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415A -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415A
KR20110023415A KR1020090081283A KR20090081283A KR20110023415A KR 20110023415 A KR20110023415 A KR 20110023415A KR 1020090081283 A KR1020090081283 A KR 1020090081283A KR 20090081283 A KR20090081283 A KR 20090081283A KR 20110023415 A KR20110023415 A KR 20110023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medium
external storage
clipboard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철
김기환
한기열
임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Priority to KR102009008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3415A/ko
Publication of KR2011002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클립보드로의 복사하기를 선택하면 본체의 클립보드에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를 선택하면 본체의 클립보드 또는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붙여넣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데이터 복사방법은, 외부 저장매체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저장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에서, 임의의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가 실행되면,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와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 중 하나를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전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클립보드 또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2단계에서 전달받은 주소정보의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도록 한다.
클립보드, USB, 저장매체, 메모리

Description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DATA COPYING METHOD USING AN OUTSIDE STORAGE MEDIA}
이 발명은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복사하기를 선택하면 본체의 클립보드에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붙여넣기를 선택하면 본체의 클립보드 또는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붙여넣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컴퓨터는 본체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주변기기들은 크게 모니터 및 프린터 등의 출력기기들과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의 입력기기들로 구분될 수 있다. 출력기기들은 본체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의 결과, 내용, 진행 사항들을 사용자가 적절한 상태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입력기기들은 사용자가 본체에게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의 입력, 명령 등을 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본체에는 동일한 종류의 주변기기가 하나씩 연결되어 사용되는 바, 예컨대, 일반적으로 하나의 본체에 각각 하나씩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컴퓨터 프로그래머, 증권 분석가 또는 제품 디자이너의 경우 한 명이 동시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작업을 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두 대 이상의 컴퓨터 본체에 각각 모니터 두 대를 연결하고, 키보드 및 마우스 등 주변기기들을 각각 별도로 연결한 후 사용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컴퓨터 사용자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각각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서로 번갈아 가며 조작해야 하고, 모니터 또한 각각을 번갈아 가며 확인하여 작업해야만 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의 주변기기들이 각 본체마다 하나씩 연결되기 때문에 컴퓨터 설치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사용자의 작업공간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수의 본체가 하나의 키보드, 마우스 및 모니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기가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유기(150)가 2대의 본체, 즉 제1 및 제2본체(100, 110), 모니터(120), 키보드(130), 마우스(140)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기(150)에는 제1본체(100)와 제2본체(110)가 연결되고, 하나의 모니터(120), 하나의 마우스(140) 및 하나의 키보드(130)가 제1본체(100) 또는 제2본체(11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공유기(150)는 모니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D-SUB 포트, 마우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마우 스 포트, 및 키보드를 연결시키기 위한 키보드 포트를 포함한다.
이 공유기(150)는 스위치(151)를 구비하는 바, 사용자가 그 스위치(151)를 조작하여 제1본체(110)와 제2본체(110) 중 하나를 모니터(120), 키보드(130), 마우스(140)에 연결시킨다.
다수의 본체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작업시, 하나의 본체에서 작업하던 파일이나 텍스트 구문을 다른 본체로 저장해야 할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래머의 경우 프로그램 작성용 본체와 테스트용 본체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데, 프로그램 작성용 본체에서 작성한 프로그램 코드를 테스트용 본체에서 실행하여 테스트하고자 할 경우, 프로그램 작성용 본체의 프로그램 코드데이터 또는 파일을 테스트용 본체로 복사해야 한다.
그러나, 이 두 본체는 비록 한 명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주변기기들(모니터와 키보드와 마우스)을 공유하고 있더라도, 이 두 본체는 각각 별개의 시스템에 해당하기 때문에, 두 본체간 데이터 복사는 전혀 다른 두 대의 컴퓨터간 데이터 복사방법과 같이 메신저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이메일로 송부하는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그나마 파일의 경우에는 바로 파일 형태로 전송할 수는 있지만, 텍스트 구문의 경우에는 파일 형태로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 프로그래머는 이 텍스트 구문을 파일 형태로 저장을 하던지 아니면 동일한 텍스트 구문을 각각의 본체에서 각각 2번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이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클립보드로 복사하기를 선택하면 본체의 클립보드에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를 선택하면 본체의 클립보드 또는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붙여넣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은, 외부 저장매체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저장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에서,
임의의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가 실행되면,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와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 중 하나를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전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클립보드 또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2단계에서 전달받은 주소정보의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은, 데이터를 선택하고 클립보드로 복사하기를 하면 본체의 클립보드에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를 하면 본체의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 및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 현재 입력 가능한 영역에 붙여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저장매체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본체간의 데이터 복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명세서에서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파일 등을 총칭한다. 이 명세서에서의 '복사하기' 명령은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블록을 설정한 후 키보드로 컨트롤 C(컨트롤 키와 C 키를 동시에 입력) 또는 컨트롤 X를 입력하거나,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스킨, 도구상자, 메뉴바 등에서 복사하기(복사) 메뉴 또는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을 의미하는 바, 클립보드로 복사하기를 수행하는 모든 명령을 의미한다. 이 명세서에서 '붙여넣기' 명령은 현재 입력가능한 영역에서 키보드로 컨트롤 V(컨트롤 키와 V 키를 동시에 입력)를 입력하거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를 이용하여 스킨, 도구상자, 메뉴바 등에서 붙여넣기(붙이기) 메뉴 또는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을 의미하는 바,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를 수행하는 모든 명령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컴퓨터 사용자가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데이터(파일, 텍스트 블록, 이미지 등)를 복사하기/붙여넣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데이터를 선택한 후 컨트롤 C 등의 클립보드로 복사하기 명령을 한다. 그러면 선택된 데이터가 본체의 클립보드에 임시저장된다. 이 후, 사용자가 컨트롤 V 등의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 명령을 하면,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은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현재 입력 가능한 영역에 기록한다.
이 발명은 본체에 외부 저장매체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를 선택한 후 컨트롤 C 등의 클립보드로 복사하기 명령을 하면, 선택된 데이터가 클립보드에 임시저장됨과 동시에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컨트롤 V 등의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 명령을 하면,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현재 입력 가능한 영역에 쓰여지도록 한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발명의 시스템은 본체(210)와 주변기기(220)로 이루어진다. 본체(210)에는 통상적으로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 USB 드라이버(212), 클립보드(213)가 설치된다. 아울러, 이 발명의 데이터 복사방법을 실행하는 외부 저장매 체 드라이버(214)가 설치된다.
이 발명의 외부 저장매체(220)는 USB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의 컴퓨터 주변기기 중 하나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저장매체는 독립된 USB 메모리장치로서 공유기를 통해 다수의 본체들에 공유될 수도 있고, 공유기 내부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외부 저장매체(22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비휘발성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부 저장매체(220)는 주소영역(221)과 데이터영역(222)으로 구분된다. 데이터영역(222)에는 실제 데이터가 구조체로 저장되고, 주소영역(221)에는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영역(222)의 시작번지와 끝번지 또는 시작번지와 데이터 크기 정보가 저장된다.
본체(210)와 외부 저장매체(220)와의 정보 송수신은 USB 드라이버(212) 및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나 마우스로부터 입력되는 클립보드로 복사하기 명령 또는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 명령이 본체(210)에서 처리되는 과정은 종래의 컴퓨터시스템과 동일한 바, 데이터가 선택된 후 복사하기 명령이 입력되면 통상적으로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은 해당 데이터를 클립보드(213)에 저장한다.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이 클립보드(213)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이를 후킹하여 클립보드(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USB 드라이버(212)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222)에 저장한다. 이때,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클립보드(213)에 저장된 데이터와, 외부 저장매체(222)에 저장된 데이터가 동일한 지 여부를 확인하는 무결성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키보드나 마우스로부터 입력된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 명령이 통상적인 처리과정 후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 전달되면, 그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그램(211)은 클립보드(213)로부터 데이터를 읽으려고 시도한다.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이 클립보드(213)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읽으려고 시도하면, 이를 후킹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USB 드라이버(212)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222)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읽어오고, 클립보드(213)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읽어서, 외부 저장매체와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2개 이상인 경우 붙여넣기할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하는 대화상자를 해당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에게 제공한다.
이 대화상자에는 각 데이터가 각각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각 데이터에 대한 간략한 정보(예컨대, 경로정보와 데이터 타입과 데이터의 첫 부분 등)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대화상자 중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통상적인 처리과정 후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에 전달되는데, 그러면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은 사용자 선택 정보를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에게 전달한다.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 은(211)은 클립보드(213) 또는 외부 저장매체(220)으로부터 해당 주소의 데이터를 읽어와서 현재 입력 가능한 영역에 붙여넣는다.
도 3은 이 발명의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에서의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가 구동되면 본체(210)에 외부 저장매체(220)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S301), 현재 실행중인 운영체제 및/또는 응용프로그램(211)에 대해 후킹모듈을 설치한다(S302). 이 후킹모듈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이 클립보드로 복사하기나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API 명령을 가로채서 이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이 클립보드로 복사하기를 실행하는 것이 후킹되면,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클립보드(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외부 저장매체(220)에 미러링하여 저장한다(S304). 즉,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클립보드(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읽어서 USB 드라이버(212)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22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데이터가 외부 저장매체(22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체 사용자가 외부 저장매체로의 저장 명령을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클립보드(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동시에 외부 저장매체(220)에 저장된다. 이때,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클립보드(213)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고유값과 외부 저장매체(2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고유값을 계산하여 비교함으로써, 클립보드(213)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외부 저장매체(2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무결 성을 테스트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각 데이터의 고유값을 저장함으로써 이 고유값을 이용하여 두 데이터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이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를 실행하는 것이 후킹되면,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USB 드라이버(212)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220)에 저장 데이터 주소정보 등을 문의하여 수신한다(S306). 또한,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클립보드(213)에 저장 데이터 주소정보 등을 문의하여 수신한다(S307). 이때,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는 외부 저장매체 또는 클립보드로부터 각 데이터의 고유값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클립보드(213) 또는 외부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S308), 데이터의 개수가 1개 이면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그 저장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전달한다(S309). 데이터의 개수가 2개 이상이면 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대화상자를 생성하여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전달한다(S310). 단계 S308에서,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클립보드(213)에 저장된 데이터의 개수와, 외부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데이터의 개수를 가산할 수도 있고, 각 데이터의 고유값 정보를 이용하여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대화상자에 표시된 데이터 선택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S311),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211)은 그 사용자 선택 정보를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214)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그 선택된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전달한다(S312).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전달받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은 클립보드(213) 또는 외부 저장매체(220)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와서 현재 입력가능한 영역에 붙여 넣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유기 등을 통해 외부 저장매체를 공유하는 두 본체에 있어서, 하나의 본체에서 클립보드로 복사하기 작업을 하고 다른 본체에서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 작업을 하면, 두 본체간 별도의 통신을 하지 않고도 데이터의 복사가 가능해진다. 이때, 데이터는 별도의 파일명이 부여되지 않은 텍스트 구문이나 이미지, 또는 별도의 파일명이 부여된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이어도 상관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유기가 2대의 본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 발명의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에서의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8)

  1. 외부 저장매체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저장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에서,
    임의의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클립보드로부터 붙여넣기가 실행되면,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와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정보 중 하나를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전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클립보드 또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2단계에서 전달받은 주소정보의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임의의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클립보드로 복사하기가 실행되면,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가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미러링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는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고유값을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정보는 데이터의 고유값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는 상기 데이터의 고유값을 이용하여 중복된 데이터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 정보의 개수가 하나이면 상기 수집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 드라이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 정보의 개수가 둘 이상이면 상기 둘 이상의 데이터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대화상자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제공하고,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하나의 데이터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운영체제 또는 응용프로그램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는 컴퓨터 주변기기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는 USB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KR1020090081283A 2009-08-31 2009-08-31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KR20110023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83A KR20110023415A (ko) 2009-08-31 2009-08-31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83A KR20110023415A (ko) 2009-08-31 2009-08-31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15A true KR20110023415A (ko) 2011-03-08

Family

ID=4393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283A KR20110023415A (ko) 2009-08-31 2009-08-31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34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795A (zh) * 2017-10-25 2018-01-26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数据的方法、设备、移动终端以及计算机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795A (zh) * 2017-10-25 2018-01-26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数据的方法、设备、移动终端以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03B2 (en) Print processing apparatus, prin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int processing program
JP2008146434A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装置、印刷方法、印刷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118843A (ja) 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9763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60033944A1 (en) Status information processor
JP4518093B2 (ja) 表示端末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201317871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
KR20110023415A (ko)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복사방법
US586002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input/output devices of another clusters according to control instructions issued from a cluster
JP38848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
CN101907979B (zh) 图像形成装置
CN100504753C (zh) 信息处理设备
JP2006079485A (ja) 電子計算機における障害解析用情報収集方式
JP2008033472A (ja) プリンタの自動評価システム
JP2011227866A (ja) ファイル自動転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545133B2 (ja) 静的解析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57628A (ja) 情報処理装置、文書集約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041002A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JP2006199025A (ja) 印刷装置及び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77557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hared printers
JP5229855B2 (ja) メモリ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32321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1349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2962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09254A (ja) 帳票ページ表示システム及び帳票ページ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