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844B1 -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844B1
KR101867844B1 KR1020160085378A KR20160085378A KR101867844B1 KR 101867844 B1 KR101867844 B1 KR 101867844B1 KR 1020160085378 A KR1020160085378 A KR 1020160085378A KR 20160085378 A KR20160085378 A KR 20160085378A KR 101867844 B1 KR101867844 B1 KR 101867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ide
side portion
light
information leaka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384A (ko
Inventor
고광훈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6008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8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07F19/2055Anti-skimming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25Identification of user by a PIN code
    • G07F7/1033Details of the PIN p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장치로, 상기 설치면에 배치되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바디의 일부 및 상기 제2 바디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다 수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inp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금융 업무와 관련한 금융 처리 장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각 종 잠금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처리 장치는, 고객이 금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또는 핀 패드(Persnal identification number Pad: Pin Pa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핀 패드는 은행에서의 금융 업무 처리 시, 사용자 정보 일 례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핀 패드는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에는 정보 입력을 위하여 핀 패드가 구비되거나, 그 자체에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 또는 금고 등에 설치되는 금고락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주위의 사람이 비밀번호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 입력 장치 주위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비밀번호 입력 동작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종래에는 정보 입력 장치에 주위의 사람들이 비밀번호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일면이 개구된 커버 형태의 정보 유출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정보 유출 장치는, 사용자가 핀 패드 또는 다수의 버튼을 통해 입력부를 누르는 경우, 주위의 사람들이 비밀번호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일면만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역시 핀 패드 또는 다수의 버튼에 대한 시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면에 설치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상기 설치면에 배치되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바디의 일부 및 상기 제2 바디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다 수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는,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 수의 패턴은 제1 바디의 상기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 하단에는 내부로 빛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는 내부에 빛이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빛은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빛은 상기 다 수의 패턴을 투과하면서,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는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가 포함되고, 상기 다 수의 패턴은 상기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상면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의 시야각을 좁히는 보안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 및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포함되는 본체; 및 상기 입력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놓여, 다수의 버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상기 입력부로 발산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상기 입력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200)에 배치되어,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다 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빛이 상기 다 수의 패턴을 통과하여 상기 입력부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설치면에 놓이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측면과 상기 제2 바디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 수의 패턴은 상기 제1 바디의 후측면 및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후측면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빛은 상기 제1 바디의 후측면 및 상기 제2 바디를 통과하여 상기 입력부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에 부착되고, 외부로부터의 시야각을 좁히는 보안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 수의 패턴은 사각뿔 형상일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를 제외한 주위의 사람들이 비밀번호 입력동작을 볼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내부에 발생되는 빛의 집적도를 높임으로써, 입력부로의 사용자의 시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에 형성된 보안필터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보안필터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부를 볼 수 있는데 반하여, 주위의 사람은 입력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에 따라,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설치된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 형성된 다 수의 패턴의 사진.
도 6은 도 4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유입구로 빛이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빛을 입력부로 발산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본체"는 정보 입력 장치의 종류에 포함되는 금융 처리 장치, 잠금 장치 및 기타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본체를 의미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설치된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정보 입력 장치의 종류로서, 일 례로 금융 자동화 기기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에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0)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각종 정보 일 례로 금융 처리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1)와, 각종 정보 일 례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12)에는 다수의 버튼(121)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버튼(121)에는 적어도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과, 업무 처리 확인, 입력 정정, 입력 취소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처리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2)를 구성하는 다수의 버튼(121) 중 적어도 숫자 버튼은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입력부(12)를 구성하는 다수의 버튼(121) 전부가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는 사용자의 정보 입력 과정에서 측방 등 외부의 사람들이 사용자가 버튼 누르는 동작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가 상기 입력부(12)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와 상기 입력부(12)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 형성된 다 수의 패턴(218)의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20)에는, 상기 입력부(12)가 형성되는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본체(10)의 설치면(101)에 놓이는 제 1 바디(210)와, 상기 제 1 바디(210)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를 바라볼 수 있도록 설치된 제 2 바디(2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바디(210)에는, 측면 둘레를 형성하는 측면부(211)와, 상기 측면부(211)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10)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와 체결될 수 있는 접촉부(21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접촉부(215)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입력부(12)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 상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12)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215)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측면 둘레"는, 양측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11)의 수평 단면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상면 및 하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측면부(211)는 후면을 형성하는 후측면부(211a)와, 상기 후측면부(211)의 양 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양측면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측면부(211a)와 상기 2개의 양측면부(211b)에 의해 생성된 공간에 의해 상기 전면, 상면 및 하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면부(211a)는 내부에 제1 유로(2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측면부(211a)는 외면을 형성하는 제1 후측면부(211d)와 내면을 형성하는 제2 후측면부(211e) 및 상기 제1 후측면부(211d)의 하단과 상기 제2 후측면부(211e)의 하단을 연장하는 제3 후측면부(211f)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후측면부(211d)와 상기 제2 후측면부(211e)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로(211c)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211c)를 통해 빛이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후측면부(211d), 상기 제2 후측면부(211e) 및 상기 제3 후측면부(211f)에 의해 생성된 공간 내부에 빛이 유동할 수 있고, 이를 제1 유로(211c)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후측면부(211e)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다 수의 패턴(218)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턴(218)은 사각뿔 형상의 패턴(218)일 수 있다. 상기 패턴(218)이 사각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제2 후측면부를 통과하는 빛은 상기 다 수의 패턴(218)에 의해 상기 입력부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발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패턴(218)이 사각뿔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상기 제1 유로(211c)를 통해 유동하는 빛은 상기 제2 후측면부(211e)에 형성된 상기 패턴(218)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후측면부를 통해 내부의 입력부에 발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입력부에는 빛이 조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안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211)에는 후술할 발광부(26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유입되는 유입구(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입구(250)는 상기 측면부(210)의 상기 후측면부(211a)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250)를 통해 상기 발광부(26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주입되어, 상기 후측면부(211a) 내부로 빛이 유동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유입구(250)는 상기 제3 후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발광부(260)로부터 발생되는 빛은 상기 유입구(250)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유로(211c)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15)는 상기 측면부(211)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10)와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216)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210)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것이 개시되나, 상기 제 1 바디(21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일 례로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본체(10)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바디(230)는, 상기 측면부(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따다. 상세히, 상기 제2 바디(230)는 상기 측면부(210)의 상측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2 바디(230)는 상기 측면부(21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바디(230)는 상기 후측면부(211a)의 상단 및 상기 양측면부(212a)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2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3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2 바디(230)를 통해 상기 입력부(12)의 상기 다 수의 버튼(12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230)에는 다 수의 패턴(218)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턴(218)은 상기 제1 후측면부에 형성된 패턴(218)과 동일한 사각뿔 형상의 패턴(218)일 수 있다. 상기 패턴(218)이 형성된 모습은 도 5에 도시하였다.
상기 제2 바디(230)가 상기 제1 후측면부(211a) 및 상기 제2 후측면부(211b)의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유로(211c)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제2 바디(230)를 통과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바디(2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 수의 패턴(21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바디(230)를 통과한 빛은 상기 입력부(12) 또는 사용자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보안필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필터(240)는 상기 제2 바디(230)에 부착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시야각을 좁힐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안필터(240)는 상기 제2 바디(23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안필터(240)가 상기 제2 바디(23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230)의 시야각이 좁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보안필터(240)가 상기 제2 바디(230)에 부착되어 상기 제2 바디(230)의 시야각이 좁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전면에서 상기 제2 바디(230)를 통해 상기 입력부(12)가 육안으로 볼 수 있으나, 다른 사람들이 측면에서 상기 제2 바디(230)를 통해 상기 입력부(12)를 육안으로 볼 수 없는 효과가 있다.
즉, 금융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만이 전방에서 상기 제2 바디(230)를 통해 상기 입력부(120)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시안성과 보안성이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4의 a-a’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의 유입구로 빛이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빛을 입력부로 발산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210)가 설치되는 설치면(101)에는 발광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1 바디(210)의 상기 후측면부(211a)의 하단에 배치된 상기 유입구(250)가 접촉하는 상기 설치면(101)의 위치에 상기 발광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60)는 상기 유입구(250)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조사된 빛이 상기 제1 바디(210)를 통해 상기 입력부(12)로 발산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60)는 엘이디(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이기 때문에,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발광부(260)로부터 조사된 빛(A)은 상기 유입구(250)를 통해 상기 제1 후측면부(211a)와 상기 제2 후측면부(211b)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유로(211c)를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발광부(26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은 상기 유입구(250)를 통해 상기 제1 유로(211c)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후측면부(211b)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다 수의 패턴(2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후측면부(211a)의 전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211c)로 유입된 빛(A)은 상기 제1 후측면부(211a)의 전면에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반사부에 의해 상기 제2 후측면부(211b)의 후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넓게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빛을 반사광(B)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반사광(B)은 상기 제2 후측면부(211b)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2 후측면부(211b)에 생성된 다 수의 패턴(218)에 의해 상기 입력부(12)를 향해 넓은 각도로 발산되는 발산광(C)을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후측면부(211b)로 반사된 반사광(B)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2 후측면부(211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후측면부(211b)에 형성된 다 수의 패턴(218)을 통해 상기 입력부(12)로 넓게 발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후측면부(211b)를 통과하여 발산된 발산광(C)은 상기 입력부(12)의 넓은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조사광(D) 형태로 발산됨에 따라, 상기 입력부(12)의 전체면적에 고르게 빛이 조사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설치면에 설치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에 배치되고, 양측면 및 후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측면부의 후측면은,
    외면을 형성하는 제1 후측면부;
    내면을 형성하는 제2 후측면부; 및
    상기 제1 후측면부와 상기 제2 후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사이로 빛이 통과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측면부 및 상기 제2 바디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다 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하는 빛은 상기 제2 후측면부 및 상기 제2 바디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의 개구된 상측면을 차폐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양측면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 수의 패턴은 사각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후측면은,
    상기 제1 후측면부와 상기 제2 후측면부의 하단을 연장하는 제3 후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후측면부에는, 상기 제1 유로의 내부로 빛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측면부를 바라보는 상기 제1 후측면부의 일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반사부가 형성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제1 후측면부의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후측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2 후측면부에 제공되는 다 수의 패턴을 투과하면서,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후측면부 및 상기 제2 후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하는 빛은 상기 제2 바디로 전달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 부착되고, 외부로부터의 시야각을 좁히는 보안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
  10.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 및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포함되는 본체; 및
    상기 입력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놓여, 다수의 버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상기 입력부로 발산하는 정보 유출 방지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유출 방지 장치는,
    상기 입력부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설치면에 배치되며, 양측면 및 후측면을 형성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의 후측면은, 외면을 형성하는 제1 후측면부와, 내면을 형성하는 제2 후측면부와, 상기 제1 후측면부와 상기 제2 후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빛이 통과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측면부 및 상기 제2 바디에는 다 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빛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다 수의 패턴을 통과하여 상기 입력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측면부와 상기 제2 바디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양측면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정보 입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후측면부와 상기 제2 후측면부의 하단을 연장하는 제3 후측면부에 배치되는 정보 입력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 부착되고, 외부로부터의 시야각을 좁히는 보안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 수의 패턴은 사각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KR1020160085378A 2016-07-06 2016-07-06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KR10186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78A KR101867844B1 (ko) 2016-07-06 2016-07-06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78A KR101867844B1 (ko) 2016-07-06 2016-07-06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84A KR20180005384A (ko) 2018-01-16
KR101867844B1 true KR101867844B1 (ko) 2018-06-18

Family

ID=6106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378A KR101867844B1 (ko) 2016-07-06 2016-07-06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8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971A (ko) * 2001-12-22 2004-10-27 오우브이디이 키네그램 악티엔개젤샤프트 회절 보안 부재
KR20110020466A (ko) * 2009-08-24 2011-03-03 엘지엔시스(주) 정보 유출 방치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JP2011221131A (ja) * 2010-04-06 2011-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部材用保護フィルム、光学部材積層体および光学部材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60080748A (ko) * 2014-12-30 2016-07-08 한국조폐공사 변색효과를 갖는 보안요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23508D0 (en) * 2004-10-22 2004-11-24 Radford Neil Keypad securit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971A (ko) * 2001-12-22 2004-10-27 오우브이디이 키네그램 악티엔개젤샤프트 회절 보안 부재
KR20110020466A (ko) * 2009-08-24 2011-03-03 엘지엔시스(주) 정보 유출 방치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JP2011221131A (ja) * 2010-04-06 2011-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部材用保護フィルム、光学部材積層体および光学部材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60080748A (ko) * 2014-12-30 2016-07-08 한국조폐공사 변색효과를 갖는 보안요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84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9065B1 (en) Optical imaging via imaging lens and imaging pinhole in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in devices ha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creens or other screens
CN207557977U (zh) 光路调制器、指纹识别装置和终端设备
KR101500253B1 (ko) 전자 장치의 센서 및 다른 구성요소를 감추는 방법 및 장치
CN107451513A (zh) 指纹辨识装置
EP1851744B1 (en) Smoke detector
CN109271057A (zh) 显示组件和电子设备
CN109426812A (zh) 用来基于接触同时采集手足的印痕的装置
JP2014057828A (ja) 生体センサ用格納容器
US20130279011A1 (en) Private view protector
CN111837132B (zh) 指纹检测的装置和电子设备
CN104221034A (zh) 移动式虹膜识别相机系统
WO2011052323A1 (ja) 偽指判定装置および偽指判定方法
KR101859405B1 (ko) 광학 센서 패키지
JP2022529272A (ja) 指紋認識モジュール、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及び電子装置
KR101867844B1 (ko)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WO2021213005A1 (zh) 电子装置
EP3191881B1 (en) Multiple light pip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107386B1 (ko)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JP2015191093A (ja) 表示装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JP7059150B2 (ja) 扉用ハンドル
CN108337421B (zh) 终端设备
EP3786526B1 (en) Cooking device
TWI656299B (zh) 發光殼體
US11906713B2 (en) Optical fingerprint sens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with optical fingerprint detection
KR20130117556A (ko) 입력장치 노출방지 커버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