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305A -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305A
KR20110018305A KR1020107024920A KR20107024920A KR20110018305A KR 20110018305 A KR20110018305 A KR 20110018305A KR 1020107024920 A KR1020107024920 A KR 1020107024920A KR 20107024920 A KR20107024920 A KR 20107024920A KR 20110018305 A KR20110018305 A KR 2011001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er
support
patient
plat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731B1 (ko
Inventor
에치오 멘나
Original Assignee
스템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템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스템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1001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218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 A61G3/0236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by pivoting the support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218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 A61G3/0245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by translating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218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 A61G3/0272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by support protruding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드러누운 상태의 환자를 지지하는 받침 판(2) 및 들것(1)을 놓는 표면에 대해서 받침 판(2)을 올리는 들어올리는 수단(3, 35)을 포함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에 있어서, 들어올리는 수단은 지표면 상에 놓인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지지 요소들(3) 및 받침 판(2)을 올리도록 각각의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펴진 상태로 지지 요소들(3)을 움직이는 모터 수단(35)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지 요소들(3)은 각각의 접힌 상태와 각각의 펴진 상태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받침 판(2)에 연결되어서, 모든 지지 요소들(3)이 접힌 상태로 있으면, 받침 판(2)이 더 낮은 높이로 지지되고, 모든 지지 요소들(3)이 펴진 상태로 있으면, 받침 판(2)이 더 높은 높이로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A STRETCHER AND A PATIENT TRANSPORT SYSTEM}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지면 상에 드러누운 다친 사람을 데리러 가고 그 사람을 병원 또는 치료소에 수송하기 위해서, 구급 및/또는 응급 차량들, 일반적으로 구급차들에 탑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설계된 들것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이러한 들것들의 사용은 다친 사람을 인력에 의해 들것으로 옮기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최소한의 높이로 지면 상에 들것을 놓는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다친 부분에 외상 또는 진동을 일으키지 않고 들것이 구급차로부터 다시 한번 내려져야 할 병원으로 환자를 수송하기 위해 구급차 내에 환자를 태우기 위해서 구급차의 적재 판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까지 다친 사람이 있는 들것을 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급차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들것들은 상기 설명된 사용 단계들을 용이하게 하거나 및/또는 단계들의 일부를 덜 힘들게 제공하도록 만들어지고 마련된다.
상기 설명된 것에도 불구하고, 상기 인용된 사용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동안에, 조작자들이 다친 사람이 있는 들것의 무게를 육체적으로 견뎌야 하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고, 그것은 조작자들이 상당한 육체적 부담을 겪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드러누운 상태의 환자를 수용하는 받침 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지지 다리들이 받침 판에 결합되며, 들것 상에 환자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리들은 구급차의 적재 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받침 판을 지지하는 펴진 상태로부터 지면에 가까운 높이로 받침 판을 지지하는 접힌 상태로 뒤로 넘어갈 수 있는 셀프 로딩(self-loading)으로 알려진 들것들이 공지되었다.
일반적으로, 지지 다리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뒤로 넘어갈 수 있어서, 구급차에 들것을 적재하는 단계 및 구급차로부터 들것을 내리는 단계 동안에, 조작자는 들것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다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지 다리들은 들것이 지면으로부터 육체적으로 올려진 후에만 지지 다리들을 자동으로 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작동 시스템들(spring-activated systems)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올리는 작동은 들것을 잡기 위해서 몸을 앞으로 숙여서 지지 다리들이 펴질 수 있기 전에 완력으로 들것을 들어올려야 하는 적어도 두 조작자들에 의해서 수동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다친 사람이 들것에 옮겨진 후에 들것의 들어올리는 단계가 행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작동은 종종 큰 부담을 나타내고, 들어올리는 것을 수행하는 건강한 조작자들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을 경감하기 위해서, 구급차들을 위한 들것들은 환자가 누워있는 들것을 올리기 위한 모터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들어올리는 시스템은 지면 상에 직접 놓이고, 들것 위로 환자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최소의 높이로 받침 판을 지지하는 들어간 상태 및 구급차의 적재 판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더 큰 높이로 받침 판을 지지하는 늘린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연결 시스템(articulated system), 예를 들어, 팬터그래프 시스템(pantograph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시스템은 받침 판의 자동 들어올림을 초래하면서, 상기 인용된 들어간 형태 및 늘린 상태 사이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상대적인 모터구동 수단, 예를 들어, 유압 잭에 결합된다.
그러나, 구급차에 들것을 적재하고 구급차로부터 들것을 내리는 단계들 동안에, 상기 설명된 연결 시스템은 들어간 형태로 유지되어야 해서, 들것을 위한 어떠한 받침 지지(rest support)도 제공할 수 없으므로, 들것의 무게는 건강한 직공들에 의해서 육체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적재하고 내리는 단계들이 들것 상의 환자와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작동 역시 매우 힘들고, 그것을 행하는 직공들에게 심각한 육체적 부상들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공들이 육체적으로 들것의 무게를 지지하지 않고, 구급차에 적재되고 구급차로부터 내려질 수 있는 자동으로 들어올리는 들것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선행기술의 상기 설명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억제된 전체 비용을 가진 단순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설명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독립 청구항에 기록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의해서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및/또는 특히 유리한 양태들을 서술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누워 있는 자세의 환자를 지지하는 받침 판 및 들것이 놓인 표면에 대해서 받침 판을 올리는 들어올리는 수단을 포함하는 들것을 제공한다.
들어올리는 수단은 지면 상에 놓이는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지지 요소들 및 받침 판을 올리기 위해 각각의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펴진 상태로 지지 요소들을 움직이는 모터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지 요소는 접힌 상태와 펴진 상태 사이에서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받침 판에 연결되어서, 모든 지지 요소들이 접힌 상태로 있을 때, 받침 판은 더 낮은 높이로 지지되고, 모든 지지 요소들이 펴진 상태로 있을 때, 받침 판은 더 높은 높이로 지지된다.
이러한 해결책으로 인해, 지지 요소 상에서 작동하는 모터구동 수단은 직공 쪽에 필요한 어떠한 육체적인 힘이 없어도 받침 판이 전체적으로 자동의 방식으로 올려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두 개의 독립한 지지 요소들의 존재로 인해, 응급 차량으로 적재하는 단계 및 응급 차량으로부터 내리는 단계 동안에, 직공이 들것의 전체 무게를 지지하지 않고, 들것이 지지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 상에 간단히 놓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들것은 단일의 직공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의 형태에 있어서, 들것의 각각의 지지 요소가 힌지 수단에 의해서 받침 판에 연결되어서, 각각의 지지 요소는 각각의 지지 요소가 받침 판 상으로 줄어든 접힌 상태와 각각의 지지 요소가 받침 판에 대해서 아래로 돌출한 펴진 상태 사이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들의 각각은 받침 판에 대해서 고정된 횡단하는 축을 구비하는 각각의 힌지 수단에 의해서 받침 판에 힌지로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받침 판을 들어올리는 것은, 예를 들어, 지지 요소들이 서로 상호 접근하도록, 각각의 접히고 펴진 상태들 사이에서 반대 방향들로 지지 요소들을 회전시키는 모터구동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해결책으로 인해, 받침 판은 올려진 다친 사람의 안정성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측면 이동들 또는 위험한 기울기를 방지하면서, 들어올리는 단계 동안에 스스로 계속적으로 평행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모터구동 수단은 각각의 지지 요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독립한 작동기, 예를 들어, 전동식 또는 유압식 선형 작동기 중 하나를 포함하고, 독립한 작동기들은 지지 요소들을 독립적으로 및/또는 동시적으로 움직인다.
이런 식으로, 제한된 크기의 매우 간단한 구성의 해결책의 부분이 남아있을지라도, 지지 요소들은 각각 서로에 독립적으로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들것은, 예를 들어, 응급 차량에 탑재되는 들것을 적재하기 전에 받침 판 상의 지지 요소들을 뒤로 넘길 수 있기 위해서, 회귀 방향으로, 즉, 펴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각각의 지지 요소를 서로에 독립적으로 자동으로 움직이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자동으로 움직이는 수단은 스프링 리콜 시스템들(spring recall systems)을 포함하고, 스프링 리콜 시스템들은 들어올리는 단계 동안에 지지 수단을 작동시키고나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되는 동일한 모터구동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용한 환자 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형태의 들것 및 들것의 전체 높이가 지지 요소들이 모두 각각의 펴진 상태로 있을 때보다 더 낮도록 들것의 지지 요소들이 모두 각각의 접힌 상태로 있을 때 들것을 수용하는 적재 판을 구비하는 구급차와 같은 일반적인 응급 차량인 수송 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수송 시스템은 들것의 지지 요소들이 모두 펴진 상태로 있을 때, 들것의 무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수송 차량의 적재 판에 들것의 받침 판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차량 근처의 제1 지지 요소가 펴진 상태로부터 적재 판 상으로 수용되는 접힌 상태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차량의 적재 판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펴진 상태로 있는 제2 지지 요소에 의해서 항상 지지되기 때문에, 들것을 수송 차량으로부터 적재하고 내리는 단계들은 직공들이 들것의 무게를 육체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결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 지지 요소는 수송 차량의 적재 판을 향하여 위쪽으로 아래로부터 회전하면서, 제1 지지 요소의 펴진 상태에서 제1 지지 요소의 접힌 상태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이런 식으로, 제1 지지 요소는 받침 판을 들어올리는 동안에 제1 지지 요소가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움직임을 역순으로 반복해서, 받침 판과 지지 요소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은 간단한 구조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들것의 제2 지지 요소는 차량에 근접한 제1 지지 요소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지지 요소의 펴진 상태로부터 제2 지지 요소가 적재 판 상에 수용되는 제2 지지 요소의 접힌 상태로 이동한다.
이런 식으로, 제2 지지 요소 역시, 받침 판에 제2 지지 요소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간소화에 기여하면서, 받침 판이 지면으로부터 올려질 때 제2 지지 요소가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움직임을 역순으로 수행한다.
또한, 지지 요소들이 반대 방향들로 회전하더라도, 지지 요소들은 움직이는 동안 서로 결코 간섭하지 않으므로, 지지 요소들이 서로 얽히지 않고 각각의 접힌 상태들에 도달할 수 있기 위한 특별한 구조적 특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송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들것을 수송 차량의 적재 판에 연결하는 수단은 적재 판 위에 수송 차량의 내측으로 들것을 자동으로 끌어당기는 모터구동되는 끌어당기는 수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공들이 육체적으로 들것의 무게를 지지하지 않고, 구급차에 적재되고 구급차로부터 내려질 수 있는 자동으로 들어올리는 들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단순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의 범위 내에서 상기 들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테이블들에 도시된 도면들의 형상들의 도움으로,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펴진 상태의 모든 지지 요소들을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접힌 상태의 모든 지지 요소들을 나타낸 도 1의 들것이다.
도 3은 도 1의 들것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3의 두 부분의 확대된 규모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들것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4의 두 부분의 확대된 규모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수송을 위한 시스템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5의 확대된 규모의 두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6 내지 9는 차량에 탑재되는 들것을 적재하는 네 단계들 동안의 도 5의 수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들것(1)은 실질적으로 몸을 뻗고 누워있는 상태의 환자를 수용하고 지지하며, 도면부호 2로 그 전체가 나타내어진 받침 판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 판(2)은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 뒤쪽 지주(21) 및 앞쪽 지주(22)인 두 개의 횡단하는 지주들에 의해서 단부들에서 연결되는 두 개의 평행인 길이방향 지주들(20)을 포함한다.
횡단하는 뒤쪽 지주(21)는 직공(operative)이 들것(1)의 이동 동안에 들것(1)을 밀고 안내하기 위해서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을 제공한다.
돌출한 모서리(23)는 환자가 받침 판(2) 측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길이방향 지주(20) 상에 제공된다.
받침 판(2)은 두 개의 동일한 강철 길이방향 요소들(24)을 더 포함하고, 길이방향 요소들(24)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부분을 가진 관 모양을 나타내며, 각각의 길이방향 지주(20) 상에 걸쳐진다.
요소들(24)은 상대적인 길이방향 지주들(20)에 고정되며, 서로 평행이고 요소들(24)의 길이방향 전개를 따라 서로 떨어진 일련의 보강 크로스바(2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보강 크로스바(25)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받침 판(2) 상에 고정되는 베드(26)에 의해서 완전히 뒤덮힌다.
특히, 베드(26)는 수송될 환자에게 더 큰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예를 들어, 베드(26)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는, 횡단하는 관절들(articulations)을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세 개의 서로 연결된 평평한 부분들을 포함한다.
베드(26)는 환자를 위해 더욱 편안한 받침 판을 제공하는 부드럽고 유연한 매트리스(27)로 더 뒤덮힌다.
두 개의 지지 다리들(3)은 받침 판(2)에 결합되고, 들것이 받쳐지는 표면과 접한다.
지지 다리들(3)은 각각의 접힌 상태와 각각의 펴진 상태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받침 판(2)에 하나씩 연결된다.
두 지지 다리들(3)이 도 1의 각각 펴진 상태로 있으면, 지지 다리들(3)은 지면으로부터 최대로 높이 받침 판(2)을 지지하고; 두 지지 다리들(3)이 도 2의 각각 접힌 상태로 있으면, 지지 다리들(3)은 최소의 높이로 받침 판(2)을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지지 다리(3)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전개된 고정된 차축(30)을 포함하고, 일치하는 회전 축들을 구비하는 두 개의 지지 휠(31)이 지지 다리(3)의 맞은편 단부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된 차축(30)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로부터 떨어진 두 개의 동일한 형태의 바(32)의 단부에서 지지되고, 바(32)의 맞은편 단부들은 지지 휠(31)의 회전 축에 평행으로 맞추어진 단일의 횡단하는 샤프트(34)에 상대적인 연결 브라켓(33)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중심 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힌지 수단(hinge means)에 의해서 받침 판(2)에 연결된 횡단하는 샤프트(34)는 받침 판(2)의 길이방향 요소들(24) 사이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이런 식으로, 전체 지지 다리(3)는 각각 받침 판(2)에 지지 휠(31)을 가까이 놓고 받침 판(2)으로부터 지지 휠(31)을 떨어뜨리는, 상기 언급된 펴지고 접힌 상태들 사이의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지지 다리(3)의 횡단하는 샤프트(34)가 요소들(24)의 중간 지역에서 받침 판(2)에 힌지로 결합되어서, 지지 다리들(3)은 각각의 펴지고 접힌 상태들 사이의 이동 동안에 반대 방향으로 또는 거꾸로 회전한다.
상대적인 선형 작동기(35)가 각각의 지지 다리(3)에 연결된다.
선형 작동기(35)는 예를 들어, 선형 작동기(35)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줄이도록, 돌출한 자루가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외측의 가이드 몸체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선형 작동기(35)는 유압 잭(hydraulic jack)이나, 전기 기계식 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선형 작동기(35)는 받침 판(2)의 보강 크로스바(25)에 힌지로 결합된 제1 단부와, 상대적인 지지 다리(3)의 횡단하는 샤프트(34)의 중심에 고정시키고 쐐기로 죄어진 레버(36)에 힌지로 결합된 제2 단부를 나타낸다.
선형 작동기(35)의 힌지 축들은 횡단하는 샤프트(34)의 축에 모두 평행이고, 선형 작동기(35)는 받침 판(2)과 상대적인 지지 다리(3)에 의해서 형성된 이면각(dihedron) 내에 위치되어서, 펴진 상태를 향한 지지 다리(3)의 회전은 선형 작동기(35)의 늘리기에 대응하고, 접힌 상태를 향한 지지 다리(3)의 회전은 선형 작동기(35)의 줄이기에 대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형 작동기들(35)은 짝을 이루어 작동(double-acting)며, 즉, 선형 작동기들(35)은 각각의 지지 다리들(3)의 펴는 것과 접는 것 모두를 모터구동하는 것을 목표로, 능동적으로 연장하고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인 지지 다리들(3)의 적어도 펴는 것을 모터구동하는 것을 목표로, 선형 작동기들(35)이 능동적으로 연장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지지 다리들(3)의 접기는 상대적인 선형 작동기(35) 상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복귀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형 작동기들(35)은 들것(1)에 설치되는 단일의 에너지원, 예를 들어, 베터리(37)에 의해서 제공된다.
도 3 및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터리(37)는 베드(26) 아래에 두 개의 연속되는 보강 크로스바(25) 사이에 제공되는 챔버(28) 내에 수용된다.
선형 작동기들(35)은 그립 위치에서 받침 판(2)의 횡단하는 뒤쪽 지주(21) 상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직공이 들것(1)을 미는 것에 의해서 쉽게 작동되는 수동식 제어 수단(39)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39)은 한 세트의 버튼들을 포함하나, 일련의 레버들과 같은 어떤 적절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들것(1)은 지지 휠(31)의 회전 축들에 평행으로 맞춰진 일치하는 회전 축들을 구비하는 한 쌍의 보조 휠(7)을 포함하고, 각각의 보조 휠(7)은 받침 판(2)의 각각의 요소(24) 아래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다리들(3)이 접힌 상태에서 보조 휠(7)은 지지 휠(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요소들(24)의 중심 지역에 위치되며, 지지 다리들(3)의 횡단하는 샤프트들(34) 사이에 놓인다.
들것(1)은 받침 판(2)의 앞쪽 단부에서 길이방향 요소들(24)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된 횡단하는 로드(40)에 의해 지지되는 멈춤쇠(pawl)(4)를 포함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멈춤쇠(4)는 황단하는 로드(40)에 힌지로 결합된 고정 지지 브라켓(41)을 통해 횡단하는 로드(40)에 연결되어서, 멈춤쇠(4)의 회전축은 횡단하는 로드에 평행이다.
멈춤쇠(4)는 횡단하는 로드(40)에 평행인 편심(偏心) 핀(42)을 포함한다. 멈춤쇠(4)의 회전으로 인해, 편심 핀(42)은 도 5의 (a) 및 (b)에 각각 도시된 풀려서 올라간 상태 또는 맞물려서 내려간 상태로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멈춤쇠(4)의 양쪽 방향으로의 회전은 예를 들어, 직공이 들것을 미는 것에 의해서 쉽게 작동되고, 받침 판(2)의 뒤쪽 횡단하는 지주(21)에 위치된 수동 레버(43)에 의해서 조절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멈춤쇠(4)는 매우 멀리 있는 장소들에 들것을 수송하기 위해서 들것(1)을 수용하는 적재 판(60)을 포함하는, 응급 차량에, 예를 들어, 구급차(ambulance)에 설치된 후크(50)와 협력한다.
특히, 후크(50)는 도면부호 5로 그 전체를 나타낸 적재 장치에 포함되고, 적재 장치는 응급 차량(6)의 적재 판(60) 상에 고정된 지지 베이스(51) 및 기울일 수 있는 판(52)을 포함하고, 기울일 수 있는 판(52)은 적재 판(60)의 뒤쪽 모서리를 향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 수단(53)에 의해서 지지 베이스(51)에 연결된다.
기울일 수 있는 판(52)의 기울기는 전기 잭(54)에 의해서 제어된다.
적재 장치(5)는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을 더 포함하고,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은 적재 판(60)의 뒤쪽 부분을 향하여 그리고 반대로 기울일 수 있는 판(52) 상에서 미끄러진다.
특히,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은 적재 판(60)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 도 5에 도시된 돌출 상태와 적재 판(60) 위에 완전히 포함된 도 9에 도시된 들어간 상태 사이로 미끄러진다.
고정 가이드(56)는 플랫폼(55)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 상에 설치된다.
고정 가이드(56)는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의 뒤쪽 모서리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상기 설명된 후크(50)는, 돌출한 단부로부터 맞은편 단부를 향하여 플랫폼 위에서 움직이고 공지된 형태이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모터구동되는 끌어당기는 수단에 의해서 작동되는 고정 가이드(56)에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된다.
사용함에 있어서, 들것(1)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두 각각 접힌 상태의 지지 다리들(3)로 지면에 놓인다.
이런 식으로, 받침 판(2)은 지면으로부터 최소한의 높이에 있고, 건강한 직공들이 베드(26) 상에 다친 사람을 쉽게 싣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친 사람이 실린 후에, 한명의 직공은 들것(1)의 그립 상에 있는 버튼들(39)을 사용하여 선형 작동기들(35)을 작동시킨다.
선형 작동기들(35)은 접힌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펴진 상태로, 예를 들어, 각각의 지지 다리들(3)이 반대 방향들로 회전하도록 동시에 작동한다.
이런 식으로, 받침 판(2)이 지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올라가도록, 지지 다리들(3)은 서로 가까워지고 상대적인 지지 휠들(31)은 받침 판(2)으로부터 멀어진다.
특히, 지지 다리들(3)은 서로 동일하고, 선형 작동기들(35)은 지지 다리들(3)이 동일한 각으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해서, 받침 판(2)은 지면에 대해서 변하지 않는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옮기면서 올려진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이러한 세부 사항은 환자가 위험한 충격을 받거나 환자가 누워있는 베드(26)로부터 미끄러질 위험 없이, 받침 판(2)이 탑승한 환자를 올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지지 다리들(3)이 도 1에 도시된 펴진 상태에 도달하면, 받침 판(2)은 지면으로부터 더 높은 높이에 있고, 서있는 직공이 들것(1)의 횡단하는 뒤쪽 지주(21)를 편하게 잡을 수 있게 한다.
들것(1)은 지지 휠들(31)에 의해서 지면에 놓여서, 직공은 들것(1)을 밀고, 지면 상에서 들것(1)이 움직이도록, 예를 들어, 적재 판(60) 상에 들것(1)을 적재하기 전에 응급 차량(6)에 들것(1)을 배치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들것(1)을 적재하는 단계는, 처음에, 적재 장치(5)의 기울일 수 있는 판(52)이 응급 차량(6)의 뒤쪽 부분을 향하여 위에서 밑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서, 적재 판(60)에 대해서 뒤쪽으로 돌출하고, 후크(50)는 고정 가이드(56)의 돌출한 단부에서 멈춘다.
그러므로, 후크(50)는 지지 다리들(3)이 모두 펴진 상태로 있는 들것(1)의 받침 판(2)의 높이보다 더 낮은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에서 응급 차량(6)의 외부로 배치된다.
들것(1)은, 후크(50)가 작동하는 고정 가이드(56)와 멈춤쇠(4)가 정렬되도록 주의하면서, 들것(1)의 앞쪽 부분이 응급 차량(6)의 뒤쪽 부분을 향하여 마주하도록 맞추어진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멈춤쇠(4)는 초기에 풀린 상태로 있고, 들것(1)은 멈춤쇠(4)가 후크(50) 위로 후크(50)를 넘어서 지나갈 때까지 직공에 의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직공은 수동 레버(43)를 작동시켜서 멈춤쇠(4)가 걸린 상태로 내려가고 찰깍 소리가 나도록 멈춤쇠(4)의 회전을 명령하고, 편심 핀(42)은 후크(50)의 공동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들것(1)은 걸어 올려질 뿐만 아니라 적재 장치(5)에 놓여서, 들것(1)의 무게는 응급 차량(6)의 적재 판(6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직공은 펴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앞쪽 지지 다리(3)의 이동을 명하는 동시에, 뒤쪽 지지 다리(3)를 펴진 상태로 유지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동은 상대 복동식(relative double-acting) 선형 작동기(35)의 줄이기로 인해 모터구동된다. 그러나, 선형 작동기(35)가 단동식(single-acting)이 되어야 한다면, 이동은 다른 자동화 시스템, 예들 들어,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 지지 다리(3)의 이동의 끝에서, 받침 판(2)은 뒤쪽 지지 다리 및 응급 차량(6)의 적재 판(6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적재 장치(5)를 통해 응급 차량(6)의 적재 판(60)에 연결된다.
앞쪽 지지 다리(3)의 펴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이동은 응급 차량(6)을 향하여 위쪽을 향한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즉, 지지 다리(3)는 받침 판(2)을 올리는 동안에 수행된 지지 다리(3)의 이동과 반대로 수행한다.
앞쪽으로의 회전은, 후크(50)가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에 대해서 돌출한 고정 가이드(56)에 결합되어서 플랫폼(55)은 지지 휠들(31)의 올라감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들것(1)을 올리는 단계 및 적재하는 단계 모두 동안에 앞쪽 지지 다리(3)가 동일한 궤적을 따라가도록 하는 것의 선택은 서로 전혀 간섭하지 않는 지지 다리들(3)의 구조적 관점뿐만 아니라 선형 작동기들(35)이 지지 다리들(3)을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 매커니즘의 구조적 관점으로부터 유리하게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강조된다.
도 6의 형태로부터 시작해서, 후크(50)는 멈춤쇠(4)를 끌어당겨서 고정 가이드(56) 상에서 응급 차량(6)의 내측을 향하여 움직이도록 작동되며, 보조 휠들(7)이 고정 가이드(56) 상에 놓일 때까지 들것(1)의 받침 판(2)이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 상에서 점진적으로 움직이도록 강요한다(도 7 참조).
이때, 직공은 펴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뒤쪽 지지 다리(3)의 회전을 명해서, 도 8에 도시된 형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뒤쪽 지지 다리(3)의 회전은 사전의 앞쪽 지지 다리(3)의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뒤쪽 지지 다리(3)의 회전은 상대 복동식 선형 작동기(35)의 줄이기에 의해서 모터구동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회전은 다른 자동화 시스템, 예를 들어, 선형 작동기(35)가 단동식 형태로 되어야 하는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지지 다리(3)는 들것(1)의 받침 판(2)이 적재 장치(5)의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 상에 안정적으로 놓인 접힌 상태에 도달하고, 후크(50)에 의해서 보유된다.
이때, 후크(50)는 들것(1)의 모든 지지 횔들(31)이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 상에 놓이도록 올라갈 때까지 응급 차량(6)의 내측을 향해 더 미끄러지도록 지시된다.
그러므로, 탑재된 들것(1)을 가진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랫폼(55)은 기울일 수 있는 판(52) 상의 들어간 위치 내로 옮겨지고, 기울일 수 있는 판(52)은 응급 차량(6)의 적재 판(60) 상의 수평 위치로 가도록 지지 베이스(51)에 대해서 회전된다(도 9 참조).
응급 차량(6)으로부터 들것(1)의 내리기 단계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적재를 위한 직공들을 반대 명령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이므로, 뒤쪽 지지 다리(3)가 먼저 내려오고, 그 후에, 앞쪽 지지 다리(3)가 내려오게 한다.
본 기술 분야의 기술적 전문가가 이하 청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보호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들것(1) 및 들것과 응급 차량(6) 사이에 상호작용하기 위한 수단에 기술적 적용의 본질의 다양한 변화들을 만들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14)

  1. 실질적으로 드러누운 상태의 환자를 지지하는 받침 판(2) 및 들것(1)을 놓는 표면에 대해서 받침 판(2)을 올리는 들어올리는 수단(3, 35)을 포함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에 있어서,
    들어올리는 수단은 지표면 상에 놓인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지지 요소들(3) 및 받침 판(2)을 올리도록 각각의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펴진 상태로 지지 요소들(3)을 움직이는 모터 수단(35)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지 요소들(3)은 각각의 접힌 상태와 각각의 펴진 상태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받침 판(2)에 연결되어서, 모든 지지 요소들(3)이 접힌 상태로 있으면, 받침 판(2)이 더 낮은 높이로 지지되고, 모든 지지 요소들(3)이 펴진 상태로 있으면, 받침 판(2)이 더 높은 높이로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요소들(3)은, 각각의 지지 요소들(3)이 받침 판(2) 상에서 뒤로 넘어간 접힌 상태 및 각각의 지지 요소들(3)이 받침 판(2)에 대해서 더 아래로 돌출하는 펴진 상태 사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받침 판(2)에 힌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3. 제2항에 있어서,
    모터구동 수단(35)은 각각의 펴지고 접힌 상태들 사이의 이동 동안에, 지지 요소들(3)을 반대 방향들로 회전하면서 받침 판(2)을 올리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들(3)은 받침 판(2)의 중간 지점들에서 힌지로 결합되고, 모터구동 수단(35)은 서로 가까운 방향으로 지지 요소들(3)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받침 판(2)을 올리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요소들(3)은 들것(1)이 놓인 표면상에서 들것(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 휠들(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6. 제1항에 있어서,
    모터구동 수단은 각각의 지지 요소(3)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독립한 작동기(35)를 포함하고, 독립한 작동기들(35)은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지지 요소들(3)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7. 제6항에 있어서,
    독립한 작동기(35)는 선형 작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요소(3)를 펴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각각의 다른 지지 요소(3)에 독립해서 움직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9. 제8항에 있어서,
    움직이기 위한 수단은 받침 판(2)을 올리는 모터구동 수단(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를 수송하는 들것.
  10. 제1항에 있어서,
    들것(1) 및 적어도 하나의 적재 판(60)을 구비한 수송 차량(6)을 포함하고,
    들것(1)의 지지 요소들(3)이 모두 각각의 접힌 상태로 있을 때 들것(1)의 전체 높이는 지지 요소들(3)이 모두 각각의 펴진 상태로 있을 때보다 더 낮은 환자 수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들것(1)의 지지 요소들(3)이 모두 펴진 상태로 있을 때, 들것(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수송 차량(6)의 적재 판(60)에 들것(1)의 받침 판(2)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4, 5)을 포함하고, 차량의 근처의 제1 지지 요소(3)가 펴진 상태로부터 적재 판(60) 상으로 수용되는 접힌 상태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지지 요소(3)는 수송 차량(6)의 적재 판(60)을 향하여 위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펴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옮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들것(1)의 제2 지지 요소(3)는 제1 지지 요소(3)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펴진 상태로부터 적재 판(60) 상에 수용되는 접힌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송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4, 5)은 적재 판(60) 위에 수송 차량(6)의 내측으로 들것(1)을 자동으로 당기는 모터구동 당김 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송 시스템.
KR1020107024920A 2008-05-08 2009-04-30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 KR101537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040A ITRE20080040A1 (it) 2008-05-08 2008-05-08 '' barella e sistema per il trasporto di pazienti ''
ITRE2008A000040 2008-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305A true KR20110018305A (ko) 2011-02-23
KR101537731B1 KR101537731B1 (ko) 2015-07-20

Family

ID=4030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920A KR101537731B1 (ko) 2008-05-08 2009-04-30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637550B2 (ko)
EP (1) EP2273961B1 (ko)
KR (1) KR101537731B1 (ko)
CN (1) CN102014840B (ko)
AT (1) ATE548011T1 (ko)
BR (1) BRPI0912374B8 (ko)
DK (1) DK2273961T3 (ko)
ES (1) ES2381574T3 (ko)
HR (1) HRP20120458T1 (ko)
IT (1) ITRE20080040A1 (ko)
PL (1) PL2273961T3 (ko)
PT (1) PT2273961E (ko)
RU (1) RU2514744C2 (ko)
SI (1) SI2273961T1 (ko)
TR (1) TR201009196T1 (ko)
WO (1) WO200913580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11B1 (ko) * 2011-09-01 2013-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기능을 갖는 들것
KR101712779B1 (ko) 2016-09-07 2017-03-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구급차의 루프구조
KR101878410B1 (ko) * 2017-04-05 2018-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이송침상의 수평유지방법
KR101878411B1 (ko) * 2017-04-05 2018-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특수재난 환자이송침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1330B2 (en) 2003-03-11 2013-02-26 Chg Hospital Beds Inc. Steerable ultra-low patient bed
JP4818268B2 (ja) * 2004-06-30 2011-11-16 ファーノ−ワシント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組合せ簡易ベッドの積込み及び締結システム
US8555433B2 (en) * 2005-12-16 2013-10-15 Ferno-Washington, Inc. Devices for the assisted loading of a stretcher
ITBO20050770A1 (it) * 2005-12-16 2007-06-17 Ferno Washington Italia Srl Dispositivo di caricamento assistito per una barella
US8864205B2 (en) 2006-06-28 2014-10-21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with wireless data and/or energy transfer
WO2010044890A1 (en) * 2008-10-18 2010-04-22 Ferno-Washington, Inc. Multi-purpose roll-in emergency cot
US8419046B2 (en) 2009-08-27 2013-04-16 Flavio LIMONTINI Field litter carrier
KR101845244B1 (ko) 2010-01-13 2018-04-04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간이침대용 유압 액추에이터
US9510982B2 (en) 2010-01-13 2016-12-06 Ferno-Washington, Inc. Powered roll-in cots
DE102010012065A1 (de) * 2010-03-19 2011-09-22 Eads Deutschland Gmbh Tragenmodul
US8382181B2 (en) 2010-04-26 2013-02-26 Ferno-Washington, Inc. Emergency vehicle patient transport systems
DE102010027207B4 (de) * 2010-07-06 2013-07-04 Björn Steiger Stiftung -Stiftung bürgerlichen Rechts- Patiententransportsystem und Kraftfahrzeug
WO2012006719A1 (en) * 2010-07-15 2012-01-19 Denis Joanisse Stretcher lift
US20120237326A1 (en) * 2011-03-16 2012-09-20 Montrose Innov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wheeled load into a transport vehicle
ES2790731T3 (es) 2012-07-20 2020-10-29 Ferno Washington Sistemas automatizados para camillas eléctricas
JP6462581B2 (ja) 2012-12-04 2019-01-30 ファーノ−ワシント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患者輸送装置のための側方腕延長部及びマットレス取り付け構成要素
CA2902478C (en) 2013-02-27 2020-08-18 Ferno-Washington, Inc. Powered roll-in cots having wheel alignment mechanisms
CN103349593B (zh) * 2013-05-23 2015-07-08 宁波凯福莱特种汽车有限公司 自动上车担架系统
US10188569B2 (en) 2013-09-06 2019-01-29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usable with bariatric patients
WO2015032003A1 (en) 2013-09-06 2015-03-12 Chg Hospital Beds Inc. Patient support usable with bariatric patients
CN103519943A (zh) * 2013-10-23 2014-01-22 深圳市思乘创新工业设计有限公司 担架车
AU2014348446B2 (en) 2013-11-15 2019-03-07 Ferno-Washington, Inc. Self-actuating cots
US9603764B2 (en) 2014-02-11 2017-03-28 Medlin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cking caster
EP3395312A1 (en) 2014-04-04 2018-10-31 Ferno-Washingt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articulating cots
US10028868B2 (en) * 2014-07-08 2018-07-24 Stryker Corporatio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CN104042412A (zh) * 2014-07-08 2014-09-17 崔春枝 一种折叠担架
DE102014016905A1 (de) * 2014-11-17 2016-05-19 Wietmarscher Ambulanz- Und Sonderfahrzeug Gmbh Hilfsvorrichtung für eine Fahrtrage
US9849582B2 (en) * 2015-05-11 2017-12-26 Mobile Designs & Innovations, LLC Rollaway storage cart with collapsible legs
US11147726B2 (en) 2016-08-01 2021-10-19 Stryker Corporation Person support apparatus system
US10154930B2 (en) 2016-08-01 2018-12-18 Stryker Corporation EMS backboard
US11020293B2 (en) 2016-08-01 2021-06-01 Stryker Corporation Multi-function person handling equipment
US10842701B2 (en) 2016-10-14 2020-11-24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stabilization
US11304865B2 (en) * 2017-06-27 2022-04-19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adaptive user interface
US11529272B2 (en) * 2017-08-01 2022-12-20 Uriah S. Akers, Jr. Power lift
US11517485B2 (en) * 2018-04-20 2022-12-06 Rfx, Llc Apparatus for victim extrication, transport, and method of use
US11896535B1 (en) * 2018-04-23 2024-02-13 Uriah S. Akers, Jr. Power lift
CN108938220A (zh) * 2018-07-27 2018-12-07 于尚玉 一种伸缩式医疗担架
US10940062B1 (en) 2019-05-06 2021-03-09 Franklin Delano Nash, Sr. Athlete transporter apparatus
FR3100710B1 (fr) 2019-09-13 2021-08-06 Cdc Group Recepteur de chargement et d’extraction motorises d’un chariot portant un brancard et ambulance associee
FR3100712A1 (fr) 2019-09-13 2021-03-19 Cdc Group Dispositif d’arrimage de chargement et/ou d’extraction motorises d’un chariot portant un brancard, recepteur et ambulance associes
FR3100711B1 (fr) 2019-09-13 2021-08-06 Cdc Group système d’automatisation du chargement et de l’extraction d’un chariot sur un recepteur
AU2020102735B4 (en) * 2019-10-15 2021-09-30 Five Rings Aerospace Pty Ltd Stretch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8873A (en) * 1959-02-11 1960-11-08 Richard H Ferneau Multiple position elevating cot
DE3929959C1 (ko) * 1989-09-08 1990-11-08 Binz Gmbh & Co, 7073 Lorch, De
NL9200169A (nl) * 1992-01-30 1993-08-16 Schell Ind Bv Universeel verstelbaar bed.
EP1034763B1 (en) * 1999-03-10 2005-07-27 Delta Tooling Co., Ltd. Locking device
EP1043006B1 (en) * 1999-04-09 2004-11-10 Claudio Artemio Blotta Stretcher
IT1317334B1 (it) * 2000-05-16 2003-06-16 Vassilli Srl Telaio, in particolare telaio di letto, variabile in altezza.
AUPR094900A0 (en) * 2000-10-23 2000-11-16 Neil Mansell Transport Pty Ltd Variable height folding undercarriage
US20040111798A1 (en) * 2000-12-26 2004-06-17 Shigeyuki Matunaga Stretcher
US6839925B2 (en) * 2001-12-06 2005-01-11 Ronald E. Myers Wheeled stretcher lift assist apparatus
CN2588965Y (zh) * 2002-11-19 2003-12-03 曲成波 急救车自动担架
FI20031241A (fi) * 2003-09-02 2005-03-03 Jouko Kettunen Hoitosänky
US7409734B2 (en) * 2003-11-05 2008-08-12 Ferno-Washington, Inc. Pneumatically powered lift ambulance cot
WO2005097035A1 (en) * 2004-04-08 2005-10-20 Australian Healthcare Equipment Pty Ltd Adjustable bed
US7398571B2 (en) * 2004-09-24 2008-07-15 Stryker Corporation Ambulance cot and hydraulic elevating mechanism therefor
FR2890556B1 (fr) * 2005-09-09 2008-06-13 Contact Securite Sa Chariot brancard a manoeuvre facilitee.
RU2321383C1 (ru) * 2006-08-24 2008-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икромонтаж" Тележка-каталка под съемные носилки для санита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11B1 (ko) * 2011-09-01 2013-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기능을 갖는 들것
KR101712779B1 (ko) 2016-09-07 2017-03-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구급차의 루프구조
KR101878410B1 (ko) * 2017-04-05 2018-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이송침상의 수평유지방법
KR101878411B1 (ko) * 2017-04-05 2018-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특수재난 환자이송침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6959A1 (en) 2009-11-12
SI2273961T1 (sl) 2012-06-29
ATE548011T1 (de) 2012-03-15
TR201009196T1 (tr) 2011-04-21
PT2273961E (pt) 2012-05-10
WO2009135803A1 (en) 2009-11-12
BRPI0912374A2 (pt) 2015-10-13
HRP20120458T1 (hr) 2012-06-30
ITRE20080040A1 (it) 2009-11-09
RU2514744C2 (ru) 2014-05-10
CN102014840A (zh) 2011-04-13
BRPI0912374B8 (pt) 2021-06-22
DK2273961T3 (da) 2012-07-02
RU2010149852A (ru) 2012-06-20
KR101537731B1 (ko) 2015-07-20
US7637550B2 (en) 2009-12-29
BRPI0912374B1 (pt) 2020-07-14
ES2381574T3 (es) 2012-05-29
EP2273961B1 (en) 2012-03-07
EP2273961A1 (en) 2011-01-19
PL2273961T3 (pl) 2012-08-31
CN102014840B (zh)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8305A (ko)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
EP1738730B1 (en) Stretcher
EP1738732B1 (en) Stretcher apparatus
US7131151B2 (en) Multiple level roll-in cot
US20090188038A1 (en) Storable dual action hydraulic lifting device
US7003829B2 (en) Stretcher with gear mechanism for adjustable height
US4384378A (en) Mobile body lift
WO20121259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wheeled load into a transport vehicle
KR101878410B1 (ko) 환자이송침상의 수평유지방법
US103631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ving a patient from a reclining position to an upright sitting position
BRPI0706741A2 (pt) maca elevatória
US11826284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a side ramp
EP2079428B1 (en) Stretcher
WO1998004228A1 (en) A stretcher loading platform
RU2559231C2 (ru) Санитарный автомобиль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больных, раненых и других пострадавших лиц
US20180036184A1 (en) Stretcher
CN213190631U (zh) 一种医用卧床病人自动转运平车
WO2019200352A1 (en) Lift-transfer device with scoop-type stretcher
WO2002083052A1 (en) Patient transf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