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05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052A
KR20080064052A KR1020070000779A KR20070000779A KR20080064052A KR 20080064052 A KR20080064052 A KR 20080064052A KR 1020070000779 A KR1020070000779 A KR 1020070000779A KR 20070000779 A KR20070000779 A KR 20070000779A KR 20080064052 A KR20080064052 A KR 2008006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keeper
drum
baske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4052A/ko
Publication of KR2008006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 및 도어로 정의되는 저장실; 그리고, 곡물을 냉장보관하도록 저장실에 위치하는 그레인 키퍼;로서, 곡물을 일정량 인출하도록 그레인 키퍼 내에 설치되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그레인 키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곡물을 냉장보관하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곡물, 그레인, 키퍼, 하우징, 드럼, 랙, 피니언, 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키퍼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키퍼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을 냉장보관하도록 냉장고 저장실에 위치하는 그레인 키퍼를 구비하여 곡물을 장기 보관할 수 있고, 곡물을 일정량 인출할 수 있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여 곡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냉장고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을 개폐하도록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또한, 냉장고는 캐비닛(10)과 도어(20)에 의해 정의되는 저장실에 음식 등을 저장하기 위한 선반(12) 및 서랍(14)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는 저장실에 곡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용기에 곡물을 담고, 이 용기를 선반(12) 위에 놓아야 하는데, 작은 용기에 곡물을 보관하면 곡물을 자주 채워야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큰 용기에 곡물을 보관하면 용기의 부피가 커서 선반(12) 위에 올려놓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서랍(14)에 곡물을 보관하는 경우 서랍(14) 바닥에 위치하는 곡물을 인출하기가 어렵고, 서랍(14)에 보관되어 보관기간이 오래된 곡물을 다 인출하지 못한채 다시 곡물을 서랍에 채워넣어 곡물을 보관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을 냉장보관하고, 보관되는 곡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그레인 키퍼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되는 곡물을 일정한 양으로 인출할 수 있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작동하여 곡물을 인출할 수 있고, 곡물을 인출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 및 도어로 정의되는 저장실; 그리고, 곡물을 냉장보관하도록 저장실에 위치하는 그레인 키퍼;로서, 곡물을 일정량 인출하도록 그레인 키퍼 내에 설치되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그레인 키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곡물을 냉장보관하고 용이하게 인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인 키퍼가 곡물을 저장하는 바스켓을 구비하고, 바스켓이 하단이 개구된 인출구가 형성되고, 곡물 인출 수단이 인출구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저장되는 곡물을 바스켓으로부터 전량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인출 수단이 상하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이 인출구 하측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일부가 개방되고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의 개방된 일부가 인출구 하측에 위치하도록 드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저장되는 곡물을 일정량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인출 수단이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드럼과 연결되는 피니언과,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랙과, 랙과 연동하고 그레인 키퍼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별도의 동력없이 용이하게 곡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는 내측에 돌기를 구비하고, 그레인 키퍼는 돌기에 끼움되는 장착부를 구비하여, 도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냉장고에 그레인 키퍼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이 외부에서 곡물을 채우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바스켓은 개방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곡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내측에 수납을 위한 도어 바스켓을 구비하고, 도어 바스켓이 그레인 키퍼의 바스켓의 개방된 상면의 다른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그레인 키퍼가 도어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냉장고는 저온의 냉기가 유통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데, 저장실은 캐비닛(100) 및 도어(200)에 의해 정의된다. 도어(200)는 캐비닛(100)을 개폐하도록 캐비닛(100) 양측에 설치된다. 또한 식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캐비닛(100)은 선반(120) 및 서랍(140)을 구비하고, 도어(200)는 바스켓(220)을 구비한다. 또한 냉장고는 곡물을 냉장보관하도록 저장실에 위치하는 그레인 키퍼(300)(grain keeper)를 구비하는데, 그레인 키퍼(300)는 저장실에 위치하도록 도어(200) 내측에 장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키퍼(30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레인 키퍼(300)는 프런트 커버(310)와, 리어 커버(312)와, 바스켓(316)과, 하우징(320)과, 드럼(330)과, 피니언(340)과, 탄성부재(360)와, 랙(380)과, 버튼(390)을 포함한다. 프런트 커버(310)는 그레인 키퍼(300)의 전면을 형성하고, 리어 커버(312)는 그레인 키퍼(300)의 배면을 형성한다. 프런트 커버(310)는 버튼(390)이 돌출되는 버튼구(310h)가 형성되고, 리어 커버(312)는 도어(200)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홈(313)과, 하우징(320)을 위치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홀더(314)를 구비한다. 또한, 도어(200; 도 2에서 도시) 내측에는 장착홈(313)이 끼워지는 돌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그레인 키퍼(300)를 도어(200; 도 2에서 도시)에 탈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바스켓(316)은 곡물을 저장하고, 프런트 커버(310) 및 리어 커버(312)의 상측에 장착된다. 또한, 그레인 키퍼(300)는 여러 종류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바스켓(3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 그레인 키퍼(300)는 2개의 바스켓(316)을 구비한다. 또한, 바스켓(316)은 곡물이 중력에 의해 인출될 수 있도록 바스켓(316)의 하단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인출구(317)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바스켓(316)에 저장되는 곡물의 잔량을 모두 바스켓(316)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스켓(316)은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311)를 구비한다. 커버(311)는 그레인 키퍼(300)가 도어(200; 도 2에서 도시)에 장착되면 바스켓(316)의 개구된 상면 일부(316a)는 도어(200; 도 2에서 도시)에 구비되는 바스켓(220; 도 2에서 도시)에 의해 덮히게 되므로, 개구된 상면 다른 일부(316b)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316)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곡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20)은 인출구(317) 하측에 위치하도록 홀더(314)에 고정된다. 하우징(320)은 인출구(317)로부터 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22)와, 유입구(322)를 통해 유입되는 곡물이 유출되도록 하측에 유출구(324)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20)은 탄성부재(360)가 끼움되는 홈(326)이 형성된다.
드럼(330)은 하우징(32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부(332)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드럼(330)은 축(334)을 구비하고, 하우징(320)은 축(334)이 끼워지는 축홈(336)이 일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322)를 통해 낙하하는 곡물을 담고, 회전하여, 유출구(324)를 통해 곡물을 낙하시킴으로써 일정량의 곡물을 바스켓(316)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럼(330)은 피니언(340)이 삽입고정되는 피니언홈(338)이 타측에 형성된다.
피니언(340)은 드럼(330)과 연결되어 드럼(3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드럼(330)에 끼움고정된다. 이를 위해, 피니언(340)은 피니언홈(338)에 억지끼움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축(342)을 구비한다. 또한, 축(342)에는 드럼(330)의 축(334)이 끼워진다. 또한, 피니언(340)은 탄성부재(360)가 끼움고정되는 홈(344)이 형성된다.
탄성부재(36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데, 피니언(340)과 하우징(320) 사이에 설치되어 피니언(3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60)의 일단은 하우징(320)의 홈(326)에 끼움되고, 타단은 피니언(340)의 홈(344)에 끼움된다. 이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드럼(330) 및 피니언(340)이 회전후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360)는 드럼(33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라면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랙(380)은 직선운동을 하여 피니언(340)을 회전시키도록 하우징(32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320)은 랙가이드(328)를 구비한다. 또한, 버튼(390)은 랙(380)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버튼구(310h)를 통해 그레인 키퍼(300) 외부로 돌출되도록 프런트 커버(310)에 설치된다. 여기서, 탄성부재(360)는 드럼(330)을 회전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랙(380)과 랙가이드(32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키퍼(3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인출 수단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측 도에서, 바스켓(316)에 저장된 곡물은 인출구(317)를 통해 바스켓(316) 하측으로 낙하하여 인출구(317)로부터 하우징(320)의 유입구(322)를 지나 드럼(330)에 축적된다. 이때, 드럼(330)에 축적되는 곡물은 하우징(320) 및 드럼(330)이 제공하는 일정한 공간을 채우도록 일정량이 담긴다.
중앙 도에서, 사용자가 곡물을 인출하기 위해서 버튼(390)을 누르면 버튼(390)과 함께 랙(380)이 연동하고, 랙(380)의 움직임에 따라 피니언(340; 도 3에서 도시) 및 드럼(330)이 회전한다. 이때, 드럼(330)의 회전에 의해 드럼(330)의 개방된 일부(332)의 위치가 회전되고, 드럼(330)이 유입구(322)를 폐쇄하여 바스켓(316)에 저장되는 곡물이 더 이상 드럼(3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우측 도에서, 버튼(390) 및 랙(380)의 누름에 의해 피니언(340; 도 3에서 도시) 및 드럼(330)이 더 회전하면, 드럼(330)의 개방된 일부(332)는 유출구(324) 측에 위치하고, 하우징(320) 및 드럼(330)에 축적된 곡물은 유출구(324)를 통해 낙하한다. 이에 따라, 일정량의 곡물이 인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390)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면, 피니언(340; 도 3에서 도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재(360; 도 3에서 도시)가 피니언(340; 도 3에서 도시) 및 드럼(33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일정량의 곡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곡물을 냉장보관하고, 보관되는 곡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그레인 키퍼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되는 곡물을 일정한 양으로 인출할 수 있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작동하여 곡물을 인출할 수 있고, 곡물을 인출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캐비닛 및 도어로 정의되는 저장실; 그리고,
    곡물을 냉장보관하도록 저장실에 위치하는 그레인 키퍼;로서, 곡물을 인출하도록 그레인 키퍼 내에 설치되는 곡물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그레인 키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그레인 키퍼는 곡물을 저장하는 바스켓을 구비하고,
    바스켓은 하단이 개구된 인출구가 형성되고,
    곡물 인출 수단은 인출구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곡물 인출 수단은 상하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이 인출구 하측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일부가 개방되고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의 개방된 일부가 인출구 하측에 위치하도록 드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곡물 인출 수단은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드럼과 연결되는 피니언과, 피 니언을 회전시키는 랙과, 랙과 연동하고 그레인 키퍼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는 내측에 돌기를 구비하고,
    그레인 키퍼는 돌기에 끼움되는 장착부를 구비하여, 도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바스켓은 곡물을 채우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바스켓은 개방된 상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도어는 내측에 수납을 위한 도어 바스켓을 구비하고,
    도어 바스켓은 그레인 키퍼의 바스켓의 개방된 상면의 다른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70000779A 2007-01-03 2007-01-03 냉장고 KR20080064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79A KR20080064052A (ko) 2007-01-03 2007-01-0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79A KR20080064052A (ko) 2007-01-03 2007-01-0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52A true KR20080064052A (ko) 2008-07-08

Family

ID=3981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779A KR20080064052A (ko) 2007-01-03 2007-01-0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40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9707A1 (en) * 2019-09-05 2021-03-10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appliance with a grain dispensing unit
KR20210104407A (ko) * 2020-02-17 2021-08-25 박성철 곡물냉장고
WO2021167316A1 (ko) * 2020-02-17 2021-08-26 박성철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KR20210140944A (ko) * 2020-05-14 2021-11-23 박성철 곡물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9707A1 (en) * 2019-09-05 2021-03-10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appliance with a grain dispensing unit
KR20210104407A (ko) * 2020-02-17 2021-08-25 박성철 곡물냉장고
WO2021167316A1 (ko) * 2020-02-17 2021-08-26 박성철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KR20210140944A (ko) * 2020-05-14 2021-11-23 박성철 곡물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458B1 (ko)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EP1984682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900292B1 (ko)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443620B2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01466659B1 (ko)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905560B1 (ko) 냉장고의 탈기 저장장치
US8016160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KR20090031126A (ko) 냉장고의 탈기 저장장치
KR101405932B1 (ko) 음식물 보관기기
KR20080064548A (ko) 냉장고 제빙장치
KR20080064052A (ko) 냉장고
KR20110138777A (ko) 냉장고
KR20110088937A (ko) 냉장고
KR20130045437A (ko) 냉장고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CN110793263A (zh) 冰箱
WO2008020707A1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0098182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743744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20070003395A (ko) 냉장고용 홈바
KR20110080020A (ko)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969796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JP4090441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10095744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79003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