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598A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7598A KR20200057598A KR1020190087489A KR20190087489A KR20200057598A KR 20200057598 A KR20200057598 A KR 20200057598A KR 1020190087489 A KR1020190087489 A KR 1020190087489A KR 20190087489 A KR20190087489 A KR 20190087489A KR 20200057598 A KR20200057598 A KR 202000575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ice
- chamber
- wall
- he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8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6—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deforming bodies with which the ice is in contact, e.g. using inflatabl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이스 메이커는, 얼음 챔버 중 일부인 상부 챔버를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및 상기 얼음 챔버 중 다른 일부인 하부 챔버를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이격되고, 제빙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접촉하며, 상기 상부 트레이의 경도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선행문헌1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9332호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다.
선행문헌1의 아이스 메이커는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와, 상기 상판 트레이의 하방에서 상기 상판 트레이와 선택적으로 열고 닫히는 하판 트레이와, 상기 상판 트레이와 하판 트레이에 반구 형상으로 함몰되며, 상기 상판 트레이와 하판 트레이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에서 구형의 얼음이 만들어지는 다수의 셀과, 상기 상판 트레이 또는 하판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축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상판 트레이와 하판 트레이를 이격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 트레이에는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판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 트레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히터는 금속 소재의 상판 트레이를 가열하여 상판 트레이의 표면과 접하는 구형의 얼음 일부를 녹이게 된다.
그런데, 선행문헌1에 의하면, 상판 트레이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판 트레이의 열전도도가 커서 히터의 작동 시 얼음 중에서 상판 트레이의 히터와 대응되는 부분으로 가해지는 열의 양이 크다.
따라서, 얼음 중에서 히터와 대응되는 부분이 가장 많이 녹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히터가 오프되면, 얼음 중에서 상기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부분이 다시 상부 트레이의 표면에 달라 붙게 되어 얼음의 일부가 불투명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위와 같이 히터 작동 후 얼음이 불투명해지는 현상은 히터의 출력이 클수록 심해진다.
또한, 얼음이 한번 녹은 후 결빙되어 다시 상판 트레이와 부착되면 얼음이 상기 상판 트레이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아 이빙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아이스 메이커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을 가압하기 위한 상부 이젝팅 핀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 트레이와 얼음의 부착력이 큰 경우 얼음을 상기 상판 트레이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이젝팅 핀이 얼음을 가압하기 위한 힘이 커지게 된다.
선행문헌1과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판 트레이와 얼음의 부착력이 커서 상기 상부 이젝팅 핀이 상기 얼음을 가압하기 위한 힘이 크다.
상기 상부 이젝팅 핀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이 큰 경우, 얼음이 상기 상판 트레이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판 트레이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상기 상판 트레이가 한번 변형된 경우, 상기 상판 트레이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이 경우,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1의 경우, 상판 트레이와 하판 트레이가 접촉한 상태에서 급수가 수행되므로, 물이 복수의 셀로 분배되도록 하기 위한 워터 패스가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제빙 완료 후 물이 워터 패스 상에도 존재하므로, 제빙 완료 후 얼음 들이 워터 패스 상에서 생성된 얼음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2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다.
선행문헌2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는, 급수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도록 배치되고, 급수 완료 후 회전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와 접촉된다.
그런데, 선행문헌2의 경우, 급수 완료 후 상기 하부 트레이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단턱부가 상기 상부 트레이의 둘레면에 접촉한다.
만약, 급수 과정에서 과급수 되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턱부가 상기 상부 트레이의 둘레면과 접촉하므로, 상기 단턱부와 상기 상부 트레이 외면 사이에 물이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 접촉하게 되면, 물의 상부 트레이에서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 예는, 제빙 과정에서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이빙 과정에서 상부 트레이의 변형은 제한되고, 하부 트레이는 원활히 변형될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급수 과정에서 과급수되는 경우, 얼음 챔버로 공급된 물의 외부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상부 트레이를 둘러싸는 둘레 벽이 하부 트레이의 이동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이 제한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제빙 및 이빙 과정에서 상부 트레이 및 하부 트레이 각각의 소성 변형이 방지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상술한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는, 얼음 챔버 중 일부인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및 상기 얼음 챔버 중 다른 일부인 하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급수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와 이격되고, 제빙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접촉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접촉 부위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상부 트레이의 경도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는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를 가압하는 하부 이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 트레이의 경도가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크면, 이빙 과정에서 상부 트레이의 변형은 제한되고,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이젝터에 의해서 가압되는 과정에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의 변형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에 부착된 얼음이 하부 트레이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는 둘레 벽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후 하부 트레이가 제빙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에서 물이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빙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의 외면과 상기 둘레 벽의 내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갭은 상기 둘레 벽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는 상부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위치에서, 상기 둘레 벽의 상단은 상기 상부 개구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개구를 관통하여 얼음을 가압하는 상부 이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하부 트레이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을 둘러싸는 상기 둘레 벽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에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둘레 벽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 슬릿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일부를 하부 서포터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다른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둘레 벽에서 연장되는 수평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는 수평 방향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수평 방향 연장부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방향 연장부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서포터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상부 트레이를 지지하는 상부 서포터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를 상기 상부 서포터 측으로 가압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서포터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서포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연장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평 연장부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및 상기 냉동실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부 챔버를 정의하는 상부 트레이; 및 상기 상부 챔버와 함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를 정의하며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하부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및 상기 하부 트레이 각각은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의 경도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는, 얼음 챔버 중 일부인 상부 챔버를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및 상기 얼음 챔버 중 다른 일부인 하부 챔버를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이격되고, 제빙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접촉하며, 상기 상부 트레이의 경도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는 둘레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의 외면과 상기 둘레 벽의 내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갭은 상기 둘레 벽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는 상부 개구를 포함하고, 제빙 위치에서, 상기 둘레 벽은 상단은 상기 상부 개구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의 하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를 하부 서포터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다른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둘레 벽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서포터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는, 수직벽과, 상기 상부 챔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곡선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수직벽을 둘러싸는 제 1 벽과, 상기 곡선벽을 둘러싸는 제 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은 수직벽이고, 상기 제 2 벽은 곡선벽이다.
상기 하부 트레이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벽은 상기 제 1 벽 보다 상기 회전 중심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의 곡률의 중심은 상기 회전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하부 트레이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을 둘러싸는 상기 둘레 벽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에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둘레 벽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 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상부 트레이를 지지하는 상부 서포터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를 상기 상부 서포터 측으로 가압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서포터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서포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연장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연성 재질인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제빙 위치에서 서로 접촉되는데, 상부 트레이의 경도가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접촉 부위의 밀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접촉 부위의 밀착력이 향상되면 제빙 과정에서 물이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사이를 유동하여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빙 과정에서 상부 트레이의 변형 및 위치 이동을 제한될 수 있으면서,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이젝터에 의해서 가압되는 과정에서 쉽게 변형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에 부착된 얼음이 하부 트레이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가 제빙 위치에서 상부 트레이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 벽을 포함하고, 둘레 벽과 상부 트레이의 외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므로, 급수 과정에서 과급수가 되더라도 물이 상기 갭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얼음 챔버의 물이 아이스 메이커의 외측으로 넘쳐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트레이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가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을 둘러싸는 둘레 벽을 포함하므로,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서포터의 둘레 벽에 결합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슬릿이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가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부 케이스가 수평 연장부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부 서포터가 수평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하므로,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연장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상부 서포터와 상기 상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수평 연장부가 늘어나 소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하부 서포터가 상기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하고, 하부 케이스가 상기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하므로, 이빙 과정에서 하부 트레이 바디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하부 서포터와 상기 하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늘어나 소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13은 도 6의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 결합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14은 도 6의 상부 케이스에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와 연결된 전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상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26은 하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7의 D-D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평면도.
도 28은 도 27의 하부 서포터에 하부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는 하부 어셈블리가 상부 어셈블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히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부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1은 도 30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2는 급수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3은 제빙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4는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5는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6은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13은 도 6의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 결합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14은 도 6의 상부 케이스에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와 연결된 전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상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26은 하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7의 D-D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평면도.
도 28은 도 27의 하부 서포터에 하부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는 하부 어셈블리가 상부 어셈블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히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부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1은 도 30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2는 급수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3은 제빙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4는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5는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6은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10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아이스 빈(102)은 별도의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냉동실(4)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6)를 개방시켜,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접근하여 얼음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냉장실 도어(5)에는 정수된 물 또는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생성된 얼음 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생성되어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 수단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7)로 이송되어 디스펜서(7)에서 얼음을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이스 메이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함께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다. 상기 얼음 챔버(111)는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챔버이다.
본 발명에서 "구 형태 또는 반구 형태"는 기하하적으로 완전한 구 또는 반구의 형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기하하적으로 완전한 구 또는 반구와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획된 복수의 얼음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하부 어셈블리(200)에 의해서 3개의 얼음 챔버(11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얼음 챔버(111)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급수부(190)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한다.
얼음이 생성된 후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사이에 형성된 구 형태의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구동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는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에는 후술할 연결 유닛(35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35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돌기(31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분리 방지 돌기(312)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에 의해서 가압된 얼음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이젝터 바디(410)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하부 이젝팅 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빙을 위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일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여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타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얼음 챔버(111)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측 부분을 정의한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제 1 트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서포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을 지지하여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를 상기 상부 서포터(17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상부 케이스(120),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즉, 체결 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되면,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측 부분을 정의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제 2 트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 하부 트레이(25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600)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스위치(600)를 온시키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 물이 공급되고, 냉기에 의해서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 과정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어 얼음이 이빙되는 이빙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스위치(600)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6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4) 내의 하우징(10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고정을 위한 상부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고정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는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2)의 바닥(122a)에 상기 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122)가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개구(123)를 관통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이빙을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히터(도 14의 148참조)가 결합되기 위한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함몰부(12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온도 센서(500)가 설치되기 위한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도 7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 사이에 상기 온도 센서(5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슬롯(131, 1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은,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개구(123)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슬롯(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상기 개구(12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도 7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1 상부 슬롯(131)이 화살표 B 방향(제 2 방향이라 함)과 교차되는 방향인 화살표 A 방향(제 1 방향이라 함)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상부 슬롯(132)이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살표 A 방향은 복수의 얼음 챔버(1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은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상부 슬롯(133)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상부 슬롯(131, 132)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기 각 상부 슬롯(131, 132)에 삽입되는 돌기(상부 트레이에 형성됨)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23)에서 상기 각 상부 슬롯(131)을 바라볼 때, 상기 각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라운드 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가 삽입되기 위한 슬리브(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슬리브(133)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리브(133)는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리브(133)는 화살표 B 방향으로 다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리브(133) 중 일부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슬롯(13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리브(133) 중 다른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는 도 7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힌지 서포터(135, 136)에는 제 1 힌지 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하나 이상의 결합 후크(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140a)에 의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하우징(101)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에 상기 급수부(19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수직 연장부(14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를 상기 하우징(101)에 스크류 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스크류 체결부(14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측면 둘레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는(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냉동실(4) 내의 별도의 하우징(101)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냉동실(4)을 형성하는 벽에 직접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트레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상부 트레이(150) 자체가 변형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에는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없다. 즉, 반복적인 구 형태의 얼음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후술할 상부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면, 얼음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 간의 결합력 또는 부착력이 줄어들 수 있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상부 챔버(152)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복수의 상부 챔버(152)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는,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독립적인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를 형성하는 3개의 상부 챔버 벽(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상부 챔버 벽(153)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는 도 9를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9의 화살표 A 방향은 도 7의 화살표 A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상기 상부 챔버(15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 형태의 얼음 중 상부는 상기 상부 챔버(1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 챔버(152)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상부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는 3개의 상부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154)를 통해 냉기가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상부 개구(154)를 통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상기 상부 개구(154) 측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는 입구 벽(1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벽(155)은 상기 상부 개구(154)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벽(155)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입구 벽(155)의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상부 개구(154)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상부 개구(154)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 리브(15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상기 입구 벽(155)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 및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연결 리브(155a)가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제 3 상부 챔버(152c)에 대응되는 두 개의 입구 벽(155)은 제 2 연결 리브(16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도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는 급수 가이드(156)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입구 벽(155)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제 1 수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함몰부(12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2)에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되고,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도 14의 148참조)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상부 히터(도 14의 148참조)가 수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챔버 들(152a, 152b, 152c)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에는 상기 상부 히터(도 14의 148참조)가 결합된 히터 결합부(12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온도 센서(500)가 수용되는 제 2 수용부(161)(또는 센서 수용부라고 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상기 제 1 수용부(16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부 챔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는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수용된 상부 히터(도 14의 148참조)와 상기 온도 센서(50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00)가 상기 제 2 수용부(16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부 챔버 벽(153)은 수직벽(153a)과 곡선벽(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벽(153b)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단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 및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또는 "제 1 면"이라고 할 수 있음)은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또는 "제 2 면"이라고 할 수 있음)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서포터(1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복수의 상부 슬롯(131, 132) 각각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는, 제 1 상부 돌기(165)와, 상기 상부 개구(154)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돌기(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 및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와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도 9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9의 화살표 B 방향은 도 7의 화살표 B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1 상부 돌기(165)가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상부 돌기(16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상부 돌기(165, 166)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빙 과정이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상부 돌기(165, 165)가 곡선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상부 돌기(165, 165)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 챔버(152)와의 간격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264)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264)의 수평 방향 변형이 최소화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늘어나 소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소성 변형되는 경우, 제빙 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므로, 얼음이 구 형태와 가깝지 않게 된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제 1 하부 돌기(167)와, 상기 상부 챔버(152)를 기준으로 제 2 하부 돌기(167)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하부 돌기(1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 및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도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 및 하면(164b) 각각에 돌기(165, 166, 167, 168)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수평 방향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에는 후술할 상기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69)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관통홀(169)이 상기 수평 연장부(164)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69) 중 일부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165) 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16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69) 중 다른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서포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하는 서포터 플레이트(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가 관통하기 위한 플레이트 개구(1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둘레 벽(17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174)은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174)의 상면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은,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가 삽입되는 제 1 하부 슬롯(176)과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가 삽입되는 제 2 하부 슬롯(17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하부 슬롯(176)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하부 슬롯(177)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체결 보스(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각 체결 보스(175)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관통홀(169)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175)가 상기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면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는 일 예로 볼트(도 3의 B1)일 수 있다. 상기 볼트(B1)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B1)는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방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볼트(B1)의 바디부가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헤드부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 및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와 연결된 연결 유닛(350)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는 일 예로 도 12를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둘레 벽(17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1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350)이 상기 이젝터 바디(3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이젝터 바디(310)로 전달되면, 상기 이젝터 바디(310)가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부 히터 결합 구조>
도 13은 도 6의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 결합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도 6의 상부 케이스에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와 연결된 전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상부 히터(148)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홈(12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은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함몰부(122)의 하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개구(12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일 예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절곡이 가능하며,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형태에 맞추어 절곡시켜 상기 상부 히터(148)를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DC 전원을 공급받는 DC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이빙을 위하여 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임)과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강할수록,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된 이후에, 얼음 중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에 의해서 가열된 부분이 다시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 달라 붙게 되어 불투명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얼음의 둘레에 상부 히터와 대응되는 형태의 불투명한 띠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출력 자체가 낮은 DC 히터를 사용하고,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 자체의 열전도율도 낮아진다.
따라서, 얼음의 국부적인 부분에 열이 집중되지 않고 적은 양의 열이 얼음으로 서서히 가해지므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되면서도 얼음의 둘레에 불투명해진 띠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상부 챔버(152) 각각으로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는 복수의 상부 챔버(152)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상부 챔버 벽(153) 각각의 둘레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개구(154)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이 상기 함몰부(122)에서 함몰되므로,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은 외벽(124b)과 내벽(124c)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결합부(12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의 직경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깊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일부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수용된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벽(124b)과 내벽(124c) 중 하나 이상에는 이탈 방지 돌기(124d)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는 일 예로 내벽(124c)에 복수의 이탈 방지 돌기(124d)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는 상기 내벽(124c)의 단부에서 상기 외벽(124b)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에 의해서 삽입이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쉽게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의 돌출 길이는 상기 외벽(124b)과 내벽(124c)의 간격의 1/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과 같이,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부 라운드부(148c)와 직선부(148d)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이 상부 라운드부와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상부 라운드부와 직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부 라운드부(148c)와 직선부(148d)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라운드부(148c)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며,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된 부분이다.
상기 직선부(148d)는 각각의 상부 챔버(152)에 대응되는 상부 라운드부(148c)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개구(154)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부 라운드부의 이격된 두 지점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상부 챔버(152)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 중에서 상기 상부 라운드부(148c)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빠질 우려가 크므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는 상기 라운드부(148c)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바닥면에는 관통 개구(124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용될 때, 상기 상부 히터(148)의 일부는 상기 관통 개구(124e)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 개구(124e)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평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텐션이 증가되어 단선의 우려가 있고,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빠질 우려가 높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관통 개구(124e)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상부 히터(148)의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124e)에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상부 히터(148)의 텐션을 줄이며,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상부 히터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형성되는 히터 통과홀(125)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서 수용되므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터 통과홀(125)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히터 통과홀(125)을 통과한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은 하나의 제 1 커넥터(129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129a)에는 상기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두 개의 전선(129d)이 연결된 제 2 커넥터(129c)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히터(148), 상기 제 1 커넥터(129a), 제 2 커넥터(129c) 및 전선(129d)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는 일 예로 상기 제 1 가이드부(126)가 상기 제 1 커넥터(129a)를 가이드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26)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26)의 상측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제 1 커넥터(126)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전선(129d)이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대략 "U"와 같은 형태로 절곡된 이후에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선(129d)이 1회 이상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므로, 상부 케이스(120)에는 상기 전선(129d)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가이드(127, 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가이드(127, 128)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이드(127)와 제 2 가이드(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127) 및 상기 제 2 가이드(128)는 절곡되는 전선(129d)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전선(129d)의 절곡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127) 및 제 2 가이드(128) 각각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127)와 상기 제 2 가이드(128) 사이에 위치된 전선(129d)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가이드(127)와 제 2 가이드(128)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한 가이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가이드(127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상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148)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트레이(150), 상부 서포터(17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상부 돌기(165)가 상부 케이스(120)의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2 상부 돌기(166)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하부 돌기(167)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1 하부 슬롯(176)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2 하부 돌기(168)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2 하부 슬롯(177)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관통홀(169)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B1)를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방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볼트(B1)가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B1)의 헤드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보다 높게 위치된다.
반면, 상기 힌지 서포터(135, 136)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부 어셈블리(110) 또는 연결 유닛(350)이 상기 볼트(B1)의 헤드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양측에 위치되는 관통 개구(도 6의 139a, 139b)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의 가이드 슬롯(183)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챔버(152)로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상부 챔버(152)의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가 조립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결합된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수용부(160)에 수용된다.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히터 결합부(124)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제 1 수용부(160)의 바닥면(160a)에 접촉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히터(148)가 함몰된 형태의 히터 결합부(124)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외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챔버(152)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챔버(15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상부 라운드부(148c)가 상기 상부 챔버(15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챔버(152)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상부 라운드부(148c)의 두 지점 간의 최대 거리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함께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위치 고정을 위한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상기 연결 유닛(3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 서포터(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탄성 부재(36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3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된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 각각 제 1 링크(352)와 제 2 링크(356)가 위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제 1 링크(352) 중 어느 한 링크가 상기 구동 유닛(18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두 개의 제 1 링크(352)는 연결 샤프트(도 5의 37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356)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젝터 바디(310)가 관통할 수 있는 홀(3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고정을 위한 하부 플레이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 고정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는 상기 개구(212)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를 관통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둘러싸는 둘레 벽(214)(또는 커버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214)은 수직벽(214a)과 곡선벽(2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벽(214a)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이다. 상기 곡선벽(215)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212)에서 멀어지도록 라운드지는 벽이다.
상기 수직벽(214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 슬릿(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슬릿(214b)은 상기 수직벽(214a)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벽(215)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 슬릿(21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은 상기 곡선벽(215)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제 1 체결 보스(216)와 제 2 체결 보스(217)를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6)는 도 18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7)는 도 18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와 제 2 체결 보스(217)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와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 보다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될 수 있다. 반면, 제 2 체결 부재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곡선벽(215)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곡선벽(215)에는 체결 부재의 이동을 홈(215b)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218)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롯(218)은 상기 수직벽(214a)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슬롯(218)이 도 18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롯(218)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21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8a)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일부가 상기 곡선벽(215)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12)의 측면 둘레 일부와 접촉하는 연장벽(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219)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트레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250) 자체가 변형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에는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없다. 즉, 반복적인 구 형태의 얼음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후술할 하부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면, 얼음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 간의 결합력 또는 부착력이 줄어들 수 있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25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하부 챔버(252)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복수의 하부 챔버(252)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하부 챔버(252)는,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25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독립적인 3개의 하부 챔버(252a, 252b, 252c)를 형성하는 3개의 하부 챔버 벽(252d)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하부 챔버 벽(252d)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152c)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152c)는 도 20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252)는 반구 형태 또는 반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 형태의 얼음 중 하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253)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제 1 연장부(25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 안착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을 둘러싸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을 둘러싸는 제 1 벽(260a)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을 둘러싸는 제 2 벽(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260a)은 상기 제 1 연장부(253)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벽이다.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선벽이다. 즉,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제 1 연장부(253)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 챔버(2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둘레 벽(26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상기 제 1 연장부(25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253)와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슬롯(218)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상부 돌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제 1 벽(260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상부 돌기(255)가 도 20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의 돌기 홈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하부 돌기(2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하부 돌기(257)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와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하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254)에는 복수의 관통홀(25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56)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제 2 관통홀(256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이 도 20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이 도 20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은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25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25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제 2 상부 돌기(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제 2 벽(260b)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2 상부 돌기(258)가 도 20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수용홈(218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가 상기 수용홈(2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곡선벽(215)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 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1 벽(260a)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제 1 벽(260a)의 측면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줄어드는 목부(26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부(262a)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에 형성되는 제 1 결합 슬릿(214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 돌기(26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0c)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2 벽(260b)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0c)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에 형성되는 제 2 결합 슬릿(215a)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에 구비되는 각 결합 돌기(262, 260c)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에 형성되는 결합 슬릿(214b, 215a)에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이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어셈블리(200)가 이빙 위치에서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일부가 내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상부 챔버(152)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제 2 하부 돌기(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 중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와 하부 챔버(2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측면 제한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하부 서포터(2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측면에 접촉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하부 히터(296)가 접촉하기 위한 히터 접촉부(251a)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챔버 벽(252d) 각각에 상기 히터 접촉부(25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각 하부 챔버 벽(252d)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서포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26은 하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7의 D-D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하는 서포터 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3개의 하부 챔버 벽(252d)을 수용하기 위한 3개의 챔버 수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수용부(27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개구(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3개의 챔버 수용부(272)에 대응하도록 3개의 하부 개구(2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274)의 둘레를 따라서 강보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27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챔버 수용부(272) 들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챔버 수용부(272)는 연결 리브(27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리브(273)는 상기 챔버 수용부(27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2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제 1 연장벽(285)의 테두리에서 제 1 연장벽(285)과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2 연장벽(2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286)의 상면은 상기 제 1 연장벽(285)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상면(271a)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연장벽(286)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장벽(286)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하부 돌기(257)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 홈(287)(또는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87)은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87)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제 1 체결 부재(B2)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홈(286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홈(286a)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체결홈(286a)이 상기 제 2 연장벽(286)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체결홈(286a) 중 일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돌기 홈(28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보스 관통홀(28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286)에는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을 관통한 제 2 체결 보스(217)를 둘러싸는 슬리브(286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86c)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B2)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방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 1 체결홈(286a)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부재(B3)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방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86c)의 하단은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3)의 체결 과정에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3)의 헤드부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 및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벽(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280)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각 힌지 서포터(135, 136)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는 도 2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힌지 바디(281, 282)는 제 2 힌지 홀(28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홀(281)에는 상기 제 1 링크(352)의 샤프트 연결부(353)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에 상기 연결 샤프트(37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 사이 간격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가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제 2 링크(35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 샤프트(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샤프트(383)는 상기 외벽(28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탄성 부재(360)가 결합되기 위한 탄성 부재 결합부(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가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에 수용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360)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70)의 하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부(284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히터의 결합 구조>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평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하부 서포터에 하부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9는 하부 어셈블리가 상부 어셈블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히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부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아이스 메이커(100)는, 제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열을 가하기 위한 하부 히터(2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는 제빙 과정에서 열을 상기 하부 챔버(252)로 제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상측부에서부터 얼기 시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제빙 과정에서 발열함에 따라서, 제빙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빙 완료 시, 구형 얼음 중 최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투명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투명한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는, 일 예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 챔버(252)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세 개의 하부 챔버 벽(252d)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히터(296)가 결합되기 위한 히터 결합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29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챔버 수용부(272)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히터 수용홈(2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함몰에 의해서 상기 히터 결합부(290)는, 내벽(291a)과 외벽(29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291a)은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벽(291b)은 상기 내벽(29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상기 하부 히터(296)가 수용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내벽(291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내벽(291a)이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하부 개구(274)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 수용부(272)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부 챔버 벽(252d)이 수용되면, 상기 하부 챔버 벽(252d)은 상기 내벽(291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내벽(291a)의 상면은 반구 형태의 하부 챔버 벽(252d)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면이다.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일부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히터(296)의 직경은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함몰 깊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외벽(291b)과 내벽(291a) 중 하나 이상에는 이탈 방지 돌기(291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7에는 상기 내벽(291a)에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내벽(291a)의 직경이 상기 챔버 수용부(272)의 직경 보다 작으므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챔버 수용부(272)의 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다.
즉, 상기 하부 히터(296)가 외벽(291a)의 상방에서 상기 내벽(291a)을 향하여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는 상기 내벽(291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는 상기 내벽(291a)의 상단부에서 상기 외벽(291b)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의 돌출 길이는 상기 외벽(291b)과 내벽(291a)의 간격의 1/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8과 같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는 하부 라운드부(296a)와 직선부(296b)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 수용홈(291)이 하부 라운드부와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수용홈(296)의 하부 라운드부와 직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히터(296)가 하부 라운드부(296a)와 직선부(296b)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라운드부(296a)는 상기 하부 챔버(25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며,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된 부분이다.
상기 직선부(296b)는 각각의 하부 챔버(252)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라운드부(296a)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 히터(296) 중에서 하부 라운드부(296a)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빠질 우려가 크므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는 상기 하부 라운드부(296a)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바닥면에는 관통 개구(291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상기 하부 히터(296)가 수용될 때, 상기 하부 히터(296)의 일부는 상기 관통 개구(291d)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 개구(291d)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가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 상기 상부 히터(296)의 텐션이 증가되어 단선의 우려가 있고,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빠질 우려가 높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관통 개구(291d)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하부 히터(296)의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291d)에 위치될 수 있어, 상기 하부 히터(296)의 텐션을 줄이며,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하부 히터(296)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홈(293)과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홈(2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은 일 예로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은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의 단부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서 화살표 A 방향은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중심축(C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은 3개의 챔버 수용부에서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의 챔버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8에서는 3개의 챔버 수용부 중 좌측에 위치되는 챔버 수용부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이 연장되는 것이 도시된다.
도 28과 같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이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은 하나의 제 1 커넥터(297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297a)에는 상기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두 개의 전선(298)이 연결된 제 2 커넥터(297b)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에 수용된다.
상기 제 2 커넥터(297b)에 연결된 전선(298)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의 단부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형성된 인출 슬롯(295)을 통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부로 인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에 수용되므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조립 완료 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에 수용되므로, 상기 전선(298)의 일부는 상기 제 2 가이드홈(294)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인출 슬롯(295)에 의해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중심축(C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전선(298)의 일부도 상기 회전 중심축(C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선(298)의 다른 일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 중심축(C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전선(298)의 배치에 의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전선(298)에는 인장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비틀림력(torsion)이 작용한다.
상기 전선(298)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상기 전선(298)이 단선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전선(298)으로 비틀림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전선(298)의 단선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과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 중 하나 이상에는 내부에 수용된 하부 히터(296) 또는 전선(298)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29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에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에서도 열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이 연장되는 좌측의 챔버 수용부로 제공되는 열이 다른 챔버 수용부로 제공되는 열 보다 크다.
이 경우, 각 챔버 수용부로 제공되는 열의 크기가 다르면 제빙 및 이빙 완료 후 완성되는 구형 얼음의 투명도가 얼음 별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얼음 별로 투명도의 차이가 커지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3개의 챔버 수용부 중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과 가장 멀리 위치된 챔버 수용부(일 예로 우측 챔버 수용부)에는 우회용 수용홈(29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우회용 수용홈(292)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후에 다시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연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회용 수용홈(292)에 상기 하부 히터(296)의 일부(296e)가 추가로 수용되면, 우측의 챔버 수용부(272)에 수용된 챔버 벽과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의 챔버 수용부(272)에는 상기 우회용 수용홈(292)에 수용된 하부 히터의 위치 고정을 위한 돌기(292a)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의 상부 케이스(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측으로 인출된 전선(298)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전선 관통 슬롯(138)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관통 슬롯(138)에는 상기 전선 관통 슬롯(138)을 관통한 전선(298)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용 가이드(1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용 가이드(139)는 다수 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한용 가이드가 형성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전선(298)이 위치될 수 있다.
도 30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에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된다.
먼저,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하 방향으로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가 완성된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접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 및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a)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밀착력이 줄어든다.
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가 다른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a)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약한 트레이의 변형도가 더 커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a)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의 밀착력이 향상된다.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상부 개구(154)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의 얼음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얼음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과 함께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반면,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얼음을 가압하는 과정에서는 얼음의 분리 성능이 향상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변형이 원활하게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경도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경도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와 동일하게 되면, 제빙 완료 후,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접촉 부위에서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하나의 트레이로 작용하므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쉽게 분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경도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경도 보다 크게 형성되면,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밀착력이 향상되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15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과 접촉된 상태에서 각 면이 상호 가압되어 밀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서포터 바디(271)의 상면(271a)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에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제 2 연장벽(286)이 접촉된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제 2 연장벽(286)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2 연장부(254)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수직벽(26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곡선벽(260b)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부 챔버 벽(153)의 외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부 챔버 벽(153)의 외면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에 갭(G)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18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 수용되는데, 상기 얼음 챔버(111)의 체적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가 있다(과급수된 경우).
이 경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에서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 수용되지 못하는 물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부 챔버 벽(153)의 외면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 갭(G)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얼음 챔버(111)의 체적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도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넘쳐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갭(G)이 클수록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부피가 커지므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부피 증가가 방지되도록 상기 갭(G)은 상기 둘레 벽(26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갭(G)은 상기 얼음 챔버(100)의 직경의 1/100 보다 크고, 1/50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둘레 벽(260)의 상단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상부 개구(154) 또는 상기 상부 챔버(15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는 상기 하부 히터(296)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히터 접촉부(25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하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외면이 라운드진 챔버 벽((252d)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접촉부(251a)의 하면은 평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하부 히터(296)와 면 접촉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접촉부(251a)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챔버(252)의 높이의 중간 지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접촉부(251a)의 일부는 상기 히터 접촉부(251a)가 상기 하부 히터(296)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내벽(291a)의 상면과 상기 외벽(291b)의 상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하측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2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챔버 벽(252d)이 상기 볼록부(25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부 개구(27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251b)의 두께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볼록부(251b)의 하측에는 함몰부(251c)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완전하게 동일한 것 및 동일하지 않으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부 개구(274)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볼록부(25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하부 챔버(252)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볼록부(251b)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2)은 상기 얼음 챔버(111)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볼록부(251b)의 직경(D1)은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챔버(111)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냉기가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되면, 액체 상태의 물이 고체 상태의 얼음으로 상변화된다. 이때,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물이 팽창되고, 물의 팽창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및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각각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의해서 둘러싸이나, 상기 서포트 바디(271)의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부분(이하 "대응 부분"이라 함)은 둘러싸이지 않는다.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가 완전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물의 팽창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중 상기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대응 부분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이 상기 하부 개구(274) 측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로 존재하게 되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구 형태의 얼음에서 상기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 만큼 돌기 형태의 추가적인 얼음이 생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빙 완료된 얼음의 완전한 구형에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 볼록부(251b)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가 되지 않으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볼록부(251b)가 상기 하부 개구(274) 측을 향하여 변형되므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볼록부(251b)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볼록부(251b)의 하측 하측에는 함몰부(251c)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볼록부(251b)의 변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251c)에 의해서 볼록부(251b)가 변형된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볼록부(251b)가 원래의 형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에 의한 얼음 제조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2는 급수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3은 제빙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5는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6은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먼저,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로 회전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이격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중심(C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빙을 위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방향(도면을 시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 방향이라고, 그 반대 방향(시계 방향)을 역 방향이라 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8도 내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부(19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상부 개구(154) 중 일 상부 개구를 통해 물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급수된 물의 일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가득채워지고, 급수된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챔버(152)의 체적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의 체적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의 물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챔버(152)의 체적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의 체적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는 3개의 하부 챔버(252) 간의 상호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물의 이동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급수 과정에서 특정 하부 챔버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물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을 따라 다른 하부 챔버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복수의 하부 챔버(252) 각각에 물이 가득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하부 챔버(252) 들의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얼음 생성 완료 후 얼음의 둘레에 돌기 형태의 추가 얼음이 존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급수 완료된 상태에서, 도 33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된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상부 챔버(152)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접촉된 상태에서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제빙 위치라 할 수 있다.
급수 과정에서, 과급수가 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에서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갭(G)으로 이동된 물이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벽(260a)의 상단부(260d, 260e)는 상기 상부 개구(15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벽(260)의 상단부(260d, 260e)는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의 최고 수위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빙 위치에서, 상기 둘레벽(260) 중에서 상기 제 2 벽(260b)이 상기 제 1 벽(260b) 보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또는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중심(C2)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벽(260b)의 곡률의 중심은 일 예로, 상기 회전 중심(C2)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된다.
제빙 중에는 물의 가압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b)를 변형시키기 위한 힘 보다 작으므로, 상기 볼록부(251b)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다.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열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 상태에서 제빙이 수행되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최상측에서부터 생성된다.
즉,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상기 상부 개구(154) 측에서부터 물이 얼음으로 변화된다. 얼음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은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96)의 가열량이 동일하면,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다르므로,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반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큰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리다.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일정하지 못한 경우,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경우, 기포가 얼음에서 물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얼음이 기포를 포함하게 되어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챔버(111)가 구 형태로 형성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은 증가하다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경계에서 최대가 되고 다시 하측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은 최초 출력에서 출력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블록부(251b)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면 도 34와 같이 상기 블록부(251b)가 가압되어 변형되고, 제빙 완료 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빙 완료 시 또는 제빙 완료 전에 상기 하부 히터(296)는 오프될 수 있다.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먼저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된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설정 시간 작동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되고, 상기 구동 유닛(180)이 작동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5와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멀어져 이격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어,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 내로 인입된다.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하기 전에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얼음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정 방향 회전 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분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상부 개구(154)를 통과한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얼음을 가압함으로써,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된 얼음은 다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더라도 도 36과 같이 상기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가압되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이격되면, 변형된 하부 트레이(25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변형된 볼록부(251b)가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역 방향 회전 과정에서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되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고,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은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빠지게 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정지되고, 다시 급수가 시작된다.
100: 아이스 메이커
110: 상부 어셈블리
120: 상부 케이스 150: 상부 트레이
170: 상부 서포터 200: 하부 어셈블리
210: 하부 케이스 250: 하부 트레이
270: 하부 서포터
120: 상부 케이스 150: 상부 트레이
170: 상부 서포터 200: 하부 어셈블리
210: 하부 케이스 250: 하부 트레이
270: 하부 서포터
Claims (20)
- 얼음 챔버 중 일부인 상부 챔버를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및
상기 얼음 챔버 중 다른 일부인 하부 챔버를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급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이격되고,
제빙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접촉하며,
상기 상부 트레이의 경도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는 둘레 벽을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4 항에 있어서,
제빙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의 외면과 상기 둘레 벽의 내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둘레 벽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는 상부 개구를 포함하고,
제빙 위치에서, 상기 둘레 벽의 상단은 상기 상부 개구 보다 높게 위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의 하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의 상면에 접촉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다른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둘레 벽에서 연장되는 수평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방향 연장부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서포터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는, 수직벽과, 상기 상부 챔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곡선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수직벽을 둘러싸는 제 1 벽과, 상기 곡선벽을 둘러싸는 제 2 벽을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은 수직벽이고, 상기 제 2 벽은 곡선벽인 아이스 메이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벽은 상기 제 1 벽 보다 상기 회전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의 곡률의 중심은 상기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을 둘러싸는 둘레 벽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의 둘레 벽에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둘레 벽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 슬릿이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를 지지하는 상부 서포터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를 상기 상부 서포터 측으로 가압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서포터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서포터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서포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연장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부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및
상기 냉동실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부 챔버를 정의하는 상부 트레이; 및
상기 상부 챔버와 함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챔버를 정의하며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트레이 및 상기 하부 트레이 각각은 비금속 재질로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의 경도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는, 상기 상부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상기 하부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는 둘레 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 벽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아이스 메이커.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9209331.8A EP3653957A1 (en) | 2018-11-16 | 2019-11-15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CN202310393288.2A CN116412602A (zh) | 2018-11-16 | 2019-11-18 | 制冰机及冰箱 |
CN202310393302.9A CN116428798A (zh) | 2018-11-16 | 2019-11-18 | 制冰机及冰箱 |
CN201911127175.8A CN111197894B (zh) | 2018-11-16 | 2019-11-18 | 制冰机及冰箱 |
CN202310393280.6A CN116447796A (zh) | 2018-11-16 | 2019-11-18 | 制冰机及冰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142067 | 2018-11-16 | ||
KR1020180142067 | 2018-11-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598A true KR20200057598A (ko) | 2020-05-26 |
Family
ID=707262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7468A KR20200057597A (ko) | 2018-11-16 | 2019-07-19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KR1020190087489A KR20200057598A (ko) | 2018-11-16 | 2019-07-19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7468A KR20200057597A (ko) | 2018-11-16 | 2019-07-19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2072132B2 (ko) |
KR (2) | KR2020005759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59685B2 (en) * | 2018-11-16 | 2024-04-16 | Lg Electronics Inc.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36767A (en) * | 1972-03-06 | 1973-06-05 | Gen Electric | Automatic icemaker including reversible mold cavities |
DE29820139U1 (de) | 1998-11-11 | 2000-03-23 | Stadtelmeyer, Ulrich, 45239 Essen | Gefrierform zum Herstellen mindestens eines Bechers aus Eis |
USD536932S1 (en) * | 2006-03-11 | 2007-02-20 | Fusionbrands Incorporated | Ice holding device |
KR101564260B1 (ko) | 2009-05-15 | 2015-1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
KR101688133B1 (ko) * | 2009-06-22 | 2016-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
KR101968563B1 (ko) * | 2011-07-15 | 2019-08-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아이스 메이커 |
KR101890939B1 (ko) | 2011-07-15 | 2018-08-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아이스 메이커 |
KR101850918B1 (ko) | 2011-10-04 | 2018-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이용한 얼음 제조 방법 |
US9470448B2 (en) * | 2012-12-13 | 2016-10-18 | Whirlpool Corporation | Apparatus to warm plastic side of mold |
US9459034B2 (en) * | 2012-12-13 | 2016-10-04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of producing ice segments |
US9200823B2 (en) * | 2012-12-13 | 2015-12-01 | Whirlpool Corporation | Ice maker with thermoelectrically cooled mold for producing spherical clear ice |
US9696079B2 (en) * | 2012-12-13 | 2017-07-04 | Whirlpool Corporation | Rotational ice maker |
KR102130632B1 (ko) | 2013-01-02 | 2020-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아이스 메이커 |
US9303910B2 (en) * | 2013-02-22 | 2016-04-05 | Arctico Holdings, LLC | Apparatus for forming a frozen liquid product |
WO2015009929A1 (en) * | 2013-07-18 | 2015-01-22 | Propeller, Inc. | Ice mold |
US9945598B2 (en) * | 2014-08-04 | 2018-04-17 |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 Self-demolding ice mold and methods of use and automation |
KR101705644B1 (ko) | 2015-06-18 | 2017-02-10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2019
- 2019-07-15 US US16/511,937 patent/US12072132B2/en active Active
- 2019-07-19 KR KR1020190087468A patent/KR202000575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7-19 KR KR1020190087489A patent/KR202000575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58395A1 (en) | 2020-05-21 |
KR20200057597A (ko) | 2020-05-26 |
US12072132B2 (en) | 2024-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2985B1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102581486B1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20200057599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102579387B1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20200057604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102586876B1 (ko) |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20230136583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20200057598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EP3653970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577504B1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20200112547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20200057603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20200057602A (ko) | 아이스 메이커 | |
KR20200057557A (ko) |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 |
KR102660521B1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
KR20200112548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