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000A - 오탁수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오탁수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000A
KR20110023000A KR1020090080563A KR20090080563A KR20110023000A KR 20110023000 A KR20110023000 A KR 20110023000A KR 1020090080563 A KR1020090080563 A KR 1020090080563A KR 20090080563 A KR20090080563 A KR 20090080563A KR 20110023000 A KR20110023000 A KR 20110023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eceiving member
space
treatm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094B1 (ko
Inventor
장진택
최영화
Original Assignee
장진택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택,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장진택
Priority to KR102009008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0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Abstract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탁수가 머물면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상기 슬러지(S)의 배출을 위한 슬러지 배출부(24)가 구비된 처리조 본체(20); 상기 침전되는 슬러지(S)를 받아내도록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에 구비되며, 상기 받아낸 슬러지(S)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24)로 흘러내리도록 팽창되는 슬러지받이부재(30);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를 팽창시키는 팽창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시한다.
오탁수, 처리, 침전, 조립, 이동, 슬러지

Description

오탁수 처리시설{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운하의 정비 및 주변 개발 등을 위해 가물막이 공사나 간척공사 등을 하는 경우에는, 토사나 부유물질로 혼탁,오염된 오탁수가 발생된다.
발생된 오탁수를 정화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오탁수가 이동, 확산됨에 따라서 주변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어 생태계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가물막이 공사 등의 건설, 토목 공사시에는 발생되는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할 수 있는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탁수가 머물면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상기 슬러지(S)의 배출을 위한 슬러지 배출부(24)가 구비된 처리조 본체(20); 상기 침전되는 슬러지(S)를 받아내도록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에 구비되며, 상기 받아낸 슬러지(S)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24)로 흘러내리도록 팽창되는 슬러지받이부재(30);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를 팽창시키는 팽창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시한다.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슬러지 배출부(24) 측 일측이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며,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된 일측 이외 타측이 적어도 팽창시에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된 일측 이외 타측이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력에 의해 분리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46)에 의해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된 일측 이외 타측 에, 상기 처리조 본체(20) 또는 그 주변 구조물에 탈착 가능토록 묶이는 로프(4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바닥면이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며, 팽창 후 상면이 상기 슬러지 배출부(24)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팽창, 수축 가능한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팽창력공급부는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을 위해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에 압축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20)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20)는 팽창, 수축 가능한 튜브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본체(20)를 지지하는 프레임(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공간(22)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초기침전공간(22A)을 구획하며,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52A)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52); 상기 처리공간(22)에 구비되어 상기 다공성 정류벽(52)을 통과한 오탁수가 유입되는 정류공간(22B) 및 상기 정류공간(22B)을 통과한 오탁수가 오버플로우되면서 방류되는 방류공간(22C)을 구획하며, 상기 방류공간(22C)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동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는 간벽(54); 상기 방류공간(22C)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오버플로우되면서 방류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여 여과시키는 여과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정류벽(52) 및 상기 간벽(54)은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20)와 연결되며, 상기 오탁수가 응집제 공급부(6)로부터 공급받은 응집제와 혼합된 상태로 동력에 의해 상기 처리공간(22)으로 압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오탁수 유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이동식으로 구비되어 오탁수를 침전방식에 의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할 수 있으며, 특히 건설, 토목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처리공간의 바닥에 펼쳐진 슬러지받이부재 상에 슬러지가 침전되어 쌓이며, 슬러지받이부재를 팽창시켜서 슬러지받이부재 상의 슬러지를 처리조 본체의 흘러 내러서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탁수 처리시설은, 기본적으로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의 건설 토목 공사 등으로 발생되는 오탁수가 정화 처리되는 오탁수처리부(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 정화 처리 방법이나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물막이공사 등의 건설,토목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수는 화 학약품 등에 의해 오염된 것보다는 흙이나 유기물질 등에 의해 혼탁된 경우가 보편적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로부터 침전방식에 의해 흙이나 유기물질 등의 슬러지(S)를 침전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나아가, 침전방식의 오탁수처리부(1A)는 다단계에 걸쳐서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를 침전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침전방식의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가 유입되며 그 유입 수류에 의해 슬러지(S)를 활성화시켜서 침전,침강시키는 초기침전단계(A)와, 수류를 안정화시킨 상태에서 슬러지(S)를 침전,침강시키는 정류단계(B)와, 침전방식에 의해 정화처리된 오탁수, 즉 처리수가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방류되는 방류단계(C) 순으로 오탁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류단계(C)는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여 여과시키는 여과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탁수 처리시설은 상술한 오탁수처리부(1A)에 의해 오탁수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기계장비부(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계장비부(1B)는 오탁수의 정화 처리 방법,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계장비부(1B) 중 하나로는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부터 오탁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오탁수처리부(1A)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동력에 의해 오탁수를 압 송하는 펌프(4)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계장비부(1B)로서, 초기침전단계(A)에서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슬리저(S)의 응집을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6)가 구성될 수 있다.
응집제 공급부(6)는 응집제가 오탁수와 신속히 혼합되어 슬러지(S)의 응집이 신속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탁수처리부(1A)와 연결되어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오탁수유입부(10)와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오탁수와 응집제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서로 혼합된 오탁수와 응집제는 오탁수처리부(1A)에 유입되기 전에 오탁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위해 인라인 믹서(inline mixer) 등의 혼합부(7)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기계장비부(1B)로서, 오탁수 유입량 조절을 위해, 펌프(4)에 의해 압송된 오탁수를 강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 다시 되돌려보내는 바이패스(by-pass)(8)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오탁수 정화처리를 위해서라면 기계장비부(1B)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한 오탁수처리부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오탁수처리부는 도 2 및 도 3의 화살표 W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가 머물면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슬러지(S)의 배출 을 위한 슬러지 배출부(24)가 구비된 처리조 본체(20)와; 침전되는 슬러지(S)를 받아내도록 처리공간(22)의 바닥에 구비되며, 받아낸 슬러지(S)를 슬러지 배출부(24)로 흘러내리도록 팽창되는 슬러지받이부재(30)와; 슬러지받이부재(30)를 팽창시키는 팽창력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팽창력공급부는 어떠한 방법으로 슬러지받이부재(30)를 팽창시키든 무방하나, 다만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을 위해 슬러지받이부재(30)에 압축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도록 탱크, 펌프, 압축기, 밸브 등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탁수처리부가 구성됨에 따라서, 도 2 및 도 5, 도 7, 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 전에는 슬러지받이부재(30)가 처리공간(22)의 바닥에 포개져 있기 때문에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슬러지받이부재(30) 상에 침전된다. 그리고, 도 3,6,9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 및 도 7,8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받이부재(30)가 팽창되면 슬러지받이부재(30) 상의 슬러지(S)를 슬러지 배출부(24)로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S)를 처리조 본체(20)의 슬러지 배출부(24)로 모아서 처리조 본체(20)의 슬러지 배출부(24)를 통해 용이하게 처리조 본체(20)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러지받이부재(30)에 의해 슬러지(S)를 모아서 처리함으로써 슬러지(S)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조 본체(20)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오탁수 처리작업 중에 슬러지(S)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슬러지(S) 배출을 위해 작업자가 처리조 본체(20)에 들어가지 않아도 되므로 슬러지(S) 배출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팽창력공급부에 의해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력 공급이 중단되면 처리공간(22) 내 오탁수의 수압에 의해 슬러지받이부재(30)가 바로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별도 작업에 의해 팽창된 슬러지받이부재(30)를 다시 수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러지받이부재(30)는 특히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첫째,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받이부재(30)는 슬러지 배출부(24) 측 일측(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속부(30A)'라 한다)이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될 수 있다.
즉,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30A)가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됨에 따라서, 슬러지받이부재(30)가 처리공간(22)의 상측부로 부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시 슬러지받이부재(30)가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30A)를 중심으로 세워짐으로써 슬러지받이부재(30) 상의 슬러지(S)가 슬러지 배출부(24)를 향해 원활하게 흘러 내려갈 수 있다.
여기서,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30A)는 웰딩(welding)이나 봉제 방법 등에 의해, 처리조 본체(20)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30A)는 지퍼(zipper)나 벨크로 테이프 방법 등에 의해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시 슬러지받이부재(30)가 팽창되면서 세 워질 수 있도록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이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지 않으며,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 이외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이 결속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거나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 본체(20)나 그 주변 구조물에 결속될 수 있다.
다만,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 이외시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이 결속되지 않으면, 슬러지받이부재(30)가 수류에 휩쓸려 펄럭이거나 말리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방지를 위해,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 이외시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이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은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시 그 팽창압력에 의해 결속 해제될 수 있어야 한다. 일 예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테이프(46) 등에 의해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이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속될 수 있다.
또는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은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 전에 작업자에 의해 결속 해제될 수 있어야 한다. 일 예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45)의 일측이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에 결합되고 로프(45)의 타측을 처리조 본체(20)나 그 주변 구조물에 탈착 가능토록 묶어 놓음으로써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을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조 본체(20)나 그 주변 구조물로부터 로프(45)의 타측을 풀어서 슬러지받이부재(30)의 결속부 이외 타측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슬러지받이부재(30)가 보다 용이하게 로프(45)에 의해 당겨져 펼쳐질 수 있도록 로프(45)는 처리조 본체(20)에 구비된 고리(21)들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둘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받이부재(30)는 처리공간(22)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바닥면이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며, 팽창 후 상면(30B)이 슬러지 배출부(24)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슬러지받이부재(30)의 형상이 팽창되면 슬러지(S)가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처리조 본체(20)는 밀폐형 구조는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형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처리조 본체(20)의 제조는 물론 오탁수처리부의 조립/해체작업이 보다 용이하며 오탁수의 정화처리과정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재질의 처리조 본체(20)는 오탁수 유입에 따른 수압을 견디는데는 구조적으로 약하므로, 강성체인 프레임(2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프레임(28)에 의해, 처리조 본체(20)가 오탁수 유입에 따른 수압을 견디면서 오탁수 처리를 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프레임(28)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 본체(20)와 함께 조립, 이동식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8)은, 처리조 본체(2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서로 링형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테두리부재(28A)와, 상기 처리조 본 체(2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테두리부재와 탈착 가능토록 연결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28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테두리부재는 처리조 본체(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삽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28)은 수압력 등에 따라서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틸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처리조 본체(20)의 처리공간(22)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오탁수가 다단계에 걸쳐 처리될 수 있도록 처리공간(22)을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구획부재(5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침전단계, 정류단계, 방류단계 순서대로 오탁수가 처리될 수 있도록, 다공성 정류벽(52), 그리고 간벽(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다공성 정류벽(52)은 초기침전공간(22A)과 정류공간(22B)을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초기침전공간(22A)에서 정류공간(22B)으로의 오탁수의 유동은 물론 정류공간(22B)의 수류 안정화, 초기침전공간(22A)의 부유 슬러지(S)의 이동 방지를 위해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52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정류벽(52)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홀(52A)을 통해서만 오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52)에 의한 오탁수의 유동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즉, 특히 도 2, 도 3의 화살표 'F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 벽(52)은 다공성 정류벽(52)의 하측을 통한 오탁수의 유동이 가능토록 처리공간(22)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예를 들어, 30cm정도) 유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공성 정류벽(52)은 처리공간(22)의 바닥에 닿도록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되,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탁수의 유동을 위해 오탁수에 의해 펄럭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간벽(54)은 정류공간(22B)과 방류공간(22C)을 구획하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오탁수가 오버플로우되면서 방류될 수 있도록 방류공간(22C)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동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52)과 마찬가지로, 특히 도 2, 도 3의 화살표 'F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간벽(54)은 간벽(54)의 하측을 통한 오탁수의 유동이 가능토록 처리공간(22)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예를 들어, 30cm정도) 유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간벽(54)은 처리공간(22)의 바닥에 닿도록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되,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탁수의 유동을 위해 오탁수에 의해 펄럭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52), 간벽(54)은, 용접(welding)이나 봉제 방법 등에 의해 처리조 본체(20)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특히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52), 간벽(54)은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지퍼(zipper)(56)나 벨크로 테이프 방법 등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정류벽(52), 간벽(54)은 처리조 본체(20)와 함께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처리조 본체(20)의 방류공간(22C)에는 방류되는 처리수가 통과하는 유로(60A)가 형성되며 이 유로(60A)를 통과하는 상등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방류공간(22C)으로부터 방류되는 상등수에 포함된 슬러지(S), 특히 미세 입자형태로 부유된 슬러지(S)가 여과재(60)에 의해 흡착되어 제거됨으로써,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재(60)는 특히 유로(60A)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슬러지(S)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여과재(60) 또한 상술한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여과재(60) 자체 또한 고형구조보다는 조립,이동식 구조를 위해 플렉서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조 본체(20)의 초기침전공간(22A)에는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오탁수유입부(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처리조 본체(20)의 방류공간(22C)에는 처리된 오탁수, 즉 처리수가 오버플로우되면서 방류될 수 있도록 처리조 본체(20)의 상측부에 방류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오탁수유입부(10)는 특히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오탁수유입부(10)는 기본적으로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유입용 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용 관(12)의 처리공간(22) 측 단부(12A)는 처리공간(22)의 상측부, 하측부, 중앙부 등 어디든 구비될 수 있는데, 다만 처리공간(22)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것이 다음과 같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슬러지(S)는 미세한 입자인 경우는 부유됨으로써 침강, 침전이 어렵기 때문에 서로 응집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인 덩어리를 이루는 것이 침강, 침전되는데 보다 유리하다. 따라서, 슬러지(S)가 침강,침전되어 있는 처리공간(22)의 하측부로 유입용 관(12)에 의해 오탁수가 유입됨으로써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S)의 응집을 활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난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데, 유입용 관(12)에 의해 오탁수가 처리공간(22) 내 수중으로 유입되며 오탁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처리공간(22)의 하측부에 침강,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S)가 활성됨으로써 충분한 난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결과, 슬러지(S)의 침강,침전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이에 따라서 오탁수 정화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용 관(12)의 처리공간(22) 측 단부(12A)는 가능한 처리공간(22)의 바닥면에 가깝도록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되, 너무 낮으면 처리공간(22)에 침강, 침전된 슬러지(S)의 무게 등에 의해서 오탁수 유입이 방해를 받거나 난류 발생이 저하될 수 있는 바, 처리공간(2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나아가, 유입용 관(12)의 처리공간(22) 측 단부(12A)는 난류유동을 보다 활 성화시키기 위해서, 특히 도 10, 도1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가 상측을 향해 처리공간(22)으로 유입되면서 상승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홀(12B)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오탁수유입부(10)는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용 관(12)으로부터 처리공간(22)으로 유입되는 오탁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유입용 관(12)의 처리공간(22) 측 단부(12A)에 설치되며 유입용 관(12)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14A)이 형성된 캡(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오탁수 유입에 의해 캡(14)이 회전됨에 따라서 오탁수가 유입용 관(12)으로부터 상승류는 물론 회전류를 형성하면서 처리공간(22)으로 유입됨에 따라, 난류 유동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캡(14)의 홀(14A)은 그 개수 및 형상 등이 회전류 형성을 위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캡(14)은 무동력 구동으로서 오탁수의 유입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에 유입에 의한 캡(14)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도록 날개(14B)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모식도.
도 2는 제1실시 예의 단면도(슬러지받이부재 미 팽창시 상태).
도 3은 제1실시 예의 단면도(슬러지받이부재 팽창시 상태).
도 4는 제1실시 예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 예의 슬러지받이부재의 팽창시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 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제3실시 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제4실시 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오탁수유입부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A: 오탁수처리부 1B: 기계장비부
4; 펌프 6; 응집제 공급부
7; 혼합부 8; 바이패스
10; 오탁수유입부 20; 처리조본체
22; 처리공간 22A; 초기침전공간
22B; 정류공간 22C; 방류공간
24; 슬러지 배출부 30; 슬러지받이부재
50; 구획부재 52; 다공성 정류벽
54; 간벽 60; 여과재

Claims (13)

  1. 오탁수가 머물면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상기 슬러지(S)의 배출을 위한 슬러지 배출부(24)가 구비된 처리조 본체(20);
    상기 침전되는 슬러지(S)를 받아내도록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에 구비되며, 상기 받아낸 슬러지(S)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24)로 흘러내리도록 팽창되는 슬러지받이부재(30);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를 팽창시키는 팽창력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슬러지 배출부(24) 측 일측이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며,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된 일측 이외 타측이 적어도 팽창시에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된 일측 이외 타측이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력에 의해 분리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46)에 의해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 리시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된 일측 이외 타측에, 상기 처리조 본체(20) 또는 그 주변 구조물에 탈착 가능토록 묶이는 로프(45)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바닥면이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되며, 팽창 후 상면이 상기 슬러지 배출부(24)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는 팽창, 수축 가능한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력공급부는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의 팽창을 위해 상기 슬러지받이부재(30)에 압축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20)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20)는 팽창, 수축 가능한 튜브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본체(20)를 지지하는 프레임(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22)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초기침전공간(22A)을 구획하며,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52A)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52);
    상기 처리공간(22)에 구비되어 상기 다공성 정류벽(52)을 통과한 오탁수가 유입되는 정류공간(22B) 및 상기 정류공간(22B)을 통과한 오탁수가 오버플로우되면서 방류되는 방류공간(22C)을 구획하며, 상기 방류공간(22C)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 동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는 간벽(54);
    상기 방류공간(22C)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오버플로우되면서 방류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여 여과시키는 여과재(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정류벽(52) 및 상기 간벽(54)은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20)와 연결되며, 상기 오탁수가 응집제 공급부(6)로부터 공급받은 응집제와 혼합된 상태로 동력에 의해 상기 처리공간(22)으로 압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오탁수 유입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KR1020090080563A 2009-08-28 2009-08-28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2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63A KR101120094B1 (ko) 2009-08-28 2009-08-28 오탁수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63A KR101120094B1 (ko) 2009-08-28 2009-08-28 오탁수 처리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00A true KR20110023000A (ko) 2011-03-08
KR101120094B1 KR101120094B1 (ko) 2012-03-23

Family

ID=4393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563A KR101120094B1 (ko) 2009-08-28 2009-08-28 오탁수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041B1 (ko) * 2012-10-09 2014-02-20 주식회사 라우텍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 벨트 세척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1876B (zh) * 2016-04-20 2018-11-13 泉州魔力神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191Y1 (ko) * 1996-06-22 1999-02-18 박수환 정수장용 침전장치
JPH10292345A (ja) * 1997-04-21 1998-11-04 Sumitomo Metal Ind Ltd 水中排泥装置
KR20090013582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지오웍스 현장 조립식 정화조를 이용한 이동식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041B1 (ko) * 2012-10-09 2014-02-20 주식회사 라우텍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 벨트 세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094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EP3018101B1 (en) Dissolved air floatation device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CA2703455A1 (en) Water remediation and biosolids coll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20864B1 (ko) 섬유볼을 내장한 용존 공기 부상형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존 공기 부상형 수처리 방법
WO2006125168A2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0527787A (ja) ヒドロサイクロン方式の浮上分離装置及びそれを含む水質汚染防止システム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EP1882508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sowie ein Filter für die Filtratio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KR20170090377A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120094B1 (ko) 오탁수 처리시설
JP2004268005A (ja) 排水処理装置
KR101183533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20090027077A (ko) 수평류형 침전 시스템
KR101147216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13899B1 (ko)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KR101139814B1 (ko) 오탁수처리시설 및 그 처리조
KR101147214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0869312B1 (ko)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KR20110022996A (ko) 오탁수 처리시설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KR200372831Y1 (ko) 유수 분리기의 미세 오일 조합 유도 부상 메디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