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779B1 - 구급차의 루프구조 - Google Patents

구급차의 루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779B1
KR101712779B1 KR1020160115063A KR20160115063A KR101712779B1 KR 101712779 B1 KR101712779 B1 KR 101712779B1 KR 1020160115063 A KR1020160115063 A KR 1020160115063A KR 20160115063 A KR20160115063 A KR 20160115063A KR 101712779 B1 KR101712779 B1 KR 10171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ambulance
roof
vehicl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한
한용택
김형욱
박민정
Original Assignee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1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구급차의 루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를 빠르고 안전한 이송을 돕도록 루프 전체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제작되고, 충격으로부터 강성을 증대시킨 루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천장에는 루프가 위치하고, 차량 실내 전방에는 운전실과 후방에는 침대가 설치된 처치실이 마련되며, 양문형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차에 있어서,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에 스피커와 조명등 및 경광등이 설치되며, 양측면과 후방에도 경광등이 설치되는 상기 루프와, 상기 루프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붕형 스포일러와, 상기 처치실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구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급차의 루프구조{ROOP STRUCTURE OF AMBULANCE}
본 발명은 구급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환자 이송용 설비, 구급장비 및 응급 의료장비 등을 실장하여 응급환자를 병원까지 수송하는 구급차에 설치되는 루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급차란, 부상자, 환자 등을 긴급히 병원 등으로 옮길 수 있도록 장비된 일련의 자동차를 가리킨다.
이러한 구급차에는 병원에서 본격적인 치료를 받을 때까지 차내에서 응급구호를 할 수 있는 각종 설비가 갖춰져 있다. 즉, 적당한 방음, 환기 및 보온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여 구급업무의 실시에 필요한 용구, 그리고 사고현장 등에서 부상자나 환자를 병원으로 수송하는 사이에 필요한 응급의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상처나 출혈에 대한 구급용 붕대, 지혈대, 골절을 위한 부목류, 구명을 위한 인공호흡기, 산소통 등이 마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응급치료를 위한 조명시설, 장비들을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는 수납공간들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응급환자를 처치하고, 안정적으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구급차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장비 배치 및 적절한 수납공간 마련, 조명장치 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18305호(공개일 2011.02.23)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59682(공고일 2010.05.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346(공고일 2004.11.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를 빠르고 안전한 이송을 돕도록 루프 전체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제작되고, 충격으로부터 강성을 증대시킨 구급차의 루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천장에는 루프가 위치하고, 차량 실내 전방에는 운전실과 후방에는 침대가 설치된 처치실이 마련되며, 양문형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차에 있어서,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에 스피커와 조명등 및 경광등이 설치되며, 양측면과 후방에도 경광등이 설치되는 상기 루프와, 상기 루프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붕형 스포일러와, 상기 처치실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구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된 요철부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급차의 루프구조에 의하면, 환자를 빠르고 안전한 이송을 돕도록 루프 전체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제작되고, 루프에 요철부를 형성시켜서 구급차의 충돌 시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루프 발췌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양문형 도어 개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양문형 도어 개방 시 보조들것 수납공간과 부목류 수납공간의 사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실내에 설치된 안전바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실내에 설치된 상단 수납장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상단 수납장의 개방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실내에 설치된 치료데스크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치료데스크 사용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시를 위해 안정공간의 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루프 발췌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양문형 도어 개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양문형 도어 개방 시 보조들것 수납공간과 부목류 수납공간의 사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실내에 설치된 안전바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실내에 설치된 상단 수납장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상단 수납장의 개방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의 실내에 설치된 치료데스크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치료데스크 사용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시를 위해 안정공간의 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급차(1)는 차량 내에 환자 이송용 설비와 구급장비 및 응급 의료장비 등을 실장하여 응급환자를 병원까지 수송하는 차량으로서, 그 어느 수송수단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어야 됨과 동시에 환자를 이송하는 도중에 효과적인 응급환자 처치가 필요하다.
구급차(1)는 크게, 차량 천장 외부에 돌출 설치되는 루프(100)와, 차량 내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이 이루어지는 운전실(2)과, 운전실(2)의 후방측으로 응급환자가 누워서 처치를 받을 수 있는 침대(202)가 구비되고 구급대원이 앉아서 대기하거나 심폐소생술과 같은 응급치료 또는 다른 상황에 적합한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처치실(200)과, 이 처치실(200)을 개방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어 양쪽으로 개방되는 양문형 도어(3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차량 천장 외부에 설치되는 루프(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 하여 고속 운행을 돕도록 전체적인 형상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본체와 동일 재질 또는 합성수지, 알루미늄재일 수 있다.
유선형 루프(100)는 전방측은 대체적으로 앞쪽이 뽀족한 삼각형 형태를 가지며 동시에 루프(100)를 구성하는 면과 면에는 곡면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 하였으며, 후방측으로 갈수록 전체적인 동일 평면보다 다소 상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를 갖는 지붕형 스포일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지붕형 스포일러(102)는 고속 주행시 차체가 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특히, RV차량과 같이 높이가 있는 구급차(1)의 고속 주행에도 전복이 방지될 수 있으며, 우천시 빗물이 튀어 뒷유리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루프(100)의 후방부 상면 중앙측에는 환기구(104)가 설치되어 처치실(200)의 내부 공기의 환기를 도울 수 있다.
처치실(200)에는 환자의 치료실 발생할 수 있는 오염공기의 배출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환기구(104)는 처치실(2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미도시된 전원의 인가 등으로 회전되는 팬 등이 설치되어 처치실(20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루프(100)에는 상면 상에는 요철부(106)가 설치될 수 있다.
요철부(106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루프(100)의 제작시 금형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06)는 차량의 충격시 루프(100)의 취약한 강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요철부(106)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가로 방향일 수도 있으며, 루프(1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루프(100)의 전방의 중앙에 스피커 그리고 서치라이트와 같이 먼거리에도 비출 수 있는 조명등(108)이 설치되어 야간에 차량의 중심으로 봤을 때 전방에서 발생되는 사고 현장을 비추어 정확한 상황 판단을 도울 수 있다.
덧붙여, 루프(100)의 양측방에도 서치라이트와 같은 조명등(108)이 설치되어 야간에 차량의 중심으로 봤을 때 양측방에서 발생되는 사고 현장도 조명을 비출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조명등(108)의 양측으로는 제 1 경광등(110)이 설치되고, 루프(100)의 양측면에도 제 2 경광등(112)이 설치되며, 후면으로는 브레이크등(116)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경광등(114)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2, 3 경광등(110)(112)(114)은 대체적으로 위험성을 알리기 위하여 빨간색을 띄며,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2, 3 경광등(110)(112)(114)은 차량의 전, 후방측과 양측방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면으로부터 완만하게 곡면으로 이어져서 루프(100)의 어느 방면에서도 위험성을 알리는 경광등(110)(112)(114)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루프(100)에 인쇄된 119 문자와 그 테두리에는 야광지와 같은 고휘도의 반사지(118)가 부착 설치되어 야간에 발광되어 헬리콥터와 같은 비행물체에서도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구급차(1)의 후단에 설치되는 양문형 도어(300)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양문형 도어(300)는 구급차(1)로부터 수동으로 개방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180° 정도 개방되어 처치실(200)에 있던 구급대원이 신속히 내려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위급한 응급환자를 원활하게 실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개방된 양문형 도어(300)의 내측면으로는 양문형 도어(300) 중 어느 일측 도어의 하부측에 심폐소생술 받침대(202)가 거치 설치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310)이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사고 현장에서 응급환자를 구급차(1)의 내부로 옮길 시간이 없을 때, 현장에서 바로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수 있도록 환자의 등을 받일 수 있는 심폐소생술 받침대(302)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공간(310)은 심폐소생술 받침대(202)보다는 크게 홈부를 형성하며, 미도시된 고리나 부직포 등이 설치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납공간(310)이 형성된 다른 일측 도어의 상부측으로는 부피가 커서 수납이 용이하지 않은 헬멧(미도시)을 거치할 수 있는 헬멧거치대(320)가 설치될 수 있다.
헬멧거치대(320)는 수평바가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되어 헬멧을 일측으로부터 밀어넣어서 헬멧에 돌출된 모자챙과 헬멧의 뒷부분이 한 쌍의 수평바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헬멧거치대(320)에는 헬멧이 3~4개의 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양문형 도어(300)의 내측면에는 수납공간(310)과 헬멧거치대(320)와 같이, 현장 출동시 신속이 요구되는 장비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330)가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330)는 바람직하게 "ㄷ"자의 바 형태를 이루어 장비를 쉽게 걸거나 뺄 수 있는 구조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양문형 도어(300)에는 뒷유리가 설치되어 내부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문형 도어(300)에 근접 설치되어 개방 시 노출되는 들것수납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들것수납공간(210)은 처치실(200)의 내부 바닥면부터 천장부까지 이어지도록 수직하며, 일정 깊이를 갖는 수납공간으로 형성되어 보조들것(212)이 세로 방향으로 수납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들것수납공간(210)은 보조들것(212)과 같이 척추고정판(214)이 같이 수납될 수 있으며, 다른 일예로 들것수납공간(210)의 내부에 수직한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보조들것(212)과 척추고정판(214) 각각 수납될 수도 있다.
상기 들것수납공간(210)은 좌, 우측 무게 배분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침대(202)의 위치와는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구급차(1)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맞춰줄 수 있다.
덧붙여, 들것수납공간(210)은 양문형 도어(300)을 닫았을 때에는 도어의 내측에 밀착 위치되어 수납된 보조들것(212)이나 척추고정판(21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나, 사고나 심한 충격 등으로부터 보조들것(212)과 척추고정판(214)이 이탈될 수 있으므로 들것수납공간(210)의 입구측에 밴드나 결속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들것수납공간(210)과 마주하는 위치에 양문형 도어(300)의 개방시 바로 노출되는 위치에 부목류수납공간(22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부목류는 환자 신체의 어떤 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혈대와 같은 부품류를 지칭할 수 있다.
부목류수납공간(220)은 처치실(200)의 내부 바닥면부터 천장부까지 이어지도록 수직하며, 일정 깊이를 갖는 수납공간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수납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도어(222)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222)는 부목류수납공간(220)의 크기에 맞춰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며, 슬라이딩 방향은 개방된 양문형 도어(300)측 일 수 있다.
그리고 각 슬라이딩 도어(222)의 전면에는 슬라이딩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각 슬라이딩 도어(222)의 내부에는 수직한 수납 선반이 마련되어 이 수납선반에 지혈대와 같은 부목류 외에도 망치나 기타 장비 등을 거치하거나 위치 수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구급차(1)의 실내에서 안전한 이동을 도울 수 있도록 여러 곳에 다수개의 안전바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안전바(230)는 처치실(200)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U"자 또는 "ㄷ"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안전바(230)는 처치실(200)의 내부 전반을 이동 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서 설치된다.
제 2 안전바(232)는 처치실(200)의 후방 측, 바람직하게는 들것수납공간(210)에 근접하여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3 안전바(234)는 침대(202)와 근접하여 처치실(200)의 내벽에 가로바와 세로바가 상호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어 차량이 흔들릴 때 구급대원이 잡고서 환자의 처치를 도울 수 있다.
제 1, 2, 3 안전바(230)(232)(234)는 원형바 형태를 가지며, 색상은 노란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특히, 제 1 안전바(230)는 천장에 설치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수액 등과 같은 주사병을 걸어서 환자의 처치를 도울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수납장(240)은, 처치실(200)의 상부측 벽면을 따라 치료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장(240)이 마련될 수 있다.
수납장(240)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마련하며, 처치실(200)의 천장부터 상부측 벽면 상에 설치되되, 천장으로부터 30~40cm내외의 높이로 설치되고, 처치실(200)의 상부측 양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장(240)의 전면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되는 투명의 도어(242)가 설치되고, 수납장(240)의 내부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한 격벽(244)이 형성되어 수납 물품들을 분류 수납할 수 있다.
투명한 도어(242)는 푸시 오픈되는 원터치 방식으로 마그네틱이나 싱글푸시모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단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장(240)에 형성된 격벽(244)에 의하여 약 종류, 주사 종류 등을 따로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다.
더욱이 수납장(240)의 전면측으로 치료 장비들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1/3 높이의 막음판(246)이 형성될 수 있다.
막음판(246)의 높이를 한정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인 구급대원의 신장을 고려하여 수납장(240)의 전체 크기에서 1/3지점이 적당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데스크(250)는 처치실(2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침대(202)의 머리측과 근접하여 설치된다.
치료데스크(250)는 친환경 소재인 ASA(Acrylic Styrene Acrylonitrile)로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치료데스크(250)가 침대(202)의 머리부측과 운전실(2)이 있는 벽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치료데스크(250)의 하부측으로는 환자의 처치에 사용되는 주사나 각종 의약품들이 비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랍장(25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서랍장(252)은 상기의 의약품 비치 이외에도 환자의 처치에 사용된 오염된 솜이나 붕대 등의 폐기물 처리전 보관 장소일 수 있다.
그리고 치료데스크(250)의 상면으로는 구급차(1)의 이동 중 필기 도구나 주사기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의 논슬림패드(254)가 더 설치되고, 주사기나 주사병을 거치할 수 있는 꽂이대(256)를 구비할 수 있다.
꽂이대(256)는 상방이 개방된 박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덧붙여, 치료데스크(250)에는 서랍장(252)의 근접 위치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수납되는 필기용 메모보드(258)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치료데스크(250)의 상부측는 차량의 벽면에 산소발생기, 인공호흡기 등이 위치될 수 있으며, 근접 위치에 구급대원이 잠시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202)의 상방측으로 구급대원으로부터 긴급하게 이루어지는 심폐소생술시 구급대원의 상체 앞, 뒤 활동 공간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공간(260)이 마련된다.
즉, 구급대원의 상체가 앞, 뒤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 수납장이나 기타 장비들이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활동 공간이 마련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대(202)가 위치된 처치실(200)의 벽면으로부터 적어도 140cm~160cm 정도의 공간이 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구급차(1)의 루프(100) 및 내, 외부에 설치된 장치들의 작용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11을 다시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구급차(1)의 상단에 설치되는 루프(100)는 돌출되어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유선형의 루프(100)는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고속 운행을 도울 수 있으며, 아울러 지붕형 스포일러(102)는 고속 주행시 차체가 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잔 운행을 돕고, 우천 시에는 빗물이 튀어 뒷유리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환기구(104)로는 처치실(200)의 내부 공기를 강제 배출하여 쾌적한 처치실(200)의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루프(100)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요철부(106)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전면이나 후방으로부터의 충돌 시 루프(100)의 강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루프(100)의 전방과 양측방에 설치되는 조명등(108)은 야간에 불빛이 없는 장소에서 사고 발생시 차량의 전방 및 양측방에서 서치라이트와 같은 조명이 비추어 야간에도 정확한 상황 판단과 동시에 사고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LED)의 제 1, 2, 3 경광등(110)(112)(114)은 곡면 형성되어 구급차(1)의 상면 뿐만 아니라 어느 방향에서도 식별이 가능하여 구급차(1)의 위치와 긴급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구급차(1)의 상면에 새겨진 119 문자 테두리의 반사지(118)는 야간에 헬리콥터와 같은 비행 물체로부터도 식별력을 높여서 정확한 구급차(1)의 위치를 보여줄 수 있다.
개방된 양문형 도어(3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수납공간(310)에는 심폐소생술 받침대(302)가 거치되어 보다 신속함이 요구되는 상황, 예컨대 사고 현장에서 응급환자를 구급차(1)의 내부로 옮길 시간이 없을 때, 현장에서 바로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수 있도록 환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급대원이 심폐소생술 받침대(302)를 다른 장비와 같이 들고 나갈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구급대원이 사고 현장에 출동하기에 앞서 착용하여야 할 헬멧 역시 헬멧거치대(320)에 위치되어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다.
특히, 헬멧 같은 경우에는 부피가 커서 수납 공간이 마땅치 않아 종래에는 바닥이나 수납 공간에 두어 사고 현장에 출동 시 헬멧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졌다.
헬멧의 착용과 아울러 사고 현장에 당장 들고 나가야 하는 장비들이 거치대(330)에 거치되어 신속 정확하게 들고 나갈 수 있다.
거치대(330)에는 예를 들어 응급환자의 체온을 유지시키기 위한 담요 종류나 화재복 등이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환자를 구급차(1)의 침대(202)로 옮기기 위하여 사고 현장에서 환자를 옮길 수 있는 보조들것(212)과 척추고정판(214)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 보조들것(212)과 척추고정판(214)이 양문형 도어(300)가 개방됨과 동시에 들것수납공간(210)에 위치되어 구급대원의 출동과 동시에 보조들것(212)과 척추고정판(214)을 들고 나갈 수 있다.
또한, 들것수납공간(210)에 마주하여 설치된 부목류수납공간(220)에는 슬라이딩 도어(222)가 설치되고, 슬라이딩 작동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222)의 수납 선반에는 지혈대와 같은 부목류 종류와 망치 등과 같은 장비가 수납되어 쉽게 장비를 챙겨 나갈 수 있다.
한편, 처치실(200)의 내부에 설치된 "U" 또는 "ㄷ"자 형상의 제 1 안전바(230)는 처치실(200)의 내부에서 흔들림에도 구급대원의 원활한 이동을 돕게 되며, 수액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2 안전바(232)는 처치실(200)의 후미측에 설치되어, 양문형 도어(300)의 개방 시 구급차(1)로부터 내리거나 올라탈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제 3 안전바(234) 역시 응급환자의 처치 중 차량의 흔들림에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처치실(200)의 상부측 내벽을 따라 설치된 수납장(240)은 투명의 도어(242)가 설치되어 도어(242)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납장(240)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욱이 도어(242)는 원터치 개방되어 소품을 한 손에 들고 있거나 하는 경우에 한 손으로도 신속히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수납장(240)의 내부로는 수직한 격벽(244)이 설치되어 약품 등과 같이 분류가 필요한 물건을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막음판(246)은 차량의 사고 시나 심한 흔들림 시 수납되어 있는 장비들이 낙하하여 제2의 사고가 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치료데스크(250)에 마련된 서랍장(252)에는 주사기 등과 같은 의료 소품들이 수납되어 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처치에 사용된 오염물질을 한 곳에 모아두어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치료에 집중할 수 있고, 처리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논슬림패드(254)에는 임시로 놓게 되는 필기 도구나 주사기 등이 놓였을 경우, 쉽게 낙하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여 구급대원이 밟거나 했을 경우 움직이는 차량 내에서 위험 요소를 제거한 것이다
또, 쉽게 깨질 수 있는 주사기나 주사병을 별도의 공간인 꽂이대(256)에서 보관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편의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으며, 슬라이딩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필기용 메모보드(258)는 응급환자의 응급 처치가 끝난 후, 병원으로의 이송까지 구급대원이 서류를 작성하거나 하는 경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침대(202)의 상부측으로 구급대원으로부터 긴급하게 이루어지는 심폐소생술시 구급대원의 상체 앞, 뒤 활동 공간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공간(260)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종래의 구급차에 수납 공간 확보를 위하여 침대(202)의 상부측으로 수납공간 등이 많이 설치되었는데, 이에 따라 구급대원이 심폐소생술시 머리가 부딪혀서 제대로의 소생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마련된 안전공간(260)은 활동 공간이 확보되어 구급대원의 부상 위험 없이 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급차의 루프구조에 의하면, 환자를 빠르고 안전한 이송을 돕도록 루프 전체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제작되고, 루프에 요철부를 형성시켜서 충격으로부터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구급차 2 : 운전실
100 : 루프 102 : 지붕형 스포일러
104 : 환기구 106 : 요철부
108 : 조명등 110, 112, 114 : 제 1, 2, 3 경광등
116 : 브레이크등 118 : 반사지
200 : 처치실 202 : 침대
210 : 들것수납공간 212 : 들것
214 : 척추고정판 220 : 부목류수납공간
222 : 슬라이딩도어 230, 232, 234 : 제 1, 2, 3 안전바
240 : 수납장 242 : 도어
244 : 격벽 246 : 막음판
250 : 치료데스크 252 : 서랍장
254 : 논슬림패드 256 : 꽂이대
258 : 메모보드 260 : 안전공간
300 : 양문형 도어 302 : 심폐소생술 받침대
310 : 수납공간 320 : 헬멧거치대
330 : 거치대

Claims (2)

  1. 차량의 천장에는 루프가 위치하고, 차량의 실내 전방에는 운전실과 후방에는 침대가 설치된 처치실이 각각 마련되며, 양문형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차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앞쪽이 뾰족한 삼각형 형태를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스피커와, 상기 루프의 전면 중앙과 양측에 설치되는 서치라이트와 같은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 1 경광등과, 상기 루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제 2 경광등과, 상기 루프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경광등을 포함하며,
    상기 루프의 후방에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전체적인 동일 평면보다 다소 상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를 갖는 지붕형 스포일러가 형성되고,
    상기 루프의 후방부 상면 중앙측에는 처치실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루프에는 차량의 충격시 루프의 취약한 강성의 증대를 가져오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루프에는 "119"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는 야간에 발광되어 헬리콥터와 같은 비행물체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야광지와 같은 고휘도의 반사지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의 루프구조.
  2. 삭제
KR1020160115063A 2016-09-07 2016-09-07 구급차의 루프구조 KR10171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63A KR101712779B1 (ko) 2016-09-07 2016-09-07 구급차의 루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63A KR101712779B1 (ko) 2016-09-07 2016-09-07 구급차의 루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779B1 true KR101712779B1 (ko) 2017-03-13

Family

ID=5841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063A KR101712779B1 (ko) 2016-09-07 2016-09-07 구급차의 루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57A (ko) 2021-05-26 2022-12-06 주식회사 프로스코 차량의 적재함 내부 환기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352A (ja) * 1997-11-27 2001-12-04 スキルド・イクイップメント・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ピーティワイ・リミテッド 緊急車両担架支持部材
KR200368346Y1 (ko) 2004-08-24 2004-11-20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량
KR100959682B1 (ko) 2007-11-30 2010-05-26 (주)성우특장 환자 이송용 구급차
KR20110018305A (ko) 2008-05-08 2011-02-23 스템 에스알엘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
KR101288951B1 (ko) * 2011-04-05 2013-07-24 주식회사 엘림스피드 구동모터 일체형 탐조등
KR101326001B1 (ko) * 2010-06-14 2013-11-20 (주)세운모터스 슬라이딩 도어에 조명장치가 장착된 구급차
KR20160115063A (ko) * 2015-03-25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고장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352A (ja) * 1997-11-27 2001-12-04 スキルド・イクイップメント・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ピーティワイ・リミテッド 緊急車両担架支持部材
KR200368346Y1 (ko) 2004-08-24 2004-11-20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량
KR100959682B1 (ko) 2007-11-30 2010-05-26 (주)성우특장 환자 이송용 구급차
KR20110018305A (ko) 2008-05-08 2011-02-23 스템 에스알엘 들것 및 환자 수송 시스템
KR101326001B1 (ko) * 2010-06-14 2013-11-20 (주)세운모터스 슬라이딩 도어에 조명장치가 장착된 구급차
KR101288951B1 (ko) * 2011-04-05 2013-07-24 주식회사 엘림스피드 구동모터 일체형 탐조등
KR20160115063A (ko) * 2015-03-25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고장 진단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160115063-00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57A (ko) 2021-05-26 2022-12-06 주식회사 프로스코 차량의 적재함 내부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68413U (zh) 一种心内科急救床
KR101712779B1 (ko) 구급차의 루프구조
CN113616825A (zh) 紫外线光消毒调速系统和方法
KR100959682B1 (ko) 환자 이송용 구급차
Snook Medical aid at accidents
US20060289573A1 (en) Device for Lifting and Carrying Injured or Disabled Persons
WO2008025995A2 (en) Cpr assistance apparatus
EP1070494A1 (en) First-aid ambulance equipped with suitable medical emergency room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US20200022474A1 (en) Mass casualty incident bag, system, and methods of use
CN203341939U (zh) 一种救护车
CN209899810U (zh) 一种医用多功能急救推车
KR101326001B1 (ko) 슬라이딩 도어에 조명장치가 장착된 구급차
KR970002925B1 (ko) 응급구조차(ambulance)
CN208942608U (zh) 脑卒中救护车
RU172594U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камера
CN213373099U (zh) 监护型防疫救护车
JPH06169952A (ja) 救急医療システムおよびその車両構造
Foil et al. Civilian field surgery in the rural trauma setting: a proposal for providing optimal care.
CN205307235U (zh) 医院内使用的带有救助工作箱体的担架车
KR200306355Y1 (ko) 구급겸용 시신 운반, 보관용 백
JP2021192783A (ja) レンジガイダンスを有する携帯式消毒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13249681U (zh) 一种多功能手术室护理车
CN201410043Y (zh) 一种野外急诊护理观察车
RU2081763C1 (ru) Реанимационный автомобиль
KR100439914B1 (ko) 들것이 탑재된 구급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