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533B1 -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533B1
KR101183533B1 KR1020090080551A KR20090080551A KR101183533B1 KR 101183533 B1 KR101183533 B1 KR 101183533B1 KR 1020090080551 A KR1020090080551 A KR 1020090080551A KR 20090080551 A KR20090080551 A KR 20090080551A KR 101183533 B1 KR101183533 B1 KR 10118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ettling
water
wall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990A (ko
Inventor
장진택
Original Assignee
장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택 filed Critical 장진택
Priority to KR102009008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5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1,22,23,24)을 갖으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 상기 오탁수가 상기 처리공간(21,22,23,24)에 유입되어 다단계에 걸쳐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공간(21,22,23,24)을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를 제시한다.
오탁수, 침사, 침전, 조립, 이동

Description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운하의 정비 및 주변 개발 등을 위해 가물막이 공사나 간척공사 등을 하는 경우에는, 토사나 부유물질로 혼탁,오염된 오탁수가 발생된다.
발생된 오탁수를 정화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오탁수가 이동, 확산됨에 따라서 주변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어 생태계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가물막이 공사 등의 건설, 토목 공사시에는 발생되는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할 수 있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1,22,23,24)을 갖으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 상기 오탁수가 상기 처리공간(21,22,23,24)에 유입되어 다단계에 걸쳐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공간(21,22,23,24)을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를 제시한다.
상기 다수개의 구획부재(30)는, 상기 처리공간(21,22,23,24)에 유입된 오탁수가 순서대로 침사단계, 침전단계, 정류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처리공간(21,22,23,24)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방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구획부재(30)는, 상기 침사단계를 위한 침사공간(21)과 상기 침전단계를 위한 초기침전공간(22)을 구획하며 상기 침사공간(21)의 오탁수가 상기 초기침전공간(22)으로 월류하도록 구비되는 월류벽(32); 상기 초기침전공간(22)과 상기 정류단계를 위한 정류공간(23)을 구획하며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34); 상기 정류공간(23)과 상기 오탁수가 방류되는 방류공간(24)을 구획하며 상기 방류공간(24)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동을 하향에서 상향 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간벽(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월류벽(32)은 상기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다공성 정류벽(34)의 상단보다 낮은 소정 높이까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정류벽(34)은 상기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으로부터 유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월류벽(32)의 상단보다 높은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며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일 수 있다.
상기 간벽(36)은 상기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으로부터 유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오버플로우 방류높이보다 높은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며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일 수 있다.
상기 월류벽(32) 및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30)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류공간(24)의 상측부에는 상기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처리수가 통과하는 유로(50A)가 형성되며, 이 유로(50A)를 통과하는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사공간(21)의 하측부 또는 초기침전공간(22)의 하측부와 연결되는 오탁수유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사공간(21)과 연결되며, 상기 오탁수가 응집제 공급부(6)로부터 공급받은 응집제와 혼합된 상태로 동력에 의해 상기 침사공간(21)으로 압송될 수 있도 록 구비된 오탁수유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본체(20)를 지지하는 처리조용 프레임(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탁수가 유입되어 오탁수 속의 침사물(G)이 침사되는 침사공간(21)을 갖는 침사조(100); 상기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침전공간(22,23,24)을 갖는 침전조(110); 상기 침사공간(21)의 상측부와 상기 침전공간(22,23,24)을 연결하여 상기 침사공간(21)으로부터 상기 침전공간(22,23,24)으로 오탁수를 안내하며, 상기 침사조(100)와 상기 침전조(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분리 가능하는 관형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를 제시한다.
상기 관형부재(120)는 상기 침전공간(22,23,24)의 하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침전공간(22,23,24) 내에 상기 침사공간(21)에서 유입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초기침전공간(111)을 구획하며,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134A)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34); 상기 침전공간(22,23,24) 내에 상기 다공성 정류벽(34)을 통과한 오탁수가 유입되는 정류공간(112)과 상기 정류공간(112)을 통과한 오탁수가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방류공간(113)을 구획하며, 상기 방류공간(113)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동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는 간벽(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사조(100) 및 침전조(110),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해체, 운반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사조(100) 및 침전조(11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침사조(100), 침전조(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30,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이동식으로 구비되어 오탁수를 침전방식에 의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할 수 있으며, 특히 건설, 토목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오탁수 속의 비중이 큰 침사물을 먼저 침사시킨 후,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특히 돌, 모래 등의 비중이 큰 침사물이 많은 건설, 토목분야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오탁수가 침사 후 월류하여 다음 단계로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수압력이나 교반력에 크게 작용하더라도 침사물이 넘어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사조와 침전조를 분리 구성할 경우, 오탁수 유형 등에 따라서 침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사조와 침전조를 분리 구성할 경우, 침사조로부터 월류한 오탁수를 침전조의 하측부로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전공간 내 기존 슬러지 활성시켜서 슬러지 응집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침전효율, 즉 오탁수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은, 기본 적으로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의 건설 토목 공사 등으로 발생되는 오탁수가 정화 처리되는 오탁수처리부(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 정화 처리 방법이나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물막이공사, 터널공사 등의 건설,토목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수는 화학약품 등에 의해 오염된 것보다는 흙이나 유기물질 등에 의해 혼탁된 경우가 보편적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로부터 침전방식에 의해 흙이나 유기물질 등의 침전물, 즉 슬러지(S)를 침전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침전방식의 오탁수처리부(1A)는 다단계에 걸쳐서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를 침전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 속의 슬러지(S)를 활성화시켜서 침전,침강시키는 초기침전단계(B)와, 수류를 안정화시킨 상태에서 슬러지(S)를 침전,침강시키는 정류단계(C)와, 침전방식에 의해 정화처리된 오탁수, 즉 처리수가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방류되는 방류단계(C) 순으로 오탁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류단계(C)는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여 여과시키는 여과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특히 건설,토목공사시에는 비교적 비중이 큰 돌, 모래 등도 많이 오탁수에 섞여 있는바, 침전 전에 비중이 커서 물속에 잘 가라앉는 돌, 모래 등 의 침사물(G)을 침사시키는 침사단계(A)에 의해 오탁수를 먼저 처리해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은 상술한 오탁수처리부(1A)에 의해 오탁수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기계장비부(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계장비부(1B)는 오탁수의 정화 처리 방법,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계장비부(1B) 중 하나로는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부터 오탁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오탁수처리부(1A)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동력에 의해 오탁수를 압송하는 펌프(4)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계장비부(1B)로서, 초기침전단계(A)에서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슬리저(S)의 응집을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6)가 구성될 수 있다.
응집제 공급부(6)는 응집제가 오탁수와 신속히 혼합되어 슬러지(S)의 응집이 신속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탁수처리부(1A)와 연결되어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오탁수유입부(10)와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오탁수와 응집제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서로 혼합된 오탁수와 응집제는 오탁수처리부(1A)에 유입되기 전에 오탁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위해 인라인 믹서(inline mixer) 등의 혼합부(7)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기계장비부(1B)로서, 오탁수 유입량 조절을 위해, 펌프(4)에 의해 압송 된 오탁수를 강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 다시 되돌려보내는 바이패스(8)(by-pass)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오탁수 정화처리를 위해서라면 기계장비부(1B)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오탁수처리부의 일 실시 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오탁수처리부(1A)는 기본적으로,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1,22,23,24)을 갖는 처리조 본체(20)와, 오탁수가 처리공간(21,22,23,24)에 유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계에 걸쳐 처리될 수 있도록 처리공간(21,22,23,24)을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구획부재(30)는, 침사단계, 침전단계, 정류단계, 방류단계 순서대로 오탁수가 처리될 수 있도록, 월류벽(32) 및 다공성 정류벽(34), 그리고 간벽(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월류벽(32)은 오탁수 속의 침사물(G)이 충분히 침사될 수 있도록 침사단계를 위한 침사공간(21)과 침전단계를 위한 초기침전공간(22)을 구획할 수 있다.
특히 월류벽(32)은 도 2의 화살표 F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공간(21)의 오탁수가 초기침전공간(22)으로 월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월류벽(32)은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월류벽(32)은 오탁수가 처리공간(21,22,23,24)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처리공간(21,22,23,24)보다는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월류벽(32)은 오탁수의 월류가 가능토록 침사공간(21)의 수면보다는 낮은 높이로 구비된다.
이와 아울러 월류벽(32)은 초기침전공간(22)에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원활하게 침전될 수 있도록, 다공성 정류벽(34)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월류벽(32)이 다공성 정류벽(34)보다 낮게 구비됨으로써, 오탁수가 침사공간(21)에서 초기침전공간(22)으로 월류하더라도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응집되지 않고 부유되어 높은 수압에 의해 다공성 정류벽(34)을 타고 넘어가지 않게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월류벽(32)에 의해 침사공간(21)과 초기침전공간(22)을 구획함에 따라서, 침사공간(21) 내에 상등수만이 월류벽(32)을 타고 넘어가서 초기침전공간(22)으로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높은 수압으로 오탁수가 유동될지라도 침사공간(21)에서 침사물(G)이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침사될 수 있으며, 높은 수압의 오탁수에 의해 침사물(G)이 휩쓸려 초기침전공간(22)으로 유동되지 않게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우수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침전공간(22), 정류공간(23), 방류공간(24)에서 비중이 큰 침사물(G)에 의한 유동저항 또는 유동막힘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 다공성 정류벽(34)은 초기침전공간(22)과 정류공간(23)을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초기침전공간(22)에서 정류공간(23)으로의 오탁수의 유동은 물 론 정류공간(23)의 수류 안정화를 위해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3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정류벽(34)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홀(34A)을 통해서만 오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4)에 의한 오탁수의 유동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화살표 'F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4)은 다공성 정류벽(34)의 하측을 통한 오탁수의 유동이 가능토록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예를 들어, 30cm정도)(H) 유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5을 참조하면, 다공성 정류벽(34)은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 닿도록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서부터 월류벽(32)의 상단보다 높은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되, 화살표 'F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탁수의 유동을 위해 오탁수에 의해 펄럭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다공성 정류벽(3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4)의 하단부가 오탁수의 유동에 의해 펄럭거릴 수 있도록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34)의 하단부인 상기 다공성 정류벽(34)의 하단에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까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유단부(34B)'라 한다)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와 결합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공성 정류벽(34)은 자유단부(34B)의 나머지 부분(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속부(34C)'라 한다)만이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 다.
따라서 다공성 정류벽(34)의 하단부가 오탁수의 유동에 의해 펄럭거림에 따라서 오탁수는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지만, 초기침전공간(22)에서 응집된 슬러지(S)는 오탁수에 휩쓸리더라도 펄럭거리는 다공성 정류벽(34)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응집 슬러지(S)의 유동이 저항을 받음에 따라서 응집 슬러지(S)가 초기침전공간(22)에서 머물면서 농축되어 더 원활하게 응집될 수 있기 때문에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오탁수가 다음 단계로 유동됨에 따라서 슬러지(S) 함수율이 현격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정류벽(34)에 의해 초기침전공간(22)의 상측부에서는 다공성 정류벽(34)의 다수의 홀(34A)을 통한 유동만 가능하기 때문에, 초기침전공간(22)에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부유된 상태로 정류공간(23)으로 넘어가지 않고 충분히 응집되어 침전될 수 있어서, 침전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할 수 있다.
다음, 간벽(36)은 정류공간(23)과 방류공간(24)을 구획하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오탁수가 오버플로우에 의해 방류될 수 있도록 방류공간(24)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동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34)과 마찬가지로, 도 2를 참조하면 화살표 'F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간벽(36)은 간벽(36)의 하측을 통한 오탁수의 유동이 가능토록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예를 들어, 30cm정도) 유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간벽(36)은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 닿도록 처리공간(21,22,23,24)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되, 화살표 'F5'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탁수의 유동을 위해 오탁수에 의해 펄럭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간벽(36)은 방류공간(24)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오탁수가 간벽(36)을 월류하여 정류공간(23)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오버플로우 방류높이보다는 높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월류벽(32) 및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구획부재(30)의 폭방향(화살표 W)과 수직한 길이방향(화살표 L)을 따라서 일렬로 배열됨에 따라서 수류가 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수류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인한 유동저항이 배제될 수 있어서, 수류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월류벽(32) 및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히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월류벽(32) 및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용접(welding)이나 봉제 방법 등에 의해 처리조 본체(20)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벽(32) 및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지퍼(zipper)(40)나 벨크로 테이프 방법 등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처리조 본체(20)는 해체, 운반이 용이하도록, 텐트(tent)와 같이 오탁수 처리를 위한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작은 부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천막이 나 라이너(liner) 등의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처리조 본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텐트처럼 작은 부피로 접힐 수 있다면 일부분만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오탁수처리부는 해체, 운반될 수 있는 조립, 이동식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 본체(20)가 다수개의 부재들에 의해 조립, 해체되는 분리형 구조가 아닌 텐트처럼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조 본체(20)의 조립, 해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오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성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처리조 본체(20)의 기밀성을 위한 기밀재 등의 부가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아울러, 플렉서블 재질의 처리조 본체(20)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튜브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설치시에는 처리조 본체(20)가 팽창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오탁수 처리를 위한 형상으로 펼쳐진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해체시에는 처리조 본체(20)가 팽창압력해제에 의해 수축되어 용이하게 작은 부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처리조 본체(20)는 공압이나 유압, 수압, 충진재 등 용이하게 팽창, 수축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든 무방하다할 수 있다.
한편, 처리조 본체(20)는 밀폐형 구조는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적어 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형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처리조 본체(20)의 제조는 물론 오탁수처리부의 조립/해체작업이 보다 용이하며 오탁수의 정화처리과정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재질의 처리조 본체(20)는 오탁수 유입에 따른 수압을 견디는데는 구조적으로 약하므로, 강성체인 처리조용 프레임(2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처리조용 프레임(28)에 의해, 처리조 본체(20)가 오탁수 유입에 따른 수압을 견디면서 오탁수 처리를 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처리조용 프레임(28)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 본체(20)와 함께 조립, 이동식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조용 프레임(28)은, 처리조 본체(2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서로 링형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테두리부재(미도시)와,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테두리부재와 탈착 가능토록 연결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28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테두리부재는 처리조 본체(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삽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조용 프레임(28)은 수압력 등에 따라서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틸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처리조 본체(20)의 침사공간(21)에는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오탁수유입부(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방류공간(24)에는 처리수의 오버플로우 방류를 위한 방류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오탁수유입부(10)는 침사공간(21)의 하측부와 연결되는 것이 침사물(G)의 침사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아울러, 처리조 본체(20)에는 오버플로우 방류공간(24)으로부터 방류되는 처리수가 통과하는 유로(50A)가 형성되며, 이 유로(50A)를 통과하는 상등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오버플로우 방류공간(24)으로부터 방류되는 상등수에 포함된 슬러지(S), 특히 미세 입자형태로 부유된 슬러지(S)가 여과재(50)에 의해 흡착되어 제거됨으로써,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재(50)는 특히 유로(50A)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슬러지(S)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여과재(50) 또한 상술한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여과재(50) 자체 또한 고형구조보다는 조립,이동식 구조를 위해 플렉서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오탁수처리부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오탁수처리부는 오탁수가 유입되며 오탁수 속의 침사물(G)이 침사되는 침사공간(21)을 갖는 침사조(100)와,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침전공간(22,23,24)을 갖는 침전조(110)와, 침사공간(21)의 상측부와 침전공간(22,23,24)을 연결하여 침사공간(21)으로부터 침전공간(22,23,24)으로 오탁수를 안내하며 침사조(100)와 침전조(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분리 가능하는 관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관형부재(120)가 침사공간(21)의 상측부와 연결됨에 따라서, 오탁수가 침사공간(21)으로부터 월류하듯이 침전조(11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침사조(100)와 침전조(110)가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오탁수 유형에 따라서 침사조(1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터널공사시와 같이 오탁수에 비중이 큰 침사물(G)이 많이 섞인 경우에는 관형부재(120)에 의해 침사조(100)를 침전조(110)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가물막이공사시와 같이 비중이 큰 침사물(G)이 상당히 적은 경우에는 침사조(100)를 분리하여 빼놓고 침전조(110)에 의해서만 오탁수를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관형부재(120)는 침전공간(22,23,24)의 하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오탁수가 침사공간(21)으로부터 월류하여 침전공간(22,23,24)으로 유입됨은 물론, 관형부재(120)에 의해 하향 유동되어 침전공간(22,23,24)의 하측부로 고압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침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슬러지(S)는 미세한 입자인 경우는 부유됨으로써 침강, 침전이 어렵기 때문에 서로 응집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인 덩어리를 이루는 것이 침강, 침전되는데 보다 유리하다. 따라서, 슬러지(S)가 침강,침전되어 있는 침전공간(22,23,24)의 하측부로 유입용 관에 의해 오탁수가 유입됨으로써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S)의 응집을 활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난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데, 오탁수의 수압에 의해 침전공간(22,23,24)의 하측부에 침강,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S)가 활성됨으로써 충분한 난류 유동이 형성 될 수 있다. 이 결과, 슬러지(S)의 침강,침전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이에 따라서 오탁수 정화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할 수 있다.
아울러 침전조(110)는 오탁수의 다단처리를 위해, 다공성 정류벽(34)과 간벽(3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침전공간(22,23,24)이 초기침전공간(22), 정류공간(23), 방류공간(2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사조(100) 및 침전조(110),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해체, 운반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침사조(100) 및 침전조(110)는 각각, 수압 등을 견딜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조용 프레임과 같이, 프레임(130,1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오탁수유입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조(100)의 침사공간(21)과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침사조(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침전조(110)의 초기침전공간(21)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모식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제3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A: 오탁수처리부 1B: 기계장비부
4; 펌프 6; 응집제 공급부
7; 혼합부 8; 바이패스
20; 처리조 본체 21; 침사공간
22; 초기침전공간 23; 정류공간
24; 방류공간 30; 구획부재
32; 월류벽 34; 다공성 정류벽
36; 간벽 50; 여과재
100; 침사조 110; 침전조

Claims (17)

  1.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을 갖으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 및, 상기 오탁수가 상기 처리공간에 유입되어 다단계에 걸쳐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공간을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구획부재 중 하나는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30)을 이루며;
    상기 다공성 정류벽(30)은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며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이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2.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을 갖으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 및, 상기 오탁수가 상기 처리공간에 유입되어 다단계에 걸쳐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공간을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구획부재 중 하나는 상기 다수개의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오탁수가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방류공간(24)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동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간벽(36)을 이루며;
    상기 간벽(36)은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오버플로우 방류높이보다 높은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며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이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구획부재는 상기 처리공간에 유입된 오탁수가 순서대로 침사단계, 침전단계, 정류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처리공간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방류될 수 있도록,
    상기 침사단계를 위한 침사공간(21)과 상기 침전단계를 위한 초기침전공간(22)을 구획하며 상기 침사공간(21)의 오탁수가 상기 초기침전공간(22)으로 월류하도록 구비되는 월류벽(32);
    상기 초기침전공간(22)과 상기 정류단계를 위한 정류공간(23)을 구획하는 상기 다공성 정류벽(30);
    상기 정류공간(23)과 상기 오탁수가 방류되는 방류공간(24)을 구획하며 상기 방류공간(24)을 향하는 오탁수의 유동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간벽(3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월류벽(32)은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다공성 정류벽(34)의 상단보다 낮은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구획부재는 상기 처리공간에 유입된 오탁수가 순서대로 침사단계, 침전단계, 정류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처리공간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방류될 수 있도록,
    상기 침사단계를 위한 침사공간(21)과 상기 침전단계를 위한 초기침전공간(22)을 구획하며 상기 침사공간(21)의 오탁수가 상기 초기침전공간(22)으로 월류하도록 구비되는 월류벽(32);
    상기 초기침전공간(22)과 상기 정류단계를 위한 정류공간(23)을 구획하며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30);
    상기 정류공간(23)과 상기 방류공간(24)을 구획하는 상기 간벽(3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7. 청구항 3,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벽(32) 및 다공성 정류벽(34), 간벽(36)은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8. 삭제
  9. 오탁수가 유입되어 오탁수 속의 침사물(G)이 침사되는 침사공간(21)을 갖는 침사조(10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의해 이루어지는 침전조(110);
    상기 침사공간(21)의 상측부와 상기 침전조(110)의 침전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침사공간(21)으로부터 상기 침전조(110)의 침전공간으로 오탁수를 안내하며, 상기 침사조(100)와 상기 침전조(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분리 가능하는 관형부재(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재(120)는 상기 침전조의 침전공간의 하측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100)는 해체, 운반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1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류공간(24)의 상측부에는 상기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처리수가 통과하는 유로(50A)가 형성되며, 이 유로(50A)를 통과하는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14. 청구항 3,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공간(21)의 하측부 또는 초기침전공간(22)의 하측부와 연결되는 오탁수유입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15. 청구항 3,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공간(21)과 연결되며, 상기 오탁수가 응집제 공급부(6)로부터 공급받은 응집제와 혼합된 상태로 동력에 의해 상기 침사공간(21)으로 압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오탁수유입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16. 청구항 1 내지 4,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본체(20)를 지지하는 처리조용 프레임(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100) 및 침전조(11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침사조(100), 침전조(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30,1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20090080551A 2009-08-28 2009-08-28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83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51A KR101183533B1 (ko) 2009-08-28 2009-08-28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51A KR101183533B1 (ko) 2009-08-28 2009-08-28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90A KR20110022990A (ko) 2011-03-08
KR101183533B1 true KR101183533B1 (ko) 2012-09-20

Family

ID=4393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551A KR101183533B1 (ko) 2009-08-28 2009-08-28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417B1 (ko) 2018-03-26 2018-10-17 (주)신영토건 이동식 침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141B (zh) * 2018-07-19 2023-06-23 长沙理工大学 一种自动排污引水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44B1 (ko) * 2000-03-24 2002-06-12 조영만 회분식침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44B1 (ko) * 2000-03-24 2002-06-12 조영만 회분식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417B1 (ko) 2018-03-26 2018-10-17 (주)신영토건 이동식 침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90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1614687B1 (ko)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KR200417011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KR101820864B1 (ko) 섬유볼을 내장한 용존 공기 부상형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존 공기 부상형 수처리 방법
FI86293C (fi) Foerfarande foer rening av en vaetska fraon fasta och upploesta foeroreningar medelst ett flotationsfiltreringsfoerfarande.
JP4521614B2 (ja) 重力式ろ過装置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EP1882508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sowie ein Filter für die Filtratio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KR101183533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20094B1 (ko)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47216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KR101173780B1 (ko)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JP2006082005A (ja) 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濁水処理方法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1147214B1 (ko)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13899B1 (ko) 허니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오탁수 처리시설
KR101139814B1 (ko) 오탁수처리시설 및 그 처리조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JP2004276011A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JPWO2009060510A1 (ja) 水槽装置
KR20110022996A (ko) 오탁수 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