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498A - 아이스 메이커 - Google Patents

아이스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498A
KR20210029498A KR1020190110800A KR20190110800A KR20210029498A KR 20210029498 A KR20210029498 A KR 20210029498A KR 1020190110800 A KR1020190110800 A KR 1020190110800A KR 20190110800 A KR20190110800 A KR 20190110800A KR 20210029498 A KR20210029498 A KR 20210029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assembly
ice
tray
low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박현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9498A/ko
Priority to EP19209385.4A priority patent/EP3653965B1/en
Priority to US16/685,851 priority patent/US11428451B2/en
Priority to EP23205509.5A priority patent/EP4300013A3/en
Priority to ES19209385T priority patent/ES2966034T3/es
Publication of KR20210029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498A/ko
Priority to US17/868,568 priority patent/US11874042B2/en
Priority to US18/396,453 priority patent/US2024012553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는, 고내 일측에 고정되며,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어셈블리;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하방에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를 가지는 하부 어셈블리;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한쌍의 로테이팅 암; 상기 한쌍의 로테이팅 암의 연장된 단부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 양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결합되는 탄성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보다 더 먼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스 메이커 {Ice maker}
본 발명은 아이스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구형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가 개발되고 있다.
본 실시 예는 보다 구형에 가까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구형의 얼음 제빙시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 틈에 의해 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구형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는, 고내 일측에 고정되며,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어셈블리;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하방에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를 가지는 하부 어셈블리;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한쌍의 로테이팅 암; 상기 한쌍의 로테이팅 암의 연장된 단부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 양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결합되는 탄성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보다 더 먼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전단과 후단 중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를 지나는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장착부 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 바디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측방에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와 상기 하단 고정부를 지나는 연장선은,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바닥면을 수직하게 지나는 연장선과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상부 어셈블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챔버가 형성된 상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챔버가 형성된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히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서로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트레이보다 경도가 더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챔버가 형성된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히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서로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로테이팅 암은,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2 로테이팅 암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회전 축이 되며,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까지의 거리는 상기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하단에서 제 1 로테이팅 암 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빙을 위해 회전되는 하부 트레이에는 로테이팅 암이 결합되고, 상기 로테이팅 암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로테이팅 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트레이의 양측면 전반부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전반부 즉, 상기 하부 트레이의 회전축과 먼 쪽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가 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부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하면서 부피가 팽창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보다 밀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제빙되는 구형의 얼음은 둘레 부분에 버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보다 완전한 구 형상에 가깝게 제빙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어셈블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결 유닛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급수 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제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 상태에서 로테이팅 암과 탄성부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이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상기 캐비닛(2)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5)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리고 상기 도어(5)를 기준으로 캐비닛(2)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5)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5)에는 별도의 제빙을 위한 아이스 메이커(미도시)가 수용되는 제빙실(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실이 형성된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취출되는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제빙실 내부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10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102)은 상기 냉동실(4) 내부에서 인출되는 냉동실 서랍(41)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 서랍(41)과 함께 인출입되어 사용자가 저장된 얼음을 꺼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상기 아이스 빈(10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동실 서랍(41)에 수용된 상태로 볼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아이스 빈(102)의 대부분이 가려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5-5'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부 어셈블리(1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접하여 서로 닫혀진 상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함께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다. 상기 얼음 챔버(111)는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챔버이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획된 복수의 얼음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급수부(190)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하부 어셈블리(200)의 구조를 보다 상세라게 살펴보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얼음 챔버(111)의 상부 즉 하방으로 개구된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20) 및 상부 서포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수평 연장부(142)와 수직 연장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4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냉동실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측면 둘레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둘레부(143)가 형성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둘레부(143)의 일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측으로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의 양측단 사이에는 냉기 가이드(145)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상기 냉기 홀(134)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통해 노출되는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유동되는 냉기에 노출되어 직접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에 상부 서포터(17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20),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며,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체결 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부 서포터(170)의 사이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변형되거나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사이에는 상부 히터(1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가열하여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급수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방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함으로써,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부 즉, 상방으로 개구된 하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서로 접하여 닫히게 되면,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는 서로 접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 하부 트레이(25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하 차례로 배열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가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의 일부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 상기 연결 유닛(35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플렉서블 재질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접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장착된 하부 히터(296)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트레이(150)보다는 다소 무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빙을 위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가 서로 맞닿게 될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가 더 낮아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단이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는 가압 밀착되어 서로 기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변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경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단에는 상기 얼음 챔버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51b)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251b)는 제빙시 변형되어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빙시 상기 하부 이젝터(400)와 접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251b)와 대응하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는 하부 서포터 개구(2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통과되어 상기 볼록부(251b)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힌지 바디(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바디(282)는 제 2 힌지 홀(28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홀(282a)에는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의 일측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연결부(352b)에 상기 연결 샤프트(37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탄성부재(360)가 결합되기 위한 탄성부재 장착부(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60)가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에 수용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60)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구동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180)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얼음 챔버(111)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에는 분리 방지 돌기(312)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는 상기 상부 서포터(17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연결된 링크(356)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방향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에 의해서 가압된 얼음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의 단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외측을 눌러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하부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각각의 얼음 챔버(111)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이젝팅 로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빙을 위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한쌍의 로테이팅 암(351,352)과 한쌍의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함께 상기 구동 유닛(180)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352)의 단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탄성부재(36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보다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356)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링크(356)에 의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 및 상기 링크(356)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어셈블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결 유닛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좌우 양측에는 연결 유닛(3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 서포터(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테이팅 암(351, 352)과,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하는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는 한쌍의 로테이팅 암(351,3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로테이팅 암(351,352) 중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상기 구동 유닛(18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과 반대편에는 제 1 로테이팅 암(35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각각 양측의 상기 힌지 바디(281, 282)를 관통하는 연결 샤프트(37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작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내측에는 양측에 형성된 상기 힌지 바디(282)의 힌지 홀(282a)에 삽입되도록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회전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 및 제 1 로테이팅 암(351)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힌지 홀(282a)과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의 내측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유격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히는 회전동작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이 설정각도만큼 더 회전되어 상기 로테이팅 암(351, 352)을 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상기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상기 상부 트레이(150) 쪽으로 더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 유닛(180)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동력 연결부(352a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부(352a)는 다각형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구동 유닛(180)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탄성부재 장착부(284)의 상방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연장된 단부에는 탄성부재 연결부(351c, 35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연결부(351c, 352c)에는 상기 탄성부재(36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6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60)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6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가압 상태로 접촉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특리, 상기 탄성부재(36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보다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히기 위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 또한 함께 회전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힐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설정 각도까지 회전되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1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은 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회전으로 상기 탄성부재(360)는 인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6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닫히는 방향으로 더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탄성부재(36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더 회전시켜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상부 어셈블리(110)에 가압 밀착시키게 된다면, 상기 구동 유닛(180)에 과도한 부하가 집중될 수 있으며, 물이 상변화 되면서 팽창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느 상기 구동 유닛(180)의 기어에 역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18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기어들의 유격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처지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부재(36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당겨서 밀착시키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모두 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한 별도의 동력 제공이 없이도 인장된 상태의 상기 탄성부재(360)를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 측으로 더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가압 밀착되기 전에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 정지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3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더 회전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양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360)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틈새가 생기지 않고 전체적으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60)는 지속적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되면서 상기 얼음이 팽창하게 될 때에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과도하게 열리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의 상단보다 더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면 전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와 상기 링크 상단의 거리를 최대한 길게하여, 상기 탄성부재(36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을 최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284a)이 형성되는 장착부 바디(284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바디(284b)는 상기 수용 공간(284a)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60)의 일부를 측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60)가 인장 및 수축되는 과정에서 주변의 다른 구성이나 이물질에 의해 관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284a)은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상기 탄성부재(36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284a)은 상기 탄성부재(360)가 인장 수축 과정에서 이동되더라도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재(36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의 하단에는 한단 고정부(28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고정부(284c)는 상기 수용 공간(284a)의 하단 또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단에 함몰될 수 있으며, 고리 형상의 상기 탄성부재(360)의 하단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36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84)의 위치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전단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부재(36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이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의 상단 즉, 상기 탄성부재 연결부(352c)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단 고정부(284c)가 이격된 거리(D)는 대략 10mm ~ 15mm 가량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연결부(352c)와 상기 하단 고정부(284c)를 지나는 연장선은 상기 탄성부재 연결부(352c)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선과의 각도(α)는 시계방향으로 대략 10˚~ 20˚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360)의 길이를 길게 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단 고정부(284c)가 너무 먼 거리에 배치되거나 각도가 커지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360)의 과도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부하가 커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의 탄성부재 연결부(351c) 까지의 높이(h2)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의 탄성부재 연결부(352c) 까지의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히기 위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과 제 2 로테이팅 암(352)이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의 높이가 높으므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가 접촉이 시작될 때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에 연결된 상기 탄성부재(360)가 더 인장된다.
즉,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의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에서의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처짐을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 전체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과 밀착되어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구동 유닛(18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에만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연결 샤프트(370)의 조립에 의한 공차 등으로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이 덜 회전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로테이팅 암(351)에서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352)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처지거나 덜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356)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링크(356)의 하단에는 트레이 연결부(356a)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연결부(356a)에는 상기 링크 축(288)이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356)의 하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축(288)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측면에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링크 축(288)은 상기 트레이 연결부(356a)를 관통하도록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팅 암(351,352)에 의해 가려져 상기 링크(356)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356)의 상단에는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단부 즉,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가 관통되는 이젝터 연결부(356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연결부(356b) 또한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하 방향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동작 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급수 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이빙을 위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 방향이라고, 그 반대 방향(시계 방향)을 역 방향이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부(19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유입구(154) 중 일 유입구를 통해 물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급수된 물의 일부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형성된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부에 가득채워지고, 급수된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형성된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부 체적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의 체적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의 물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는 3개의 얼음 챔버(111) 간의 상호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물의 이동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도 8에서와 같이 급수 단계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상부 트레이(150)의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급수 과정에서 특정 하부 챔버(252)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물이 이웃하는 상기 하부 챔버(252)로 유동하여 모든 하부 챔버(252)를 채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복수의 하부 챔버(252) 각각에 물이 가득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얼음 챔버(111)들의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얼음 생성 완료 후 얼음의 둘레에 돌기 형태의 추가 얼음 띠 또는 붓스러기가 형성되지 않고 구형에 가까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도 9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제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 상태에서 로테이팅 암과 탄성부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역 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얼음 챔버(111)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되어 물이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제빙이 시작된다.
제빙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물의 가압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b)를 변형시키기 위한 힘보다 작으므로, 상기 볼록부(251b)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최상측에서부터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순차적인 결빙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얼음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는 하측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기포가 형성된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투명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제빙되는 얼음은 사실상 투명한 얼음이라 부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c)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면 도 9와 같이 상기 볼록부(251c)가 가압되어 변형되고, 제빙 완료 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에서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 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부의 얼음은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자 하는 힘이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탄성부재(36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위치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의 간격이 가장 크게 벌어지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60)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정방향 회전을 최대한 방지하고, 제빙과정 중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얼음의 부피 팽창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을 수도 있으나, 제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개방을 방지하게 되고, 제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축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개방 정도를 최소화하여 상기 얼음의 둘레에 버와 같은 얼음 부스러기나 돌출 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빙 완료 시 또는 제빙 완료 전에 상기 하부 히터(296)는 오프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이빙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먼저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설정 시간 작동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되고, 상기 구동 유닛(180)이 작동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멀어져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시 상기 링크(356)에 의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유입구(154)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내부로 유입되어 얼음을 하방으로 밀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부터 분리하여 이빙 시키게 된다.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서포터 개구(274)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단 즉, 상기 볼록부(251b)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이격되면, 변형된 하부 트레이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역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링크(356)에 의해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승되고,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 외측으로 이동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정지되고, 다시 급수가 시작된다.

Claims (12)

  1. 고내 일측에 고정되며, 상부 챔버를 가지는 상부 어셈블리;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하방에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접하여 구형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를 가지는 하부 어셈블리;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한쌍의 로테이팅 암;
    상기 한쌍의 로테이팅 암의 연장된 단부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 양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결합되는 탄성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보다 더 먼 위치에 위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전단과 후단 중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전단에 위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를 지나는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격되는 아이스 메이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장착부 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 바디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측방에서 차폐되는 아이스 메이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와 상기 하단 고정부를 지나는 연장선은,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로테이팅 암의 단부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바닥면을 수직하게 지나는 연장선과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상부 어셈블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챔버가 형성된 상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챔버가 형성된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히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서로 가압 밀착되는 아이스 메이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트레이보다 경도가 더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챔버가 형성된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가 닫히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는 서로 가압 밀착되는 아이스 메이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도록 가압하는 아이스 메이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로테이팅 암은,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2 로테이팅 암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회전 축이 되며,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로테이팅 암까지의 거리는 상기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하단에서 제 1 로테이팅 암 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KR1020190110800A 2018-11-1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KR20210029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00A KR20210029498A (ko) 2019-09-0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EP19209385.4A EP3653965B1 (en) 2018-11-16 2019-11-15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6/685,851 US11428451B2 (en) 2018-11-16 2019-11-15 Ice maker for refrigerator
EP23205509.5A EP4300013A3 (en) 2018-11-16 2019-11-15 Ice maker and refrigerator
ES19209385T ES2966034T3 (es) 2018-11-16 2019-11-15 Máquina de hacer hielo y refrigerador
US17/868,568 US11874042B2 (en) 2018-11-16 2022-07-19 Ice maker for refrigerator
US18/396,453 US20240125531A1 (en) 2018-11-16 2023-12-26 Ice maker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00A KR20210029498A (ko) 2019-09-0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98A true KR20210029498A (ko) 2021-03-16

Family

ID=7522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800A KR20210029498A (ko) 2018-11-16 2019-09-06 아이스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94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4688B2 (en) Ice maker
US9175896B2 (en) Refrigerator with a plurality of sealing parts
US9109826B2 (en) Bladed ice dispensing system for an ice compartment in a refrigeration chamber
US880859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amper assembly of refrigerator
US9310122B2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of refrigerator
KR20230017898A (ko)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200300527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090080250A (ko) 냉장고의 물공급 장치
KR20110072774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멀리언의 조립방법
KR20210029498A (ko) 아이스 메이커
KR20210029508A (ko) 아이스 메이커
KR100743748B1 (ko) 냉장고 도어의 아이스메이커 장착구조
EP3343147B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comprising condensation guiding means
KR20200057604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00057598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00057600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US2022034963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10029505A (ko) 아이스 메이커
KR102227946B1 (ko) 아이스 메이커
US11874047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fixing part
US20230251008A1 (en) Refrigerator
KR20210026644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20152787A (ko) 아이스 메이커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00158405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30015072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