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241A -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241A
KR20110022241A KR1020090079750A KR20090079750A KR20110022241A KR 20110022241 A KR20110022241 A KR 20110022241A KR 1020090079750 A KR1020090079750 A KR 1020090079750A KR 20090079750 A KR20090079750 A KR 20090079750A KR 20110022241 A KR20110022241 A KR 20110022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tape
cutter
blade portion
blad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567B1 (ko
Inventor
홍면기
Original Assignee
홍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면기 filed Critical 홍면기
Priority to KR102009007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5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6Multip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통(10)의 후방 일측에 롤테이프(30)가 장착되고, 이 롤테이프(30)의 일측 끝단을 인출하여 절단기(20)에 마련된 테이프 삽입홈(27)을 통해서 외통(10)의 상단에 회전 구동하도록 마련된 원반(11)에 부착한 다음, 외통(10) 내부의 모터(M) 구동에 의한 절단기(20)의 전후방 반복 회동작업 및 절단 작업에 의해서 롤테이프(3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20)는, 절단기몸체(25) 하부에 캠축(46)을 매개로 조립된 캠조립체(40)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절단기몸체(25) 상부에 마련된 상부칼날부(21)의 칼날(21c)과 절단기몸체(25) 중단부에 마련된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이 교차되면서 롤테이프(30)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상부칼날부(21)는 절단기몸체(230)의 상부에서 상,하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칼날부(22)는 칼날(22a)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게 하부칼날부(22)의 일측 상단 부위에 힌지 구동을 할 수 있는 힌지구동부(22b)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기몸체(25)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롤테이프(30) 절단 시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은 힌지구동부(22b)를 통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면을 이루도록 회동 작동되고, 상기 상부칼날부(21)의 칼날(21c)이 하향 이동하여 경사진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과 교차되면서 롤테이프(30)를 절단하도록 된 것이다.
롤테이프, 절단장치, 절단기, 원반, 리드센서, 칼날, 캠조립체

Description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Automatic roll tap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칼날부과 하부칼날부에 의해서 롤테이프를 일정한 길이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절단기를 갖춘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칼날부가 일측 힌지구동부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약간 회동하게 되고, 이어 상부칼날부가 하강하여 테이프를 절단하게 됨으로써, 테이프의 절단면이 일직선으로 매끈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기의 동작이 멈출 경우에 항상 롤테이프를 절단기의 롤테이프의 삽입홈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일정한 위치에 멈추도록 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품의 포장작업을 할 때, 테이프를 접착시키기 위해서 권회된 롤테이프를 조금씩 풀어 칼 또는 가위로 절단하면서 작업을 하든가 또는 절단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에 권회된 테이프를 넣은 후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백화점, 수퍼마켓 및 기타 다수의 포장을 요하는 작업장에서 수작업을 통해 테이프를 절단하여 포장하고 있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번거로움으로 작 업시간이 길어 질뿐만 아니라 절단된 테이프의 길이나 형태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포장된 상품의 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계식 롤테이프 절단장치가 연구 개발되어 특허 및 실용신안 등록됨은 물론 현재 시판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량 발전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 최근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596726호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부칼은 고정되게 하는 한편, 하부칼이 승하강 되게 하여 테이프가 자동으로 절단 되게 하고, 하부칼의 상부 일측에 칼가이드돌기가 형성되게 하여 테이프의 절단시 상부칼과 하부칼이 손상되는 것이 예방되게 하는 한편, 하부칼의 교체 작업이 편리하게 되게 하며, 상,하부칼을 동작되게 하는 캠을 수지로 성형되게 하는 한편, 편리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도록 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는 후방 쪽의 롤테이프 장착부(300)에 롤테이프(도시안됨)가 설치되고, 이 롤테이프의 시작되는 단부가 인출되어 회전 구동하는 원반(180)에 부착된 후 절단기(200)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는 것으로, 절단기(200)의 상부에는 안전커버(10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받침대(104)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원반(180)은 외통(150) 내부에 설치된 모터(M) 동력에 의해 절단기(200)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바, 상기 원반(180)은 상기 절단기(200)를 통해 롤테이프가 절단되어 원반(180)의 부착부(181)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도록 일정각 도로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반(180)은 다이얼노브(140)에 축(151)으로 연결되어 기어(152)와 함께 동작하게 되는 캠(153)과, 이 캠(153)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제1 및 제2작동링크(160)(170)와, 이 제2작동링크(170)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작동판(184)의 순차적인 구동을 통해 회전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작동판(184)은 상기 제2작동링크(170)의 돌기(172)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이 작동판(184)의 상부에 회전부(182)가 위치하게 되며, 이 회전부(182)의 상부에 제동부(183)가 위치하게 되고, 이 제동부(183)에는 버튼(186)이 결합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200)는 캠축(241)을 중심으로 후방 쪽으로 이동되었다가 원반(180) 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원반(180)의 부착부(181)에 롤테이프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200)는 상부칼(210), 하부칼(220), 지지대(230), 캠조립체(240), 칼누름스프링(250) 및 칼작동판(2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칼(210)은 도 5a에 도시와 같이 수평면부(212)와 칼날부(211)가 “ㄱ”자의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수평면부(212)의 정중앙에 수직으로 구멍(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칼(210)은 지지대(230)의 상부에 상,하로 동작하게 되는 상부칼작동부(210a)에 볼트(214)로 고정되는데, 상부칼작동부(210a)의 상부면에 상기 수 평면부(212)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수평면부안착부(210b)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수직으로 구멍(210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칼(210)의 수평면부(212)는 상부칼작동부(210a)의 수평면부안착부(210b)에 긴밀하게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고, 볼트(214)가 구멍(213)을 통해 구멍(210c)에 조임 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하부칼(220)은 도 5b에 도시와 같이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상부변이 칼날을 이루게 되며, 이 칼날의 일 측(도면상 오른쪽)에 칼가이드돌기(220a)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칼(220)의 일 측변(도면상 왼쪽)에 홈(220b)이 형성되고, 면에는 두 개의 장공이 형성되는데, 도면상 오른쪽에는 수평의 제1장공(221)이 형성되며, 도면상 왼쪽에는 상부로 경사져서 그 끝이 상기 홈(220b)을 향하게 되는 제2장공(22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하부칼(220)이 상,하로 동작됨을 가이드 하게 되는 가이드(231)(232)가 형성되고, 가이드(231)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칼(220)의 홈(220b)과 대응하게 되는 홈(233)이 형성되며, 하부의 캠조립체(240)가 캠축(241)에 축설된다.
상기 가이드(231)의 홈(220b)에는 일단이 볼트에 의해 가이드(230)의 측면에 고정되는 스프링(234)의 단부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스프링(234)은 상기 하부칼(220)의 홈(220b)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31)에는 하부칼(2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 ㄴ”자 형상의 인출링크(236)가 설치되는데, 수직으로 이루는 막대 부분이 가이드(231)의 외부면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고, 수평을 이루는 부분이 지지대(230)의 중앙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 수평을 이루는 부분에 돌출부(23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인출링크(236)의 수평부분은 가이드(231)를 관통하여 지지대(230)의 중앙면에 형성된 동일한 모양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링크(236)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대(230)의 면에는 보스(23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조립체(24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242), 제2캠(243) 및 칼작동판캠(244)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제1캠(242)과 칼작동판캠(244) 각각에는 고정캠(245)(246)이 결합되는데, 고정캠(245), 제1 캠(242), 제2캠(243), 칼작동판캠(244), 고정캠(246)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캠(242)과 칼작동판캠(244)은 캠축(241)이 삽입되는 구멍(242b,244b)의 양쪽 보스(242a,244a)에 홈(242c,244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캠(243)은 캠축(241)이 삽입되는 구멍(243b)의 양쪽 보스(243a)에 상기 홈(242c,244c)에 대응하게 되는 돌기(243c)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캠(242)에 결합되는 고정캠(245)은 제1캠(242)에 결합되는 면의 보스(245a)에 돌기(245c)가 형성된다. 도면 중 245b는 캠축(241)이 삽입되는 구멍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칼작동판캠(244)에 결합되는 고정캠(246)은 칼작동판캠(244)에 결합되는 면의 보스(246a)에 돌기(246c)가 형성된다. 도면 중 246b는 캠축(241)이 삽입되는 구멍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캠조립체(240)에서 제1캠(242)과 칼작동판캠(244)은 제2캠(243)이 개재된 상태로 결합되는데, 홈(242c,244c)에 돌기(243c)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되고, 제1캠(242)의 일측에 고정캠(245)이, 칼작동판캠(244)의 일측에 고정캠(246)이 각각 결합되는데, 제1캠(242)과 칼작동판캠(244)의 홈(242c,244c)에 각각의 돌기(245c,246c)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캠조립체(240)의 각 캠(242)(243)(244)(245)(246)들은 캠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결정된 상태로 조립될 뿐만 아니라 그 조립된 상태로 편리하게 캠축(241)이 조립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칼누름스프링(250)은 도 5c에 도시와 같이 포크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가운데의 상부누름부(251)가 길게 형성되고, 그 양쪽의 하부누름부(242) 각각이 상부누름부(251) 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칼누름스프링(250)은 지지대(230)에 하부칼(220), 칼작동판(260)이 결합된 후 결합되는데, 고정볼트(253)가 보스(235)에 조임 됨으로써 고정되고, 상부누름부(251)는 하부칼(220)을 눌러주게 되며, 하부누름부(242)는 칼작동판(260)을 동시에 눌러주게 된다.
상기 칼작동판(260)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는데, 중앙에 상기 보스(235)의 양쪽 정점에 면접되는 한편, 상,하로 길게 되는 장공(268)이 형성되고, 상부변의 양쪽에 트랙 형상의 돌기판(264)(266)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이 돌기판(264)(266) 각각에는 원형 기둥 형상의 제1돌기(267)와 제2돌기(265)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판(266)의 하부에 위치하는 변에는 길게 연장판(261)이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면서 연장 형성되고, 이 연장판(261)을 따라 휠브래킷(262)이 형성되며, 이 휠브래킷(262)의 단부의 내측면에는 휠(263)이 축설된다.
상기 칼작동판(260)은 도 7c에 도시와 같은 칼작동판캠(244)에 의해 상,하로 동작하게 되는데, 상사점꼭지(244d)에 상기 휠(263)의 하부정점이 위치할 때 하부칼(222)이 상부칼(210)을 지나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절단기(200)는 상기 지지대(230)의 상부칼작동부(210a)에는 상부칼(210)에 볼트(214)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대(230)의 가이드(231,232)를 통해 하부칼(220)이 삽입되며, 지지대(230) 측면의 스프링(234) 단부가 하부칼(220)의 홈(220b)을 경유하여 가이드(231) 상부의 홈(233)에 걸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칼(220)에 칼작동판(260)이 중첩되고, 이 칼작동판(260)에 칼누름스프링(250)이 중첩되어 볼트 조임에 의해 결합되게 하고, 칼작동판(260)의 휠(263)이 캠조립체(240) 중 칼작동판캠(244)에 접촉되게 하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칼작동판(260)의 제1돌기(267)가 하부칼(220)의 제1장공(221)에 위치하게 되고, 제2돌기(265)는 제2장공(22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축(241)의 동작으로 캠조립체(240)가 회전함에 따라 칼작동판캠(244)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칼작동판(260)이 상,하로 동작하게 되는데, 도 7a에 도시와 같은 상태에서 칼작동판(260)이 점차 상승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와 같이 스프링(234)이 하부칼(220)의 일측이 상승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도 7c 에 도시와 같이 하부칼(220)이 경사진 상태로 상부칼(210)에 대해 교차 되게 한다.
이러한 동작은 칼작동판(260)의 제1돌기(267)가 하부칼(220)의 제1장공(221)에 삽입된 상태로 하부칼(220)이 상승되게 하나, 제2돌기(265)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제2장공(222)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하부칼(220)은 상부칼(210)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교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하게 되는 하부칼(220)은 일측의 칼가이드돌기(220a)가 먼저 상부칼(210)을 교차하게 되어 하부칼(220)이 상부칼(210)에 어긋나는 상태로 교차되게 하는 한편, 칼누름스프링(250)의 상부누름부(251)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교차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상부칼(210)은 지지대(230)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칼(220)은 칼누름스프링(250)에 의해 눌려지는 한편, 캠조립체(240) 중 칼작동판캠(244)에 의해 승하강되는 칼작동판(260)에 의해 동작되게 하여 칼날의 일측이 경사진 상태로 상부칼(210)에 대해 교차되게 하여 테이프가 절단되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하부칼(220)이 상향하여 상부칼(210)과 교차되는 상태로 테이프를 절단하는 구조에서는 하부칼(220)이 경사진 형태로 상향 이동하여 상부칼과 교차되면서 롤테이프를 절단하기 때문에 롤테이프의 절단면이 동시에 절단되는 것이 아니라 되는 경사진 하부칼(220)의 최상단점이 롤테이프 절단면의 최초 절단지점과 접촉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짧은 시간 내 순차적으로 하부칼(220)과 접촉되는 순서에 따라 절단면을 형성하며 절단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원반(180)의 부착부(181)에 부착된 롤테이프가 팽팽하게 당겨진 경우, 최초 절단지점에서 절단이 일어나면서 하부칼(220)에 의하여 절단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최초 절단지점을 기점으로 팽팽하게 당겨지는 힘에 의해 임의의 절단면이 형성된 체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칼(220)에 의한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팽팽하게 당겨지는 힘에 의해 절단면이 찢어지는 형태로 절단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부분 절단면이 칼날에 의해 매끈하고 수평 상태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에 비해 테이프의 절단면이 수평 상태로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롤테이프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서 상기 절단기(200)에 롤테이프를 맨 처음 끼워 넣기 위해서는 롤테이프를 끼워넣는 삽입홈이 항상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일정한 위치에 있어야 하나,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200)가 캠축(241)을 중심으로 후방 쪽으로 이동되었다가 원반(180) 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정지 신호가 발생하여 임의의 위치에 그대로 멈추게 된다.
이렇게 임의의 위치에 멈추는 경우에는 롤테이프를 끼울 수 있는 삽입홈이 개방되는 않은 위치에서도 그대로 멈출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추후 사용자가 절단기(200)에 롤테이프를 끼워 절단 과정을 수행하고자 할 때 수동으로 절단기(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롤테이프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삽입홈이 개방되는 위치로 절단기(200)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596726호에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칼날부과 하부칼날부에 의해서 롤테이프를 일정한 길이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칼날부가 일측 힌지구동부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약간 회동하게 되고, 이어 상부칼날부가 하강하여 테이프를 절단하게 됨으로써, 테이프의 절단면이 일직선으로 매끈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절단기가 캠축을 중심으로 후방 쪽으로 이동되었다가 원반 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롤테이프의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절단기의 동작이 멈출 경우에 항상 롤테이프를 절단기의 롤테이프의 삽입홈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일정한 위치에 멈추도록 함으로서, 롤테이프의 교체 작업이나 새로운 롤테이프를 끼워 넣을 때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통의 후방 일측에 롤테이프가 장착되고, 이 롤테이프의 일측 끝단을 인출하여 절단기에 마련된 테이프 삽입홈을 통해서 외통의 상단에 회전 구동하도록 마련된 원반에 부착한 다음, 외통 내부의 모터구동에 의한 절단기의 전후방 반복 회동작업 및 절단 작업에 의해서 롤테이 프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는, 절단기몸체 하부에 캠축을 매개로 조립된 캠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절단기몸체 상부에 마련된 상부칼날부의 칼날과 절단기몸체 중단부에 마련된 하부칼날부의 칼날이 교차되면서 롤테이프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상부칼날부는 절단기몸체의 상부에서 상,하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칼날부는 칼날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게 하부칼날부의 일측 상단 부위에 힌지 구동을 할 수 있는 힌지구동부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기몸체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롤테이프 절단 시 상기 하부칼날부의 칼날은 힌지구동부를 통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면을 이루도록 회동 작동되고, 상기 상부칼날부의 칼날이 하향 이동하여 경사진 상기 하부칼날부의 칼날과 교차되면서 롤테이프를 절단하도록 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절단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구조물로써, 양측 내주 벽면에 상부칼날부가 상,하로 동작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전면에 하부칼날부 및 칼작동판이 조립 장착되며, 하단 부위에 캠축을 매개로 캠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절단기몸체와; 상기 절단기몸체의 상부에서 상,하로 동작할 수 있도록 칼날이 전면에 배치되고, 그 하단 일측으로 롤테이프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롤테이프 삽입홈의 하부 쪽으로 절단기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가 연장 구비되고, 이 가이드부 최하단 일측에 상기 캠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절단기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통해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게 조립 설치되는 상부칼날부와; 상기 상 부칼날부의 칼날과 교차되면서 롤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그 상부 선단면이 칼날로 형성되고, 상기 칼날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게 일측 상단 부위에 힌지 구동을 할 수 있는 힌지구동부가 마련되며, 칼작동판과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절단기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하부칼날부와; 상기 하부칼날부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사각 판체의 일측 하단이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하단 부위에 캠조립체와 연동되는 캠접촉돌기가 구비되는 칼작동판과; 상기 상부칼날부에 형성된 롤테이프 삽입홈으로 롤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롤테이프를 상기 원반 쪽으로 이동시켜 부착하거나 절단하고자 할 때 롤테이프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롤테이프를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상기 상부칼날부와 하부칼날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캠조립체에 접촉 연동되는 누름판 작동돌기를 갖춘 롤테이프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칼날부의 칼날은 롤테이프와 접촉 시 롤테이프가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기의 롤테이프 절단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절단기의 롤테이프 삽입홈이 롤테이프 누름판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롤테이프를 롤테이프 삽입홈에 곧바로 끼워 넣을 수 있는 일정한 위치로 절단기가 항상 이동하여 정지하도록 상기 절단기의 하단 캠축에 연계되어 그 절단기의 일정한 위치를 감지하여 정지위치를 설정하는 리드센서가 외통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칼날부가 일측 힌지구동부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약간 회동하게 되고, 이어 상부칼날부가 하강하여 테이프를 절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롤테이프의 절단면을 일직선으로 매끈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기가 캠축을 중심으로 후방 쪽으로 이동되었다가 원반 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롤테이프의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절단기의 동작이 멈출 경우에 항상 롤테이프를 절단기의 롤테이프의 삽입홈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일정한 위치에 멈추도록 함으로써, 롤테이프의 교체 작업이나 새로운 롤테이프를 끼워 넣을 때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외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절단기가 설치되어 롤테이프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위치에 멈춰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서 절단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조립도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하부칼과 하부칼 작동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캠조립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또, 도 1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작동 상태를 정면도와 측단면도로 형태로 함께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들이다.
첨부 도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는 외통(10)의 후방 일측에 롤테이프(30)가 장착되고, 이 롤테이프(30)의 일측 끝단을 인출하여 절단기(20)에 마련된 롤테이프 삽입홈(27)을 통해서 외통(10)의 상단에 회전 구동하도록 마련된 원반(11)에 부착한 다음, 상기 원반(11) 중앙에 마련된 동작버튼(11a)을 누름에 따라 외통(10) 내부의 모터(M) 구동에 의한 절단기(20)의 전후방 반복 회동작업 및 절단 작업에 의해서 롤테이프(3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원반(11) 상에 절단된 테이프(31)가 일정간격을 두고 부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절단된 테이프(31)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는 모터(M)의 구동에 따라 기어조립체(17)의 작동에 의해서 절단기(20)가 후술하는 캠축(46)을 중심으로 후방 쪽으로 이동되었다가 원반(11) 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원반(11)에 롤테이프(3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상기 절단기(20)의 전후방 이동 거리(롤테이프의 절단거리와 동일함) 및 원 반(11)의 회전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절단기이동거리 조절노브(14)와 원반회전거리 조절노브(13)를 갖추고 있다.
이때, 상기 절단기이동거리 조절노브(14)를 통해서 상기 절단기(20)의 전후방 이동 거리(롤테이프의 절단길이와 동일함)를 조절하는 기계적 장치 구조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개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74488호(2005.1.19.등록, 명칭: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테이프 절단 길이 조절 장치)에 잘 나타나 있고, 상기 원반회전거리 조절노브(13)를 통해서 원반(41)의 회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 구조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개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74489호(2005.1.19.등록, 명칭: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테이프 송출 원반의 회전거리 조절 장치)에 잘 나타나 있는 관계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관계를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절단기(20)의 상부에는 안전커버(1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안전커버(12)가 씌어져야만 절단장치의 자동 구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버튼(11a)은 메인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원반(11)의 회동 작업 및 절단기(20)의 절단작업 시작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절단기(20)의 구성 및 작동과 관련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절단기(20)를 구성하는 하부칼날부(22)가 일측 힌지구동부(22b)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약간 회동하게 되고, 이어 상부칼날부(21)가 하강하여 롤테이프(30)를 절단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롤테이프(30)의 절단면이 일직선으로 매끈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 기(20)의 동작이 멈출 경우에 항상 롤테이프(30)를 절단기(20)의 롤테이프 삽입홈(27)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일정한 위치에 멈추도록 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도 12 내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단기(20)는, 절단기몸체(25), 상부칼날부(21), 하부칼날부(22), 칼작동판(23), 칼누름판스프링(24), 롤테이프 누름판(28) 및 캠조립체(40)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기몸체(25)는 절단기(2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조물로써,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상부칼날부(21)가 상,하로 동작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도시안됨)가 내주 벽면에 형성되고, 전면에 하부칼날부(22) 및 칼작동판(23)이 조립 장착되면, 하단 부위에 캠축(46)을 매개로 캠조립체(4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부칼날부(21)는 절단기몸체(25)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절단기몸체(25) 상에 조립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부칼날부(21)는 기역자 형상을 갖는 칼날이 전면에 배치되고, 그 하단 일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롤테이프 삽입홈(27)이 마련되며, 상기 롤테이프 삽입홈(27)의 하부 쪽으로 절단기몸체(2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21a)가 일체로 연장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상부칼날부(21)는 기역자형 칼날을 전면으로 하여 가이드부(21a)가 대략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연장 형성된 몸체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상부칼날부(21)는 절단기몸체(230)의 상부에서 상,하로 동작할 수 있게 조립되고, 절단기몸체(25)의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26) 통해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조립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칼날부(21)의 가이드부(21a) 최하단 일측에는 후술하는 캠조립체(40)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부칼날부(2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돌기(21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칼날부(22)는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그 상부 선단면이 칼날(22a)로 형성되고, 도 15에 도시와 같이 칼작동판(23)과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절단기몸체(25)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부칼날부(21)의 칼날(21c)과 교차되면서 롤테이프(30)를 절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때,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은 롤테이프(30)와 접촉 시 롤테이프(30)가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일측 상단 부위(도면상 왼쪽 상단 부위)쪽에는 힌지 구동을 할 수 있는 힌지구동부(22b)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하부칼날부(22)가 힌지구동부(22b)를 기준으로 힌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칼날(22a)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칼작동판(23)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체결되고, 사각 판체의 일측 하단(도면상 오른쪽 하단)이 하부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하단 부위에 캠조립체(40)와 연동되는 캠접촉돌기(23a)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칼작동판(23)은 도 12에 도시와 같은 칼작동판캠(44)에 의해 상,하 로 동작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칼누름판스프링(24)은 도면에 도시된 같이 포크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칼날부(22)와 칼작동판(23)을 눌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칼누름판스프링(24)은 절단기몸체(25)에 하부칼날부(22), 칼작동판(23)이 결합된 후 고정볼트로 조여서 고정함으로써, 하부칼날부(22)와 칼작동판(23)을 동시에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롤테이프 누름판(28)은 상기 상부칼날부(21)에 형성된 롤테이프 삽입홈(27)으로 롤테이프(30)가 삽입된 상태에서 롤테이프(30)를 상기 원반(11) 쪽으로 이동시켜 부착하거나 절단하고자 할 때 롤테이프(30)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롤테이프(30)를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부칼날부(21)와 하부칼날부(2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이 롤테이프 누름판(28)의 작동을 위해서 롤테이프 누름판(28)으로부터 하향 연결되어 캠조립체(40)에 접촉되는 부위에 누름판 작동돌기(28a)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롤테이프 누름판(28)은 상기 캠조립체(40)와 연동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롤테이프(30)를 눌러 고정시켜 주거나 롤테이프(3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기몸체(25) 상에는 상기 하부칼날부(2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니은자 형상의 인출링크(29)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캠조립체(40)는 상부칼날부(21)와 하부칼날부(22)와 조립된 칼작동판(23) 및 롤테이프 누름판(28)의 작동을 캠 구동을 통해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칼날부(21)와 롤테이프 누름판(28)과 연동되는 상부칼날부작동캠(42)과 칼작동판(23)과 연동되는 칼작동판캠(44)을 갖추고 있고, 상부칼날부작동캠(42)과 칼작동판캠(44) 사이에 중간캠(43)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칼날부작동캠(42)의 좌측면에는 상부칼날부(21)와 연동될 수 있도록 상부칼날부(21)에 구비된 가이드부(21a) 하단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1b)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상부칼날부작동캠(42)의 우측면에는 롤테이프 누름판(28)과 연동될 수 있도록 누름판 작동돌기(28a)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칼작동판캠(44)의 우측면에는 칼작동판(23)과 연동될 수 있도록 캠접촉돌기(23a)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중간캠(43)은 절단기(43)의 전후방 회동에 관여하는 캠이고, 상기 상부칼날부작동캠(42)의 측면에 연결된 원반작동캠(41)은 원반(11)의 회동에 관여하는 캠이며, 상기 칼작동판캠(44)의 측면에 연결된 고정캠(45)은 절단기(20)가 후방으로 회동하게 될 때 원할하게 눕혀지도록 안내하는 캠이다.
즉, 상기 원반작동캠(41)이 1회전하는 동안 원반(11)이 설정된 1회의 회동거리만큼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캠조립체(40)는, 도 17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b), 누름판 작동돌기(28a), 캠접촉돌기(23a)가 각각 상부칼날부작동캠(42)과 칼작동판캠(44)에 형성된 독특한 캠구동 라인을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상부칼날부(21), 하부칼날부(22), 롤테이프 누름판(28)의 작동을 구현하게 되 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캠조립체(40)에서의 상기 캠구동 라인은 캠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21b), 누름판 작동돌기(28a), 캠접촉돌기(23a)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상부칼날부(21), 하부칼날부(22), 롤테이프 누름판(28)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형상으로 설계됨은 당연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20)를 갖춘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서 롤테이프(30)를 자동 절단하고자 할 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의 후방 일측에 절단 공급하고자 하는 롤테이프(30)를 장착하고, 안전커버(12)를 씌운 상태에서 상기 롤테이프(30)의 일측 끝단을 인출하여 절단기(20)에 마련된 롤테이프 삽입홈(27)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기 외통(10)의 외주면 일측에 마련된 메인전원스위치(15)를 온(on)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물론, 상기 메인전원스위치(15)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필요로 하는 롤테이프(30)의 절단 길이 및 원반(11)의 회전거리를 절단기이동거리 조절노브(14)와 원반회전거리 조절노브(13)를 통해서 사전에 조절하게 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원반(11) 중앙에 배치된 동작버튼(11a)을 눌러 구동 신호를 인가하면, 외통(10) 내부의 모터(M)가 구동하여 절단기(20)의 하단에 마련된 캠축(46)과 연결된 기어조립체(17)를 구동시킴으로써, 절 단기(2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절단기(20)의 작동에 따라 원반(11)의 회전 구동이 연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축(46)의 구동에 따른 캠조립체(40)의 구동과 그에 따른 절단기(20)의 동작 상태는 도 17 내지 도 28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절단기 순차적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절단기(2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캠축(46)을 중심으로 후방 쪽으로 이동되었다가 원반(11) 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원반(11)에 롤테이프(30)를 부착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20)가 원반(11)에 롤테이프(30)의 끝단을 부착한 다음, 절단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롤테이프(30)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 과정을 도 17 내지 도 28에 도시된 절단기의 구동 상태에서 살펴보면, 도 17 내지 도 19은 절단기(20)가 도 11에 도시된 형태로 롤테이프(30)를 원반(11)에 부착한 다음, 절단기(20)가 도 10에 도시된 형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기까지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칼날부(21), 하부칼날부(22) 및 롤테이프 누름판(28)의 위치관계와, 상기 상부칼날부(21), 하부칼날부(22) 및 롤테이프 누름판(28)의 작동에 관계되는 캠조립체(40)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참고로, 원반작동캠(41)의 위치 변화를 통해서 캠조립체(40)가 회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기(21b), 누름판 작동돌기(28a), 캠접 촉돌기(23a)의 위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롤테이프 누름판(28)이 롤테이프(30)를 눌러 고정함과 동시에 상부칼날부(21)와 하부칼날부(22)는 상호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도 17)에서 원반(11)에 롤테이프(30)의 끝단을 부착(도 11)하게 되고, 원반(11)에 롤테이프(30)가 부착되면, 롤테이프 누름판(28)이 하향하면서 롤테이프(30)를 눌러 고정한 상태가 해제(도 18)되면서 절단기(20)가 롤테이프 삽입홈(27)에 끼워진 롤테이프(30)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도 9 및 도 19)하여 도 10의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롤테이프(30)의 절단 과정이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먼저, 절단기(20)가 도 1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이동거리 조절노브(14)를 통해 기 설정된 절단기 이동거리 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롤테이프 누름판(28)이 캠축(46) 및 캠조립체(40)와 연동하여 다시 한번 롤테이프(30)를 고정하기 위해 이동(도 20 및 도 21)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테이프 누름판(28)이 롤테이프(30)를 눌러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칼날부(21)와 하부칼날부(22)가 캠축(46) 및 캠조립체(40)의 상호 연동 관계에 의해서 롤테이프(30) 절단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칼날부(22)가 힌지구동부(22b)를 통해 힌지 구동되면서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 구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칼날부(21)의 칼날(21c)이 하향 이동하여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과 교차하게 됨에 따라 그 사이에 놓여 있는 롤테이프(30)를 균일한 절단면을 갖게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칼날부(21)와 하부칼날부(22)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테이프 누름판(28)은 롤테이프(30)를 지속적으로 눌러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20)가 롤테이프(30)를 고정한 상태로 원반(11) 쪽으로 이동하여 원반(11)에 롤테이프(30) 끝단을 다시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반(11)은 절단기(20)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기 설정된 회전거리 만큼 회전하게 된다.
즉, 최초 절단된 롤테이프(31)는 원반(11)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절단기(20)가 접촉하는 원반(11)에는 다시 절단될 새로운 롤테이프(30)의 끝단이 부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테이프(30) 절단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메인전원스위치(15)를 차단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절단기(20)가 롤테이프(3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도 9에 도시된 위치에 와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절단기(20)가 어느 위치에 있던 롤테이프(30) 절단 작업이 종료되면, 절단기(20)가 현재 위치한 자리에서 그대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테이프 누름판(28)이 롤테이프 삽입홈(27)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절단기(20)가 정지 할 수 있게 되고, 차후 다시 롤테이프(30) 절단 작업을 위해 롤테이프(30)를 롤테이프 삽입홈(27)으로 끼워 넣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을 통해 절단기(20) 위치를 도 9의 위치로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절단기(20)의 롤테이프 절단 작업이 종료되면, 항상 롤테이프 삽입홈(27)이 롤테이프 누름판(28)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도 9에 도시된 위치)로 와서 정지하도록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20)의 하단 캠축(46)에 연계되어 그 위치를 감지하는 리드센서(16)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절단기(20)의 롤테이프(30) 절단 작업이 최종 종료되면, 상기 리드센서(16)로 감지되는 위치까지 캠축(46)이 회동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도 9에 도시된 절단기 위치)에서 절단기(20)가 정지하도록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서 절단기의 설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사용되는 절단기의 정면도,
도 5a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상부칼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하부칼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c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칼누름스프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d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칼작동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캠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용 절단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외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절단기가 설치되어 롤테이프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위치에 멈춰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서 절단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조립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하부칼과 하부칼 작동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캠조립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용 절단기의 작동 상태를 정면도와 측단면도로 형태로 함께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통 11 : 원반
12 : 안전커버 20 : 절단기
21 : 상부칼날부 22 : 하부칼날부
23 : 칼작동판 24 : 칼누름판스프링
25 : 절단기몸체 26 : 탄성스프링
27 : 롤테이프 삽입홈 28 : 롤테이프 누름판
29 : 인출링크 30 : 롤테이프
40 : 캠조립체 46 : 캠축

Claims (4)

  1. 외통(10)의 후방 일측에 롤테이프(30)가 장착되고, 이 롤테이프(30)의 일측 끝단을 인출하여 절단기(20)에 마련된 테이프 삽입홈(27)을 통해서 외통(10)의 상단에 회전 구동하도록 마련된 원반(11)에 부착한 다음, 외통(10) 내부의 모터(M) 구동에 의한 절단기(20)의 전후방 반복 회동작업 및 절단 작업에 의해서 롤테이프(3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20)는, 절단기몸체(25) 하부에 캠축(46)을 매개로 조립된 캠조립체(40)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절단기몸체(25) 상부에 마련된 상부칼날부(21)의 칼날(21c)과 절단기몸체(25) 중단부에 마련된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이 교차되면서 롤테이프(30)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상부칼날부(21)는 절단기몸체(230)의 상부에서 상,하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칼날부(22)는 칼날(22a)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게 하부칼날부(22)의 일측 상단 부위에 힌지 구동을 할 수 있는 힌지구동부(22b)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기몸체(25)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롤테이프(30) 절단 시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은 힌지구동부(22b)를 통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면을 이루도록 회동 작동되고, 상기 상부칼날부(21)의 칼날(21c)이 하향 이동하여 경사진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과 교차되면서 롤테이프(30)를 절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20)는,
    외관을 형성하는 구조물로써, 양측 내주 벽면에 상부칼날부(21)가 상,하로 동작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전면에 하부칼날부(22) 및 칼작동판(23)이 조립 장착되며, 하단 부위에 캠축(46)을 매개로 캠조립체(4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절단기몸체(25)와;
    상기 절단기몸체(25)의 상부에서 상,하로 동작할 수 있도록 칼날(21c)이 전면에 배치되고, 그 하단 일측으로 롤테이프 삽입홈(27)이 마련되며, 상기 롤테이프 삽입홈(27)의 하부 쪽으로 절단기몸체(2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21a)가 연장 구비되고, 이 가이드부(21a) 최하단 일측에 상기 캠조립체(40)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가이드돌기(21b)가 마련되며, 상기 절단기몸체(25)의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26) 통해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게 조립 설치되는 상부칼날부(21)와;
    상기 상부칼날부(21)의 칼날(21c)과 교차되면서 롤테이프(30)를 절단할 수 있도록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그 상부 선단면이 칼날(22a)로 형성되고, 상기 칼날(22a)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게 일측 상단 부위에 힌지 구동을 할 수 있는 힌지구동부(22b)가 마련되며, 칼작동판(23)과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절단기몸체(25)의 전면에 배치되는 하부칼날부(22)와;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사각 판체의 일측 하단이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하단 부위에 캠조립 체(40)와 연동되는 캠접촉돌기(23a)가 구비되는 칼작동판(23)과;
    상기 상부칼날부(21)에 형성된 롤테이프 삽입홈(27)으로 롤테이프(30)가 삽입된 상태에서 롤테이프(30)를 상기 원반(11) 쪽으로 이동시켜 부착하거나 절단하고자 할 때 롤테이프(30)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롤테이프(30)를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상기 상부칼날부(21)와 하부칼날부(2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캠조립체(40)에 접촉 연동되는 누름판 작동돌기(28a)를 갖춘 롤테이프 누름판(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칼날부(22)의 칼날(22a)은 롤테이프(30)와 접촉 시 롤테이프(30)가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요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20)의 롤테이프(30) 절단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절단기(20)의 롤테이프 삽입홈(27)이 롤테이프 누름판(28)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롤테이프(30)를 롤테이프 삽입홈(27)에 곧바로 끼워 넣을 수 있는 일정한 위치로 절단기(20)가 항상 이동하여 정지하도록 상기 절단기(20)의 하단 캠축(46)에 연계되어 그 절단기(20)의 일정한 위치를 감지하여 정지위치를 설정하는 리드센서(16)가 외통(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테이프 절단장치.
KR1020090079750A 2009-08-27 2009-08-27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KR10113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750A KR101130567B1 (ko) 2009-08-27 2009-08-27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750A KR101130567B1 (ko) 2009-08-27 2009-08-27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241A true KR20110022241A (ko) 2011-03-07
KR101130567B1 KR101130567B1 (ko) 2012-03-30

Family

ID=4393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750A KR101130567B1 (ko) 2009-08-27 2009-08-27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0183A (zh) * 2017-12-08 2018-03-27 钟丙华 胶纸机
CN108689211A (zh) * 2018-06-14 2018-10-23 福建锦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自动计数卷切机及织带卷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0183A (zh) * 2017-12-08 2018-03-27 钟丙华 胶纸机
CN108689211A (zh) * 2018-06-14 2018-10-23 福建锦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自动计数卷切机及织带卷切方法
CN108689211B (zh) * 2018-06-14 2024-03-29 福建锦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自动计数卷切机及织带卷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567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567B1 (ko)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US20020073904A1 (en) Sewing machine having a threading device
JP4673443B1 (ja) 刈払機用刈刃ヘッド
CN107773135A (zh) 抽纸机
US8567708B2 (en) Portable bobbin winder
JP2006142477A (ja) ロールテープ自動切断装置
CA2318099A1 (en) Dispensing device for paper towels obtained by manual cutting from a continuous band
KR101130568B1 (ko) 전동식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JP2004224412A (ja) 園芸用結束機
KR200467615Y1 (ko) 포장용 테이프 절단기
JP2969685B2 (ja) 自動糸掛け糸通しミシン
KR101609098B1 (ko) 박스포장용 테이프 절단기
CN210589537U (zh) 一种用于自动贴边机的切边条虚刀的下置切刀装置
CN202654043U (zh) 自动切纸机
KR101250433B1 (ko) 반자동 포장용기 밀봉장치
US7093353B2 (en) Automatic unit for inserting hangers from a strip of attached staples
KR20080022738A (ko) 원통형의 금속팁 및 그 제조장치
JPS644654Y2 (ko)
JP2002336575A (ja) 糸切り装置
JP7471949B2 (ja) 切断刃付き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JP3021486B2 (ja) 自動糸通しミシン
JP4492771B2 (ja) ミシンの糸調子緩め装置
JP3006848B2 (ja) シートペーパー自動供給便座
JP3144675U (ja) 電動ラップカッター
CN2402651Y (zh) 胶带供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