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062A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062A
KR20110023062A KR1020090080658A KR20090080658A KR20110023062A KR 20110023062 A KR20110023062 A KR 20110023062A KR 1020090080658 A KR1020090080658 A KR 1020090080658A KR 20090080658 A KR20090080658 A KR 20090080658A KR 20110023062 A KR20110023062 A KR 2011002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motor
drum
current valu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539B1 (ko
Inventor
배순철
구자인
최재혁
정한수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세탁물 처리기기기의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측정되는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드럼내의 세탁물의 상태 또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를 감지하여 운전을 변경하거나, 이상을 출력하여 세탁물의 마모를 최소화 하면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량, 포량, 감지, 균형상태, 전류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상태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를 감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 중 드럼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여,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완료된 후 탈수행정이 진행되는데, 탈수 행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세탁물량을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특성 속도값, 특정 속도에서의 회전 각도, 특정 속도까지의 시간, 특정 속도의 듀티(PWM) 값 등 다양한 계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관련 계수가 너무 많으며, 모터, 탈수 패턴 등의 다른 조건이 가변함에 따라 관련 계수를 달리 설정하거나 조정하여야 하는 등 상당히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세 탁물 처리기기의 모델이 변경되는 경우 재 조정해야 할 계수가 많고 그 과정 또한 복작하여 신규제품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경우 정확도가 낮아, 사용자의 실수로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은 빈 드럼인 경우에도 세탁코스등이 설정되어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세탁물이 소량으로 존재하는 것과 같이 인식하여 지정된 세탁, 헹굼, 탈수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드럼내에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소불필요하게 동작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이 틈새에 끼는 경우, 세탁물의 마모도가 증가되어 세탁물이 손상될 수 있고, 모터의 회전에 영향을 주고 모터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설치 시, 바닥의 상태를 고려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레그 높이를 조절하여 균형을 맞춘다. 그러나, 세탁물 처리기기가 동작하면 세탁물 처리기기에 크고 작은 진동이 발생하므로, 오랜시간이 경과되면 세탁물 처리기기가 서서히 이동하게 되고, 레그의 나사가 마모되는 경우가 있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세탁물 처리기기의 진동이 커지고, 그에 따른 소음이 증가하며, 고속회전시에도 영향을 주므로 세탁물 처리기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에 따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상태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 처리기기기의 드럼 회전 동작 시 감지되는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드럼내의 세탁물의 상태 또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를 감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이 모터에 연결되어 소정 회전각까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속도가 소정 회전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상기 드럼 내에 상기 세탁물의 존재여부에 따라 빈통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결과 빈통상태이면, 빈통상태임을 알리는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이 모터에 연결되어 소정 회전각까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속도가 소정 회전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상기 세탁물의 끼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결과 상기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면, 상기 세탁물 끼임에 따른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은, 테스트모드가 설정되면, 드럼이 연결된 모터의 회전속도를 최대 회전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속도가 증가하거나 유지되는 구간 동안,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전류값을 기준전류와 비교하여 균형상태를 감지하고, 균형 또는 불균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세탁물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이 소정 회전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각의 범위 중 어느 일 구간에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드럼이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전류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세탁물의 양, 상기 세탁물의 끼임, 상기 드럼의 빈통여부 및 설치에 따른 균형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감지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 처리기기의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측정되는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드럼내에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빈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안내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극소량으로 간주하여 단시간 내에 동작이 완료되도록 운전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탁물 처리기기에 끼이거나 세탁물 처리기기가 불균형한 것을 감지 하여, 표시함으로써, 세탁물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110)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와, 터브(120)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세탁되는 드럼(122)과,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캐비닛 본체(111) 외측에 배치되며 캐비닛(11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터브(120) 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럼(122)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22A)이 형성되며, 드럼(122)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드럼(112)의 내 측면에 리프터(124)가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2)와, 캐비닛 커버(112)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2)는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 출입홀(114)과, 포 출입홀(11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3)를 포 함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8)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 내의 조작키들(117) 및 표시부(118)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기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키(117), 표시부(118), 드럼(122), 모터(130), 전류감지부(220), 그리고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류감지부(220) 이외에도 온도, 압력, 전압, 전류, 수위, 회전수 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1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급수 또는 배수 시 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급수된 물의 온도, 세탁조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세탁물 처리기기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급수 배수를 제어하는 급수부 또는 배수부등의 구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조작키(1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소정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210)로 입력한다. 이때, 조작키(117)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로터리 스위치, 조그 다이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름, 회전, 압력, 접촉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조작키(117)는 연속 조작 횟수, 조작 시간에 따라, 1회 조작 시 와는 상이한 신호를 제어부(210)로 인가하여 세탁물 처리기기가 지정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18)는 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조작키(117)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행중인 동작의 정보, 동작 완료시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가전기기 오동작시 오동작에 관한 에러를 표시한다. 이때, 세탁물 처리기기는 표시부(118) 이외에도 점등 또는 점멸되는 램프, 진동소자 등의 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210)는, 조작키(1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조작키(117)에 의해 선택되는 세탁코스, 운전설정에 대응하여 제어부(210)는 모터를 제어하고 급수와 배수를 제어하여,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18)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와 같이 조작키(117)를 통해 입력되는 세탁코스 및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의 동작에 대한 진행상태를 문자, 숫자, 특수문자, 이모티콘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위해 모터(130)를 제어하 는데 있어서, 인버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을 예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후술하는 도 3에서와 같이 PWM(Pulse width modulation)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버터로 인가하고, 인버터는 그에 대응하여 고속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교류전원을 모터(130)에 공급한다.
모터(130)는 인버터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써 동작하고, 모터(130)가 회전 동작됨에 따라 모터(130)에 연결된 드럼(122)이 회전 동작한다.
드럼(122)은 전술한 도 1과 같이 터브(120)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삽입되며, 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된다. 모터(130)에 의해 드럼(122)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 드럼(122) 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본세탁, 헹굼, 탈수의 행정을 거쳐 오염물이 제거된다.
전류 감지부(220)는 모터(130)에 흐르는 전류, 즉 출력 전류(io)를 감지한다. 이 전류 감지부(220)는 홀 센서(hall sensor), 인코더(encoder)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전류 감지부(220)는 모터(130)에 흐르는 전류(io)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210)에 입력한다.
제어부(210)는 전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전류(io)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이때,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122)에 투입된 세탁물의 치우친 정도(편심), 즉 드럼(122)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하는 편심량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심량 감지부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 즉 모터(13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언밸런스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 터(13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술한 전류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모터(130)의 출력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회전 속도를 연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편심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부는 제어부(21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 시, 드럼내에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고 비어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세탁물 미투입에 대한 안내를 표시부(118)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조작키(11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빈통감지 후 설정을 변경하여 동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세탁물 미 투입에 대한 안내 후에도 동작진행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소정 시간 안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세탁물이 극소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수위 등을 재 설정하고, 일부 동작을 생략하고 다음 단계의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거나 기 설정시간보다 짧은시간 동안 동작되도록 하여, 세탁시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10)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면서, 세탁물이 도어에 끼어거나 일부 틈새에 끼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118)를 통해 안내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조작키(117)의 입력에 의해 테스트모드가 설정되면, 모터가 회전 및 정지되도록 동작을 제어하여, 전류감지부(220)를 통해 감지되는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를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판단된 균형상태를 표시부(118)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제어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연산부(305), 전류 지령 생성부(310), 전압 지령 생성부(320) 및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330)를 포함한다.
속도 연산부(305)는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모터(130)의 회전자 속도(v)를 연산한다. 속도 연산부(305)는 회전자의 속도 외에 회전자의 위치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류 지령 생성부(310)는 연산 속도(v)와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d,i*q)를 생성한다. 즉, 전류 지령 생성부(310)는 추정 속도(v)와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d,i*q)를 생성하는 PI 제어기(미도시) 및 전류 지령치(i*d,i*q)가 각각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전류 지령 제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지령 생성부(320)는 전류 지령치(i*d,i*q)와 검출 전류(io)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v*d,v*q)를 생성한다. 즉, 전압지령 생성부(420)는 전류 지령치(i*d,i*q)와 검출 전류(io)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v*d,v*q)를 생성하는 PI 제어기(미도시) 및 전압 지령치(v*d,v*q)가 각각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전압 지령 제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330)는 전압 지령치(v*d,v*q)에 기초하여 PWM신호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한다.
이러한,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에 의해 모터(130)는 속도 지령치(v*)에 추종하여 동작하게 된다. 모터(130)를 소정 각도까지 회전 시키는 동안에, 모터(130)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세탁물량 감지를 하기 위해, 속도 지령치(v*) 는, 예를 들어 50rpm 일 수 있다.
한편, 모터(130)의 전류값은, 전류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모터(130)의 출력 전류(io)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류 지령치(i*d,i*q)일 수도 있다. 모터(130)의 출력 전류(io)는 전류 지령치(i*d,i*q)에 추종하여 흐르게 되므로, 전류 지령치(i*d,i*q)에 기초하여, 세탁물량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 의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측정되는 전류값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 세탁행정의 전, 각 행정에서의 탈수시 탈수 수행 전, 탈수행정 전 , 건조행정 전에 세탁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드럼이 빈통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의 a 내지 c에서 x축의 값은 0 내지 12 가 세탁물의 무게(kg)를 나타내고, 13 이후는 세탁물의 종류에 관한 것으로 13은 아기옷, 14는 청바지, 15, 16, 17은 크기에 따른 타월을 구분한 것이고, 18, 19는 봄가을 또는 겨울잠바를 나타내며, 20은 타월재질의 옷을 나타낸다. 이때, x값 0 은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은 빈 드럼을 의미한다.
도 4의 a는 세탁 전, 세탁물이 투입되고 급수 전, 건조한 상태의 세탁물에 대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측정된 값을 도시한 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상태의 세탁물의 무게가 1kg 단위로 증가함에 따라 감지되는 세탁물의 양 또한 증가된다. 이때, 모터의 전류값를 이용하여 세탁 물의 양을 측정하므로 무게가 0인 세탁물이 없는 빈 드럼의 경우에도 일정값이 측정되는데, 이 값을 세탁전 건조상태의 세탁물에 대한 빈통감지의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세탁물의 무게 0에 해당하는 값이 산출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드럼에 세탁물이 들어 있지 않은 빈 드럼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되는 세탁물의 양이 상이하므로,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어부(210)는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b는 탈수 전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것으로, 세탁물이 젖어있는 상태에서 감지된 세탁물의 양에 대한 결과이다. 도 4의 b와 같이, 세탁물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감지되는 세탁물의 양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드럼에 세탁물이 들어 있지 않은 빈 드럼인 경우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빈 드럼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b는 탈수 전 젖은 상태의 세탁물에 대한 것이므로 전술한 도 4의 a보다 감지된 값이 크게 나타난다.
특히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아기옷, 청바지, 타월, 잠바의 경우 건조상태에서 감지된 값보다 그 차가 크게 나타나므로, 세탁물의 종류를 보다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타올의 경우 물을 많이 흡수하므로 건조상태 보다 젖은 상태가 보다 큰 값으로 감지되고, 잠바의 겨우 타올보다 큰 값으로 감지됨을 알 수 있다.
이때, 건조상태의 세탁물의 감지결과와 젖은 상태의 세탁물의 감지결과를 비교하는 경우, 보다 자세하게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c는 탈수를 완료한 후,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전 젖은 상태의 세탁물에 대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할 결과이다.
이때, 세탁물은 탈수는 완료되었으나 젖은 상태이므로 건조상태의 세탁물보다 감지된 값이 크고, 탈수 전의 세탁물보다 감지된 값이 낮게 나타난다.
탈수된 젖은 상태의 세탁물에 대한 세탁물의 양 감지결과에서 드럼이 빈 상태인 경우 일정 값이 측정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210)는 건조 수행 전 드럼이 비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빈통여부에 대한 감지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구간이 아닌, 세탁물 처리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라 하더라도, 조작키(117)의 조작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도 5 는 도 1 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투입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코스, 물온도 등의 운전설정이 입력되고(S480), 동작키 또는 운전키가 조작되어 동작명령이 입력되면(S490), 제어부(210)는 입력된 운전설정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에 대한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모터(130)를 제어하여 드럼을 소정 회전각으로 동작시키고, 정지 후 다시 동작시키면서, 전류감지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모터(130)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드럼(122) 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S500). 이때 모터 정지 시 모터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정렬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양에 대한 감지 결과, 산출된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어 있는지, 미투입되어 빈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감지된 세탁물의 양이 빈통상태에 대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빈통상태를 판단하는데, 세탁물의 상태, 즉 건조한 상태인지, 젖은 상태인지 등에 따라 빈통에 대한 기준값은 가변될 수 있다.
드럼(122)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은 빈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0), 제어부는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아 비어 있음을 알리는 안내를 표시부(118)를 통해 표시한다(S520). 이때 출력되는 안내는 문자, 숫자, 특수기호, 이모티콘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외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빈통이 감지됨에 따라 설정된 동작을 계속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표시부(118)를 통해 표시한다(S530).
이때, 설정된 동작을 계속 진행하도록 입력된 경우, 세탁물의 양을 극소량으로 설정하고(S550), 세탁시간을 재 산출하여 표시한다(S560). 또한 편심을 감지하여(S570), 입력된 운전설정에 따라 정상운전이 수행되도록 한다(S580).
이때, 빈통감지 시, 동작을 정지할지 또는 무시하고 계속 진행할지에 대하여 미리 설정하여, 빈통감지 시 자동으로 다음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 빈통감지에 대한 안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빈통감지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진행하지 않도록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한다(S600).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결과, 빈통이 아닌 일정량의 세탁물이 감지된 경우,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세탁 수위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세탁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한다(S590). 이때 세탁물의 양도 표시부(118)에 표시할 수 있다. 탈수시에는 전술함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탈수를 수행한다.
도 6 내지 도 8 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빈통감지 시의 탈수방법의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빈통이 감지된 이후에도 동작을 계속 진행하는 경우에 대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에 측정되는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은 빈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과 동일하게 모터를 제어하고, 모터가 동작하는 동안의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한다.
세탁물의 양은 소정 회전속도까지 모터를 회전속도를 증가시킨 후, 속도를 유지하지 않고 감속하거나 정지하는 동작을 소정 횟수 반복하여, 모터에 의해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전류감지부(220)에 의해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감지할 수 있다.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경우, 모터는 1회전 내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고 드럼이 회전되는 중 또는 드럼이 회전되는 일부 구간에 대하여 전류감지부(220)에서 모 터의 전류값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드럼은 90도 까지 회전 동작 후 정지 하거나, 180도 까지 회전 동작 후 정지 할 수 있으며 1회전 후 정지할 수도 있다.
드럼이 180도 까지 회전 동작 후 정지하는 경우를 예로 하면, 전류감지부(220)는 드럼이 90도까지 회전하는 동안의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인가하거나, 90 내지 180도 구간에 대하여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0 내지 180도 구간에 대하여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전류감지부(220)는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연속적으로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으나, 드럼이 회전하는 중 일부 구간에서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드럼내에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아 드럼이 빈 통 상태인 경우(S610), 세탁물의 양을 극소량으로 설정한다(S620).
빈통인 것으로 세탁물의 양이 감지된 후, 제어부(210)는 모터(130)를 제어하여 제 2 회전속도까지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하고, 제 2 회전속도 도달 시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하여, 1차로 편심을 감지한다(S630).
이때, 제어부(210)는 제 2 회전속도를 유지하면서 편심을 감지한 후, 모터를 정지시키지 않고 추가 적인 편심감지동작 없이, 제 2 회전속도에서 최대회전속도까지 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탈수를 수행한다(S640).
빈통이 아닌 경우에는 편심감지를 2회 내지 3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4회 이상 수행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빈통 인 경우 불필요한 동작이 감소하고, 세탁시간이 크게 감소된 다.
도 7 은 빈통 감지 시 탈수 방법에 따른 다른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결과 빈통인 것으로 판단되면(S650),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양을 극소량으로 설정한다(S660). 이때, 빈통 감지에 따른 안내를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모터(130)를 구동하여 제 2 회전속도(A)까지 회전속도가 증가되도록 하고, 제 2 회전속도(A) 도달 시 일정 시간 제 2 회전속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편심감지부는 편심을 1차로 감지한다(S670).
편심이 1회 감지되면, 제어부(210)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 3 회전속도(B)로 증가시키고 제 3 회전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1차 탈수를 수행한다(S680).
또한, 소정시간 1차 탈수 후,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최대 회전속도까지 증가시켜 유지하면서 2차 탈수를 수행한다(S690). 이때, 젖은 세탁물에 침투된 물이 드럼의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어 탈수 된다.
빈통 감지 시, 편심감지 횟수는 줄이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제 3 회전속도에서 일부 탈수되고, 최대회전속도에서 2차 탈수가 진행되도록 하여, 세탁시간을 줄이면서 고속회전 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8 은 빈통 감지 시 탈수 방법에 따른 또 다른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결과 빈통인 것으로 판단되면(S700),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양을 극소량으로 설정한다(S710). 이때, 빈통 감지에 따른 안내를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모터(130)를 구동하여 제 2 회전속도(A)까지 회전속도가 증가되도록 하고, 제 2 회전속도(A) 도달 시 일정 시간 제 2 회전속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편심감지부는 편심을 1차로 감지한다(S720).
편심이 1회 감지되면, 제어부(210)는 편심감지를 종료하고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 2 회전속도에서 제 3 회전속도(B)로 증가시킨 후 제 3 회전속도가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하여 1차 탈수를 수행한다(S730).
또한, 제어부(210)는 소정시간 1차 탈수 후,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유지한 후, 다시 증가시켜 유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최대회전속도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2차 탈수를 수행한다(S740).
그에 따라, 빈통 감지 시 이후 진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세탁시간을 감소시키고, 고속회전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되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9 는 빈통 감지시의 탈수방법에서 회전속도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9의 a는 도 6의 빈통 감지시 탈수방법에 따른 회전속도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고, 도 9의 b는 도 7의 빈통 감지시 탈수방법에 따른 회전속도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며, 도 9의 c는 도 8의 빈통 감지시 탈수방법에 따른 회전속도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9의 a와 같이, 탈수 시, 모터(130)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구간에서(611), 제 1 회전속도까지 속도를 증가한 후 정지한다. 모터(130)는 상기와 같이 모터의 회전 및 정지가 소정 횟수 반복한다. 이때 모터(130)는 제 1 회전속도까지 속도가 증가한 후 제 1 회전속도를 유지하지 않고 바로 동작을 정지한다.
이때, 모터(130)가 동작됨에 따라 드럼(122)이 회전하고,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전류감지부(220)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인가한다. 제어부(210)는 전류감지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세탁물의 양을 산출한다. 이때, 세탁물의 양이 소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 드럼내에 투입된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아 빈통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빈통감지 시 제어부(210)는 세탁물 투입 또는 빈통 상태임을 알리는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빈통상태인 경우, 모터(130)는 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정지상태에서 제 2 회전속도(A)로 속도가 증가되어 일정 시간 유지한다(612). 이때, 1회 편심이 편심감지부에 의해 감지된다.
1회 편심감지 후, 모터(130)는 정지되지 않고 제 2 회전속도(A)에서 설정된 최대 회전속도(C)까지 회전속도를 증가하고 최대 회전속도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탈수를 수행한다(613).
도 9의 b를 참조하면, 모터(130)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구간에서, 제 1 회전속도까지 속도를 증가한 후 정지되는 동작을 소정 횟수 반복한다(651). 이때, 전류감지부(220)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인가하고, 제어부는 전류값에 대응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빈통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130)는 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정지상태에서 제 2 회전속도(A)로 속도가 증가하고, 제 2 회전속도(A)를 일정 시간 유지한다(652). 이때, 1회 편심이 감지된다.
모터(130)는 제 2 회전속도에서 제 3 회전속도(B)로 속도를 증가하고, 제 3 회전속도(B)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최대 회전속도(C)까지 속도를 증가하여 일정시간 유지한 후 동작 정지한다(653). 이때, 세탁물의 탈수가 수행된다.
도 9의 c에서, 모터(130)는, 상기와 같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711), 제 2 회전속도(A)로 속도를 증가시킨 후 유지한다(712). 이때, 편심을 1회 감지한다.
모터(130)는 제 2 회전속도(A)에서 제 3 회전속도(B)로 속도를 증가시킨 후, 소정 시간 유지하고, 다시 속도를 증가한 후 유지하고, 다시 속도를 증가한 후 유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단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키고, 최대 회전속도(C)에 도달하면 일정시간 유지한후 동작 정지한다(713). 속도가 최대회전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이 과정에서 탈수가 수행된다.
따라서, 빈통 감지 시, 편심을 1회 감지 후 바로 최대 회전속도로 모터를 제어하여 드럼이 회전동작 하도록 함으로써, 빈통에 따른 불필요한 동작을 일부 생략하여 세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세탁물 끼임 현상의 예가 도시된 도이고, 도 11은 도 10과 같이 세탁물 끼임 현상 발생 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결과가 도시된 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가 세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드럼내의 세탁물 중 일부가 도어 사이의 틈새에 들어가 끼임현상이 발생된다.
이 경우, 세탁물의 끼임으로 인하여 드럼의 회전이 방해를 받게 되고, 고속 회전시 균형에도 영향을 주게 될 뿐 아니라 세탁물의 마모도가 상승하고, 도어부분의 제품마모를 초래하게 된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세탁물의 끼임현상을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모터(130)를 제어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고, 전류감지부(220)를 통해 측정되는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세탁물의 끼임을 감지한다. 세탁물 끼임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세탁물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드럼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므로, 모터의 전류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모터를 제어하여 소정 회전각으로 회전 동작 후, 감지된 모터의 전류값이 일정 전류값 이상인 경우, 또는 1회전 시와 2회전 시의 감지된 값의 차이가 큰 경우, 즉 측정된 전류값의 편차가 큰 경우에 세탁물의 끼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210)는 모터의 회전 및 정지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 세탁물의 끼임을 정밀하게 감지하여 세탁물의 양이 다량인 경우와 세탁물의 끼임을 구분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측정되는 전류값이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이때, 세탁물의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P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세탁물의 양이 높게 감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8kg의 세탁물을 세탁물 처리기기에 넣을 경우, 일반적으로 산출 되는 세탁물의 양에 따른 수치는 약 160- 170이나, 세탁물 끼임 발생시 210 내지 230의 수치가 산출된다. 이는 12kg 또는 13kg의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경우의 수치에 해당된다.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양이 다량 또는 극다량인 경우와 세탁물의 끼임을 구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경우보다 많은 횟수로 모터가 회전하고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
전류감지부(22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8kg에 대한 감지 수치 160 내지 170과, 210 내지 230가 각각 산출되는 경우 세탁물의 끼임으로 판단한다. 또한, 일관적으로 210 내지 230의 수치가 산출되는 경우에는 극다량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는 경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을 시작하기 전, 또는 각 행정에서 탈수를 수행하기 전, 또는 탈수행정 중에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S750).
세탁물의 양은 모터를 소정 회전각으로 회전 후 동작 정지하는 과정을 소정 횟수 반복하고, 모터에 의해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측정되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전류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끼임을 감지한다.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면(S760),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끼임 감지에 따라 세탁물의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안내를 표시부(118)에 표시한다(S770).
이때, 세탁물을 재 투입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어를 오픈 하여 투입된 세탁물을 정리할 수 있어 세탁물의 끼임을 해소할 수 있다. 세탁물이 추가로 투입되지 않더라도 편의상 재투입이라 한다.
세탁물이 재투입되는 경우(S780), 세탁물의 양을 다시 감지하고(S750), 세탁물의 끼임여부를 확인한 후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면(S760) 상기와 같이 세탁물 끼임에 대한 안내를 출력한다(S770).
세탁물의 재투입으로 끼임 해소된 경우에는(S760) 정상 운전된다(830).
한편, 세탁물 끼임에 따른 안내 출력 후, 세탁물이 재투입되지 않은 경우, 급수를 수행하고(S790), 모터(130)를 제어하여 좌우로 회전운전 되도록 하여 세탁물 풀기 동작을 수행한다(S800).
배수 후, 세탁물의 양을 재 감지하고(S810), 정상 상태인 경우 정상운전한다(S830).
한편, 세탁물의 끼임이 해소되지 않고 다시 감지되는 경우 세탁물의 끼임 및 그에 따른 상태 확인 요청을 다시 표시한다(S770). 이때,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끼임이 기준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동작을 정지하고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 감지에 따른 모터의 회전속도 변화가 도시된 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모터의 회전속도 변화를 이용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 감지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설치 시, 바닥의 상태를 고려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레 그 높이를 조절하여 균형을 맞춘다. 그러나 세탁물 처리기기가 동작하면 세탁물 처리기기에 크고 작은 진동이 발생하므로, 오랜시간이 경과되면 세탁물 처리기기가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바닥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세탁물 처리기기의 이동으로 인하여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오랜 사용으로 세탁물의 처리기기의 레그 나사가 마모되어,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모터의 전류값을 감지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불균형을 감지한다.
복수의 조작키(117) 중 균형감지키 또는 복수의 키가 동시 조작되는 경우 균형감지키로 인식하여 테스트모드를 시작하도록 신호를 제어부(210)로 인가한다.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테스트모드를 시작하여, 모터(130)가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전류감지부(220)를 통해 측정되는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인지 불균형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210)는 제품의 균형상태에 대한 감지결과를 표시부(118)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불균형인 경우는 측정된 전류값의 크기에 대응하여 불균형의 정도를 소정 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는 테스트모드가 입력되면, 모터의 회전속도가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모터(130)는 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정지상태에서 회전속도를 증가하여 제 11회전속도(E)에서 일정 시간 속도를 유지하고, 다시 제 12 회전속도(F)로 증가한 후 일정시간 유지한다. 또한, 모터(130)는 제 13 회전속도(G)로 속 도를 증가한 후 일정시간 유지 후 다시 제 14 회전속도(H)로 속도를 증가한 후 유지한다. 제 12 내지 14 회전속도는 탈수시의 회전속도에 해당되는 것으로 약 800rpm 내지 1300rpm 내에서 설정된다.
이때, 전류감지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모터(130)의 속도가 유지되는 구간(Q1, Q3)과, 모터의 속도가 증가되는 구간(Q2, Q4)에서 각각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인가한다. 이때, 낮은 회전속도(D, E)에서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지 않는다.
세탁물 처리기기가 불균형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 고속회전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일반적인 균형상태에서보다 전류값이 높게 측정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210)는 빈통상태에서 각각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류값와, 상기 측정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를 판단한다.
제어부(210)는 감지되는 균형상태는 3 내지 5단계로 구분하여 표시부(118)에 표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키(117)에 의해 테스트모드가 입력되면(840), 제어부(210)는 정지되어 있던 모터(13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유지되도록 한 후, 다시 증가시키고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하여 회전속도가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S850).
이때, 모터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회전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전류감지부(220)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한다(S850). 이때, 전류감지부(220)는 모터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구간 및 유지되는 구간에서 전류값을 측정한다.
제어부(210)는 전류감지부(220)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기준전류를 비교하여(S870), 측정전류가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가 최대 속도인지 확인하고(S900), 최대속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를 다시 증가하고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전류감지부(220)는 회전속도가 증가되는 구간 및 유지되는 구간에서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인가하고, 제어부(210)는 측정된 전류와 기준전류를 비교한다(S870). 제어부(21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유지하는 동작을 최대속도에 도달하기까지 반복한다,
최대 속도 도달 후에도 측정전류가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세탁물 처리기기가 균형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인 것으로 표시부(118)에 표시한다.
한편, 측정전류와 기준전류의 비교결과 측정전류가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에 대한 테스트를 종료하고(S880), 불균형에 따른 안내를 표시부(118)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불균형의 정도를 소정 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불균형의 정도는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균형상태에 대한 안내가 표시부(118)에 표시되는 예이다.
세탁물 처리기기가 균형상태인 경우, 도 15의 a와 같이 표시하고, 불균형 상태인 경우에는 도 15의 b 또는 c와 같이 불균형의 정도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5의 b는 약간의 불균형이 감지되기는 하나 세탁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15의 c와 같은 경우 불균형이 심해 현 수리하지 않는 경우 세탁물 처리기기가 이상동작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는 표시되는 균형상태를 확인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은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할 뿐 아니라, 드럼 내의 세탁물의 투입여부에 따른 빈통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세탁물의 끼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설치에 따른 균형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운전동작 뿐 아니라,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세탁물 처리기기의 설치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빈통감지 시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세탁물의 끼임을 감지하여, 세탁물의 마모를 방비하고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품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불균형으로 인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기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투입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 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빈통감지 시의 탈수방법의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 는 빈통 감지시의 탈수방법에서 회전속도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세탁물 끼임 현상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1은 도 10과 같이 세탁물 끼임 현상 발생 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결과가 도시된 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는 경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 감지에 따른 모터의 회전속도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모터의 회전속도 변화를 이용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균형상태 감지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균형상태에 대한 안내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세탁물 처리기기 117:조작키
118:표시부 122:드럼
130:모터 210:제어부
220:전류 감지부

Claims (20)

  1.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이 모터에 연결되어 소정 회전각까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속도가 소정 회전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상기 드럼 내에 상기 세탁물의 존재 여부에 따른 빈통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결과 상기 드럼이 빈통상태이면, 빈통상태임을 알리는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빈통상태 감지단계는,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산출된 상기 세탁물의 양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드럼이 빈통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출력 후, 동작의 진행 여부에 대한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을 종료하거나 동작을 계속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진행하는 경우, 편심을 1회 감지 후,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까지 증가하여 탈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진행하는 경우, 편심을 1회 감지 후,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1차 탈수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로 증가시켜 2차 탈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진행하는 경우, 편심을 1회 감지 후,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 후 일정시간 유지하고, 다시 증가시킨 후 유지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최대회전속도까지 증가시켜 탈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 내지 빈통상태 감지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 수행하고,
    상기 드럼이 빈통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상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8.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이 모터에 연결되어 소정 회전각까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속도가 소정 회전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상기 세탁물의 끼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결과 상기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면, 상기 세탁물 끼임에 따른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에 대응하여 산출되는 상기 세탁물의 양이 기준량 이상이거나, 또는 산출된 상기 세탁물의 양에 대한 편차가 큰 경우, 상기 세탁물의 끼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단계 및 정지단계를 추가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회전 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측정되는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끼임을 최종 판단하여 상기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면, 상기 세탁물을 재투입하여, 상기 회전단계 및 정지단계를 재실행하고, 상기 세탁물의 끼임을 재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끼임이 감지되면, 급수 후, 상기 드럼을 소정 횟수 좌우회전해 세탁물 풀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3. 테스트모드가 설정되면, 드럼이 연결된 모터의 회전속도를 최대 회전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속도가 증가하거나 유지되는 구간 동안,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전류값을 기준전류와 비교하여 균형상태를 감지하고, 균형 또는 불균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 상기 전류값이 상기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균형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회전속도가 상기 최대회전속도에 도달한 경우, 균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표시하고 상기 테스트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결과, 상기 전류값이 상기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정도에 대응하여, 불균형의 정도를 소정단계로 구분하여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회전속도가 탈수 시의 최저회전속도 이상이면, 상기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7.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세탁물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이 소정 회전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각의 범위 중 어느 일 구간에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드럼이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전류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세탁물의 양, 상기 세탁물의 끼임, 상기 드럼의 빈통여부 및 설치에 따른 균형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감지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세탁물의 양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드럼 내에 상기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빈통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빈통상태에 대한 안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세탁물의 양이 기준량 이상이거나, 또는 감지된 상기 세탁물의 양에 대한 편차가 큰 경우, 상기 세탁물의 끼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세탁물 끼임에 대한 안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테스트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최대회전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류값이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가 불균형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불균형의 정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80658A 2009-08-28 2009-08-28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58A KR101638539B1 (ko) 2009-08-28 2009-08-28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58A KR101638539B1 (ko) 2009-08-28 2009-08-28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62A true KR20110023062A (ko) 2011-03-08
KR101638539B1 KR101638539B1 (ko) 2016-07-11

Family

ID=4393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58A KR101638539B1 (ko) 2009-08-28 2009-08-28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5882A (zh) * 2011-09-01 2013-03-13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10214843B2 (en) 2015-02-17 2019-02-2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WO2020046083A3 (ko) * 2018-08-30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WO2020046080A3 (ko) * 2018-08-30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기 및 인공지능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447904B2 (en) 2018-08-30 2022-09-20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132A (ko) * 1997-12-02 1999-07-05 윤종용 세탁기의 불균형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50447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KR20070022506A (ko) * 2005-08-22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132A (ko) * 1997-12-02 1999-07-05 윤종용 세탁기의 불균형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50447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KR20070022506A (ko) * 2005-08-22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5882A (zh) * 2011-09-01 2013-03-13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10214843B2 (en) 2015-02-17 2019-02-2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WO2020046083A3 (ko) * 2018-08-30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WO2020046080A3 (ko) * 2018-08-30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기 및 인공지능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447904B2 (en) 2018-08-30 2022-09-20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618986B2 (en) 2018-08-30 2023-04-04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539B1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1543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5165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8862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5753243B2 (ja) 洗濯装置及び洗濯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23062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7757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97757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US20180087208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16869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3061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9588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15663B1 (ko) 세탁기
US8220093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JP5287419B2 (ja) 洗濯機
KR10150468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4773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29712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08255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40059422A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97529B1 (ko) 가전기기
KR20150118429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4053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981848B1 (ko) 세탁기의 포량 감지 방법
KR20180098933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287417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