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466A - 정보 유출 방치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유출 방치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466A
KR20110020466A KR1020090078085A KR20090078085A KR20110020466A KR 20110020466 A KR20110020466 A KR 20110020466A KR 1020090078085 A KR1020090078085 A KR 1020090078085A KR 20090078085 A KR20090078085 A KR 20090078085A KR 20110020466 A KR20110020466 A KR 2011002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information leakage
leakage prevention
informa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386B1 (ko
Inventor
연제성
박세훈
정민호
최장욱
조우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9007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386B1/ko
Priority to PCT/KR2009/005185 priority patent/WO2011025084A1/en
Priority to CN200980000301.1A priority patent/CN102171624B/zh
Publication of KR2011002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07F19/2055Anti-skimming aspects at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설치면에 놓이는 제 1 바디; 및 회전 장치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와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바디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2 바디의 상하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보

Description

정보 유출 방치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inputting apparatus}
본 실시 예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가 포함된다.
정보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금융 업무와 관련한 금융 처리 장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각 종 잠금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융 처리 장치는, 고객이 금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또는 핀 패드(Persnal identification number Pad: Pin Pa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핀 패드는 은행에서의 금융 업무 처리 시, 사용자 정보 일 례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핀 패드는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에는 정보 입력을 위하여 핀 패드가 구비되거나, 그 자체에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 또는 금고 등에 설치되는 금고락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주위의 사람이 비밀번호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 입력 장치 주위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비밀번호 입력 동작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는, 설치면에 놓이는 제 1 바디; 및 회전 장치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와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바디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2 바디의 상하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에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가 포함되는 본체; 및 상기 입력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놓여, 다수의 버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전 장치에 의해서 상기 본체에 대해서 회전되며, 상기 다수의 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상면의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전 가능하고,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상면에 형성된 홀이 경사진다. 따라서, 주위의 사람이 비밀번호 입력 동작을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서 비밀번호 입력 동작을 촬영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본체"는 정보 입력 장치의 종류에 포함되는 금융 처리 장치, 잠금 장치 및 기타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본체를 의미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설치된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정보 입력 장치의 종류로서, 일 례로 금융 자동화 기기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에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0)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각종 정보 일 례로 금융 처리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1)와, 각종 정보 일 례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12)에는 다수의 버튼(121)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버튼(121) 에는 적어도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과, 업무 처리 확인, 입력 정정, 입력 취소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처리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2)를 구성하는 다수의 버튼(121) 중 적어도 숫자 버튼은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입력부(12)를 구성하는 다수의 버튼(121) 전부가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는 사용자의 정보 입력 과정에서 버튼 누르는 동작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가 상기 입력부(12)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와 상기 입력부(12)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바디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에는, 상기 입력부(12)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10)의 설치면(101)에 놓이는 제 1 바디(210)와, 상기 제 1 바디(210)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한 제 2 바디(2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바디(210)에는, 측면 둘레를 형성하는 측면부(211)와, 상 기 측면부(211)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에 놓이는 놓임부(215)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측면 둘레"는, 양측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11)의 수평 단면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상면 및 하면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11)의 상측 부에는 상기 제 1 바디(210)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놓임부(215)는 상기 측면부(211)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10)와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216)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210)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것이 개시되나, 상기 제 1 바디(21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일 례로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본체(10)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바디(230)에는, 상기 측면부(211)의 상측 개구부 측에 위치하는 커버 바디(231)와, 상기 커버 바디(23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 커버(23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바디(231)는 상기 제 1 바디(210)에 의해서 상기 입력부(12)의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2)를 커버한다.
상기 커버 바디(231)에는, 다수의 홀(234)을 형성하기 위한 격자부(lattice portion)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홀(234)을 통하여 상기 제 2 바디(230)의 상방에서, 상기 제 2 바디(2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입력부(12)를 볼 수 있다.
상기 격자부는 도 2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리브(232)와, 도 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리브(233)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홀(234)의 수평 단면은 사각형이다.
그리고, 다수의 제 2 리브(233)는 상기 커버 바디(231)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수의 제 2 리브(233)는 상기 커버 바디(231)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홀(234)은 상기 다수의 제 1 리브(232) 및 다수의 제 2 리브(233)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상기 각 홀(234)이 상기 커버 바디(231)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상기 홀(234) 또는 상기 제 2 리브(233)가 경사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231)에는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단(23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35)은 상기 제 1 바디(210)의 안착부(212)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바디(230)는 상기 제 1 바디(210)에 회전 장치(240)에 의해 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 장치(240)에는 상기 제 1 바디(2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힌지부(242)와, 상기 제 2 바디(23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힌지부(244)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힌지부(242)와 하나 이상의 제 2 힌지부(244)를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축(246)이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 장치(240)는, 복수의 제 1 힌지부, 제 2 힌지부 및 힌지축이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일 례로 2개의 제 1 힌지부, 제 2 힌지부 및 힌지축이 포함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힌지부(242)는 상기 측면부(211)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힌지부(244)는 상기 제 2 바디(230)의 후단 하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힌지축(246)은 좌우 방향(X 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부(242) 및 상기 제 2 힌지부(244)를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바디(230)는 상기 힌지축(246)을 중심으로 수직 회전(상하 방향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46)의 단부 측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홈(24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46)이 상기 제 1 힌지부(242) 및 상기 제 2 힌지부(244)를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부(248)가 상기 홈(247)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248)는 E-ring일 수 있으며, 상기 홈(247)은 상기 체결부(24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 장치(240)에 의해서 상기 제 2 바디(230)가 하방 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2 바디(230)의 안착단(235)이 상기 제 1 바디(210)의 안착부(212)에 안착되면, 상기 제 2 바디(230)는 더이상 하방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바디(210)의 안착부(212) 및 상기 제 2 바디(230)의 안착단(235)은 상기 제 2 바디(230)의 하측 회전 한계를 정하는 하측 스토퍼 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230)는 상측 스토퍼 기구(250)에 의해서 상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측 스토퍼 기구(250)에는 상기 측면부(211)에 형성되는 제 1 스토퍼(252)와, 상기 커버 바디(231)에 형성되는 제 2 스토퍼(254)가 포함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상기 제 2 바디(230)가 상방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스토퍼(254)가 상기 제 1 스토퍼(252)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 2 바디(230)는 더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측 스토퍼 기구와 하측 스토퍼 기구에 의해서 상기 제 2 바디(230)는 일 례로 대략 50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나, 상기 상측 스토퍼 기구 및 상기 하측 스토퍼 기구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각 스토퍼 기구의 형상 변경에 따라 상기 제 2 바디(230)의 회전 가능 범위는 가변될 수 있다.
도 6은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정보 입력 장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가 상기 입력부(12)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디(230)는 상기 입력부(12)와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디(230)에 외력(즉,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바디(230)의 안착단(235)은 상기 제 1 바디의 안착부(212)에 안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2)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키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홀(234)의 연장 방향이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 2 바디(23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홀(234)의 연장 방향과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일치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가 홀(234)을 통하여 상기 입력부(12)의 버튼(121)을 확인할 수 있다면, 상기 홀(234)의 연장 방향과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 홀(234)을 통하여 상기 입력부(12)의 버튼(121)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 2 바디(230)를 회전시킨 후에는, 사용자는 일 례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주위의 사람은 상기 측면부(211) 및 상기 커버 바디(231)에 의해서 비밀번호 입력 동작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정보 입력 장치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C)는 보통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수직 상방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C)의 촬영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하 수직 방향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지고, 상기 홀(234)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홀(234)의 연장 방향과 카메라(C)의 촬영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상기 카메라에서 비밀번호 입력 동작을 촬영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 2 바디(230)가 제 1 바디(2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2 바디(230)에 형성된 홀(234)이 경사짐에 따라, 주위의 사람이 비밀번호 입력 동작을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서 비밀번호 입력 동작을 촬영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홀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 2 바디(230)에는 다수의 홀(238)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홀(238)의 수평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는 홀의 수평 단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이 설명되나, 상기 홀의 수평 단면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30)에는, 본체의 설치면(도 1참조)에 놓이는 제 1 바디(310)와, 상기 제 1 바디(310)에 회전 장치(34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바디(3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바디(310)는 상측에서 볼 때,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된 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31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바디(330)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복수의 측면 커버(312)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측면 커버(312)는 상기 제 1 바디(3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바디(330)에는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331)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33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디(330)의 전면 및 하면은 개구된다. 상기 측면부(331) 및 상기 상면부(332)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332)에는 제 1 실시 예 또는 제 2 실시 예에서 설명한 홀과 동일한 구조의 다수의 홀(33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장치(340)에는, 상기 제 1 바디(310)에 형성되는 제 1 힌지부(342)와, 상기 제 2 바디(330)에 형성되는 제 2 힌지부(344)와, 상기 제 1 힌지부(342) 및 상기 제 2 힌지부(344)에 동시에 결합되는 힌지축(346)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설명에 더하여, 하기되는 사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단일의 바디로 구성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회전 장치에 의해서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디를 구성하는 격자 중에서 다수의 제 2 리브가 상기 제 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연결 장치에 의해서 조작부에 연결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제 2 리브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설치된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바디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정보 입력 장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12)

  1. 설치면에 설치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에 놓이는 제 1 바디; 및
    회전 장치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와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바디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2 바디의 상하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경사지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 커버가 포함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는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 면부가 포함되고,
    상기 상면부에 상기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바디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의 상측 회전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스토퍼 기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스토퍼 기구에는, 상기 제 1 바디에 형성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바디에 형성되는 제 2 스토퍼가 포함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에는 상기 다수의 홀을 정의하기 위한 격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자부는 전후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리브와, 좌우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리브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제 2 리브는 상기 제 2 바디의 상하 수직선으로부터 경사지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8.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가 포함되는 본체; 및
    상기 입력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놓여, 다수의 버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전 장치에 의해서 상기 본체에 대해서 회전되며,
    상기 다수의 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상면의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경사지는 정보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는,
    상기 설치면에 놓이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바디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바디에 상기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정보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에는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디의 하측에는 복수의 측면 커버가 형성되는 정보 입력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에는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바디의 상측에는 복수의 측면 커버가 형성되는 정보 입력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의 상하 회전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스토퍼 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스토퍼 기구에는, 상기 제 1 바디에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제 2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단을 가지는 하측 스토퍼 기구와,
    상기 제 1 바디에 형성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바디에 형성되는 제 2 스토퍼를 가지는 상측 스토퍼 기구가 포함되는 정보 입력 장치.
KR1020090078085A 2009-08-24 2009-08-24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KR10110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85A KR101107386B1 (ko) 2009-08-24 2009-08-24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PCT/KR2009/005185 WO2011025084A1 (en) 2009-08-24 2009-09-11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input apparatus
CN200980000301.1A CN102171624B (zh) 2009-08-24 2009-09-11 信息泄露防止设备和信息输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85A KR101107386B1 (ko) 2009-08-24 2009-08-24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466A true KR20110020466A (ko) 2011-03-03
KR101107386B1 KR101107386B1 (ko) 2012-01-19

Family

ID=4362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085A KR101107386B1 (ko) 2009-08-24 2009-08-24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07386B1 (ko)
CN (1) CN102171624B (ko)
WO (1) WO20110250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384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1423B1 (fr) * 2014-05-23 2016-06-24 Cie Ind Et Financiere D'ingenierie Ingenico Cache-code pour clavier de terminal electronique et terminal electronique correspondant.
CN105253724A (zh) * 2014-07-15 2016-01-2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身份认证装置以及具有身份认证装置的电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319A (en) * 1994-02-25 2000-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ti-surveillance device for keyboards
US5748728A (en) * 1995-01-25 1998-05-05 Phran-Tek Ltd. Shield for concealing operation of a keypad
DK15895A (da) * 1995-02-10 1996-08-11 Ib Groenbjerg Skærm til magnetkortapparat
JP2001325665A (ja) 2000-03-09 2001-11-22 Shinyo Sangyo Kk カード暗証番号打機に使用されるキー隠しカバー及びキー隠しカバーが付設されたカード暗証番号打機
BR8002623U (pt) 2000-05-30 2002-05-21 Diego Giuliano Filippi Dispositivo de proteção de senha
KR200316200Y1 (ko) * 2003-03-25 2003-06-12 엘퍼스크 주식회사 핀 패드의 비밀번호 보호 장치
TWM273759U (en) * 2005-03-31 2005-08-21 Shin Zu Shing Co Ltd Pivot
AR054355A1 (es) * 2005-05-06 2007-06-20 Taverner Alistair Protector de teclado numerico
CN101019086B (zh) * 2005-05-15 2012-09-26 索尼计算机娱乐公司 电子装置
KR20090010036A (ko) * 2006-03-28 2009-01-28 시큐어 액세스 솔루션즈 리미티드 키패드 보안 디바이스
CA2678785A1 (en) * 2007-03-09 2008-09-18 Paul Clancy Shield means for data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GB2452722B (en) * 2007-09-12 2012-09-26 Jane Alison Sanderson Vision shiel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384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KR101867844B1 (ko) * 2016-07-06 2018-06-18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71624A (zh) 2011-08-31
CN102171624B (zh) 2014-07-16
KR101107386B1 (ko) 2012-01-19
WO2011025084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386B1 (ko)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RU25825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росмотра конфиденциальных данных
EP2610823A1 (en) Encryption keypad capable of preventing illegal disassembly
JP6698160B2 (ja) ドア構造
WO2011048651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200096078A (ko) 의류처리장치
JP2003284850A (ja) パチンコ遊技機
JP5463220B2 (ja) 覗き見防止カバー及び自動取引装置
CN108025884A (zh) 用于升降机的具有防溅水的钥匙式开关的操作面板
JP3124028U (ja) スロットマシン電源ボックスの不正操作防止カバー
JP3783193B2 (ja) 管理室制御盤
KR101909014B1 (ko) 정보 입력 장치 및 금융기기
KR20110055812A (ko) 선회가능한 화면표시부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JP6399334B2 (ja) 洗濯機
JP2016012314A (ja) 精算機
KR200496567Y1 (ko) 도어에 단차부를 포함하는 금고
JP5124052B1 (ja) 錠前の保護キャップ
KR20110019845A (ko) 조작패널 보호커버
JP6855306B2 (ja) エレベータかご用の操作ユニット
KR101867844B1 (ko)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JP6126285B1 (ja) 遊技機用配線構造
EP369012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JP2006146697A (ja) 暗証番号入力装置の盗み見防止構造
JP7093553B2 (ja) 覗き見防止カバー
JP6748391B2 (ja) ランドリ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