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974A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974A
KR20110019974A KR1020090077615A KR20090077615A KR20110019974A KR 20110019974 A KR20110019974 A KR 20110019974A KR 1020090077615 A KR1020090077615 A KR 1020090077615A KR 20090077615 A KR20090077615 A KR 20090077615A KR 20110019974 A KR20110019974 A KR 2011001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oil
carbon dioxide
beans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언무
이상수
서장원
김미영
손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맥스
Priority to KR102009007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974A/ko
Publication of KR2011001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8Drying or concentrating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8Isolation or recuperation of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23F5/50Isolation or recuperation of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from coffee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 분리하고, 나머지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을 열수수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추출로 커피 원두의 오일 성분이 제거됨으로써 나머지 커피박이 다공화되어 보다 빠른 시간에 열수추출이 가능하고, 추출된 고형물의 양도 증가하며,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된 커피향 성분을 수용화하여 혼합함으로써 향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발명인 것이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천연커피향, 향농축, 탈지원두커피

Description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A method for extracting coffee beans by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 분리하고, 나머지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을 열수수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커피관련 제품은 대부분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커피 원두에 포함되어 있는 지용성 향기성분은 극히 일부분만이 포함되어 있는 실정이다. 커피오일의 경우 좋은 풍미를 갖고 있어 기존 커피음료 내지는 커피 착향료를 사용하는 곳에 천연 착향료로 대체가 가능하다.
커피 원두를 열수추출한 후 남은 박을 보면 실제적으로 수용성 성분 이외의 대부분의 지용성 성분은 추출되지 못하고 박에 잔존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열수추출박에 존재하는 지용성 성분 또한 열수 추출 과정 중에 많은 변성이 생겨 품 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커피 원두의 추출 방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2917호 “커피 추출방법과 제품”에는 가용성 커피 고형물의 역류 추출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89-0016081호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커피 카페인의 제거방법”에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커피 원두로부터 카페인을 추출하고 비카페인성 고형물을 회수하고 이 고형물을 커피 원두로 재순환시키는 연속적인 방법 및 카페인 제거 도중 비카페인성 고형물의 손실을 억제시키고 공정중의 원두 체류 시간을 실질적으로 저하시켜 카페인이 제거된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64635호 “커피의 가수분해 및 오일추출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에는 커피 찌끼를 물 중에서 슬러리화하고 이 슬러리를 산성화시킨 후, 이 슬러리에 오일 용매를 분산시켜 고온에서 단시간에 커피 찌끼를 가수분해함에 동시에 커피 오일을 추출한다. (1) 사용한 커피 찌끼를 물 중에 슬러리화하여 찌끼의 중량이 슬러리의 약 5-25중량%가 되게 하고, (2) 이 슬러리에 산(예;황상, 인산, 질산, 염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을 첨가해서 pH를 0.7 내지 3.0으로 조절하고, (3) pH를 조절한 슬러리를 수불혼화성 오일 용매(예;헥산, 톨루엔, 프레온, 광물성 경질유, 고분자량 알코올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와 오일 용매 대 슬러리의 용적비가 1;1 내지 3;1이 되도록 혼합, 분산시키고, (4) (3)에서 얻은 분산액을 반응기 중에서 180도C 내지 240도C의 온도에 서 5초 내지 60초 동안 가열하여 커피 찌끼를 가수분해 시킨 후, 이 찌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고, (5) 커피 오일을 함유하는 오일 용매를 수성 가수분해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 찌끼를 가수분해물로부터 분리하여 커피 찌끼의 가수분해와 커피 오일의 추출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1938호 “가용성 커피의 제조방법”에는 약 1.8mm의 입도를 갖는 로우스트 커피 분말을 여과기에서 포화 증기로 처리하여 필수 방향 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방향 성분을 응축물로서 얻고, 나머지 로우스트 커피를 고압에서 추출수로 처리하고 적어도 2개의 여과기를 사용하여 1차 추출하고 압력 이완을 통해 증발된 부분을 응축시켜 방향 응축물로서 더 얻고, 증발되지 않은 부분을 1차 추출물로서 일시 저장하고, 이어서 나머지 로우스트 커피를 고압 및 승온에서 적어도 2개의 여과기를 사용하여 2차 추출하고, 압력 이완을 통해 증발된 추출 부분을 분리하여 버리고, 2차 추출 부분으로서 얻어진 증발되지 않은 부분을 임의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나누고, 나머지 로우스트 커피를 고온 및 승온에서 적어도 2개의 여과기를 사용하여 임의로 3차 추출하고 압력이완을 통해 증발된 부분을 버리고 증발되지 않은 부분을 3차 추출물로서 얻으며, 2차 추출물의 제2 부분 및 3차 추출물을 임의로 조합한 후, 액체 또는 초임계 CO2로 고압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을 버리고 남아있는 추출물을 얻고, 각종 추출물을 다단 증발기에서 응축시키고, 한데 모아 2가지 방향 응축물과 혼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약 35 내지 55%의 고체 농도를 갖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사용된 여과기의 길이/직경비가 약 3.2:1 내지 0.9:1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스트 커피 콩의 침출 특질과 유사한 침출 특질을 갖고 인스턴트 커피 특유의 이취 특성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가용성 커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1-0021966호 “풍미가 개량된 가용성 커피의 제조 방법”에는 유용한 방향 성분을 분리하여 얻기 위하여, 먼저 로우스트 커피를 증기로 처리하고, 잔류 로우스트 커피를 적어도 2단계로 수성 추출 처리하고, 임의로 농축된 추출물을 방향 성분과 혼합하여 반응시켜 얻어진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 또는 분무 건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2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의 일부 및 추가의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약 20 내지 120℃의 온도 및 약 60 내지 400바아의 압력에서 초임계 또는 액상 CO2로 추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커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부터 커피 원두의 추출에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커피관련 제품의 대부분이 열수 추출 방법을 이용하므로 커피 원두가 가지고 있는 지용성 향기성분에 대한 좋은 풍미를 함께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커피 원두를 열수 추출한 후, 초임계 추출한 경우에도 열수 추출과정 중에 많은 변성이 일어나 초임계 추출을 통해서도 좋은 품질의 천연 커피향을 얻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커피 원두의 추출에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 박에 잔류용매를 남기지 않고 수용성 물질에 손실을 주지 않으며 커피오일과 커피 향 함유 오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한 후, 추출 박을 열수 추출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연속조작 공정에 의해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해고, 나머지 커피박을 열수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커피오일 및 커피향 함유 오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함에 있어, 추출 용매로서 상기 성분의 추출에는 영향이 없으면서 인체에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공정 중의 온도 및 압력에 따른 상이한 용해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획, 추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최적화하고, 원료를 추출기에 한번 충진한 상태에서 충진 시료의 이동 없이 일련의 단계들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 원두”라 함은 커피 음료의 원료가 되는 커피 나무의 종자로서, 커피콩(coffee bean)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당업계에서 커피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커피 원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 오일”이라 함은 커피에서 추출한 일반적인 용매 추출 방법으로 추출가능한 커피가 가지고 있는 식물성 스테롤을 포함한 중성지질 및 유리지방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향 함유 오일”이라 함은 커피가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포함하는 커피향기가 나는 오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라 함은 임계점 이상의 압력, 온도 구간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 방법은,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상기 분말화된 커피 원두를 추출기에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추출기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 원두 분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하여 제1 분리조로 이송하고,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분리조에서 커피오일을 회수하고, 커피향 함유 오일은 제2 분리조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분리조에서 이산화탄소를 기화시키고 커피향 함유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응축기를 통해 회수조에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원심분리하여 왁스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왁스성분이 제거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균질기에서 균질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저장하는 단계
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추출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부, 가온장치와 추출기로 구성된 추출부,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함유한 유체를 추출물과 기체 이산화탄소로 분리해 내기 위한 분리부,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냉각하는 응축기와 이를 저장하는 회수조로 구성된 회수부 및 상기 분리부에서 회수한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등의 용매는 예냉기 및 피스톤 펌프를 지나면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가진 액체 또는 초임계 상태로 추출기부에 공급되며, 예열기를 통과하면서 정해진 온도를 갖게 된다. 이산화탄소 등의 용매는 추출기 내에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게 되고 내부에 충진된 커피 원두에 함유된 커피오일과 향성분을 추출하며, 추출물과 초임계유체는 분리기에서 기체가 되어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는 응축기를 거쳐 액체로 변환되면서 재순환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를 분말화하는 단계는 커피 원두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에 적당하도록 0.1 ~ 1 mm 크기로 분말화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는 펌프를 통해 공급된 가온장치를 거쳐 추출기로 공급되며, 추출기에서 초임계 상태가 되어 추출용매로 사용된다. 압력조절장치의 허용압력을 400기압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추출기 내부의 이산화탄소는 400기압, 60℃의 초임계상태가 될 때까지 가열, 가압되며, 추출기 내부의 압력이 400기압이 되면 감압장치에 일정 압력이상을 외부로 배출하며 추출기 내부의 압력은 400기압의 초임계 상태를 유지되게 된다.
한편, 분리기 및 열교환기를 통해 나온 이산화탄소 또한 상기 응축기를 거치면서 회수조에 저장되고 -5℃의 완전한 액체 상태로 펌프로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단계는 통상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에서 사용하는 조건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 및 250 내지 800 기압의 조건하에서 3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해 추출된 커피오일과 향성분은 감압 장치를 통해 제1 분리조로 이송되고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은 제거된다. 상기 제1 분리조에서 적당한 밀도의 초임계 또는 아임계 상태,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기압으로 유지되면서 커피오일이 회수되고, 커피향 함유 오일을 함유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감압장치를 거쳐 제2 분리조로 이송된다. 제2 분리조에서 이산화탄소를 상온 및 상압의 기체 상태가 되어 기화되고 커피향 함유 오일이 회수된 다. 기화된 이산화탄소는 응축기를 거쳐 액상으로 전환되어 회수조에 저장되어 추출에 다시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분리조에서 회수된 커피향 함유 오일은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분리되어 왁스성분이 제거되고 균질기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왁스성분이 제거된 커피향 함유 오일은 균질기에서 균질화된 후 저장조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균질화된 커피향 함유 오일은 통상적인 나노에멀젼 또는 주정 엡솔루트 방식으로 수용화될 수 있다.
상기 나노에멀젼 방식은 수용액상에 오일을 분산시킴에 있어 오일구의 크기가 나노사이즈로 분산시키는 것으로 미세한 콜로이드 입자로 오일구를 만들어 보다 안정하게 오일이 수용액상에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엡솔루트 방식은 용매비를 기재할 수는 없으나 쉽게 설명하면 물을 포함하는 알콜용액에 오일과 섞어 용해되는 부분만 용액에 남게하는 방법으로 향기성분은 용액에 남고 오일성분은 분리시켜 오일이 분리되고 향이 포함된 용액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추출기에서 제거된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은 추가로 수추출하여 수용성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수득된 수추출물은 여과되고, 농축기에서 적정 Brix로 농축된 후, 제2 균질기에서 균질화를 거친 다름 상기에서 수용화된 커피향 함유 오일과 적정 배수로 혼합된다.
상기에서 수추출은 초임계 추출하고 남은 커피 잔사 100g에 실온수 500L 첨 가하여 1시간 실온에서 교반한다(시료 대비 물 5배수). 이후 1㎛ 필터를 사용해 커피박을 제거하고 추출된 커피용액을 70℃에서 50 brix 까지 감압농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커피 원두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남은 커피박을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 이산화탄소로 원료의 오일성분 제거되고 오일이 제거된 곳의 다공화를 통해 빠른 시간에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로 추출된 고형물의 양도 증가한다. 초임계 추출박의 열수 추출물의 경우 원두커피를 직접 열수 추출하였을 때보다 향도가 떨어지긴 하나 원두커피의 초임계 추출물을 수용화하여 소량 첨가함으로도 향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원두커피의 초임계 추출물은 커피아이스크림이나 커피크림 제조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원두커피의 초임계 추출은 원두커피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던 부분에 대한 사용처의 개발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로 커피 원두의 오일 성분이 제거됨으로써 나머지 커피박이 다공화되어 보다 빠른 시간에 열수추출이 가능하고, 추출된 고형물의 양도 증가하며,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된 커피향 성분을 수용화하여 혼합함으로써 향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폐 커피박을 재사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커피 원두 2 kg을 0.5 mm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분말화된 커피 원두를 추출기에 충진하고, 400기압의 압력 60℃온도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하고,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은 제거하였다.
실시예 2
커피 원두 2 kg을 0.5 mm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분말화된 커피 원두를 추출기에 충진하고, 400기압의 압력 60℃온도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은 제1 분리조로 이송하고,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은 제거하였다.
상기 제1 분리조에서 100기압 35℃ 조건으로 커피오일 180g을 회수하고, 커피향 함유 오일은 제2 분리조로 이송하였다. 상기 제2 분리조에서 상온 및 상압에서 이산화탄소를 기화시키고 커피향 함유 오일 20g을 회수하고,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응축기를 통해 회수조에 저장하여 재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수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원심분리하여 왁스성분을 제거하고, 왁스성분이 제거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제1 균질기에서 균질화시켰다. 상기 균질화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나 노에멀젼 또는 주정 엡솔루트 방식으로 수용화시켰다.
한편, 상기 제거된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을 5배수 열수를 가하여 30분 교반하여 열수추출한 후, 열수추출물을 여과하여 50 Brix까지 농축하고, 제2 균질기에서 균질화시켰다.
최종적으로 상기 수용화 커피향성분에 균질화된 열수추출물을 3배수로 혼합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커피오일 및 커피향 함유 오일의 향의 강도와 관능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커피오일을 수용화시켜 0.1% 및 0.2% 액상 커피를 제조하고, 이를 일반 액상 커피와 관능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수용화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이용하여 0.01% 및 0.05% 액상 커피를 제조하고, 이를 일반 액상 커피와 관능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커피오일을 1% 첨가한 인스턴트 커피를 제조하고, 이 인스턴트 커피 1g에 80℃ 물 100 mL를 가하여 녹인 것과 일반 인스턴트 커피의 관능을 비교하였다.
비교예 1
커피 원두 분말 1kg을 교반기에 넣고 n-헥산 10리터를 채워 2시간 교반하고 필터한 뒤 얻은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추출물의 향의 강도 측정 및 관능 분석하였다.
비교예 2
커피 원두 분말 1kg을 착유기에 넣고 추출물을 여과한 추출물의 강도 측정 및 관능 분석하였다.
비교예 3
커피 원두 분말 1kg을 교반기에 넣고 물 5리터를 채워 100℃에서 2시간 교반하고 필터한 뒤 얻은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추출물의 향의 강도 측정 및 관능 분석하였다.
비교예 4
커피 원두분말 1 kg에 90℃ 정제수 5 kg으로 30분 ~ 40분 교반추출하여 여과한 뒤 고형물 무게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를 거친 탈지 원두커피를 5배수 열수를 가하여 30분 교반 추출하고 희석하여 1 Brix로 맞추고 시중 인스턴트 커피를 열수에 1 Brix 농도로 녹여 관능 비교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장치의 간략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공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메인펌프: 이산화탄소를 가압하여 초임계상을 만드는 장치
가온장치: 이산화탄소를 가온하여 초임계상을 만드는 장치
추출기: 원료를 충진하여 추출이 일어나는 곳
압력조절장치1: 추출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
분리기1: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에서 향과 오일을 분리하는 곳
압력조절장치2: 분리기1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
열교환기: 이산화탄소를 기화시키는 장치
분리기2: 향성분과 기화된 이산화탄소가 분리되는 곳
응축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액화시키는 곳
회수조: 액화시킨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곳
원심분리기: 추출물중 왁스 성분 제거
균질기1: 분리회수 향성분을 균질화시키는 곳
수용화탱크: 오일성 커피향 제품의 수용화 시키는 곳
교반조: 탈지원두커피분말을 열수추출 하는 곳
여과기: 열수추출한 탈지원두커피박을 거르는 곳
농축기: 열수추출물을 농축하는곳
균질기2: 농축된 열수 추출물을 균질화 시키는 곳
혼합기: 농축된 열수 추출물과 수용화 커피향을 혼합하는 곳

Claims (16)

  1.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상기 분말화된 커피 원두를 추출기에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추출기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 원두 분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하고,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에서 추출한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기화시키고 커피향 농축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응축기를 통해 회수조에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원심분리하여 왁스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왁스성분이 제거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균질기에서 균질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저장하는 단계
    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 방법.
  2. 제1항의 방법에서 제거된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은 물추출하여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물추출물은 여과하고, 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물추출물을 균질기에서 균질화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 방법에서 제거된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의 추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추출이 50 내지 70℃의 온도 및 250 내지 800 기압의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따른 방법으로 추출된 커피오일.
  5. 제1항에 따른 방법으로 추출된 커피향 농축 오일.
  6. 제1항의 방법으로 수득한 균질화된 커피향 농축 오일을 나노에멀젼 또는 주정 엡솔루트 방식으로 수용화하는 단계;
    상기 수용화된 커피향 농축 오일과 제2항의 방법에 따라 균질화된 열수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천연 커피향이 증진된 커피 농축물 제조 방법.
  7. 제6항에 따른 방법에서 나노에멀젼 또는 주정 엡솔루트 방식으로 수용화된 천연 커피향 수용화 제품.
  8. 제6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커피향이 증진된 커피 농축물 제품.
  9.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상기 분말화된 커피 원두를 추출기에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추출기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 원두 분말로부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하여 제1 분리조로 이송하고,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추출기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원두 커피 분말로부터 추출함에 있어 커피오일은 제1 분리조에 남기며 커피향이 농축된 오일은 제 2분리조로 이송하는 동시에 탈지 원두 커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분리조에서 커피오일을 회수하고, 커피향 농축 오일은 제2 분리조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분리조에서 이산화탄소를 기화시키고 커피향 농축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응축기를 통해 회수조에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원심분리하여 왁스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왁스성분이 제거된 커피향 함유 오일을 균질기에서 균질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저장하는 단계
    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 방법.
  10. 제9항의 방법에서 제거된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은 물추출하여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물추출물은 여과하고, 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물추출물을 균질기에서 균질화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 방법에서 제거된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의 추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추출이 50 내지 70℃의 온도 및 250 내지 800 기압의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따른 방법으로 추출된 커피오일.
  13. 제9항에 따른 방법으로 추출된 커피향 농축 오일.
  14. 제9항의 방법으로 수득한 균질화된 커피향 농축 오일을 나노에멀젼 또는 주정 엡솔루트 방식으로 수용화하는 단계;
    상기 수용화된 커피향 농축 오일과 제10항의 방법으로 수득한 균질화된 열수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천연 커피향이 증진된 커피 농축물 제조 방법.
  15. 제9항에 따른 방법에서 나노에멀젼 또는 주정 엡솔루트 방식으로 수용화된 천연 커피향 수용화 제품.
  16. 제9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커피향이 증진된 커피 농축물 제품.
KR1020090077615A 2009-08-21 2009-08-21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 KR20110019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15A KR20110019974A (ko) 2009-08-21 2009-08-21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15A KR20110019974A (ko) 2009-08-21 2009-08-21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74A true KR20110019974A (ko) 2011-03-02

Family

ID=4392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615A KR20110019974A (ko) 2009-08-21 2009-08-21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97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8569A (zh) * 2013-06-25 2014-12-31 可茵生技有限公司 家用及个人保养用制品与其制造方法
KR20150108545A (ko) * 2014-03-18 2015-09-30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미백 활성이 우수한 커피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8865439A (zh) * 2018-06-29 2018-11-23 雅迪香料(广州)有限公司 一种天然咖啡香料的制备方法
CN111589315A (zh) * 2020-05-27 2020-08-28 华南理工大学 一种咖啡香酒制备系统及工艺
KR102324943B1 (ko) * 2021-08-02 2021-11-10 송현 향미가 높은 초임계추출 콜드브르커피 제조 방법
CN113632867A (zh) * 2021-07-26 2021-11-12 中国农业大学 使用温和高压快速制备冷萃咖啡的方法
WO2022039546A1 (ko) * 2020-08-20 2022-02-24 차상화 초임계 나노기포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과 이에 의해 추출된 커피
CN115669781A (zh) * 2021-07-21 2023-02-03 北京微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久香型速溶咖啡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形成的久香型速溶咖啡茶饮
CN117448078A (zh) * 2023-12-13 2024-01-26 广州市浩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联合酶解工艺和超临界co2萃取的咖啡油及其制备方法
CN115669781B (zh) * 2021-07-21 2024-05-28 北京微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久香型速溶咖啡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形成的久香型速溶咖啡茶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8569A (zh) * 2013-06-25 2014-12-31 可茵生技有限公司 家用及个人保养用制品与其制造方法
KR20150108545A (ko) * 2014-03-18 2015-09-30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미백 활성이 우수한 커피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8865439A (zh) * 2018-06-29 2018-11-23 雅迪香料(广州)有限公司 一种天然咖啡香料的制备方法
CN111589315B (zh) * 2020-05-27 2023-12-19 华南理工大学 一种咖啡香酒制备系统及工艺
CN111589315A (zh) * 2020-05-27 2020-08-28 华南理工大学 一种咖啡香酒制备系统及工艺
WO2022039546A1 (ko) * 2020-08-20 2022-02-24 차상화 초임계 나노기포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과 이에 의해 추출된 커피
KR20220023877A (ko) 2020-08-20 2022-03-03 차상화 초임계 나노기포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과 이에 의해 추출된 커피
CN115669781A (zh) * 2021-07-21 2023-02-03 北京微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久香型速溶咖啡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形成的久香型速溶咖啡茶饮
CN115669781B (zh) * 2021-07-21 2024-05-28 北京微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久香型速溶咖啡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形成的久香型速溶咖啡茶饮
CN113632867A (zh) * 2021-07-26 2021-11-12 中国农业大学 使用温和高压快速制备冷萃咖啡的方法
KR102324943B1 (ko) * 2021-08-02 2021-11-10 송현 향미가 높은 초임계추출 콜드브르커피 제조 방법
CN117448078A (zh) * 2023-12-13 2024-01-26 广州市浩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联合酶解工艺和超临界co2萃取的咖啡油及其制备方法
CN117448078B (zh) * 2023-12-13 2024-05-14 广州市浩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联合酶解工艺和超临界co2萃取的咖啡油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9974A (ko)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 원두의 추출방법
CA2056257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luble coffee
CN101123882B (zh) 咖啡浓缩提取物及其制备方法
US7767246B2 (en) Method for preparing a coffee extract
US5718937A (en)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natural aromas from natural substances containing fat and oil
EP2378891B1 (en) Coffee process
JP6386469B2 (ja) 芳香を付けた食品又は飲料製品の製造方法
JPH0829049B2 (ja) 原料コ−ヒ−の脱カフエイン法
US11357807B1 (en) Method of preparing cannabis extracts
US1123828A (en) Coffee extract.
JPH066028B2 (ja) 香味成分の抽出方法
JP2001017083A (ja) 植物抽出物の入念な製造方法
JP5814658B2 (ja) コーヒーオイルの製造方法
JP6103893B2 (ja) コーヒーオイルの製造方法
JP2013244007A (ja) 焙煎植物フレーバー並びに焙煎植物エキスの製造方法
JP5833846B2 (ja) 植物精油の分離方法
JP3130321B2 (ja) 高嗜好性抽出液の製法
JPH031041B2 (ko)
WO2021241112A1 (ja) 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EP2537423A1 (en) Method of producing an aromatised aqueous liquid
JPH0659A (ja) 液状濃縮コーヒーの製造方法
JPS63297499A (ja) キクエキスの製造法
JPH01240146A (ja) 原料コーヒーからのカフエイン抽出方法
KR100546054B1 (ko) 초임계 유체 추출방법을 이용한 보리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보리 추출액을 포함하는 보리음료
CN112384071A (zh) 饮料提取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