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773A - 이퀄라이저 포트를 갖는 게이트 밸브 - Google Patents

이퀄라이저 포트를 갖는 게이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773A
KR20110021773A KR1020107025473A KR20107025473A KR20110021773A KR 20110021773 A KR20110021773 A KR 20110021773A KR 1020107025473 A KR1020107025473 A KR 1020107025473A KR 20107025473 A KR20107025473 A KR 20107025473A KR 20110021773 A KR20110021773 A KR 2011002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qualizer
carrier
valv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324B1 (ko
Inventor
마이클 제이. 팔머
Original Assignee
썬더 로즈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더 로즈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filed Critical 썬더 로즈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2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09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the valve having a particular passage, e.g. provided with a filter, throttle or safety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9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two or more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9/00Devices for relieving the pressure on the sealing faces
    • F16K39/04Devices for relieving the pressure on the sealing faces for slid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09Sequentially progressive opening or closing of plural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31Selective opening of plural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928Sequentially progressive opening or closing of plural valves
    • Y10T137/86936Pressure equalizing or auxiliary shunt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928Sequentially progressive opening or closing of plural valves
    • Y10T137/86936Pressure equalizing or auxiliary shunt flow
    • Y10T137/86944One valve seats against other valve [e.g., concentric valves]
    • Y10T137/8696G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378Second valve assembly carried by first valve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41With common operator
    • Y10T137/87491Mechanical movement between actuator and non-rotar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게이트 밸브는 밸브 본체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게이트와, 게이트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서 이퀄라이저 포트를 한정하는 게이트 내의 벽들을 갖는다. 이퀄라이저 포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게이트의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Description

이퀄라이저 포트를 갖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WITH EQUALIZER POR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시되고 기술되는 특정 용도에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은 게이트 밸브 내에 포함된 이퀄라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게이트 밸브는 둥글거나 직사각형의 게이트 또는 웨지를 유체의 경로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개방하는 한 형태의 유체 제어 밸브이다. 모든 형태의 게이트 밸브들에 대한 공통된 특징은 게이트와 시트들 사이의 밀봉 표면이 평면이라는 점이다. 게이트 면들은 웨지 형상을 형성할 수 있거나 평행일 수 있다. 게이트 밸브는 때때로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많은 경우에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설계되어 그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완전히 개방할 때, 전형적인 게이트 밸브는 유동 경로에서 방해받지 않아서, 매우 낮은 마찰 손실을 초래한다.
게이트 밸브는 상승(rising) 또는 비상승(nonrising) 스템(stem)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승 스템은 밸브 위치의 가시적인 지시를 제공한다. 비상승 스템은 수직 공간이 제한되거나 지하인 곳에서 사용된다.
보닛(bonnet)이 밸브 본체를 위한 누설 방지 덮개를 형성한다. 볼트결합된 보닛이 대형 밸브 및 고압 용례를 위해 사용된다.
게이트 밸브는 파이프라인 호환가능한 플랜지 치수 표준에 따라 천공되는 플랜지형 단부를 통상 구비한다. 주철, 주조 탄소강(cast carbon steel), 포금(gun metal), 스테인리스강, 합금강, 및 단조강(forged steel)이 게이트 밸브를 구성하는 상이한 재료들이다.
게이트 밸브에 대해 잘 알려진 단점은, [밸브 크기가 10.16cm(4인치)보다 크고 게이트의 대향 측면들 상의 차압이 5,000 psi를 초과하는 용례로서 본 명세서에 정의된] 대형, 고압 용례들에서, 게이트와 그 밀봉부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개방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게이트 상의 상당한 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게이트가 이러한 압력 하에서 개방될 수 있더라도, 게이트와 그 밀봉부 사이의 마찰, 액추에이터 상에 요구된 힘, 및 손상된 게이트를 가로지르는 초기 균등화 유동의 블라스팅 작용(blasting action)은 단독으로 혹은 결합하여 밸브에 매우 유해할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종래의 해결책은 개방되기 이전에 게이트 상의 압력을 균등화하도록 작은 니들 밸브 등이 수동으로 개방가능하면서, 밸브의 두 개의 측면들 사이에서의 외부 균등 도관이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압력 하에서 작동될 때 니들 밸브가 심하게 고장나는 경향으로 인하여 작동자에게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고압 용례에서 게이트 밸브의 대향 측면들 상의 압력을 균등화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게이트 밸브는 내부 균등화 포트를 갖는 게이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더 완전한 이해와 그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상세한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이트 밸브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도 2는 밸브의 부분 절취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게이트의 분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밸브의 개방 및 폐쇄의 순차도들이다.
도 7은 이퀄라이저 게이트의 대안적 형태를 갖는 상승 스템형 밸브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g를 참조하면,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고 대응하는 요소들을 지적하며, 게이트 밸브(10)는, 주 게이트 통로(14)를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고 밸브 본체(16)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게이트(12)를 구비한다. 개방 위치에서, 주 게이트 통로(14)는 밸브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게이트(12)의 대향 측면들 상의 밸브 본체(16) 내에 주 통로(18, 20)를 한정하는 벽들과 정렬되고, 폐쇄 위치(도 1 내지 도 3)에서, 게이트의 외부 밀봉 면(22, 24)들은 게이트(12)와 밸브 본체(16) 사이에서의 밀봉부(26, 28)와 상호 작용하여 밸브를 통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밸브 본체(16) 내의 주 통로(18, 20)와 정렬된다.
게이트(12)는 두 개의 외부 층(40, 42)들과 중간 층(44)으로 형성되고, 외부 층 및 중간 층은 고정구 핀(46)들에 의해 결합된다. 게이트(12)의 외부 밀봉 면(22, 24)들은 외부 층 상에 있고, 주 게이트 통로(14) 내부 벽들은 외부 층(40, 42) 및 중간 층(44) 내에서 정렬된다.
각각의 외부 층(40, 42)은 나머지 외부 층의 내부 면에 대향하는 내부 면(48, 50)을 갖는다. 중간 층(44)은 대향하는 내부 단부 면(56, 58)들에 결합된 대향하는 내부 측면(52, 54)들을 갖고, 외부 층(40, 42) 및 중간 층(44)의 내부 면(52, 54, 56, 58)들은 게이트(12)의 대향하는 외부 밀봉면(22, 24) 면들과 함께 게이트(12) 내에 캐비티(60)를 형성한다.
캐비티(60) 내에서의 캐리어(7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캐리어(70) 내에서의 암 나사부(72)에 의한 선형 작동을 위하여 밸브(10) 외측의 핸들(76)로 연장하는 나사결합 로드(74)에 연결된다. 캐리어(70)는 중앙 섹션(78)과, 중앙 섹션(78)의 대향 측면들에 결합된 두 개의 플랭크 섹션(80, 82)들로 형성된다. 암 나사부(72)는 중앙 섹션(78) 내에 형성되고, 중앙 섹션(78)은 하나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58) 내의 갭(84)을 통해 연장한다.
플랭크 섹션(80, 82)은 측면(86)을 각각 구비하고, 측면(86)들은 캐비티(60) 내에서의 활주 선형 상대 이동을 위하여 중간 층(44)의 인접한 내부 측면(52, 54)과 밀접하게 상호맞춤하도록 이격된다. 또한, 플랭크 섹션(80, 82)은 각각 두 개의 대향 단부 표면(88, 90)을 갖는다. 각각의 플랭크 섹션(80, 82) 상의 단부 표면(88, 90)들 사이의 직선 거리는 중간 층(14)의 내부 단부 면(56, 58)들 사이에서 직선 거리보다 작아서, 캐리어(7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형 작동 동안 캐비티(60) 내에서 선형 이동의 범위를 갖는다. 하나의 단부 표면(88)은 개방 위치에서 하나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58)과 접촉하고, 나머지 단부 표면(90)은 폐쇄 위치에서 나머지 중간 층 내부 단부 면(56)과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56, 58)과 접촉하는 플랭크 섹션 단부 표면(88, 90)들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12)를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플랭크 섹션(80, 82)들은 게이트 외부 층(40, 42)의 내부 면(48, 50)의 방향으로 개방된 이퀄라이저 캐비티(100)들을 형성하는 내부 벽들을 각각 갖는다. 이퀄라이저 캐비티(100)들 내에서의 이퀄라이저 게이트(102)는 이퀄라이저 캐비티(100)와 밀접하게 상호 맞춤하는 부유 맞물림(closely-interfitting, floating engagement)을 위하여 치수 결정된다.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102)는 게이트 외부 층(40, 42)의 내부 면(48, 50)의 방향들에 면하는 두 개의 대향 밀봉 표면(104)들을 갖는다.
두 개의 밀봉 플레이트(106)들은 게이트 외부 층(40, 42)의 각각의 내부 면(48, 50)과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102)의 각각의 밀봉 표면(104) 사이에 위치된다. 밀봉 플레이트(106)는 테플론(상표)(Teflon®)과 같은 밀봉 재료로 형성된다.
게이트(12)의 외부 층(40, 42) 내의 벽들은 게이트(12)의 대향 외부 밀봉 면(22, 24)들 사이에서 두 개의 이격된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들을 한정한다.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들은 각각의 외부 층(40, 42)의 외부 밀봉 면(22, 24)으로부터 외부 층(40, 42)들 사이에서의 캐비티(60)로 연장한다. 밀봉 플레이트(106) 내의 벽들은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들과 정렬된 밀봉 플레이트(106) 내의 밀봉 이퀄라이저 포트(114)들을 한정한다. 이퀄라이저 게이트(102)들 내의 벽들은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102) 내의 이동가능한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116)를 한정한다.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116)들은, 캐리어(70)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들 및 밀봉 이퀄라이저 포트(114)들과 정렬됨으로써 개방되도록 그리고 캐리어(70)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들 및 밀봉 이퀄라이저 포트(114)들과 정렬되지 않게 이동됨으로써 폐쇄되도록 치수결정되고 배치된다.
도 6a 내지 도 6g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시에,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 114, 116)의 개방 및 폐쇄는 게이트(12)를 작동시키는데 있어서 핸들(76)의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연속된다. 도 6a에서, 밸브(10)는 폐쇄되고, 게이트(12)는 폐쇄 위치에 있고, 캐리어(70)는 폐쇄 위치에 있다.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116)들은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들 및 밀봉 이퀄라이저 포트(114)들과 정렬되지 않고, 이는 밸브를 가로지르는 차압에 대하여 이퀄라이저 포트가 폐쇄되도록 허용한다. 캐비티(100) 내의 이퀄라이저 게이트(102)의 부유 맞물림은 차압에 의해 밀봉 플레이트(106)에 대하여 이퀄라이저 게이트(102)가 가압되도록 허용하여, 밀봉이 가능하게 한다.
도 6b에서, 핸들(76)은 선회되어, 플랭크 섹션 단부 표면들이 게이트 층 중간 층의 내부 단부 표면들과 인접하는 개방 위치로 캐리어(70)를 상승시킨다. 게이트(12)는 아직 이동되지 않는다. 캐리어(70)의 이러한 이동은 포트(110, 112, 114, 116)들을 정렬하게 하여, 이퀄라이저 포트를 개방시키고 밸브를 가로지르는 압력을 균등화시킨다. 비록 차압이 높더라도, 작은 표면적들이 관련되므로 이퀄라이저 포트를 개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최소화된다. 유동 및 마찰의 존재에서 이퀄라이저 포트들의 반복된 작동으로 인한 손상의 경우에, 손상은 값싼 테플론(상표) 밀봉 플레이트의 교체에 의해 쉽고 값싸게 수리된다.
도 6c에서, 게이트(12)는 주 통로가 크래킹되어 개방되는 지점으로 캐리어(70)에 의해 상승되어 있다. 밸브를 가로지르는 압력이 이미 균등화되었기 때문에, 게이트를 이동하기 위해 최소의 힘이 요구되고, 밸브를 크래킹시키는 것은 결과적으로 유동에 유해하지 않다. 도 6d에서, 밸브는 게이트(12)가 개방 위치 상태에서 완전히 개방된다. 캐리어(70)는 여전히 개방 위치에 있다.
도 6e 내지 도 6g는 폐쇄하는 순서를 예시한다. 핸들(76)의 초기 회전 시에, 캐리어(70)는 도 6e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이퀄라이저 포트(110, 112, 114, 116)들은 이퀄라이저 포트를 폐쇄하도록 정렬되지 않게 이동한다. 게이트(12)는 아직 이동되지 않는다. 도 6f에서, 밸브는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도 6g에서 밸브는 (도 6a에서와 같이) 완전히 폐쇄된다.
도 7은 밸브(150)가 상승 스템 밸브인 대안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상승 스템 밸브에서, 스템(152)은 핸들(156)의 내부 나사부(154) 내로 당겨진다. 밸브(10)에서와 달리, 스템(152)은 게이트(158)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은, 캐리어(70)가 두 개의 플랭크 섹션(80, 82)과 중앙 섹션(78)으로 구성되면서 각각의 플랭크 섹션 내에 하나의 이퀄라이저 게이트(102)가 구비되는 것을 필요로 했었던, 캐리어를 통한 스템의 통과를 수용할 필요를 생략한다. 도 7의 밸브에서, 더욱 단순한 단일 이퀄라이저 게이트(160)가 이용되며, 그렇지 않으면 밸브(10)의 것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이퀄라이저 포트(162, 164)가 구비된다.
위에서 기술된 요소들 각각, 또는 두 개 이상은, 위에서 기술된 형태와 다른 구조의 다른 형태로 유용한 용례를 또한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게이트 밸브들에서 구현된 바와 같이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예시된 장치의 형태 및 상세함에서 그리고 그들의 작동에서의 다양한 생략, 수정, 대체 및 변화들이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임의의 방식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상세함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른 분석 없이, 위에서 기술한 것은, 종래 기술의 견지에서, 이 발명의 일반적 또는 특정한 태양들의 필수적인 특징들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특징부들을 생략하지 않으면서 현재 지식을 적용시킴으로써 다른 것들이 다양한 용례들을 위해 쉽게 적합하게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요지를 완전히 나타낼 것이다.

Claims (17)

  1. 게이트 밸브이며,
    밸브 본체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게이트와,
    게이트의 대향 외부 밀봉 면들 사이에서 이퀄라이저 포트를 한정하는 게이트 내의 벽들을 포함하는
    게이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이퀄라이저 포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의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게이트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 면들은 게이트 내에 캐비티를 형성하고, 이퀄라이저 포트는 캐비티 내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이퀄라이저 게이트 내에 있는
    게이트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이퀄라이저 게이트는 게이트의 캐비티 내에서 캐리어 내에 있고, 캐리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밸브 외측의 핸들에 의한 선형 작동을 위해 연결되는
    게이트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핸들로 연장하는 나사결합 로드에 연결된 나사부를 갖는
    게이트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캐비티 내에서의 활주 선형 상대 이동을 위해 게이트 내에서 캐비티의 인접한 내부 측면들과 밀접하게 상호 맞춤하도록 이격된 측면을 갖는
    게이트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두 개의 대향 단부 표면들을 갖고, 단부 표면들 사이의 직선 거리는 캐비티의 내부 단부 면들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작아서, 캐리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형 작동 동안 캐비티 내에서의 선형 이동의 범위를 갖고, 하나의 단부 표면은 개방 위치에서 하나의 캐비티 내부 단부 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 표면은 폐쇄 위치에서 나머지 하나의 캐비티 내부 단부 면과 접촉하여서, 각각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들과 접촉하는 캐리어 단부 표면들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게이트 밸브.
  8. 게이트 밸브이며,
    주 게이트 통로를 한정하는 내부 벽들을 갖고 밸브 본체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게이트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의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를 포함하고,
    개방 위치에서 주 게이트 통로는 밸브를 통해 유동가능하도록 게이트의 대향 측면 상에 밸브 본체 내의 주 통로들을 한정하는 벽들과 정렬되고, 폐쇄 위치에서 게이트의 외부 밀봉 면들이 게이트와 밸브 본체 사이의 밀봉부들과 상호 작용하여 밸브를 통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밸브 본체 내의 주 통로와 정렬되고,
    게이트는 두 개의 외부 층과 중간 층으로 형성되고, 게이트의 외부 밀봉 면들은 외부 층들 상에 있고, 주 게이트 통로 내부 벽들이 외부 및 중간 층 내에서 정렬되고,
    게이트 외부 층들 내의 벽들이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를 한정하고, 각각의 외부 층은 게이트 외부 층의 외부 밀봉 면으로 연장하며,
    내부 면들은 게이트 내에서 캐비티를 형성하고,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는 캐비티 내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이퀄라이저 게이트 내에 있고,
    이퀄라이저 게이트는 게이트의 캐비티 내에서 캐리어 내에 있고, 캐리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밸브 외측의 핸들에 의한 선형 작동을 위해 연결되고,
    캐리어는 핸들로 연장하는 나사결합 로드에 연결된 나사부를 갖고,
    캐리어는 캐비티 내에서의 활주 선형 상대 이동을 위해 게이트 내에서의 캐비티의 인접한 내부 측면들과 밀접하게 상호 맞춤하도록 이격된 측면을 갖고,
    캐리어는 두 개의 대향 단부 표면들을 갖고, 단부 표면들 사이의 직선 거리는 캐비티의 내부 단부면들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작아서, 캐리어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형 작동 동안 캐비티 내에서의 선형 이동의 범위를 갖고, 하나의 단부 표면은 개방 위치에서 하나의 캐비티 내부 단부 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 표면은 폐쇄 위치에서 나머지 하나의 캐비티 내부 단부 면과 접촉하여서, 각각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들과 접촉하는 캐리어 단부 면들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를 이동하도록 작동되고,
    이퀄라이저 게이트 내의 이동가능한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는 캐리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와 정렬됨으로써 개방되도록 그리고 캐리어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와 정렬되지 않게 이동됨으로써 폐쇄되도록 치수결정되고 배치되는
    게이트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 층 및 중간 층은 고정구 핀에 의해 결합되는
    게이트 밸브.
  10.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외부 층은 나머지 하나의 외부 층의 내부 면과 대향하는 내부 면을 갖고, 중간 층은 대향하는 내부 단부 면에 결합된 대향하는 내부 측면을 갖고, 외부 층 및 중간 층의 내부 면들은 게이트 내의 캐비티를 함께 형성하는
    게이트 밸브.
  11. 제8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캐리어 내에서의 암 나사부에 의한 선형 작동을 위해 나사결합 로드에 연결되는
    게이트 밸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중앙 섹션과 상기 중앙 섹션의 대향 측면들에 결합된 두 개의 플랭크 섹션들로 형성되고, 암 나사부가 나사결합 로드에 대한 연결을 위해 중앙 섹션 내에 형성되고, 중앙 섹션은 하나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의 갭을 통해 연장하고, 캐리어 측면은 플랭크 섹션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캐리어 단부 표면은 플랭크 섹션 상에 형성되고, 각각의 플랭크 섹션은 두 개의 대향 단부 표면들을 갖고, 각각의 플랭크 섹션 상의 단부 표면들 사이의 직선 거리는 중간 층의 내부 단부 면들 사이에서의 직선 거리보다 작은
    게이트 밸브.
  14. 제12항에 있어서,
    이퀄라이저 캐비티들을 형성하는 내부 벽들을 각각 갖는 플랭크 섹션들은 게이트 외부 층들의 내부 면들의 방향에서 개방하고,
    이퀄라이저 캐비티들 내에서의 이퀄라이저 게이트들은 이퀄라이저 캐비티들과 밀접하게 상호 맞춤하는 부유 맞물림을 위해 치수결정되고,
    벽들이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 내에서의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를 한정하는
    게이트 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가 게이트 외부 층들의 내부 면들의 방향들과 면하는 두 개의 대향 밀봉 표면들을 갖고,
    하나 이상의 밀봉 플레이트가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의 각각의 밀봉 표면과 게이트 외부 층들의 그 각각의 내부 면 사이에 위치되는
    게이트 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밀봉 플레이트들이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의 각각의 밀봉 표면과 게이트 외부 층 본체의 그 각각의 내부 면 사이에 위치되는
    게이트 밸브.
  17. 게이트 밸브이며,
    주 게이트 통로를 한정하는 내부 벽들을 갖고 밸브 본체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게이트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캐리어 내에서의 암 나사부에 의한 선형 작동을 위해 밸브 외측의 핸들로 연장하는 나사결합 로드에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개방 위치에서 주 게이트 통로는 밸브를 통해 유동가능하도록 게이트의 대향 측면 상의 밸브 본체 내의 주 통로들을 한정하는 벽들과 정렬되고, 폐쇄 위치에서 게이트의 외부 밀봉 면들이 게이트와 밸브 본체 사이의 밀봉부들과 상호 작용하여 밸브를 통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밸브 본체 내의 주 통로와 졍렬되고,
    게이트는 두 개의 외부 층과 중간 층으로 형성되고, 외부 층 및 중간 층은 고정구 핀에 의해 결합되고, 게이트의 외부 밀봉 면들은 외부 층들 상에 있고, 주 게이트 통로 내부 벽들이 외부 및 중간 층 내에서 정렬되고,
    각각의 외부 층은 나머지 하나의 외부 층의 내부 면과 대향하는 내부 면을 갖고, 중간 층은 대향하는 내부 단부 면에 결합된 대향하는 내부 측면을 갖고, 게이트 내에서 캐비티를 함께 형성하는 외부 층 및 중간 층의 내부 면들이 게이트의 외부 밀봉 면들에 대향하고,
    캐리어는 중앙 섹션과 중앙 섹션의 대향 측면들에 결합된 두 개의 플랭크 섹션들로 형성되고, 암 나사부들이 중앙 섹션 내에 형성되고, 중앙 섹션은 중간 층 내부 단부 면들 중 하나에서 갭을 통해 연장하고,
    플랭크 섹션은 각각 측면을 갖고, 측면은 캐비티 내에서 활주 선형 상대 이동을 위해 중간 층의 인접한 내부 측면들과 밀접하게 상호 맞춤되도록 이격되고,
    플랭크 섹션은 두 개의 대향 단부 표면들을 각각 갖고, 각각의 플랭크 섹션 상의 단부 표면들 사이의 직선 거리는 중간 층의 내부 단부 면들 사이에서의 직선 거리보다 작아서, 캐리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형 작동 동안 캐비티 내에서 선형 이동의 범위를 갖고, 하나의 단부 표면은 개방 위치에서 하나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 표면은 폐쇄 위치에서 나머지 하나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과 접촉하여서, 각각의 중간 층 내부 단부 면들과 접촉하는 플랭크 섹션 단부 표면들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고,
    이퀄라이저 캐비티들을 형성하는 내부 벽들을 각각 갖는 플랭크 섹션은 게이트 외부 층의 내부 면들의 방향에서 개방되고,
    이퀄라이저 캐비티들 내에서의 이퀄라이저 게이트들은 이퀄라이저 캐비티들과 밀접하게 상호 맞춤하는 부유 맞물림을 위해 치수결정되고,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는 게이트 외부 층의 내부 면들의 방향에 면하는 두 개의 대향 밀봉 표면들을 갖고,
    두 개의 밀봉 플레이트들은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의 밀봉 표면 각각과 게이트 외부 층의 그 각각의 내부 면 사이에 위치되고,
    게이트의 외부 층 내의 벽들이 두 개의 이격된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들을 한정하고,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들은 각각의 외부 층의 외부 밀봉 면들로부터 외부 층들 사이에서의 캐비티로 연장하고,
    밀봉 플레이트들 내의 벽들이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들과 정렬된 밀봉 플레이트들 내의 밀봉 이퀄라이저 포트들을 한정하고,
    이퀄라이저 게이트들 내의 벽들은 캐리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들 및 밀봉 이퀄라이저 포트들과 정렬됨으로써 개방되도록 그리고 캐리어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게이트 이퀄라이저 포트 및 밀봉 이퀄라이저 포트와 정렬되지 않게 이동됨으로써 폐쇄되도록 치수결정되고 배치된 각각의 이퀄라이저 게이트 내의 이동가능한 내부 이퀄라이저 포트를 한정하는
    게이트 밸브.
KR1020107025473A 2008-04-14 2009-04-09 이퀄라이저 포트를 갖는 게이트 밸브 KR101433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02,168 US8302630B2 (en) 2008-04-14 2008-04-14 Gate valve with equalizer port
US12/102,168 2008-04-14
PCT/US2009/039998 WO2009129111A1 (en) 2008-04-14 2009-04-09 Gate valve with equalizer 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773A true KR20110021773A (ko) 2011-03-04
KR101433324B1 KR101433324B1 (ko) 2014-08-22

Family

ID=4116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473A KR101433324B1 (ko) 2008-04-14 2009-04-09 이퀄라이저 포트를 갖는 게이트 밸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302630B2 (ko)
EP (1) EP2274542B1 (ko)
JP (1) JP5378501B2 (ko)
KR (1) KR101433324B1 (ko)
CN (1) CN101680554B (ko)
AU (1) AU2009236469A1 (ko)
BR (1) BRPI0911303A2 (ko)
CA (1) CA2720267C (ko)
ES (1) ES2613137T3 (ko)
MX (1) MX2010011230A (ko)
NZ (1) NZ588356A (ko)
RU (1) RU2538993C2 (ko)
WO (1) WO2009129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7759B2 (en) * 2010-07-28 2013-10-29 Vetco Gray Inc. Advanced fluidics gate valve with active flow control for subsea applications
US20140144248A1 (en) * 2010-11-15 2014-05-29 Sean Walters Flow metering valve
US9222583B2 (en) * 2011-04-08 2015-12-29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plit gate valve
US8695637B2 (en) 2012-04-05 2014-04-15 James David McBride Gate valve pressure equalization system
WO2013158029A1 (en) * 2012-04-18 2013-10-24 Aker Solutions Pte Ltd A gate for a gate valve
US9395002B2 (en) * 2013-09-24 2016-07-19 Ge Oil & Gas Pressure Control Lp Pressure equalizing valve
US10174584B2 (en) 2014-04-11 2019-01-08 Ge Oil & Gas Pressure Control Lp Safety systems for isolating overpressure during pressurized fluid operations
US20150308083A1 (en) * 2014-04-25 2015-10-29 Weilong Valve Company, Ltd. Vertical indicator post with torque-reducing gearing
GB2540371B (en) * 2015-07-14 2017-07-05 Hawa Valves (India) Private Ltd Pressure balancing gate valve
WO2019019127A1 (zh) * 2017-07-28 2019-01-31 江苏政轩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式低扭矩平板闸阀
CN108757973B (zh) * 2018-08-16 2023-11-14 北京航天石化技术装备工程有限公司 一种双闸板闸阀
US11174958B2 (en) 2019-01-24 2021-11-16 Jet Oilfield Services, LLC Gate valve and method of repairing same
US11421508B2 (en) 2020-04-24 2022-08-23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Fracturing valve systems and methods
US11359727B2 (en) * 2020-11-09 2022-06-14 Mueller International, Llc Integrated equalizat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33410A1 (ko)
US588430A (en) * 1897-08-17 Valve
US723803A (en) * 1901-06-17 1903-03-31 Otto Abeling Differential high-pressure direct-pass valve.
US745649A (en) * 1902-06-07 1903-12-01 James R Mcwane Molding and casting apparatus.
US745774A (en) * 1902-08-21 1903-12-01 Albert V King Straightway valve.
US1020159A (en) * 1906-07-05 1912-03-12 Frank Rademacher Combination gate and by-pass valve.
US854523A (en) * 1906-10-13 1907-05-21 Louis Noel Gate-valve.
US994587A (en) * 1911-01-05 1911-06-06 William Findley Hartzell Throttle-valve for steam-engines.
US1549609A (en) * 1921-10-08 1925-08-11 Redding Valve Company Gate valve
US1932471A (en) * 1931-04-06 1933-10-31 Hughes Tool Co Relief device for valves
US3463193A (en) * 1966-12-01 1969-08-26 Oscar A Yost Slide valve construction
US3621878A (en) * 1969-09-15 1971-11-23 Harold Cain Smith Valve for exhaust brake systems
US3658087A (en) * 1971-02-08 1972-04-25 Acf Ind Inc Valve with integral closure and seat carrier unit
JPS4726011U (ko) * 1971-02-25 1972-11-24
DE2546024A1 (de) 1975-10-14 1977-04-21 Klaus Union Armaturen Absperrschieber
US4150684A (en) * 1977-01-25 1979-04-24 Kervin Willis D Mixing valve and control system therefor
US4177833A (en) * 1978-07-14 1979-12-11 Acf Industries, Incorporated Valves having a pressure equalizer across dual face seals
SU844877A1 (ru) * 1978-11-02 1981-07-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616 Задвижка
US4480659A (en) * 1981-11-05 1984-11-06 Hps Corporation Gate stop valve
SU1203295A2 (ru) * 1984-07-05 1986-01-07 Специ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ромавтоматика"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4678008A (en) * 1986-09-08 1987-07-07 Gyongyossy Leslie L Wedge type gate valves
US4779649A (en) * 1987-01-30 1988-10-25 Huntington Mechanical Laboratories, Inc. Gate valve with camming wedge, pressure equalizer, and replaceable bleeder valve
JPH0468262A (ja) 1990-07-05 1992-03-04 Harman Co Ltd 温度調節装置
FR2664669B1 (fr) * 1990-07-16 1993-06-25 Cit Alcatel Vanne a tiroir.
JPH0468262U (ko) * 1990-10-26 1992-06-17
JPH0729366A (ja) 1993-07-09 1995-01-31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US5370155A (en) * 1993-11-01 1994-12-06 Gyongyossy; Leslie L. Wedge-type gate valve
JPH0729366U (ja) * 1993-11-15 1995-06-02 株式会社クボタ オリフィス弁
DE29623103U1 (de) * 1996-10-23 1997-11-06 Zimmermann & Jansen Gmbh Schieber, insbesondere Rohrbrückenschieber
JP2001032951A (ja) 1999-07-19 2001-02-06 Kubota Corp 仕切弁
RU2238466C2 (ru) * 2002-10-23 2004-10-20 ОАО "НПО "Промавтоматика"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8501B2 (ja) 2013-12-25
RU2009125228A (ru) 2011-01-10
AU2009236469A1 (en) 2009-10-22
JP2011517755A (ja) 2011-06-16
ES2613137T3 (es) 2017-05-22
KR101433324B1 (ko) 2014-08-22
CN101680554B (zh) 2014-12-24
CN101680554A (zh) 2010-03-24
EP2274542A4 (en) 2012-05-30
US20090256099A1 (en) 2009-10-15
NZ588356A (en) 2013-05-31
RU2538993C2 (ru) 2015-01-10
WO2009129111A1 (en) 2009-10-22
CA2720267A1 (en) 2009-10-22
BRPI0911303A2 (pt) 2016-05-17
EP2274542A1 (en) 2011-01-19
US8302630B2 (en) 2012-11-06
CA2720267C (en) 2014-04-08
MX2010011230A (es) 2011-04-04
EP2274542B1 (en)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1773A (ko) 이퀄라이저 포트를 갖는 게이트 밸브
US8091861B2 (en) Valve for use in connection with oil production and gas production
US4281819A (en) Balanced stem gate valve
US20090121173A1 (en) Valve assembly having a reinforced valve seat
CA2514607C (en) Control valve
US9395002B2 (en) Pressure equalizing valve
US3743244A (en) Top and bottom gate valve for removing and replacing renewable seating elements
US9611939B2 (en) Gate valve with equalizer port
US20170102078A1 (en) Hydraulic and programmable hydra seal gate valve and remotely operated fracturing stack
US3689028A (en) Valve having improved means of removing and replacing seat elements
AU2015200350A1 (en) Gate valve with equalizer port
AU2013202121A1 (en) Gate valve with equalizer port
US10385979B2 (en) Arrangement for operating a shut-off valve having a tapered plug
RU2726918C1 (ru) За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зки в трубопровод под давлением
KR101493909B1 (ko) 개폐 밸브
EP3208505A1 (en) Gate valve
CN112240400A (zh) 一种双截断底阀
DE202010004018U1 (de) Schieberven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