 단계와;
(B) 상기 마스터스탬프에 형성된 패턴이 전사되는 전사금형을 제작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사금형에 형성된 패턴이 소정의 사출물에 전사되도록 하여 상기 장식부재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장식부재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A-1) 기판에 감광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A-2) 감광액이 도포된 기판위에 마스크를 올려놓고 광을 조사하여 상기 기판위에 상기 유로부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A-3) 상기 감광액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턴의 단면이 감광액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볼록한 형태로 될때까지 소정시간동안 대기하고 그 패턴을 경화시키는 단계와;
(A-4) 상기 패턴과 기판위에 소정의 금속씨앗층을 증착하는 단계와;
(A-5) 상기 증착된 금속씨앗층위에 상기 금속씨앗층과 다른 금속을 얹어서 상기 패턴이 전사된 마스터 스탬퍼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습기가 응결되어 형성된 응결수의 양에 따라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장식부재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저장함 내부의 습도의 상대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함 내부의 습도유지부가 저장함 내부의 습도가 과다할 경우에는 흡습작용을 하여 습도의 과다 상승을 방지하고, 습도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방습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가 일정범위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디자인 개선을 위하여 소정의 탁도를 구비한 구성요소가 필요할 경우, 그러한 탁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그러한 균일화된 탁도 제공이 표준적이면서도 대량생산화를 통하여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마련되는 냉장실(12) 및 냉동실(11)로 구성되는 저장실(10)과, 상기 저장실(10)을 개폐하는 도어(14,1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14,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장치(16)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14,15)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저장실(10)내부에는 저장물을 얹혀서 놓을 수 있는 선반(30)과, 저장물을 수납하여 넣을 수 있는 저장함(32)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함(32)은 서랍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서랍에만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저장물을 별도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기만 하면 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함(32)의 구성을 보면, 저장공간(35)과, 상기 저장공간(35)을 둘러싸는 테두리벽(38)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함(38)의 전방벽(40)에는 상기 저장공간(35)내에 수용되는 저장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4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벽(40) 전면 상부에는 상기 저장함(32)의 외면을 장식하면서도 저장함(32)내부의 습도를 표시할 수 있는 장식부재(100)가 마련된다.
상기 장식부재(100)는 외부에서 볼때 빛의 굴절을 야기시켜 상기 장식부재와 저장함(32)의 다른 면과 확연히 외관면에서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여 일종의 심미감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식부재(100)는 그 내부에 모세관형태의 가는 관들이 빽빽하게 구비되어 외부에서 볼때는 균질의 탁도가 구현된 것으로 보이게 된다.
한편, 상기 장식부재(100)는 상기 저장함(32)내부에 있는 습기가 응결되면서 형성되는 물방울이 상기 장식부재(100)에 접촉하는 경우,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위로 끌어올려지게 되고, 그 끌어올려진 높이를 통하여 습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함의 전방벽(32)의 상부 후면에는 상기 장식부재(1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식부재(100)의 구성을 보면, 빛의 굴절을 유발하고 한편으로는 모세관현상을 유발시켜 물이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유로부(105)를 구비하는 표시판(110)과, 상기 표시판(110)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부(105)의 후방을 구획하는 구 획판(120)과, 상기 표시판(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함(35)의 습기의 일부가 응결되도록 하여 응결된 물방울을 포집하여 수용하는 수용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판(110)의 경우, 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상기 표시판(110)의 전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투과부(140)가 마련되고, 상기 투과부(140)의 후방에 상기 유로부(105)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로부(105)의 후방에 구획판(120)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유로부(120)의 하방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폐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0)는 습기가 응결되어 형성되는 물방울이 수용되는 수용홈(131)과, 상기 수용홈(131)을 둘러싸며 수용된 응결수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방지하는 테두리벽(1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함(32)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함(32) 내부의 습도가 일정한 범위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습도유지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습도유지부(200)는 수분을 구성하는 미세한 크기의 물 알갱이들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부(210)와, 상기 수용공간부(210)를 구성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2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연장부(230)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부(210)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그 부분으로 수분을 구성하는 물알갱이들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수용된 수분이 방출될 수 있다.
도4(a)와 (b)는 상기 장식부재의 (도2에서 A방향 화살표)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장식부재(100)의 유로부(105)는 좌우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로부(105)에 유입된 물의 흐름은 다른 유로에 유입된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부(105)의 단면은 반원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판(도2참조, 140)의 전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로부(105)의 오목부(105a)의 표면에서 반사현상이 일어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105a)에서 빛의 굴절이 일어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표시부(14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이고, 물이 차있지 않은 경우 유로부의 내부는 공기로 차 있게 된다.
표시부(140)의 굴절율은 대략 1.5이고, 공기의 굴절율은 1.0이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140)를 통과한 빛은 상기 유로부(105)의 오목부(105a)를 통과하면서 꺾이게 되며, 이에 의하여 외부에서 상기 장식부재(100)를 바라보는 경우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보이게 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유로부(105)내부에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물(W)이 차오르게 되면, 그러한 굴절정도가 약해진다.
즉, 물의 굴절률은 대략 1.33이기 때문에 표시판과 공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굴절정도보다는 표시판(140)과 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굴절정도가 더 작다.
따라서, 물이 없는 상태에서 형성된 불투명 또는 반투명정도가 물이 차올랐 을 때에는 상당부분 해소되며, 이에 따라서 물(W)이 찬 유로부(105)와 물이 차 있지 않고 공기(A)가 차 있는 유로부(105) 사이의 외관상 구별이 확연해진다.
한편, 상기, 유로부(105)의 곡률반경이 작아질수록 굴절의 초점심도가 가까워져 굴절효과가 커지고, 유로부(105)가 상호간에 가까이 배치될 수록 유로부(105)의 밀도가 높아져서 빛의 전체적인 굴절량이 많아져서 상기 장식부재(100)의 탁도가 증가한다.
도5(a)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가 어느정도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장식부재(100)에 응결된 응결수(W)의 일부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유로부(105)를 타고 위로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도5(b)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저장함 내부의 습도가 더 증가하게 되면, 상기 장식부재(100)에 응결된 응결수(W)의 양이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서 더 많은 응결수(W)가 상기 유로부를 따라서 위로 상승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습도의 상대적인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로부(105)에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105)의 직경은 대략 1~100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함(32) 내부에 장착되는 습도유지부(200)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장함(35)의 측면부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연장부(230)와, 상기 연장부(230)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돌출부(220)와, 상기 돌출부 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부(210)는 마이크로 미터 수준의 미세한 크기를 갖게 되며, 그 내부에 수분을 형성하는 미세한 물알갱이들이 수용될 수 있다.
즉, 도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함 내부의 수분이 증가하면, 상기 저장함(32)내부에 퍼져 있는 수분 중 일부가 상기 돌출부(220) 및 상기 수용공간부(210)의 입구부에 응결이 된다.
그 응결수는 다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상기 수용공간부(210)내부로 유입되어 수용된다.
한편, 도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함(35) 내부의 수분이 감소하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부(210)에 수용되어 있는 응결수는 상기 상기 수용공간부(210)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그 상태에서 증발하여 상기 저장함(32)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저장물(S)을 둘러싸도록 수증기 형태를 띠게 된다.
즉, 상기 습도유지부(200)는 상기 저장함(32) 내부의 습도가 증가하는 경우, 흡습기능을 하고, 상기 저장함(32) 내부의 습도가 감소하는 경우, 방습기능을 하여 습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장식부재(100)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7(a)내지 도7(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기판(50)위에 감광액(51)을 도포한 후에,상기 감광액(51) 위에 마스크(52)가 위치되도록 하고 UV광을 조사하면, 상기 마스크(52)에 형성된 패턴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 위에 감광액에 의한 미세패턴(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어느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감광액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미세패턴( 단부가 둥글게 변하여 볼록한 형태가 되어 그 상단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8(a)내지 도8(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둥글게 형성된 패턴(53) 및 기판(50)위에 소정의 금속씨앗층(60)을 형성시킨 후에, 그 금속씨앗층 (60)위에 니켈등과 같은 금속을 도금하여 마스터스탬프(70)를 형성하고, 이를 분리시킨다.
이러한 마스터스탬프(60)는 상기 장식부재(100)를 구성하는 표시부(110)의 형태의 원형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스탬프(70)의 하부에 상기 마스터스탬프(70)의 재질과 다른 금속물질을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마스터스탬프(70)에 형성된 미세패턴(71)의 역패턴이 전사된 전사금형(75)을 제작한다.
도9(a) 내지 도9(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스탬프(70)의 미세패턴(71)의 역패턴이 전사된 전사금형(75)에 수지재료(80)가 놓이게 하여, 상기 수지재료(80)에 소정의 곡률을 구비한 패턴이 형성되게 한다.
이와 같이 곡률이 형성된 수지재료(80)를 경화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장식부재(100)의 표시판(110)이 만들어 지며, 상기 곡률을 구비한 패턴은 상기 유로부(105)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부(105)를 구비한 표시판에 상기 구획판(120)을 붙여서 상기 유로부(105)의 후방이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도3참조, 130)를 장착시키면 상기 장식부재(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함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함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장식부재의 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장식부재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함에서 습도유지부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7내지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장식부재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장식부재 105: 유로부
110: 표시판 120: 구획판

Claims (11)

  1. 저장실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함과;
    상기 저장함에 마련되어 빛의 굴절을 야기시키는 한편 상기 저장함에 형성된 응결된 응결수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이동현상에 의하여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표시할 수 있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빛의 굴절 및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물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는 유로부를 구비하는 표시판과;
    상기 표시판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부의 후방을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표시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함의 습기가 응결되어 형성되는 응결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병렬적으로 상호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표시판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단면은 반원형태로 마련되어 소정의 곡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 및 빛의 굴절 현상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의 각 직경은 1~100μm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습기가 응결되어 형성되는 물방울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며 물방울이 수용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방지하는 테두리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상기 유로부를 따라 상승이동하는 응결수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함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함 내부의 수분을 수용하거나 수용된 수분을 방출하여 상기 저장함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는 상기 저장함의 측벽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응결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A) 외부에서 투과되는 빛의 굴절을 발생시키는 한편 냉장고 저장함 내부의 습도가 물의 삼투압작용에 의한 이동에 의하여 표시되는 장식부재의 유로부의 패턴을 구비한 마스터스탬프를 제작하는 단계와;
    (B) 상기 마스터스탬프에 형성된 패턴이 전사되는 전사금형을 제작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사금형에 형성된 패턴이 소정의 사출물에 전사되도록 하여 상기 장식부재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기판에 감광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A-2) 감광액이 도포된 기판위에 마스크를 올려놓고 광을 조사하여 상기 기판위에 상기 유로부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A-3) 상기 감광액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턴의 단면이 감광액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볼록한 형태로 될때까지 소정시간동안 대기하고 그 패턴을 경화시키는 단계와;
    (A-4) 상기 패턴과 기판위에 소정의 금속씨앗층을 증착하는 단계와;
    (A-5) 상기 증착된 금속씨앗층위에 상기 금속씨앗층과 다른 금속을 얹어서 상기 패턴이 전사된 마스터 스탬퍼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장식부재의 제작장법.
KR1020090082499A 2009-09-02 2009-09-02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KR10161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499A KR101611283B1 (ko) 2009-09-02 2009-09-02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PCT/KR2010/000388 WO2011027952A2 (en) 2009-09-02 2010-01-21 Refrigerator having a decorative member capable of displaying humidit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ecorative member
EP10813862.9A EP2473799B1 (en) 2009-09-02 2010-01-21 Refrigerator having a decorative member capable of displaying humidit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ecorative member
CN201080037257.4A CN102549363B (zh) 2009-09-02 2010-01-21 具有能够显示湿度的装饰性部件的冰箱和用于制造该装饰性部件的方法
JP2012526615A JP5406372B2 (ja) 2009-09-02 2010-01-21 湿度表示可能な装飾部材を有する冷蔵庫及び該装飾部材の作製方法
US13/390,296 US8984900B2 (en) 2009-09-02 2010-01-21 Refrigerator having a decorative member capable of displaying humidit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ecorative member
BR112012004329A BR112012004329A2 (pt) 2009-09-02 2010-01-21 refrigerador dotado de um membro decorativo capaz de exibir a umidade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o membro decorativ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499A KR101611283B1 (ko) 2009-09-02 2009-09-02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483A true KR20110024483A (ko) 2011-03-09
KR101611283B1 KR101611283B1 (ko) 2016-04-26

Family

ID=4364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499A KR101611283B1 (ko) 2009-09-02 2009-09-02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84900B2 (ko)
EP (1) EP2473799B1 (ko)
JP (1) JP5406372B2 (ko)
KR (1) KR101611283B1 (ko)
CN (1) CN102549363B (ko)
BR (1) BR112012004329A2 (ko)
WO (1) WO201102795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1916A (zh) * 2020-09-22 2022-03-29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抽湿过程的显示方法及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3469B1 (en) * 2009-11-30 2018-05-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104567B1 (ko) * 2009-12-18 201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장치
DE102012205766A1 (de) * 2012-04-10 2013-10-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hälter für ein Kältegerät
CN107532846B (zh) * 2015-04-21 2020-02-18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器具装置
EP3759404A4 (en) 2018-03-02 2022-06-08 Electrolux Do Brasil S.A. STORA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APPLICATION
DE102018203271A1 (de) * 2018-03-06 2019-09-1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chubla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Haushaltskältegerätes
DE102018203272A1 (de) * 2018-03-06 2019-09-1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chubla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Haushaltskältegerät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7680A (en) * 1945-03-02 1946-09-17 Minnesota Mining & Mfg Reflex light reflector
US3776038A (en) * 1972-04-06 1973-12-04 S Elliott Visual-type hygrometer
US4555950A (en) * 1984-06-27 1985-12-03 Anatros Corporation Refractive optical fluid pressure sensor
DD247502A1 (de) 1986-04-03 1987-07-08 Univ Dresden Tech Einrichtung zur indirekten messung der feuchte von schnittholz
US5071597A (en) 1989-06-02 1991-12-10 American Bank Note Holographics, Inc. Plastic molding of articles including a hologram or other microstructure
DE4019091A1 (de) * 1990-06-15 1991-12-19 Battelle Institut E V Waermeableitungseinrichtung fuer halbleiterbauelemen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224373A (en) * 1991-05-09 1993-07-06 Williams Christi A Flexible humidity indicator and container
JPH06123545A (ja) * 1991-07-05 1994-05-06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蔵庫等の露受け皿
US6420622B1 (en) * 1997-08-01 2002-07-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dical article having fluid control film
JP2000274922A (ja) * 1999-03-26 2000-10-06 Sharp Corp 庫内環境表示機能付き冷蔵庫
CN1153945C (zh) * 1999-09-03 2004-06-16 Lg电子株式会社 冰箱内的蔬菜室
JP2001108354A (ja) 1999-10-01 2001-04-2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AU6291301A (en) * 2000-02-22 2001-09-03 Genospectra, Inc. Microarray fabrication techniques and apparatus
JP4057455B2 (ja) * 2002-05-08 2008-03-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薄型シート状ヒートパイプ
KR100469468B1 (ko) * 2002-10-23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JP4032918B2 (ja) * 2002-10-24 2008-0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43642B2 (en) * 2003-12-03 2010-06-29 Kyodo Printing Co., Ltd. Moisture absorbent material with indicator function, humidity indicator and packaging bag
EP1645856A1 (en) * 2004-10-06 2006-04-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structured time dependent indicators
JP2006322261A (ja) 2005-05-20 2006-11-30 Nishinippon Environmental Energy Co Inc 建物屋上の冷却システム
DE102006026717B4 (de) 2005-06-09 2014-02-20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und Tür einer solchen
WO2007060648A2 (en) * 2005-11-25 2007-05-31 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A holographic sensor
US7742366B2 (en) * 2006-01-05 2010-06-22 Tecco, Inc. One piece self-expiring security badge or label with devices to print, activate and issue the time-label automatically
TWM319445U (en) 2007-02-05 2007-09-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Heat sink
JP5422230B2 (ja) * 2008-03-17 2014-0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104567B1 (ko) * 2009-12-18 201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장치
KR101132434B1 (ko) * 2009-12-29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1916A (zh) * 2020-09-22 2022-03-29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抽湿过程的显示方法及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9363B (zh) 2014-07-30
KR101611283B1 (ko) 2016-04-26
CN102549363A (zh) 2012-07-04
EP2473799A2 (en) 2012-07-11
JP2013503319A (ja) 2013-01-31
WO2011027952A2 (en) 2011-03-10
EP2473799A4 (en) 2016-09-28
JP5406372B2 (ja) 2014-02-05
BR112012004329A2 (pt) 2016-03-15
WO2011027952A3 (en) 2012-04-05
EP2473799B1 (en) 2018-12-26
US20120138500A1 (en) 2012-06-07
US8984900B2 (en)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4483A (ko)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AU201425155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6093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432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US2777304A (e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CN108240730A (zh) 冰箱
CN106257184A (zh) 具有冰桶用锁定器件的冰箱和冰桶用锁定器件的安装方法
CN205957592U (zh) 发光搁板组件
CN102498354B (zh) 具有嵌件的冷藏设备
CN102893105A (zh) 包括制冰机的制冷器具
WO2022206851A1 (zh) 电器制冰组件
CN107255388B (zh) 门体及具有该门体的冰箱
US10948229B2 (en) Shelf-integrated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appliance
KR20080064052A (ko) 냉장고
KR10113243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864825B1 (ko) 냉장고 디스펜서용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CN219531362U (zh) 冰箱
CN106403481B (zh) 一种抗菌自吸附冰箱板
WO2014102345A1 (en) An ice serving unit comprising a movement mechanism
CN103673443B (zh) 手动制冰机和冰箱
CN105783390A (zh) 自动售货机的冷凝水处理装置
KR101010448B1 (ko) 냉장고
KR20210029505A (ko) 아이스 메이커
CN104364187A (zh) 包括水分配器的冷却设备
JP201101282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