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505A - 아이스 메이커 - Google Patents

아이스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505A
KR20210029505A KR1020190110813A KR20190110813A KR20210029505A KR 20210029505 A KR20210029505 A KR 20210029505A KR 1020190110813 A KR1020190110813 A KR 1020190110813A KR 20190110813 A KR20190110813 A KR 20190110813A KR 20210029505 A KR20210029505 A KR 2021002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hamber
tray
chamber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홍진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9505A/ko
Priority to CN202210442233.1A priority patent/CN114838545B/zh
Priority to CN201911120187.8A priority patent/CN111197889B/zh
Priority to EP19209302.9A priority patent/EP3653962A1/en
Priority to CN202210443752.XA priority patent/CN114838546B/zh
Priority to US16/685,793 priority patent/US11480375B2/en
Publication of KR2021002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505A/ko
Priority to US17/950,626 priority patent/US119137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반구 형상의 다수의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하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다수의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아이스 챔버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챔버를 가지는 하부 트레이;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상부 트레이의 상면에 개구된 유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챔버로 제빙을 위한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유입구 상방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부착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상부 이젝터; 및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하부 챔버에 부착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하부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챔버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빙 중 상기 아이스 챔버 내측의 얼음 표면과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표면 처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스 메이커 {Ice maker}
본 발명은 아이스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구형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가 개발되고 있다.
본 실시 예는 보다 구형에 가까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구형의 얼음 제빙시 얼음의 일측에 돌출부위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구형의 얼음의 제빙 중 제빙되는 얼음의 표면과 트레이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이 향상된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반구 형상의 다수의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하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다수의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아이스 챔버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챔버를 가지는 하부 트레이;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상부 트레이의 상면에 개구된 유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챔버로 제빙을 위한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유입구 상방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부착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상부 이젝터; 및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하부 챔버에 부착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하부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챔버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빙 중 상기 아이스 챔버 내측의 얼음 표면과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표면 처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는 요철 또는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아이스 챔버의 표면의 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는 에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는 친수성을 가지는 별도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는, 친수성 코팅, 친수성 도료의 도포, 친수성 필름 접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는 상부 챔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의 내측면 조도는 상기 하부 챔버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아이스 챔버 중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아이스 챔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의 둘레에는 설정 높이를 갖는 입구 벽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벽의 둘레에는 상기 입구벽의 외측면과 상기 상부 챔버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입구 벽 리브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는 다수의 상기 상부 챔버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챔버 벽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면에는 다수의 상기 하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챔버 벽이 수용되는 둘레 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벽이 상기 둘레 벽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의 상기 아이스 챔버가 연통된 상태에서 제빙을 위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아이스 챔버의 상단과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물이 공급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아이스 챔버의 내측면이 제빙되는 얼음의 표면과 마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표면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과정 중 물의 상변화에 의해 얼음의 부치가 증가되어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게 되더라도 얼음과 아이스 챔버 사이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아이스 챔버와 상기 얼음의 표면 사이로 물이 이동되어 얼음 표면에 돌출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아이스 챔버가 연속 형성되고, 이웃하는 아이스 챔버와의 결빙 속도가 다른 경우에도 이웃하는 아이스 챔버의 물이 넘어와 얼음 표면에 돌출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빙되는 얼음이 대체적으로 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스 챔버상의 얼음의 크기가 균일하고 그 형상 또한 전체적으로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급수 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제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빙 상태에서 얼음의 부피가 증가 되었을 때의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이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의 절개 사시도이다.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상기 캐비닛(2)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5)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리고 상기 도어(5)를 기준으로 캐비닛(2)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5)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5)에는 별도의 제빙을 위한 아이스 메이커(미도시)가 수용되는 제빙실(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실이 형성된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취출되는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제빙실 내부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10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102)은 상기 냉동실(4) 내부에서 인출되는 냉동실 서랍(41)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 서랍(41)과 함께 인출입되어 사용자가 저장된 얼음을 꺼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상기 아이스 빈(10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동실 서랍(41)에 수용된 상태로 볼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아이스 빈(102)의 대부분이 가려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5-5'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부 어셈블리(1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접하여 서로 닫혀진 상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함께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아이스 챔버(111)를 형성한다. 상기 아이스 챔버(111)는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챔버이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획된 복수의 아이스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아이스 챔버(111)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급수부(190)를 통해 상기 아이스 챔버(11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아이스 챔버(111)로 안내한다. 상기 아이스 챔버(111)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와 제 2 아이스 챔버(111b) 그리고 제 3 아이스 챔버(111c)는 3개가 연속 배치되며, 상기 급수부(190)로 유입되는 물은 각각의 아이스 챔버(111)로 이동되어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하부 어셈블리(2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아이스 챔버(111)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20) 및 상부 서포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수평 연장부(142)와 수직 연장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4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냉동실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측면 둘레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둘레부(143)가 형성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둘레부(143)의 일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측으로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의 양측단 사이에는 냉기 가이드(145)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상기 냉기 홀(134)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통해 노출되는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유동되는 냉기에 노출되어 직접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에 상부 서포터(17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20),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며,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체결 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서포터(170)의 사이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변형되거나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사이에는 상부 히터(1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가열하여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급수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아이스 챔버(11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챔버(1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하방으로 개구된 반구 형상의 상부 챔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152)는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상부 챔버(152)는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챔버(152)는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그리고 제 3 상부 챔버(152c)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에는 각각 상부 이젝터(300)의 단부가 출입될 수 있는 유입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54)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상면의 개구된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구 벽(15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154)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입구벽(1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벽(155)에 의해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넘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입구 벽(15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버퍼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입구 벽 리브(15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벽 리브(155a)는 상기 입구 벽(155)의 외측면과 상기 상부 챔버(152)의 외측면을 연결하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 벽(155)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출입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구(154)와 대응하는 상방에 상기 급수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의 유입구(154)를 통해 제빙을 위한 물이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52b)로 급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11b)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와 제 3 아이스 챔버(111c)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에는 상기 아이스 챔버(111) 전체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챔버 벽(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벽(153)은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53)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11b)로의 급수시 이웃하는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 및 제 3 아이스 챔버(111c)로의 급수가 가능하도록 급수되는 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챔버(152) 중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의 내측면 전체에는 표면 처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상기 아이스 챔버(111)에서 제빙되는 얼음의 표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설정된 조도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에칭에 의해 미세한 패턴이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사출 성형시 미세한 돌기(112a)가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상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돌기(112a)의 크기가 다소 크게 표현되었으며,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상기 돌기(112a)의 크기가 크게 되면 제빙되는 구형의 얼음의 표면이 울퉁불퉁할 뿐만 아니라 투명도 또한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돌기(112a)는 도시된 것 보다 훨씬 더 작은 미세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기(112a)는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 미터 크기로 형성되어 일반적으로는 보이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상기 얼음의 표면과의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조도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챔버(152)의 내측면 즉, 상기 표면 처리부(112)와 상기 얼음의 외측면 사이로 물이 유동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표면 처리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빙과정에서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면서 필연적으로 부피 팽창이 되며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 사이에 틈이 발생되면서 이웃하는 상기 아이스 챔버(111) 또는 상기 아이스 챔버 외측의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 물이 상기 상부 챔버(152)의 내측면과 상기 얼음의 표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결국 상기 유입구(154) 측에서 결빙될 수 있으며, 얼음의 외측면에 돌출부위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얼음과 상기 상부 챔버(152)의 내측면이 서로 부착되어 물이 상기 유입구(154)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의 내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134)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므로 가장 먼저 결빙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아이스 챔버(111a)의 내측면에 상기 표면 처리부(11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제빙 중 제 1 아이스 챔버(111a)에 먼저 결빙이 시작되고,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에 결빙이 시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11b)에서의 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아이스 챔버(111a)에서는 설정된 크기의 구형 얼음의 형성이 보장될 수 있으며, 제 2 아이스 챔버(111b)와 제 3 아이스 챔버(111c)는 순차적으로 제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 중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빙 중인 얼음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형태의 얼음부분이 성장될 수 있는 부분은 상기 유입구(154)가 유일하며, 따라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에만 상기 표면 처리부가 형성되어 제빙중 물이 상기 유입구(154)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와, 제 2 아이스 챔버(111b) 및 제 3 아이스 챔버(111c)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함으로써,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방으로 개구된 반구 형상의 하부 챔버(25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252)는 복수개로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챔버(252)는 제 1 하부 챔버(252a)와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252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서로 접하여 닫히게 되면, 상기 상부 챔버(152)와 하부 챔버(252)는 서로 접하여 상기 아이스 챔버(11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챔버(252)의 내측면에도 상기 표면 처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112)는 상기 하부 챔버(252) 중 제 1 하부 챔버(252a)의 내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252)에 형성된 표면 처리부(112)는 상기 상부 챔버(152)에 형성된 표면 처리부(112)와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하게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253)은 상기 하부 챔버(252)의 개구된 상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 상기 하부 챔버(252)들의 상방에서 서로 연통된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챔버 벽(153)이 상기 둘레 벽(25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 벽(253)은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챔버(111)로 급수되는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설정 간격만큼 떨어져 열린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54)로부터 급수되면, 제빙을 위한 물이 상기 하부 챔버(252)들을 모두 채울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채우기 위한 물이 상기 둘레 벽(253)의 내측에 더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부 트레이(150)와 접하도록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상부 챔버(152)들까지 균일한 양의 물이 채워지게 될 수 있다.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플렉서블 재질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접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장착된 하부 히터(296)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보다는 다소 무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빙을 위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가 서로 맞닿게 될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가 더 낮아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단이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가압 밀착되어 서로 기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변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경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단에는 상기 아이스 챔버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51b)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251b)는 제빙시 변형되어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빙시 상기 하부 이젝터(400)와 접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251b)와 대응하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는 하부 서포터 개구(2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통과되어 상기 볼록부(251b)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 하부 트레이(25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하 차례로 배열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가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의 일부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 상기 연결 유닛(3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면과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는 한쌍의 링크(356)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회전되는 한쌍의 로테이팅 암(351,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의 단부에는 탄성부재(3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60)의 다른 일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재 장착부(28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더 회전되도록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한층 더 기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구동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180)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아이스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아이스 챔버(111)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에는 분리 방지 돌기(312)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는 상기 상부 서포터(170)에 형성되는 가이드(182)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연결된 링크(356)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방향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를 관통하여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에 의해서 가압된 얼음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의 단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외측을 눌러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하부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각각의 아이스 챔버(111)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이젝팅 로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동작 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급수 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이빙을 위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 방향이라고, 그 반대 방향(시계 방향)을 역 방향이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부(19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아이스 챔버(11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유입구(154) 중 일 유입구를 통해 물이 상기 아이스 챔버(111)로 공급된다.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급수된 물의 일부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형성된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하부에 가득채워지고, 급수된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기 챔버 벽(153)과 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상기 둘레 벽(25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형성된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상부 체적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의 체적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의 물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는 3개의 아이스 챔버(111) 간의 상호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물의 이동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도 7에서와 같이 급수 단계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의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급수 과정에서 특정 하부 챔버(252)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물이 이웃하는 상기 하부 챔버(252)로 유동하여 모든 하부 챔버(252)를 채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복수의 하부 챔버(252) 각각에 물이 가득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아이스 챔버(111)들의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얼음 생성 완료 후 얼음의 둘레에 돌기 형태의 추가 얼음 띠 또는 부스러기가 형성되지 않고 구형에 가까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제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제빙 상태에서 얼음의 부피가 증가 되었을 때의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역 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아이스 챔버(111)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되어 물이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제빙이 시작된다.
제빙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물의 가압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b)를 변형시키기 위한 힘보다 작으므로, 상기 볼록부(251b)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최상측에서부터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순차적인 결빙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얼음이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의 기포는 하측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기포가 형성된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투명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제빙되는 얼음은 사실상 투명한 얼음이라 부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챔버(111)에서 얼음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c)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면 도 8과 같이 상기 볼록부(251c)가 가압되어 변형되고, 제빙 완료 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부에서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내부의 얼음은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 사이는 벌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아이스 챔버(111) 중 상기 냉기 홀(134)과 가까운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로의 냉기 공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내부에서 결빙이 먼저 시작되어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내부의 물이 얼음이 되고,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11b)와 제 3 아이스 챔버(111c)는 아직 결빙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내부의 얼음의 부피 증가로 인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일부 이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웃하는 제 2 아이스 챔버(111b)의 물이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로 유입되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내부의 얼음은 상기 표면 처리부(112)에 의해서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11b) 또는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외측의 물이 유입되어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내부로 추가의 물 유입 및 이동이 없게 되어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 내부의 얼음은 설정된 크기의 구형 얼음으로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11b) 및 제 3 아이스 챔버(111c)의 물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로 유입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제 2 아이스 챔버(111b) 및 제 3 아이스 챔버(111c) 내부의 얼음 또한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에서 만들어지는 얼음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빙 완료 시 또는 제빙 완료 전에 상기 하부 히터(296)는 오프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이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먼저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설정 시간 작동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되고, 상기 구동 유닛(180)이 작동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멀어져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 상기 링크(356)에 의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유입구(154)를 통해 상기 아이스 챔버(111)내부로 유입되어 얼음을 하방으로 밀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부터 분리하여 이빙 시키게 된다.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서포터 개구(274)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단 즉, 상기 볼록부(251b)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이격되면, 변형된 하부 트레이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역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링크(356)에 의해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승되고,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아이스 챔버(111) 외측으로 이동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정지되고, 다시 급수가 시작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표면 처리부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모두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표면 처리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의 설명은 생략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 예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의 절개 사시도이다.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챔버(111)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부 챔버(152)와 하부 트레이(250)의 하부 챔버(252)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 구형의 아이스 챔버(11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내측면에는 표면 처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113)는 제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챔버(111) 내부에서 형성되는 얼음의 표면이 마찰력에 의해 서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부(113)는 친수성의 코팅 또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내측면에 친수성 코팅이 실시되거나, 친수성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친수성 필름이 상기 아이스 챔버(11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 처리부(113)는 상기 아이스 챔버(111)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의 표면과 접하여 상기 표면 처리부(113)와 상기 얼음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빙 과정 중에 상기 하부 트레이가 일부 열리게 되더라도, 물유입을 방지하고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구(154)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표면 처리부(113)는 상기 상부 챔버(152)와 하부 챔버(252)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부 챔버(152)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 처리부(113)는 다수의 상기 아이스 챔버(111)들 중 상기 냉기 홀(134)과 가까운 일측의 아이스 챔버 예컨데 상기 제 1 아이스 챔버(111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반구 형상의 다수의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트레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하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다수의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아이스 챔버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챔버를 가지는 하부 트레이;
    상기 하부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상부 트레이의 상면에 개구된 유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챔버로 제빙을 위한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유입구 상방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부착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상부 이젝터; 및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하부 챔버에 부착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하부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챔버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빙 중 상기 아이스 챔버 내측의 얼음 표면과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표면 처리부가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요철 또는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아이스 챔버의 표면의 조도를 높이는 아이스 메이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친수성을 가지는 별도의 층을 형성하는 아이스 메이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친수성 코팅, 친수성 도료의 도포, 친수성 필름 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상부 챔버에만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챔버의 내측면 조도는 상기 하부 챔버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아이스 챔버 중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아이스 챔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둘레에는 설정 높이를 갖는 입구 벽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벽의 둘레에는 상기 입구벽의 외측면과 상기 상부 챔버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입구 벽 리브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면에는 다수의 상기 상부 챔버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챔버 벽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면에는 다수의 상기 하부 챔버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챔버 벽이 수용되는 둘레 벽이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벽이 상기 둘레 벽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의 상기 아이스 챔버가 연통된 상태에서 제빙을 위한 급수가 이루어지는 아이스 메이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아이스 챔버의 상단과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되는 아이스 메이커.
KR1020190110813A 2018-11-1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KR20210029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13A KR20210029505A (ko) 2019-09-0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CN202210442233.1A CN114838545B (zh) 2018-11-16 2019-11-15 制冰器及冰箱
CN201911120187.8A CN111197889B (zh) 2018-11-16 2019-11-15 制冰器及冰箱
EP19209302.9A EP3653962A1 (en) 2018-11-16 2019-11-15 Ice maker
CN202210443752.XA CN114838546B (zh) 2018-11-16 2019-11-15 制冰器及冰箱
US16/685,793 US11480375B2 (en) 2018-11-16 2019-11-15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7/950,626 US11913700B2 (en) 2018-11-16 2022-09-22 Ice maker and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13A KR20210029505A (ko) 2019-09-0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505A true KR20210029505A (ko) 2021-03-16

Family

ID=7522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813A KR20210029505A (ko) 2018-11-1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9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259B1 (ko) 냉장고
US11913700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2541275B1 (ko) 아이스 메이커
US202103488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29505A (ko) 아이스 메이커
KR20210029508A (ko) 아이스 메이커
US20220349639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N117120790A (zh) 电器制冰组件
KR102640322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12771327A (zh) 冰箱
CN112789471A (zh) 冰箱及其控制方法
US2022034963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10026644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EP4123243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20152787A (ko) 아이스 메이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15071A (ko)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KR102323837B1 (ko) 아이스 메이커
US11953254B2 (en) Refrigerator
KR20230015070A (ko)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KR20220152786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US20240183598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2002221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29498A (ko) 아이스 메이커
US20210389037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1009820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