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917A -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 Google Patents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917A
KR20110019917A KR1020090077532A KR20090077532A KR20110019917A KR 20110019917 A KR20110019917 A KR 20110019917A KR 1020090077532 A KR1020090077532 A KR 1020090077532A KR 20090077532 A KR20090077532 A KR 20090077532A KR 20110019917 A KR20110019917 A KR 20110019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ipe
drainage
outer layer
in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102009007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917A/ko
Publication of KR2011001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6Noise absorbers by means of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3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instruments from water hammer or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래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은 방진재가 수직관 및 수평배출관과 독립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방진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납케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게 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시공성도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에 제진재층을 마련한 것과, 관벽을 내층과 외층의 2층 구조로 형성하되, 내층을 제진재층으로 형성하고, 외층을 폴리염화비닐층으로 형성하는 것, 관벽을 내층과 중간층, 외층의 3층 구조로 형성하되, 관벽의 내층 및 외층을 폴리염화비닐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 사이의 중간층을 제진재층으로 형성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 충돌시의 충격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면서 제작성과 시공성이 좋은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파이프 이음관, 관벽, 제진재층, 폴리염화비닐층

Description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 a joint pipe }
본 발명은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에 제진재층을 마련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 배수관 등의 파이프와 파이프 이음관은 유체의 통과과정에서 소음이 유발되는데, 예를 들어 고층 아파트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경우 윗층에서 배출되는 물이 낙하하면서 배수관의 내벽과 충돌하게 되어 심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유체의 통과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저감 파이프 및 파이프 이음관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있어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은 일본 특개평 8-13567호와 같이 수직관에 수평배출관이 접속되고, 접속부에 방진재가 설치되며, 방진재는 수납 케이스 안에 넣어지고 볼트 및 너트로 취부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은 방진재가 수직관 및 수평배출관과 독립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방진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납케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게 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시공성도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시공성이 뛰어난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은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에 제진재층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을 내층과 외층의 2층 구조로 형성하되, 내층을 제진재층으로 형성하고, 외층을 폴리염화비닐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벽을 내층과 중간층, 외층의 3층 구조로 형성하되, 관벽의 내층 및 외층을 폴리염화비닐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 사이의 중간층을 제진재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재진재층을 구성하는 재진재는 폴리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염화폴리에틸린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필러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진재에 폴리염화비닐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 충돌시의 충격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면서 제작성과 시공성이 좋은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은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13)에 제진재층(13a)을 마련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A 선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10)은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90도 벤딩된 엘보 형태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13)은 내층과 외층의 2층 구조로 형성되며, 내층은 제진재층(13a)으로 형성되고, 외층은 폴리염화비닐층(13b)으로 형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B-B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13)은 내층과 중간층, 외층의 3층 구조로 형성하며, 관벽(13)의 내층 및 외층은 폴리염화비닐층(13b)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 사이의 중간층 은 제진재층(13a)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10)에서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13)에 마련되는 제진재층(13a)의 제진재는 손실 계수가 큰 재료이며, 제진재 만으로 이루어진 것뿐 아니라 제진재에 다른 수지를 더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상기 제진재는 부틸고무, 천연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의 점탄성 재료, 또는 폴리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염화폴리에틸린계 에스트라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 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진재에 차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러를 첨가하여도 좋으며, 이 때 필러는 예를 들어 동, 철, 아연, 납, 크롬, 몰리브데늄, 망간, 니켈 및 텅스텐 등의 금속분말, 산화구리, 산화아연, 및 산화제이철 등의 금속산화물의 분말, 탄산칼슘 및 탄산바륨 등의 탄산 화합물의 분말, 황산납,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 등 수산화 화합물의 분말 등의 황산화 물의 분말, 탈크, 마이카, 그레이, 실리카, 그래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의 제조방법은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2층 압출 성형한 후 2차 가공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10)을 수직 배수관의 하부에 설치한 경우 배수가 굴곡부의 내면인 관벽(13)에 충돌하게 되지만 제진재층(13a)이 관벽(13)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충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 다.
본 발명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10)은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비롯한 외부 형태가 기존의 다른 파이프 이음관과 동일하게 되므로 외관 및 시공성이 좋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10)은 90도 엘보에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45도 벤딩 이음관을 비롯한 다른 형태의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11 : 유입구
12 : 유출구 13 : 관벽
13a : 제진재층 13b : 폴리염화비닐층

Claims (3)

  1. 배수관로를 형성하는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에 있어서, 배수가 직접 충돌하는 부분의 관벽에 제진재층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벽을 내층과 외층의 2층 구조로 형성하되, 내층을 제진재층으로 형성하고, 외층을 폴리염화비닐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벽을 내층과 중간층, 외층의 3층 구조로 형성하되, 관벽의 내층 및 외층을 폴리염화비닐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 사이의 중간층을 제진재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KR1020090077532A 2009-08-21 2009-08-21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KR20110019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32A KR20110019917A (ko) 2009-08-21 2009-08-21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32A KR20110019917A (ko) 2009-08-21 2009-08-21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17A true KR20110019917A (ko) 2011-03-02

Family

ID=4392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532A KR20110019917A (ko) 2009-08-21 2009-08-21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9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177A (ko) * 2014-09-29 2016-04-07 주식회사 프라코 유체파이프 및 이음관용 레진 조성물
EP4092347A1 (de) * 2021-05-21 2022-11-23 Naber Holding GmbH & Co. KG Downdraft-element und anordn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177A (ko) * 2014-09-29 2016-04-07 주식회사 프라코 유체파이프 및 이음관용 레진 조성물
EP4092347A1 (de) * 2021-05-21 2022-11-23 Naber Holding GmbH & Co. KG Downdraft-element und anordnung
US11933333B2 (en) 2021-05-21 2024-03-19 Naber Holding GmbH & Co. Downdraft element and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3812A (zh) 一种内螺旋耐高温超静音排水管及其制造方法
KR20110019917A (ko) 배수용 파이프 이음관
KR20090063323A (ko) 파이프 이음용 엘보
JP2005337001A (ja) 排水用防音継手
CN102219955A (zh) 高温静音排水管
CN103483730A (zh) 一种静音及高强度的排水管材
CN106398034A (zh) 一种硅藻土填充体系pvc降噪排水管
KR20040027488A (ko) 소음방지용 이음관
KR200207757Y1 (ko) 소음흡수기능을 지닌 환경친화적 배관자재
CN207093949U (zh) 一种降噪pvc排水管
JP2005083073A (ja) 排水用防音管材
KR20090022240A (ko) 소음방지관
JP2006291611A (ja) 水密パッキン
JP2005308102A (ja) 防音管
JP7445587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
KR200388702Y1 (ko) 내충격 상,하 수도관
JP4547303B2 (ja) 耐火二層管継手
JP2007107365A (ja) 床上排水管とその付属品
FI109932B (fi) Suulakepuristettu, ruiskupuristettu tai puhallusmuovattu putki tai putkiosa
CN201053559Y (zh) 复合消音连接管件
CN219453137U (zh) 一种具有消音功能的穿墙管
JP2002310374A (ja) 騒音減少能を有する特殊樹脂層を備えた管及び管継手
JP2000120941A (ja) 消音性パイプ
JP7358143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設置構造
JP5662096B2 (ja) 防音継手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