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883A -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883A
KR20110023883A KR1020117000902A KR20117000902A KR20110023883A KR 20110023883 A KR20110023883 A KR 20110023883A KR 1020117000902 A KR1020117000902 A KR 1020117000902A KR 20117000902 A KR20117000902 A KR 20117000902A KR 20110023883 A KR20110023883 A KR 2011002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hamber
air blowing
plate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166B1 (ko
Inventor
신이치 다카노
슈지 미조카미
세이지로 히가사
지하루 가와키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기포를 발생시켜 선저 (5) 에 기포막을 형성함으로써, 항행하는 선체 (1) 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있어서, 선체 (1) 내부의 선저 (5) 에 배치 형성되고 공기 공급구가 형성된 에어 챔버 (22) 와, 에어 챔버 (22) 의 저부가 되는 선저 (5) 에 나열되어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과, 에어 챔버 (22) 의 내부에 형성되고 공기 공급구 (28) 와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의 사이에 개재시킨 확산판 (35) 을 구비하고, 확산판 (35) 은, 적어도 공기 공급구 (28) 에 대면하는 공급구 대면 영역과,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의 배열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15) 에 대면하는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DEVICE FOR REDUCING FRICTIONAL RESISTANCE OF SHIP BODY}
본 발명은, 선저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 선저에 기포막을 형성함으로써, 항행하는 선체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선수부의 저부의 선내에서 선폭 방향으로 형성된 기체실을 구비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기체실에는, 그 정상벽에 고압 기체 공급관이 접속되는 접속 개구가 형성되고, 또, 기체실에 대응되는 선저외판 부분은 절결되어 바닥판이 없는 저부 개구로 되어 있다. 이 때, 기체실의 내부에는, 접속 개구로부터의 고압 기체 흐름을 받기 위한 배플 플레이트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배플 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기체실에 충만된 고압 기체가, 저부 개구로부터 수중으로 거의 일정한 상태로 압입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43345호
그런데, 종래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있어서, 기체실은, 그 저부가 바닥판이 없는 저부 개구로 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기체실 저부에는 바닥판이 있고, 그 바닥판에 다수의 공기 분출공이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체실에, 종래와 같은 배플 플레이트를 배치 형성한 경우, 배플 플레이트의 배치 형성의 방식에 따라서는, 다수의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일정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 18 내지 도 20 을 참조하여, 바닥판에 다수의 공기 분출공이 나열되어 형성된 기체실 (이른바 에어 챔버) 의 내부에, 종래의 배플 플레이트 (이른바 확산판) 를 배치 형성한 경우의, 다수의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균일성에 대해서 검토한다. 또한, 도 18 은, 특허문헌 1 에 관련된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낸 특허문헌 1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E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20 은, 특허문헌 1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20 에 나타낸 그래프는, 그 세로축이 공기의 유량, 그 가로축이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로 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에어 챔버 (200) 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에어 챔버 (200) 의 저부 (요컨대 선저) 에는, 에어 챔버 (200) 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공기 분출공 (201) 이 형성되어 있고, 에어 챔버 (200) 의 천장벽 중앙 부근에는 공기 공급구 (20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챔버 (200) 에는, 공기 공급구 (202) 로부터 보내져 온 공기를 받는 확산판 (205) 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이 확산판 (205) 은, 종래의 배플 플레이트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공급구 (202) 로부터 공기를 공급한 결과, 도 19 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었다. 요컨대, 확산판 (205)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202)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적어지고, 확산판 (205)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어 간다.
이상과 같은 검토 결과에서, 에어 챔버 (200) 에 종래의 배플 플레이트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확산판 (205) 을 형성했다 하더라도, 다수의 공기 분출공 (201)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균일하게 하기는 곤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공기의 유량이 균일하지 않으면, 선저에 형성되는 기포막의 막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어려워, 선체의 마찰 저항의 저감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에어 챔버가 배치 형성된 선저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균일하게 공기를 분출시킬 수 있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는, 기포를 발생시켜 선저에 기포막을 형성함으로써, 항행하는 선체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있어서, 선체 내부의 선저에 배치 형성되고 공기 공급구가 형성된 에어 챔버와, 에어 챔버의 저부가 되는 선저에 나열되어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과, 에어 챔버의 내부에 형성되고 공기 공급구와 복수의 공기 분출공의 사이에 개재시킨 확산판을 구비하고, 확산판은, 적어도 공기 공급구에 대면하는 공급구 대면 영역과, 복수의 공기 분출공의 배열 방향의 양 단부 (端部) 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에 대면하는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확산판은, 공급구 대면 영역과, 나열된 모든 공기 분출공에 대면하는 전체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확산판이 배치 형성된 에어 챔버의 내부에는, 확산판과 에어 챔버의 내벽면의 사이에, 배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확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확산판이 배치 형성된 에어 챔버의 내부에는, 확산판과 에어 챔버의 내벽면의 사이에, 4 개의 확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확산판은, 공급구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중앙 사각형판과,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1 쌍의 측방 사각형판으로 구성되고, 중앙 사각형판 및 1 쌍의 측방 사각형판이 배치 형성된 에어 챔버의 내부에는, 중앙 사각형판과 1 쌍의 측방 사각형판의 사이에 형성된 1 쌍의 확산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청구항 1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공급구 대면 영역과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확산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열 방향 양측의 공기 분출공에는, 공급된 공기가 흘러 들어가기 어려워지는 만큼, 공기 공급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에 공기를 흘러 들어가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따르면, 확산판을 사각형판으로 구성함으로써, 확산판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에어 챔버 내부에 대한 확산판의 부착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따르면, 확산판을 십자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십자판의 중심을 넓게 취할 수 있다. 그래서, 공기 공급구의 구경이 커져 공급구 대면 영역이 확대되었다 하더라도, 십자판의 중심을 공급구 대면 영역에 대응시킴으로써, 확경된 공기 공급구의 구경을 허용할 수 있다.
청구항 4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따르면, 확산판을, 중앙 사각형판과 1 쌍의 측방 사각형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분출량을 적합하게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를 탑재한 선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구성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 은, 확산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실시예 1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A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실시예 1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은, 실시예 2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낸 실시예 2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B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2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 은, 실시예 3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실시예 3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C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실시예 3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 는, 실시예 4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낸 실시예 4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D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실시예 4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 은, 다공판의 개구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실시예 4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 은, 특허문헌 1 에 관련된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7 에 나타낸 특허문헌 1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E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특허문헌 1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며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예 1
여기서, 도 1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를 탑재한 선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구성에 관한 설명도이다. 또, 도 3 은, 확산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종래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5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실시예 1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A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 은, 실시예 1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는, 선저 (5) 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 선저 (5) 에 기포막을 형성 함으로써, 항행하는 선체 (1) 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가 탑재된 선체 (1) 는, 예를 들어 선저 (5) 가 평탄해지는 평저선이며,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는 선체 (1) 의 선수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는, 평저선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선박에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는, 선저 (5) 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분출공 (15) 과, 다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하여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블로어 (16) 와, 블로어 (16) 와 다수의 공기 분출공 (15) 을 접속시키는 공기 공급 통로 (17) 를 가지고 있다.
다수의 공기 분출공은, 선체 (1) 의 선폭 방향으로 나란히 공기 분출공군 (30a, 30b, 30b) 을 구성하고 있고, 이 공기 분출공군 (30a, 30b, 30b) 은, 선저 (5) 에 복수 (실시예 1 에서는, 예를 들어 3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3 개의 공기 분출공군 (30a, 30b, 30b) 은, 그 1 개가 선수측의 선폭 방향 중앙에 형성된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a) 이며, 그 밖의 2 개가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a) 의 선미측에 형성됨과 함께 선폭 방향의 양 측방에 형성된 1 쌍의 측방 공기 분출공군 (30b, 30b) 이다. 구체적으로,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a) 은 선체 (1) 의 선수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1 쌍의 측방 공기 분출공군 (30b, 30b) 은 선체 (1) 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블로어 (16) 는, 선체 (1) 의 선수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하여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 공급원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블로어 (16) 는, 구동원으로서 전동 모터 (19) 가 사용되고 있고, 전동 모터 (19) 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블로어 (16) 로부터 송출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 블로어 (16) 는, 각 측방 공기 분출공군 (30b, 30b) 에 비해,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a) 과의 설치 거리가 짧아지고, 블로어 (16) 및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a) 은, 모두 선체 (1) 의 선수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기 공급원은, 블로어 (16) 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어 컴프레서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실시예 1 에서는, 단체 (單體) 의 블로어 (16) 로 구성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블로어 (16) 로 구성해도 된다.
공기 공급 통로 (17) 는, 일단을 블로어 (16) 에 접속된 주공급관 (20) 과, 주공급관 (20) 에 접속된 복수의 분기공급관 (21) 과, 복수의 분기공급관 (21) 에 접속된 복수의 에어 챔버 (22) 를 가지고 있고, 주공급관 (20) 에는, 1 차 에어 탱크 (23) 가 개재 형성되어 있다. 즉, 주공급관 (20) 은, 블로어 (16) 와 1 차 에어 탱크 (23) 를 접속시키는 상류측 주공급관 (20a) 과, 1 차 에어 탱크 (23) 와 복수의 분기공급관 (21) 을 접속시키는 하류측 주공급관 (20b)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측 주공급관 (20b) 에는, 하류측 주공급관 (20b)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는 공기 유량계 (24) 가 개재 형성되어 있고, 또, 각 분기공급관 (21) 에는,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 (25) 가 각각 개재 형성되어 있다.
1 차 에어 탱크 (23) 는, 상류측 주공급관 (20a) 을 통해 블로어 (16) 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저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공급관 (20) 에 1 차 에어 탱크 (23) 를 개재 형성함으로써, 블로어 (16) 및 상류측 주공급관 (20a) 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압력 변동 (이른바 공기의 맥동) 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복수의 에어 챔버 (22) 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선저 (5) 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분출공 (15) 에 대응되게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각 에어 챔버 (22) 의 저면 (즉, 선저) 에는,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에어 챔버 (22) 는, 그 천장벽면의 거의 중앙부에, 각 분기공급관 (21) 이 접속되는 공기 공급구 (28) 가 형성된다 (도 5 참조). 그리고, 복수의 에어 챔버 (22) 는,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a) 에 대응되는 복수의 중앙측 에어 챔버 (22a) 와, 1 쌍의 측방 공기 분출공군 (30b, 30b) 에 대응되는 복수의 측방측 에어 챔버 (22b) 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중앙측 에어 챔버 (22a)는, 직육면체가 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선폭 방향과 일치시킴과 함께, 선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어 (16) 로부터 복수의 중앙측 에어 챔버 (22a) 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a) 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켜 기포를 발생시킨다.
복수의 측방측 에어 챔버 (22b) 는, 복수의 중앙측 에어 챔버 (22a) 와 마찬가지로 직육면체가 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선폭 방향과 일치시킴과 함께, 선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복수의 측방측 에어 챔버 (22b) 는, 1 쌍의 측방 공기 분출공 (15) 에 대응되어 이분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어 (16) 로부터 이분된 복수의 측방측 에어 챔버 (22b) 각각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1 쌍의 측방 공기 분출공군 (30b, 30b) 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켜 기포를 발생시킨다.
공기 유량계 (24) 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류측 주공급관 (20b)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고 있어, 이 공기 유량계 (24) 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블로어 (16) 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복수의 분기공급관 (21) 에 개재 형성된 복수의 개폐 밸브 (25) 는, 이른바 역지 밸브로서 기능하고 있고, 개폐 밸브 (25) 로부터 상류측의 공기 공급 통로 (17) 내로의 해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즉 블로어 (16) 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각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의 공기 분사는 정지된다. 그래서, 각 공기 분출공 (15) 을 통해 각 에어 챔버 (22) 내에 해수가 유입된다. 이 때, 각 에어 챔버 (22) 는 각 분기공급관 (21) 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밸브 (25) 를 폐색시킴으로써, 개폐 밸브 (25) 보다 상류측인 각 분기공급관 (21) 에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블로어 (16) 을 구동시키면, 블로어 (16) 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상류측 주공급관 (20a) 을 통해 1 차 에어 탱크 (23) 에 유입되고, 그 후에, 하류측 주공급관 (20b) 및 복수의 분기공급관 (21) 을 통해 각 에어 챔버 (22) 에 유입된다. 이 때, 블로어 (16) 는, 공기 유량계 (24) 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 (19) 가 제어됨으로써, 그 공기 공급량이 조정된다. 그리고, 각 에어 챔버 (22) 에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는 각 공기 분출공 (15) 을 통해 수중으로 분사되어 선저 (5) 로부터 기포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복수의 에어 챔버 (22) 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체 (1) 의 저부에 배치 형성된 각 에어 챔버 (22) 에 대응되는 선저 (5) 에는,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이 선폭 방향으로 나란히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배플 플레이트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확산판 (205) 을 배치 형성해도, 복수의 공기 분출공 (201)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균일하게 하기 어려운 것은, 도 20 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래서, 실시예 1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 에서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에어 챔버 (22) 의 내부에, 직사각형의 확산판 (35) 을 배치 형성하고 있다. 이하, 이 확산판 (35) 에 대해서 설명한다.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확산판 (35) 은, 그 길이 방향이 선폭 방향으로 되어 있고, 각 에어 챔버 (22) 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확산판 (35) 은, 선저 (5) 와 평행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확산판 (35) 은, 에어 챔버 (22) 에 형성된 공기 공급구 (28) 에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됨과 함께, 나열된 모든 공기 분출공 (15) 에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확산판 (35) 은, 공기 공급구 (28) 에 대면하는 공급구 대면 영역 (S1) 과, 모든 공기 분출공 (15) 에 대면하는 전체 분출공 대면 영역 (S3) 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전체 분출공 대면 영역 (S3) 은,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의 선폭 방향 (배열 방향) 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15) 에 대면하는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 (S2, S2) 을 포함하고 있다.
확산판 (35) 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고, 확산판 (35) 의 배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길이 방향에 있어서, 에어 챔버 (22) 의 양 내벽과 확산판 (35) 의 사이에는,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슬릿 개구 (38, 38) (확산 개구)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확산판 (35) 은, 선폭 방향의 양 단부를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확산판 (35) 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확산판 (35) 은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확산판 (35) 자체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확산판 (35) 에 불어 부딪힘으로써, 확산판 (35) 을 따라 흐르고, 그 후에, 1 쌍의 슬릿 개구 (38, 38) 를 통해 각 공기 분출공 (15) 을 향하여 흐른다. 그 결과,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도 7 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되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확산판 (35) 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에어 챔버 (22) 를 통해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균일성에 대해서 검토한다. 또, 도 4 에 나타낸 그래프와 도 7 에 나타낸 그래프를 비교함과 함께, 도 20 에 나타낸 그래프와 도 7 에 나타낸 그래프를 비교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에어 챔버 (22) 는, 확산판 (35) 을 배치 형성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에어 챔버 (22) 로, 그 구성은, 실시예 1 에 기재된 에어 챔버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도 3 에 나타낸 에어 챔버 (22) 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에어 챔버 (22) 에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기가 공급된 경우,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일하게 되어 있지 않다.
도 4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그래프는, 그 세로축이 공기의 유량으로 되어 있고, 그 가로축이 각 공기 분출공 (15) 의 위치로 되어 있다. 요컨대, 가로축은, 나열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에 대하여, 선폭 방향의 일방 단부측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의 공기 분출공 (15) 까지를, 순번대로 넘버링한 것이다. 그리고, 가로축의 제 10 공기 분출공 (15) 은, 공기 공급구 (28)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15)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 나타낸 그래프에서는, 그 제 10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가장 많아지고, 이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양 단부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함에 따라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어 간다. 따라서, 도 3 에 나타낸 에어 챔버 (22) 에서는,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균일하게 할 수 없다.
여기서, 도 4 에 나타낸 그래프와 도 7 에 나타낸 그래프를 비교하는 데, 도 4 의 그래프에 비해, 도 7 의 그래프는, 공기 공급구 (28)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고, 선폭 방향의 양 단측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었다. 즉, 도 7 에 나타낸 그래프는 도 4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다.
한편, 도 7 에 나타낸 그래프와 도 20 에 나타낸 그래프를 비교하는 데, 도 20 의 그래프에 비해, 도 7 의 그래프는, 공기 공급구 (28)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고, 선폭 방향의 양 단측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었다. 즉, 도 7 에 나타낸 그래프는 도 20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직사각형의 확산판 (35) 의 길이 방향을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의 배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고, 확산판 (35) 과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을 대면시키고, 또한 확산판 (35) 과 공기 공급구 (28) 를 대면시킴으로써, 에어 챔버 (22) 의 양 내벽과 확산판 (35) 의 사이에 1 쌍의 슬릿 개구 (38, 38) 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1 쌍의 슬릿 개구 (38, 38) 를 통해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하여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저 (5) 에 형성되는 기포막의 막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선체 (1) 의 마찰 저항의 저감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 확산판 (35) 을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확산판 (35) 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에어 챔버 (22) 내부에 대한 확산판 (35) 의 부착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실시예 2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50) 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서,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 은, 실시예 2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에 나타낸 실시예 2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B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10 은, 실시예 2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2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50) 는, 그 에어 챔버 (22) 에 형성된 확산판 (55) 이, 십자형의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십자형으로 형성된 확산판 (55) 은, 선폭 방향으로 길이가 되는 사각형판과, 배길이 방향으로 폭이 되는 사각형판을 교차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선저 (5) 와 평행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확산판 (55) 은, 도 19 에 나타낸 확산판 (205) 과 도 6 에 나타낸 확산판 (35) 을 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확산판 (55) 은, 그 교차 부분의 중앙이 공기 공급구 (28) 에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고, 또, 나열된 모든 공기 분출공 (15) 에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확산판 (55) 은, 공기 공급구 (28) 에 대면하는 공급구 대면 영역 (S1) 과, 모든 공기 분출공 (15) 에 대면하는 전체 분출공 대면 영역 (S3) 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확산판 (55) 은, 실시예 1 의 1 쌍의 슬릿 개구 (38, 38) 의 선폭 방향 중앙의 중앙 영역 (S4) 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확산판 (55) 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고, 확산판 (55) 의 배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도,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어 챔버 (22) 의 내벽 모서리부 (56) 와 확산판 (55) 의 사이에는, 4 개의 슬릿 개구 (58, 58, 58, 58) (확산 개구) 가 형성되어 있고, 각 슬릿 개구는,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확산판 (55) 에 불어 부딪힘으로써, 확산판 (55) 을 따라 흐르고, 그 후에, 4 개의 슬릿 개구 (58, 58, 58, 58) 를 통해 각 공기 분출공 (15) 을 향하여 흐른다. 그 결과,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도 10 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되었다. 즉, 도 10 에 나타낸 그래프는, 도 4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고, 또, 도 20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도, 십자형의 확산판 (55) 과 모든 공기 분출공 (15) 을 대면시키고, 또한 확산판 (55) 과 공기 공급구 (28) 를 대면시킴으로써, 에어 챔버 (22) 의 내벽 모서리부 (56) 와 확산판 (55) 의 사이에 4 개의 슬릿 개구 (58, 58, 58, 58) 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4 개의 슬릿 개구 (58, 58, 58, 58) 를 통해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하여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에서는, 확산판 (55) 을 십자형으로 형성하고 각 슬릿 개구 (58) 를 사각형으로 했는데, 예를 들어 슬릿 개구 (58) 를 삼각형으로 하고 확산판 (55) 을 마름모꼴 또는 팔각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실시예 3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80) 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 경우에도,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서,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 은, 실시예 3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실시예 3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C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12 는, 실시예 3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3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80) 는, 그 에어 챔버 (22) 에 형성된 확산판 (85) 이, 공급구 대면 영역 (S1) 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중앙 사각형판 (87) 과,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 (S2, S2) 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사각형판 (87) 은, 선폭 방향으로 길이가 되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기 공급구 (28) 에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선저 (5) 와 평행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사각형판 (87) 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중앙 사각형판 (87) 의 배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은, 배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되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열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에 있어서 선폭 방향 양 단부의 1 쌍의 공기 분출공에 각각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선저 (5) 와 평행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측방 사각형판 (88) 의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그 일방이 에어 챔버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고, 그 타방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각 측방 사각형판 (88) 의 배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는,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사각형판 (87) 및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중앙 사각형판 (87) 과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의 사이에는, 1 쌍의 확산 개구 (89, 89) 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확산판 (85) 은, 중앙 사각형판 (87) 의 선폭 방향 양 단부에, 1 쌍의 확산 개구 (89, 89) 를 통해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이 배치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중앙 사각형판 (87) 에 불어 부딪힘으로서, 중앙 사각형판 (87) 을 따라 흐르고, 그 후에, 1 쌍의 확산 개구 (89, 89) 를 통해 각 공기 분출공 (15) 을 향하여 흐른다. 그 결과,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도 13 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되었다. 즉, 도 13 에 나타낸 그래프는, 도 4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고, 또, 도 20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도, 중앙 사각형판 (87) 과 공기 공급구 (28) 를 대면시키고,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과 배열 방향 양 단부의 공기 분출공 (15) 을 대면시킴으로써, 중앙 사각형판 (87) 과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의 사이에 1 쌍의 확산 개구 (89, 89) 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1 쌍의 확산 개구 (89, 89) 를 통해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하여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 에서는, 중앙 사각형판 (87) 과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을 동일 면내에서 배치 형성했는데, 동일 면내와 직교하는 연직 방향으로 중앙 사각형판 (87) 과 1 쌍의 측방 사각형판 (88, 88) 을 어긋나게 배치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실시예 4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0) 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 경우에도,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서,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 는, 실시예 4 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의 에어 챔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낸 실시예 4 의 에어 챔버를 절단면 D 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16 은, 실시예 4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 도 17 은, 다공판의 개구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실시예 4 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각 공기 분출공의 위치와 각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4 의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00) 는, 그 에어 챔버 (22) 에 형성된 확산판 (105) 이 다공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판 (105) 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다수의 관통공 (106) 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저 (5) 와 평행해지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확산판 (105) 은, 공기 공급구 (28) 에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고, 또, 나열된 모든 공기 분출공 (15) 에 대면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확산판 (105) 은, 그 선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가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고, 그 배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도 에어 챔버 (22) 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요컨대, 확산판 (105) 은, 에어 챔버 (22) 내를 연직 방향에 있어서 2 층으로 나누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확산판 (105) 에 불어 부딪힘으로써, 그 일부가 확산판 (105) 을 따라 흐름과 함께, 그 일부가 각 관통공 (106) 을 통해 각 공기 분출공 (15) 을 향하여 흐른다. 그 결과,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도 16 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되었다. 즉, 도 16 에 나타낸 그래프는, 도 4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고, 또, 도 20 에 나타낸 그래프에 비해 균일화되었다. 또, 도 17 에 나타낸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공판이 되는 확산판 (105) 의 개구율을 변화시킨 경우, 개구율 3 % ∼ 50 % 사이가 되는 다공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이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도, 다공판이 되는 확산판 (105) 과 공기 공급구 (28) 및 모든 공기 분출공 (15) 을 대면시킴으로써, 복수의 관통공 (106) 을 통해 공기를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복수의 관통공 (106) 을 통해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 향하여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변형예로서 확산판을, 중공 반구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그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확산판의 원형 개구부를, 공기 공급구 (28) 에 대향하도록 배치 형성해도 된다. 요컨대, 이 확산판은, 주발 형상으로 형성된 방사형의 다공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기 공급구 (28) 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확산판의 복수의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에어 챔버 (22) 내에서 방사상으로 공급된다. 이로써,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4 에서는, 다공판이 되는 확산판 (105) 을 1 개만 배치 형성했는데, 연직 방향으로 겹쳐서 복수 배치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에어 챔버 (22) 내를 확산판 (105) 으로 단층적으로 구획함으로써, 공간적인 공기 분산 루트를 확립할 수 있어,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 내지 4 에서는, 공기 공급구 (28) 를 에어 챔버 (22) 의 천장벽면에 형성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측벽면에 형성해도 된다. 한편, 이 경우, 확산판은, 공기 공급구 (28) 와 복수의 공기 분출공 (15) 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 형성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는, 선체의 선저에 복수의 공기 분출공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하고, 특히, 복수의 공기 분출공으로부터 균일하게 공기를 분출시키는 경우에 적합하다.
1 선체
5 선저
10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15 공기 분출공
16 블로어
17 공기 공급 통로
20 주공급관
21 분기공급관
22 에어 챔버
22a 중앙측 에어 챔버
22b 측방측 에어 챔버
23 1 차 에어 탱크
24 공기 유량계
25 개폐 밸브
28 공기 공급구
30a 중앙 공기 분출공군
30b 측방 공기 분출공군
35 확산판
38 슬릿 개구
50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실시예 2)
55 확산판 (실시예 2)
56 내벽 모서리부
58 슬릿 개구 (실시예 2)
80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실시예 3)
85 확산판 (실시예 3)
87 중앙 사각형판
88 측방 사각형판
89 확산 개구
100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실시예 4)
105 확산판 (실시예 4)
106 관통공
S1 공급구 대면 영역
S2 분출공 대면 영역
S3 전체 분출공 대면 영역
S4 중앙 영역

Claims (4)

  1. 기포를 발생시켜 선저에 기포막을 형성함으로써, 항행하는 선체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체 내부의 선저에 배치 형성되고 공기 공급구가 형성된 에어 챔버와,
    상기 에어 챔버의 저부가 되는 상기 선저에 나열되어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출공과,
    상기 에어 챔버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공급구와 상기 복수의 공기 분출공의 사이에 개재시킨 확산판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판은, 적어도 상기 공기 공급구에 대면하는 공급구 대면 영역과, 상기 복수의 공기 분출공의 배열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공기 분출공에 대면하는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공급구 대면 영역과, 나열된 모든 공기 분출공에 대면하는 전체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산판이 배치 형성된 상기 에어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확산판과 상기 에어 챔버의 내벽면의 사이에, 배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확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이 배치 형성된 에어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확산판과 상기 에어 챔버의 내벽면의 사이에, 4 개의 확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공급구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중앙 사각형판과, 상기 1 쌍의 분출공 대면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1 쌍의 측방 사각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사각형판 및 상기 1 쌍의 측방 사각형판이 배치 형성된 상기 에어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 사각형판과 상기 1 쌍의 측방 사각형판의 사이에 형성된 1 쌍의 확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KR1020117000902A 2008-11-21 2009-02-18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KR101249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8729 2008-11-21
JP2008298729A JP4959667B2 (ja) 2008-11-21 2008-11-21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PCT/JP2009/052815 WO2010058613A1 (ja) 2008-11-21 2009-02-18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83A true KR20110023883A (ko) 2011-03-08
KR101249166B1 KR101249166B1 (ko) 2013-04-01

Family

ID=4219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902A KR101249166B1 (ko) 2008-11-21 2009-02-18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2906B2 (ko)
EP (1) EP2353992B1 (ko)
JP (1) JP4959667B2 (ko)
KR (1) KR101249166B1 (ko)
CN (1) CN102112366B (ko)
WO (1) WO201005861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754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공기분사 테스트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형선박
KR20180092618A (ko) 2017-02-10 2018-08-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구배를 이용한 선박의 공기 윤활 방법
KR20190034173A (ko) * 2018-04-20 201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찰저항 저감장치
KR20230159238A (ko) * 2022-05-09 2023-11-21 지앙수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선박용 통기 난류 억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4565B2 (ja) 2009-10-26 2013-10-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抵抗低減装置
JP5797418B2 (ja) * 2011-02-15 2015-10-21 国立研究開発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船舶の摩擦抵抗低減用気泡吹出装置
JP5714098B2 (ja) * 2011-03-31 2015-05-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摩擦抵抗低減型船舶、及び、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CN102407919B (zh) * 2011-09-29 2015-02-25 夏向东 高速小水线面双体船船体
JP6049443B2 (ja) * 2012-12-25 2016-12-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摩擦抵抗低減型船舶
SG11201607337TA (en) * 2014-03-05 2016-10-28 Silverstream Technologies B V Use of an air lubrication system for reducing marine growth on a vessel
KR101531408B1 (ko) * 2014-03-27 2015-07-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형 선박 공기분사 테스트장치
KR101630574B1 (ko) * 2014-04-02 2016-06-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바닥판에서 해수에 돌출되는 공기분사장치
SG11201804479SA (en) * 2015-12-04 2018-06-28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Frictional resistance reducing device and ship including same
EP3290324A1 (en) * 2016-08-30 2018-03-07 Silverstream Technologies B.V. Dual cavity air lubrication system
PT3290325T (pt) * 2016-08-30 2019-08-02 Silverstream Tech Bv Sistema de lubrificação de ar com um defletor de onda para uma embarcação
JP6655564B2 (ja) * 2017-01-31 2020-0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摩擦低減装置
JP6655563B2 (ja) 2017-01-31 2020-0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摩擦低減装置
JP6253073B1 (ja) * 2017-06-19 2017-12-27 佐藤 正明 船舶における摩擦抵抗低減装置
CN108128401A (zh) * 2017-11-23 2018-06-08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上海分部 气体盖普稳压器
CN108177724A (zh) * 2018-01-12 2018-06-19 中船重工船舶设计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用于气层减阻技术的稳压腔结构及安装方法
CN108317106A (zh) * 2018-01-29 2018-07-24 山东智博格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气提装置
US20230127247A1 (en) * 2018-11-19 2023-04-27 Carlos Eduardo ARCUSIN Prow and/or stern arrangement for reducing the drag of a watercraft during sailing
ES2941494T3 (es) 2018-11-19 2023-05-23 Arcusin Carlos E Una estructura flotante para transporte conformada por una disposición en tren de cuerpos de revolución giratorios que disminuye la resistencia al avance de la misma durante su navegación
KR101979789B1 (ko) 2019-03-05 2019-05-17 최지환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CN110758634A (zh) * 2019-11-11 2020-02-07 中船重工(上海)节能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船舶气体润滑减阻系统及船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5557B1 (ko) * 1968-11-26 1973-10-29
US3628488A (en) * 1970-03-23 1971-12-21 Gibson Ass Inc Diluted solution dispensing apparatus for boats
JPS5229511B2 (ko) 1971-09-07 1977-08-02
CN1174152A (zh) * 1996-08-19 1998-02-25 王昌贵 气膜船
JPH1149080A (ja) * 1997-08-01 1999-02-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気泡発生方法並びに摩擦低減船及び摩擦低減方法
JPH11227675A (ja) * 1998-02-13 1999-08-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摩擦抵抗低減船の空気吹き出し器
CA2244615A1 (en) * 1997-08-22 1999-02-22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Friction-reducing ship with compressed air generation apparatus, friction reduction apparatus and gas jetting device
US6145459A (en) * 1997-12-19 2000-11-14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Friction-reducing ship and method for reducing skin friction
JP2000128063A (ja) * 1998-10-22 2000-05-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EP1361151A1 (en) * 2002-05-07 2003-11-12 DK Group N.A. N.V. Air cavity vessel with air deflector
JP2004114533A (ja) * 2002-09-26 2004-04-15 Mitsubishi Heavy Ind Ltd 流体抵抗低減構造
NL1025481C2 (nl) * 2004-02-13 2005-08-19 Cornelis Arie Adrianus Boon Vaartuig met luchtkamers voor het verminderen van de weerstand tussen de romp en het water.
JP4151681B2 (ja) * 2005-07-19 2008-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微細気泡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4953294B2 (ja) * 2006-11-02 2012-06-13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JP4953296B2 (ja) * 2006-12-08 2012-06-13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JP2008149209A (ja) * 2006-12-14 2008-07-03 Marcom:Kk 微細気泡発生器および微細気泡供給システム
JP5604736B2 (ja) * 2008-04-01 2014-10-15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754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공기분사 테스트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형선박
KR20180092618A (ko) 2017-02-10 2018-08-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구배를 이용한 선박의 공기 윤활 방법
KR20190034173A (ko) * 2018-04-20 201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찰저항 저감장치
KR20230159238A (ko) * 2022-05-09 2023-11-21 지앙수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선박용 통기 난류 억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02906B2 (en) 2013-03-26
JP2010120609A (ja) 2010-06-03
EP2353992B1 (en) 2015-08-05
CN102112366A (zh) 2011-06-29
KR101249166B1 (ko) 2013-04-01
WO2010058613A1 (ja) 2010-05-27
JP4959667B2 (ja) 2012-06-27
CN102112366B (zh) 2014-01-01
EP2353992A4 (en) 2013-05-01
US20110094435A1 (en) 2011-04-28
EP2353992A1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166B1 (ko)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CN102202961B (zh) 船体摩擦阻力降低装置
KR100188464B1 (ko) 항주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마찰저감 항주체 및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미소기포 발생방법과 그 장치
CN103079949B (zh) 用于生成流体的气泡以降低在船的船体上的阻力的设备及其用途、用于包括带微流体器件的装置的船的船体及降低该船体上的阻力的方法
JP2004533358A (ja) 複数の境界層制御技術の効果および効率を高め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319026B2 (en) Hull surface air lubrication structure for marine vehicles
JP2008013128A (ja)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KR102005185B1 (ko) 외부공기를 이용한 마찰저항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단차형 선박
KR101193962B1 (ko) 선박의 마찰저항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4215971B2 (ja) 船舶の海水取入部構造
JP3623706B2 (ja) 二酸化炭素の海洋への希釈放流装置
KR20210067807A (ko) 압축공기 분사장치
KR20190009347A (ko) 선박의 마찰 저감 장치
JPH11180380A (ja) 摩擦低減船及び船体の摩擦低減方法
JP5448741B2 (ja) 船舶の抵抗低減装置
JPH09240571A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KR102190553B1 (ko) 선박의 마찰 저감 장치
KR20030015945A (ko) 단과 횡방향 미소 요철구조를 이용한 선박용 공기윤활장치 및 방법
KR20240007654A (ko) 해양 선박의 항력을 줄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829664B2 (ja) 船舶の抵抗低減装置
CN116461642A (zh) 孔缝联合气泡减阻装置
JP2000203485A (ja) 摩擦抵抗低減船
KR20170068822A (ko) 선박의 횡동요시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 분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