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899B1 -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899B1
KR101113899B1 KR1020090058797A KR20090058797A KR101113899B1 KR 101113899 B1 KR101113899 B1 KR 101113899B1 KR 1020090058797 A KR1020090058797 A KR 1020090058797A KR 20090058797 A KR20090058797 A KR 20090058797A KR 101113899 B1 KR101113899 B1 KR 10111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space
water
sheets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314A (ko
Inventor
최영화
최광호
김창용
김효상
오지현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102009005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8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시트는 서로 일부분이 접합되고 미 접합부이 서로 유격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각 시트의 접합부는 서로 나란히 복수개 형성되며 그 인접한 시트들 중 어느 한쪽의 시트와 접합되는 접합부 및 그 반대쪽 시트와 접합되는 접합부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시한다.
허니컴, 여과재, 오탁수, 정화, 처리, 침전, 침강, 조립, 이동, 가물막이

Description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HONEYCOMB STRUCTURE AN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운하의 정비 및 주변 개발 등을 위해 가물막이 공사나 간척공사 등을 하는 경우에는, 토사나 부유물질로 혼탁,오염된 오탁수가 발생된다.
발생된 오탁수를 정화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오탁수가 이동, 확산됨에 따라서 주변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어 생태계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가물막이 공사 등의 건설, 토목 공사시에는 발생되는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기 위한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시트(62B)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시트(62B)는 서로 일부분이 접합되고 미 접합부(62F)이 서로 유격되어 유로(62A)를 형성하고, 각 시트(62B)의 접합되는 접합부(62D)는 서로 나란히 복수개 형성되며 그 인접한 시트(62B)들 중 어느 한쪽의 시트(62B)와 접합되는 접합부(62D) 및 그 반대쪽 시트(62B)와 접합되는 접합부(62D)가 교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체를 제시한다.
상기 유로(62A)는 그 단면이 육각형일 수 있다.
상기 시트(62B)는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접합부(62D)는 상기 시트(62B)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접합부(62D)는 상기 시트(62B)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하거나 소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유로(62A)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시트(62B)를 지지하는 프레임(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4)은 상기 복수 개의 시트(62B)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탁수가 유입되어 그 유입된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가 침전되며 상기 슬러지(S)가 침전된 처리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처리공간(10A,10B,10C)을 갖는 처리조(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허니컴 구조체로 구비되어 상기 허니컴 구조체의 유로를 통과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를 제시한다.
상기 처리조(10)는 조립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60)는 상기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60)는 상기 유로(62A)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탁수 유입을 위한 유입부(20)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과 연결되어 상기 오탁수를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안내하는 유입용 관(22)의 상기 처리공간 측 단부(22A)가,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하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탁수 유입을 위한 유입부(20)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과 연결되어 상기 오탁수를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안내하는 유입용 관(22) 및, 상기 유입용 관(22)으로부터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유입되는 오탁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용 관(22)의 상기 처리공간 측 단부(22A)에 설치 되며 상기 유입용 관(22)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24A)이 형성된 캡(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일측이 상기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10A)과 구획되어 정류공간(10B)을 이루도록 상기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오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30A)이 형성된 정류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30)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될 수 있다.
상기 처리수가 배출되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타측인 배출공간(10C)과 상기 정류공간(10B) 사이에서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상측부 내 오탁수 흐름을 가로막도록,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에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된 상태로 상기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격벽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니컴 구조체는 복수 개의 시트 일부분을 접합하여 미 접합부을 유격시킴으로써 구성됨에 따라서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하며, 가볍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오탁수 처리시설의 여과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9,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60)는, 복수개의 시트(sheet)(62B)가 서로 일려로 배치됨과 아울러, 서로 일부분이 접합되어 접합부(62D)를 이루며 미 접합부(62F)이 서로 유격되어 상술한 유로(62A)를 형성하고, 상술한 접합부(62D)는 서로 나란히 복수개 형성되며 그 인접한 시트(62B)들 중 어느 한쪽의 시트(62B)와 접합되는 접합부(62D) 및 그 반대쪽 시트(62B)와 접합되는 접합부(62D)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부연하면, 상술한 접합부(62D)와 미 접합부(62F)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62B)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각의 접합부(62D)는 시트(62B)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서 시트(62B)의 일측 가장자리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접합부(62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62B)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시트(62B)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허니컴 구조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시트(62B)를 접합한 후 허니컴 구조로 형상화될 수 있도록 그 미접촉부분(62F)이 서로 유격되도록 잡아당겨줌으로써,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하며, 가볍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허니컴 구조체(60)는 각각의 유로(62A)를 갖는 다수의 셀(62)들이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컴 구조체(60)의 각 셀(62)이 육각 단면 형상을 취함으로써 구조적 강도 및 안정성, 그리 고 유로 면적 증대 측면 등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시트(62B)는 허니컴 구조체(60)의 이용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과재(60) 목적인 경우 슬러지(S)를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62B)는 종이나 섬유, 비닐 등 접고 펼침이 용이한 연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설치시 허니컴 구조로 형상화될 수 있며 해체시 하나의 시트로 납작하게 눌려지며 나아가 접혀지는 경우, 이동/운반 및 수납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설치 및 해제작업이 용이하다 할 수 있다.
한편, 허니컴 구조체(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셀(62)들이 시트(62B)로 형성된 경우, 허니컴 구조로 형상화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셀(62)들을 지지하는 강성체인 프레임(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셀(62)들의 상하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각 링(ring)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64)은 조립식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셀(62)들과 고리(62C)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바업으로 다수의 셀(62)들과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허니컴 구조체(60)는 다음과 같은 오탁수 처리시설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6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탁수 처리시설은, 기본적으로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의 건설 토목 공사 등으로 발생되는 오탁수가 정화 처리되는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은 오탁수 정화 처리 방법이나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은, 오탁수 내 슬러지를 침전 방식으로 정화처리하고자 할 경우, 오탁수가 유입되어 그 유입된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ludge)(S)가 침전되며 슬러지(S)가 침전된 처리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처리공간(10A,10B,10C)을 갖는 처리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처리조(10)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다만 정화 처리해야 할 장소가 수시로 바뀌며, 특히 건설, 토목 공사용인 경우 건설, 토목 공사의 특성 상 공사 현장이 상당히 방대하기 때문에, 이동/운반 및 수납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설치 및 해제작업이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조립식 구성을 위해 처리조(10)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처리조(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처리공간(10A,10B,10C)을 형성하는 본체(12) 및, 본체(12)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본체(12)의 펼쳐진 형상을 유지시키는 처리조 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본체(12)는, 텐트(tent)처럼, 설치시에는 오탁수 정화처리를 위해 처리조(10)의 형상으로 펼쳐지고, 해체시에는 이동/운반 및 수납보관을 위해 작은 부피 로 접혀질 수 있다.
아울러, 본체(12)는 텐트처럼 접고 펼치는 것이 용이하도록 천막이나 튜브(tube)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설치시 강성체인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펼쳐진 형상이 무너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가 상술한 바와 같은 텐트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본체(12)는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 구조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2)를 접거나 펼치는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고, 오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성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본체(12)의 기밀성을 위한 기밀재 등의 부가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2)는 천막이나 튜브 등과 같이 접고 펼침이 용이하다면 어떠한 재질이든 무방하다. 다만 본체(12)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튜브 구조를 취함으로써, 설치시에는 팽창되어 좀 더 튼튼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해체시에는 용이하게 작은 부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수축될 수 있다. 이때, 튜브 구조의 본체(12)는 공압이나 유압, 수압, 충진재 등 용이하게 팽창, 수축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든 무방하다할 수 있다.
또한 본체(12)는 밀폐형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후자의 경우 본체(12)의 제조는 물론 처리조(10)의 설치/해체작업이 보다 용이하며 오탁수의 정화처리과정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처리조 프레임(14)은 본체(1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성체이고, 본 체(12)와의 탈착이 용이하다면 어떠한 재질이나 구조를 취하든 무방하다.
이와 같은 처리조(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처리공간(10A,10B,10C)에서 다단의 오탁수 정화처리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싱글(single)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둘 이상의 구비되는 멀티(multy)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은 오탁수가 처리조(1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처리조(10)의 처리공간(10A,10B,10C)과 연결되어 오탁수를 유입을 안내하는 유입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20)는 기본적으로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유입용 관(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용 관(22)의 처리공간 측 단부(22A)는 처리공간(10A,10B,10C)의 상측부, 하측부, 중앙부 등 어디든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유입용 관(22)의 처리공간 측 단부(22A)는 처리공간(10A,10B,10C)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것이 다음과 같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슬러지(S)는 미세한 입자인 경우는 부유됨으로써 침강, 침전이 어렵기 때문에 서로 응집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인 덩어리를 이루는 것이 침강, 침전되는데 보다 유리하다. 따라서, 유입용 관(22)에 의해 오탁수가 슬러지(S)가 침강,침전되어 있는 처리공간(10A,10B,10C)의 하측부로 유입됨으로써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S)의 응집을 활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난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데, 유입용 관(22)에 의해 오탁수가 처리공간(10A,10B,10C) 내 수중으로 유입되며 오탁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처리공간(10A,10B,10C)의 하측부에 침강,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S)가 활성됨으로써 충분한 난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결과, 슬러지(S)의 침강,침전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이에 따라서 오탁수 정화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용 관(22)의 처리공간 측 단부(22A)는 가능한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에 가깝도록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되, 너무 낮으면 처리공간(10A,10B,10C)에 침강, 침전된 슬러지(S)의 무게 등에 의해서 오탁수 유입이 방해를 받거나 난류 발생이 저하될 수 있는 바,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나아가, 유입용 관(22)의 처리공간 측 단부(22A)는 난류유동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특히 도 7 및 도 10, 도 1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가 상측을 향해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유입되면서 상승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홀(22B)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도 10, 도 12 참조)
한편, 유입부(20)는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용 관(22)으로부터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유입되는 오탁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유입용 관(22)의 상기 처리공간 측 단부(22A)에 설치되며 유입용 관(22)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24A)이 형성된 캡(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오탁수 유입에 의해 캡(24)이 회전됨에 따라서 오탁수가 유입용 관(22) 으로부터 상승류는 물론 회전류를 형성하면서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유입됨에 따라, 난류 유동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캡(24)의 홀(24A)은 그 개수 및 형상 등이 회전류 형성을 위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캡(24)은 무동력 구동으로서 오탁수의 유입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에 유입에 의한 캡(24)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도록 날개(24B)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정화 처리된 처리수 배출을 위한 배출부(25)는 처리수 배출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공간(10A,10B,10C)의 상측부의 상등수만 슬러지(S)없이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오버 플로우(over flow) 방식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처리공간(10A,10B,10C)의 상측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은 처리공간(10A,10B,10C) 중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10A)과 구획되어 정류공간(10B)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오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30A)이 형성된 정류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정류부(30)에 의해 유입공간(10A)과 구획된 정류공간(10B)이 형성됨에 따라서 유입공간(10A)의 난류 유동의 영향이 배제될 수 있기 때문에 정류공간(10B)에서 수류가 안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응집된 슬러지(S)가 충분히 침강,침전될 수 있다.
따라서, 슬러지(S)의 침강, 침전이 보다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러지(S)가 충분히 제거된 처리수만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오탁수가 정류부(30)의 좁은 홀(30A)을 통과함으로써, 오탁수의 유입 시 활성 에너지가 크게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수류의 안정화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할 수 있다.
특히 정류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식 구성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정류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구성됨으로써, 해체시 처리조(10)와 정류부(30)가 분리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류부(30)는 일부분만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구성됨으로써 해체시 처리조(10)의 한쪽에 겹쳐진 상태로 처리조(10)와 함께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류부(30)는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zipper) 방식에 의해 처리조(10), 보다 정확하게는 처리조(10)의 본체(12)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정류부(30)와 처리조(10)의 본체(12)에 각각 지퍼의 한 쌍의 치(tooth)(42)(44)가 구비되며, 이 한 쌍의 치(42,44)가 지퍼의 손잡이(46)에 서로 맞물려 닫힘으로써 정류부(30)가 처리조(10)의 본체(12)에 설치되고, 서로 맞물려있는 한 쌍의 치(42,44)가 지퍼의 손잡이(46)에 의해 열림으로써 정류부(30)가 처리조(10)의 본체(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지퍼 방식은 한 쌍의 치(42,44)가 서로 밀접되게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정류부(30)와 처리조(10)의 본체(12) 간 기밀성이 충분한 확보될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크류(screw) 체결방식, 고리방식, 끈 묶음 방식, 벨크로 테이프 등에 의한 접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류부(30)는 처리조(10)의 본체(12)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류부(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처리조(10)의 본체(12)와 전부분이 분리될 수 있든, 일부분만 분리될 수 있든 상관없이, 상술한 처리조(10)의 본체(12)처럼 접고 펼치기 쉽도록 천막이나 비닐 등의 접고 펼침이 가능한 시트(sheet)(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류용 시트(32)'라 한다)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정류부(30)는 상하방향을 따라 처리공간(10A,10B,10C)를 전체적으로 구획토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원활한 수류를 위해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되도록 처리조(10)의 본체(12)와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특히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오탁수는 정류부(30)의 홀(30A)들은 물론 상하방향을 따라서 정류부(30)와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 사이 공간을 통해 정체되지 않고 배출부(25)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은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공간(10A,10B,10C)의 타측, 즉 배출공간(10C)과 정류공간(10B) 사이에서 처리공간(10A,10B,10C)의 상측부 내 오탁수 흐름을 가로막도록, 처리공간(10A,10B,10C)에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되어 구비된 격벽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격벽부(50)에 의해, 특히 도 7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공간(10B)에서 배출공간(10A)으로 향하는 수류가 격벽부(50)와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 사이, 즉 하측부를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류공간(10B)에서 배출공간(10A)으로 향하는 수류에는 정류공간(10B)의 상측부에 부유된 미세 입자의 슬러지(S)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50)에 의해, 특히 도 7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공간(10B)에서 배출공간(10A)으로 향하는 수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됨에 따라서, 정류공간(10B) 및 배출공간(10C)에서도 슬러지(S)의 침강/침전이 충분히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벽부(50) 또한 상술한 정류부(30)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부가 처리조(10)의 본체(12)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접고 펼침이 용이한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공간(10A,10B,10C)는 유입공간(10A) 및 정류공간(10B), 배출공간(10C)이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 정화처리단계, 즉 오탁수가 유입되며 슬러지(S)가 침강,침전되는 침강,침전단계(A) 및 오탁수가 안정화되는 정류단계(B),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오버 플로우 방식으로 배출되는 오버 플로우 배출단계(C) 순서에 대응하여,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수류가 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류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인한 유동저항이 배제될 수 있어서, 수류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은 배출부(25)로 배출되는 처리수가 통과하는 유로(62A)가 형성되며, 이 유로(62A)를 통과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여과재는 상술한 허니컴 구조체(6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허니컴 구조체(60)가 여과재(60)가 되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과재를 허니컴 구조체(60)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한다.
이와 같이 여과재(60)가 구비됨에 따라서, 처리수가 배출부(25)로 배출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S), 특히 미세 입자형태로 부유된 슬러지(S)가 여과재(60)에 의해 흡착되어 제거됨으로써, 오탁수의 정화처리효율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나아가 여과재(60)는 도 7 및 도 1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처리수가 오버 플로우 방식으로 배출되는 경우, 유로(62A)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유로(62A)가 오버 플로우 배출되는 상향의 처리수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S)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여과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0) 내 배출공간(10C)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배출부(25)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전자의 경우가 여과재(60)의 유지,보수 등이 보다 용이하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재(60)는 상술한 정류부(30)나 격벽부(50)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부가 처리조(10)의 본체(12)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60)는 필요에 따라서는 처리조(10)의 본체(12)에 설치되기 위해 브래킷 등의 부가 부재에 의해 지지되거나, 가볍기 때문에 부양력에 의해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여과재(60)는 어떠한 방법으로 처리조(10)의 본체(12)에 설치되든 무방하나, 처리수가 반드시 여과재(6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여과재(60)의 둘레와 처리조(10)의 본체(12) 사이를 통한 누수가 없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탁수 처리시설은 상술한 오탁수 정화처리모듈(1A)에 의해 오탁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기계장비(1B)(1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기계장비(1B)는 오탁수의 정화 처리 방법,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기계장비(1B) 중 하나로는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부터 오탁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조(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동력에 의해 오탁수를 압송하는 펌프(4)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계장비(1B)로서, 처리조(10)의 유입공간(10A)에서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슬리저(S)의 응집을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6)가 구성될 수 있다.
응집제 공급부(6)는 응집제가 오탁수와 신속히 혼합되어 슬러지(S)의 응집이 신속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술한 유입부(20)와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오탁수와 응집제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서로 혼합된 오탁수와 응집제는 처리조(10)에 유입되기 전에 오탁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위해 인라인 믹서(inline mixer) 등의 혼합부(7)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기계장비(1B)로서, 오탁수 유입량 조절을 위해, 펌프(4)에 의해 압송된 오탁수를 강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 다시 되돌려보내는 바이패스(by-pass)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오탁수 정화처리를 위해서라면 기계장비(1B)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복수개의 시트의 접합되지 않은 상태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복수개의 시트의 접합부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허니컴 구조로의 형상화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도 6은 모식도.
도 7은 오탁수 정화처리모듈 단면도.
도 8은 오탁수 정화처리모듈 사시도.
도 9는 오탁수 정화처리모듈 분해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유입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A; 오탁수 정화처리모듈 1B: 기계장비
4; 펌프 6; 응집제 공급부
7; 혼합부 8; 바이패스
10; 침전조 10A; 유입공간
10B: 정류공간 10C: 배출공간
20; 유입부 22; 유입용 관
24; 캡 30; 정류부
50; 격벽부 60; 허니컴 구조체, 여과재
62; 셀 62A; 유로
62B; 시트 62D: 접합부
62F; 미 접합부 64; 프레임

Claims (16)

  1. 서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시트(62B)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시트(62B)는 서로 일부분이 접합되고 미 접합부(62F)이 서로 유격되어 유로(62A)를 형성하고, 각 시트(62B)의 접합되는 접합부(62D)는 서로 나란히 복수개 형성되며 그 인접한 시트(62B)들 중 어느 한쪽의 시트(62B)와 접합되는 접합부(62D) 및 그 반대쪽 시트(62B)와 접합되는 접합부(62D)가 교차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복수개의 시트(62B)가 다수의 셀(62)을 갖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복수개의 시트(62B)는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로(62A)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시트(62B)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시트(62B)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강성체인 프레임(6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62A)는 그 단면이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62D)는 상기 시트(62B)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62D)는 상기 시트(62B)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하거나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컴 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오탁수가 유입되어 그 유입된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가 침전되며 상기 슬러지(S)가 침전된 처리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처리공간(10A,10B,10C)을 갖는 처리조(10);
    청구항 1,2,4,5 중 어느 한 항의 허니컴 구조체로 구비되어 상기 허니컴 구조체의 유로를 통과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10)는 조립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60)는 상기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60)는 상기 유로(62A)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유입을 위한 유입부(20)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과 연결되어 상기 오탁수를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안내하는 유입용 관(22)의 상기 처리공간 측 단부(22A)가,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하측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유입을 위한 유입부(20)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과 연결되어 상기 오탁수를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안내하는 유입용 관(22) 및, 상기 유입용 관(22)으로부터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으로 유입되는 오탁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용 관(22)의 상기 처리공간 측 단부(22A)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용 관(22)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24A)이 형성된 캡(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일측이 상기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10A)과 구획되어 정류공간(10B)을 이루도록 상기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오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30A)이 형성된 정류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30)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가 배출되는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타측인 배출공간(10C)과 상기 정류공간(10B) 사이에서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상측부 내 오탁수 흐름을 가로막도록,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에 상기 처리공간(10A,10B,10C)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된 상태로 상기 처리조(1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격벽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KR1020090058797A 2009-06-30 2009-06-30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1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797A KR101113899B1 (ko) 2009-06-30 2009-06-30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797A KR101113899B1 (ko) 2009-06-30 2009-06-30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14A KR20110001314A (ko) 2011-01-06
KR101113899B1 true KR101113899B1 (ko) 2012-02-29

Family

ID=4360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797A KR101113899B1 (ko) 2009-06-30 2009-06-30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6562B (zh) * 2015-09-25 2017-11-24 江西鑫陶科技股份有限公司 海洋管式生物挂膜填料
KR102504266B1 (ko) * 2020-06-29 2023-02-27 가람환경기술(주) 세척이 용이한 스크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704B1 (ko) * 2006-03-17 2006-11-23 (주)성신엔지니어링 경사판 침전조
KR20090013582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지오웍스 현장 조립식 정화조를 이용한 이동식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704B1 (ko) * 2006-03-17 2006-11-23 (주)성신엔지니어링 경사판 침전조
KR20090013582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지오웍스 현장 조립식 정화조를 이용한 이동식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14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BRPI0919152B1 (pt) dispositivo de sedimentação para um fluido contendo líquido, gás e material particulado, purificador, e, método para a purificação aeróbica ou anaeróbica de um fluido de água residual
KR200483464Y1 (ko)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20092236A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1113899B1 (ko)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US20170136393A1 (en) Support structure for fluid treatment systems having belted filtration systems
KR10123922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12209471A (zh) 一种工业污水液膜分离处理装置
KR101113681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20094B1 (ko)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47216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JP7093785B2 (ja) パッシブ重力フィルタセル及びその使用方法
CN206688300U (zh) 人字形水平管模块
KR101183533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CN206219333U (zh) 一种环糊精衍生物生产用水处理装置
KR101147214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91931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39814B1 (ko) 오탁수처리시설 및 그 처리조
KR20110022996A (ko) 오탁수 처리시설
CN207412948U (zh) 一种滤布滤池
CN113209687A (zh) 一种废液废渣分离装置
KR101753901B1 (ko) 다지여과망을 이용한 여과부 및 이에 사용되는 천공배수파이프와 이를 이용한 여과시설
CN206156823U (zh) 一体化多功能便携可拼装式的水处理应急装置
KR20120069862A (ko) 저수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20170097598A (ko) 다지여과망 및 이를 이용한 여과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